-
문종문종 27년(1073) 계축년문종 27년(1073) 계축년27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이 날 지진이 발생했다. 무진일. 왕이 보제사(普濟寺) 보제사 개성직할시 내에 있는 고려 태조가 창건한 10찰 중의 하나이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이 절의 정전(正殿)은 나…#지진 #보제사 #평리역 #정유산 #섭형부상서 #노인 #전중감 #유홍 #병부시랑 #중추원지주사 #흥왕사 #귀순주 #도령 #대상 #고도화 #부도령 #고사 #익주 #창주 #귀덕장군 #금부 #전주 #성주 #봉국장군 #야호 #오사불 #공주 #다로 #번장 #파가불 #은주 #복주 #원보 #아홀 #나거수 #온주 #삼빈 #아로대 #이다불 #손보새 #장서충 #회화대장군 #변최 #유함빈 #봉국대장군 #위번 #회화장군 #양동무 #귀덕 장군 #문격민 #강적 #노수 #장대원 #한방진 #고종화 #조장위 #소덕 #봉은사 #중광전 #정전 #연등회 #재추 #대성 #시신 #지제고 #회경전 #반야경도량 #개국사 #홍화사 #현화사 #봉래정 #일식 #구산사 #구대 #외제석원 #서북면병마사 #만두불 #평로진 #유원장군 #골어부 #멱해촌 #요결 #이제촌 #대완 #중윤 #야서로 #정주 #낭장 #문선 #나복기촌 #상곤 #아방포 #유전촌 #나갈촌 #다어개 #아반니 #문하시중 #최유선 #구정 #초제 #동북면병마사 #삼산 #대란 #지즐 #소을포촌 #염한 #아반이 #여나기나오 #안무이주 #골아이 #소은두 #소지즐 #요응포 #관방 #서경장군 #유섭 #동로병마사 #대제 #자고 #하사 #곤두 #괴발 #두룡 #골이 #여파한 #아로한 #재차고 #대사이 #칭견 #곤준 #단준 #무을비 #화두 #병마사 #동경 #파잠 부곡 #원흥진 #도부서 #초도 #지병마사 #비서감 #이성미 #영군도부서장군 #지즐촌 #나발촌 #요와립촌 #대신촌 #서호촌 #무주기촌 #가서로 #감문위산원 #고맹 #동남해도부서 #왕측 #정송 #영년 #일기도 #구당관 #등정안국 #개경 #태백성 #태복경 #김양감 #중서사인 #노단 #송나라 #왕유 #서선 #한림원 #빈주 #이주 #항주 #서주 #습주 #민주 #대주 #경주 #부주 #완주 #귀주 #순주 #소재도량 #평양후 #팔관회 #신봉루 #대송 #흑수 #탐라 #일본 #영주자사 #대택 #예부상서 #최유길 #호부상서 #민창수 #형부상서
-
문종문종 27년(1073) 계축년문종 27년(1073) 계축년二十七年 春正月 乙巳朔 放朝賀. 地震. 戊辰 王如普濟寺. 二月 乙亥朔 命有司, 作亭于平理驛, 以爲行幸駐蹕之所. 戊寅 以鄭惟産攝刑部尙書, 盧寅爲殿中監, 柳洪爲兵部侍郞中樞院知奏事. 甲申 幸興王寺. 乙未 東女眞歸順州都領大常古刀化, 副都領吉舍, 益昌州…#지진 #보제사 #평리역 #정유산 #섭형부상서 #노인 #전중감 #유홍 #병부시랑 #중추원지주사 #흥왕사 #귀순주 #도령 #대상 #고도화 #부도령 #고사 #익주 #창주 #귀덕장군 #금부 #전주 #성주 #봉국장군 #야호 #오사불 #공주 #다로 #번장 #파가불 #은주 #복주 #원보 #아홀 #나거수 #온주 #삼빈 #아로대 #이다불 #손보새 #장서충 #회화대장군 #변최 #유함빈 #봉국대장군 #위번 #회화장군 #양동무 #귀덕 장군 #문격민 #강적 #노수 #장대원 #한방진 #고종화 #조장위 #소덕 #봉은사 #중광전 #정전 #연등회 #재추 #대성 #시신 #지제고 #회경전 #반야경도량 #개국사 #홍화사 #현화사 #봉래정 #일식 #구산사 #구대 #외제석원 #서북면병마사 #만두불 #평로진 #유원장군 #골어부 #멱해촌 #요결 #이제촌 #대완 #중윤 #야서로 #정주 #낭장 #문선 #나복기촌 #상곤 #아방포 #유전촌 #나갈촌 #다어개 #아반니 #문하시중 #최유선 #구정 #초제 #동북면병마사 #삼산 #대란 #지즐 #소을포촌 #염한 #아반이 #여나기나오 #안무이주 #골아이 #소은두 #소지즐 #요응포 #관방 #서경장군 #유섭 #동로병마사 #대제 #자고 #하사 #곤두 #괴발 #두룡 #골이 #여파한 #아로한 #재차고 #대사이 #칭견 #곤준 #단준 #무을비 #화두 #병마사 #동경 #파잠 부곡 #원흥진 #도부서 #초도 #지병마사 #비서감 #이성미 #영군도부서장군 #지즐촌 #나발촌 #요와립촌 #대신촌 #서호촌 #무주기촌 #가서로 #감문위산원 #고맹 #동남해도부서 #왕측 #정송 #영년 #일기도 #구당관 #등정안국 #개경 #태백성 #태복경 #김양감 #중서사인 #노단 #송나라 #왕유 #서선 #한림원 #빈주 #이주 #항주 #서주 #습주 #민주 #대주 #경주 #부주 #완주 #귀주 #순주 #소재도량 #평양후 #팔관회 #신봉루 #대송 #흑수 #탐라 #일본 #영주자사 #대택 #예부상서 #최유길 #호부상서 #민창수 #형부상서
-
제신(諸臣)김인경(金仁鏡)김인경金仁鏡김인경(金仁鏡) 김인경(?~1235) 합문지후(閤門祗侯)를 지낸 경주 김씨(慶州金氏) 김영고(金永固)의 아들로,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고종 때까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이 집안은 김영고의 증조 김주정(金周鼎), 할아버지 김…
-
제신(諸臣)이첨(李詹)이첨李詹이첨(李詹) 이첨(1345~1405) 본관은 신평(新平)(지금의 충남 당진군 신평면)으로, 자는 중숙(中叔)(족보에는 소숙小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으로 충목왕 원년(1345)에 홍주목의 속현인 신평현(新平縣)에서 출생하였다. 조부는 도관공(都官公) 이승건(…#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
제신(諸臣)김인경(金仁鏡)김인경金仁鏡金仁鏡, 初名良鏡, 慶州人, 平章事良愼公義珍四世孫. 父永固爲興郊道館驛使, 公淸慈惠, 不笞一人. 後爲龜州甲仗, 金甫當起兵敗, 永固逮繫寧州獄, 當死. 興郊吏民詣處置使, 涕泣請貸, 使不忍誅, 械送于京. 承宣李俊儀, 素與永固善, 營救得免. 然第宅已沒官, 妻子飢寒, 無…
-
제신(諸臣)이첨(李詹)이첨李詹李詹, 洪州人. 恭愍王幸九齋, 試經義, 賜詹等七人及第, 授詹藝文檢閱. 三轉爲正言, 上䟽曰, “史典之法尙矣. 古者諸侯無私史, 邦國之志, 藏於王室而已. 及其三史繼作, 列國皆有史官, 掌記時事. 本朝自統三以來, 褒貶可記之事常多, 史官筆不停書, 易世而後, 乃編摩. 然其…#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
登歌軒架樂迭奏節度원구(圜丘) 원구 흙을 둥글게 언덕처럼 쌓아올려서 만든 단(壇)으로 하늘을 상징하며 원구(圓丘)라고도 한다. 의 친사(親祀) 친사 국왕이 몸소 천지․종묘에 제사를 드리는 것인데, 원구친사(圜丘親祀)는 동지(冬至)에 국왕이 몸소 천단(天壇) 즉 원구단(圜丘壇)에…#등가 #헌가 #원구 #친사 #뇌세 #요위 #대차 #정안지곡 #음복 #희안지곡 #황종궁 #영신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태주치 #고선우 #문무 #송신 #영안지곡 #무무 #작헌 #가안지곡 #배위 #인안지곡 #숙안지곡 #대려궁 #진조 #풍안지곡 #숭안지곡 #아종헌 #무안지곡 #유사 #세위 #임종궁 #응종궁 #아헌 #종헌 #대주궁 #태묘 #체협향 #시향 #납향 #관세위 #제실 #무역궁 #태조 #태정 #혜종 #소성 #현종 #흥경 #문종 #대명 #순종 #익선 #선종 #청녕 #숙종 #중광 #예종 #미성 #인종 #이안 #흥안지곡 #대려 #대주 #응종 #문덕지무 #관창 #순안지곡 #공안지곡 #선농 #예위 #경적위 #명안지곡 #성안지곡 #변두 #고선궁 #응안지곡 #뇌세위 #선잠 #격안지곡 #용안지곡 #화안지곡 #환안지곡 #흠안지곡 #남려궁 #문선왕묘
-
登歌軒架樂迭奏節度圜丘親祀 王入門, 詣罍洗, 升降壇, 詣望燎位, 還大次, 軒架奏正安之曲. 王飮福, 登歌作禧安之曲. 並黃鍾宮. 迎神, 軒架奏夾鐘宮景安之曲三成, 黃鐘角․大簇徵․姑…#등가 #헌가 #원구 #친사 #뇌세 #요위 #대차 #정안지곡 #음복 #희안지곡 #황종궁 #영신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태주치 #고선우 #문무 #송신 #영안지곡 #무무 #작헌 #가안지곡 #배위 #인안지곡 #숙안지곡 #대려궁 #진조 #풍안지곡 #숭안지곡 #아종헌 #무안지곡 #유사 #세위 #임종궁 #응종궁 #아헌 #종헌 #대주궁 #태묘 #체협향 #시향 #납향 #관세위 #제실 #무역궁 #태조 #태정 #혜종 #소성 #현종 #흥경 #문종 #대명 #순종 #익선 #선종 #청녕 #숙종 #중광 #예종 #미성 #인종 #이안 #흥안지곡 #대려 #대주 #응종 #문덕지무 #관창 #순안지곡 #공안지곡 #선농 #예위 #경적위 #명안지곡 #성안지곡 #변두 #고선궁 #응안지곡 #뇌세위 #선잠 #격안지곡 #용안지곡 #화안지곡 #환안지곡 #흠안지곡 #남려궁 #문선왕묘
-
문종 27년(1073) 계축년27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이 날 지진이 발생했다. 무진일. 왕이 보제사(普濟寺) 보제사 개성직할시 내에 있는 고려 태조가 창건한 10찰 중의 하나이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이 절의 정전(正殿)은 나…
-
문종 27년(1073) 계축년二十七年 春正月 乙巳朔 放朝賀. 地震. 戊辰 王如普濟寺. 二月 乙亥朔 命有司, 作亭于平理驛, 以爲行幸駐蹕之所. 戊寅 以鄭惟産攝刑部尙書, 盧寅爲殿中監, 柳洪爲兵部侍郞中樞院知奏事. 甲申 幸興王寺. 乙未 東女眞歸順州都領大常古刀化, 副都領吉舍, 益昌州…
-
김인경金仁鏡김인경(金仁鏡) 김인경(?~1235) 합문지후(閤門祗侯)를 지낸 경주 김씨(慶州金氏) 김영고(金永固)의 아들로,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고종 때까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이 집안은 김영고의 증조 김주정(金周鼎), 할아버지 김…
-
이첨李詹이첨(李詹) 이첨(1345~1405) 본관은 신평(新平)(지금의 충남 당진군 신평면)으로, 자는 중숙(中叔)(족보에는 소숙小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으로 충목왕 원년(1345)에 홍주목의 속현인 신평현(新平縣)에서 출생하였다. 조부는 도관공(都官公) 이승건(…
-
김인경金仁鏡金仁鏡, 初名良鏡, 慶州人, 平章事良愼公義珍四世孫. 父永固爲興郊道館驛使, 公淸慈惠, 不笞一人. 後爲龜州甲仗, 金甫當起兵敗, 永固逮繫寧州獄, 當死. 興郊吏民詣處置使, 涕泣請貸, 使不忍誅, 械送于京. 承宣李俊儀, 素與永固善, 營救得免. 然第宅已沒官, 妻子飢寒, 無…
-
이첨李詹李詹, 洪州人. 恭愍王幸九齋, 試經義, 賜詹等七人及第, 授詹藝文檢閱. 三轉爲正言, 上䟽曰, “史典之法尙矣. 古者諸侯無私史, 邦國之志, 藏於王室而已. 及其三史繼作, 列國皆有史官, 掌記時事. 本朝自統三以來, 褒貶可記之事常多, 史官筆不停書, 易世而後, 乃編摩. 然其…
-
登歌軒架樂迭奏節度원구(圜丘) 원구 흙을 둥글게 언덕처럼 쌓아올려서 만든 단(壇)으로 하늘을 상징하며 원구(圓丘)라고도 한다. 의 친사(親祀) 친사 국왕이 몸소 천지․종묘에 제사를 드리는 것인데, 원구친사(圜丘親祀)는 동지(冬至)에 국왕이 몸소 천단(天壇) 즉 원구단(圜丘壇)에…
-
登歌軒架樂迭奏節度圜丘親祀 王入門, 詣罍洗, 升降壇, 詣望燎位, 還大次, 軒架奏正安之曲. 王飮福, 登歌作禧安之曲. 並黃鍾宮. 迎神, 軒架奏夾鐘宮景安之曲三成, 黃鐘角․大簇徵․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