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성종 2년(983) 계미년성종 2년(983) 계미년2년 봄 정월 신미일. 왕이 원구(圓丘) 원구 원구[圜丘․園丘]․원구단(圜丘壇)․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작을 비는 기곡제(祈穀祭)와 4월 중의 기우제(祈雨祭) 형…#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
강종강종 원년(1212) 임신년강종 원년(1212) 임신년봄 정월 초하루 기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해일. 왕자 왕진(王)⿰日眞이 안악현(安岳縣)(지금의 황해남도 안악군)에서 개경으로 돌아왔다. 을묘일. 선경전(宣慶殿)에서 관정도량(灌頂道場)을 열었다. 병인일. 왕이 다음…#왕진 #안악현 #개경 #선경전 #관정도량 #서경 #내전 #연생경도량 #고주사 #중서사인 #이의 #금나라 #왕영 #왕탁 #왕오 #연등회 #봉은사 #의봉루 #문하시랑평장사 #임유 #광천절 #광정태후 #전경성 #보살계 #봉책사 #대리경 #완안유기 #직학사 #장한 #호부시랑 #이실춘 #만춘절 #명호대장군 #부사 #한림직학사 #대중대부 #수레 #의복 #금인 #포백 #활 #화살 #안장 딸린 말 #권고려국사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 #상로 #광화문 #성변소재도량 #숭경 #연덕궁주 #초제 #팔관회 #법왕사 #김원의 #참지정사 #판예부사 #최홍윤 #정당문학 #정극온 #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
-
공민왕공민왕 5년(1356) 병신년공민왕 5년(1356) 병신년봄 정월 신묘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가서 태조(太祖)의 진전(眞殿)을 참배했다. 갑오일. 태양의 좌우에 몇 자가 넘는 붉은 기운이 나타났는데 그 가운데 모두 태양같이 둥근 것이 들어 있어 사람들이 “3개의 해가 함께 나왔다.”라고 떠들었다…#봉은사 #태조 #홍탁 #영안왕대부인 #판도총랑 #선천계 #원나라 #친인보의선력봉국창혜정원 #선의문 #김영후 #접역 #내불당 #보우 #보허 #폐백 #충숙왕 #신효사 #손용 #감찰대부 #태사 #왕가노 #환조 #기황후 #기철 #쌍성 #차포온 #왕사 #원융부 #좌우사 #윤 #승 #사인 #주부 #좌우보마배 #지유 #행수 #연경궁 #보평청 #경천흥 #원송수 #왕균 #대호군 #김진 #내전 #밀직 #안우 #기울제이부카 #영안왕 #경왕 #태감 #권겸 #경양부원군 #노책 #정지상 #순군제공 #홍언박 #우정승 #윤환 #좌정승 #원호 #판삼사사 #허백 #황석기 #찬성사 #전보문 #한가귀 #삼사우․좌사 #김일봉 #김용 #인당 #첨의평리 #면성군 #구영검 #평리 #동지밀직사사 #강중경 #서북면병마사 #사윤 #신순 #유홍 #최영 #부정 #최부개 #부사 #밀직부사 #유인우 #동북면병마사 #공천보 #종부령 #김원봉 #홍거원 #이사경 #정인 #신청 #홍의 #만호 #진무 #천호 #백호 #패 #강안전 #파사부 #조도적 #금패 #윤시우 #직성사인 #태사도 #호군 #임중보 #영릉 #석기 #순군 #정승 #손수경 #강윤충 #동래현령 #한양윤 #홍중원 #조운 #절일사 #김구년 #요양성 #황하연 #진영서 #남경 #홍유 #압록강 #문하시중 #수문하시중 #유탁 #문하평장사 #중서평장사 #참지정사 #이인복 #정당문학 #정연 #수사공 #좌우복야 #판추밀원사 #최인원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배천경 #황상 #동지추밀원사 #이춘부 #추밀원부사 #김희조 #첨서추밀원사 #유숙 #추밀원학사 #병마사 #총관 #조소생 #탁도경 #화주 #등주 #정주 #장주 #예주 #고주 #문주 #의주 #선덕진 #원흥진 #영인진 #요덕진 #정변진 #함주 #우란분재 #중서성 #단사관 #사데이칸 #상의봉어 #도타이 #세조 #수 #당 #기미 #관방 #황순 #강릉도 #삭방도 #도순문사 #순천 #인승단 #보안 #청주목사 #서경』 #전라도 #제주 #화척 #재인 #서북면 #내상시 #염제신 #형부상서 #유연 #판사재시사 #김지순 #상장군 #김원명 #담비가죽옷 #금띠 #월 #이여경 #여진 #양광도 #구정 #대중대부 #사복경 #세조황제 #정동행성 #도진무사 #이문소 #유학제거사 #의학제거사 #행성 #감찰사 #전법사 #중군 #우군 #좌군 #합포 #전라 #탐라 #서경 #만호부 #호계 #금강산 #추밀원 #체복사 #선휘원 #자정원 #장작원 #대부감 #이용감 #태복시 #삼살 #충헌왕 #조휘 #탁청 #이성 #타스테무르 #충선왕 #가을적 #홀고탁 #목사 #장천년 #판관 #이양길 #이제현 #참지문하정사 #이천선 #참지중서정사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강중상 #이부판서 #이수림
-
성종성종 2년(983) 계미년성종 2년(983) 계미년二年 春正月 辛未 王祈穀于圓丘, 配以太祖. 乙亥 躬耕籍田, 祀神農, 配以后稷. 祈穀籍田之禮, 始此. 丁丑 宴群臣於天德殿, 賜物有差. 甲申 以崔承老爲門下侍郞平章事. 二月 戊子 始置十二牧, 詔曰 “天高爲大, 分象緯以著明, 地厚無彊, 列山川而播氣.…#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
강종강종 원년(1212) 임신년강종 원년(1212) 임신년元年 春正月 己酉朔 放朝賀. 辛亥 王子⿰日眞, 自安岳縣, 還京. 乙卯 設灌頂道場於宣慶殿. 丙寅 制, “登極之初, 例覃恩宥. 當於二月下旬, 擇吉頒赦, 西京及諸路州牧, 進奉方物, 一皆除之.” 設延生經道場于內殿三日. 二月 庚辰 遣告奏使中書舍人李儀如…#왕진 #안악현 #개경 #선경전 #관정도량 #서경 #내전 #연생경도량 #고주사 #중서사인 #이의 #금나라 #왕영 #왕탁 #왕오 #연등회 #봉은사 #의봉루 #문하시랑평장사 #임유 #광천절 #광정태후 #전경성 #보살계 #봉책사 #대리경 #완안유기 #직학사 #장한 #호부시랑 #이실춘 #만춘절 #명호대장군 #부사 #한림직학사 #대중대부 #수레 #의복 #금인 #포백 #활 #화살 #안장 딸린 말 #권고려국사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 #상로 #광화문 #성변소재도량 #숭경 #연덕궁주 #초제 #팔관회 #법왕사 #김원의 #참지정사 #판예부사 #최홍윤 #정당문학 #정극온 #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
-
공민왕공민왕 5년(1356) 병신년공민왕 5년(1356) 병신년五年 春正月 辛卯 王如奉恩寺, 謁太祖眞殿. 甲午 赤氣挾日, 長數尺餘, 其中皆有日輪, 人言, “三日並出.” 甲辰 益城府院君洪鐸卒. 二月 乙卯 幸榮安王大夫人第. 庚申 版圖摠郞宣天桂奉賜王衣酒, 還自元. 乙丑 燃燈, 王如奉恩寺. 辛未 元遣使, 錫王功臣…#봉은사 #태조 #홍탁 #영안왕대부인 #판도총랑 #선천계 #원나라 #친인보의선력봉국창혜정원 #선의문 #김영후 #접역 #내불당 #보우 #보허 #폐백 #충숙왕 #신효사 #손용 #감찰대부 #태사 #왕가노 #환조 #기황후 #기철 #쌍성 #차포온 #왕사 #원융부 #좌우사 #윤 #승 #사인 #주부 #좌우보마배 #지유 #행수 #연경궁 #보평청 #경천흥 #원송수 #왕균 #대호군 #김진 #내전 #밀직 #안우 #기울제이부카 #영안왕 #경왕 #태감 #권겸 #경양부원군 #노책 #정지상 #순군제공 #홍언박 #우정승 #윤환 #좌정승 #원호 #판삼사사 #허백 #황석기 #찬성사 #전보문 #한가귀 #삼사우․좌사 #김일봉 #김용 #인당 #첨의평리 #면성군 #구영검 #평리 #동지밀직사사 #강중경 #서북면병마사 #사윤 #신순 #유홍 #최영 #부정 #최부개 #부사 #밀직부사 #유인우 #동북면병마사 #공천보 #종부령 #김원봉 #홍거원 #이사경 #정인 #신청 #홍의 #만호 #진무 #천호 #백호 #패 #강안전 #파사부 #조도적 #금패 #윤시우 #직성사인 #태사도 #호군 #임중보 #영릉 #석기 #순군 #정승 #손수경 #강윤충 #동래현령 #한양윤 #홍중원 #조운 #절일사 #김구년 #요양성 #황하연 #진영서 #남경 #홍유 #압록강 #문하시중 #수문하시중 #유탁 #문하평장사 #중서평장사 #참지정사 #이인복 #정당문학 #정연 #수사공 #좌우복야 #판추밀원사 #최인원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배천경 #황상 #동지추밀원사 #이춘부 #추밀원부사 #김희조 #첨서추밀원사 #유숙 #추밀원학사 #병마사 #총관 #조소생 #탁도경 #화주 #등주 #정주 #장주 #예주 #고주 #문주 #의주 #선덕진 #원흥진 #영인진 #요덕진 #정변진 #함주 #우란분재 #중서성 #단사관 #사데이칸 #상의봉어 #도타이 #세조 #수 #당 #기미 #관방 #황순 #강릉도 #삭방도 #도순문사 #순천 #인승단 #보안 #청주목사 #서경』 #전라도 #제주 #화척 #재인 #서북면 #내상시 #염제신 #형부상서 #유연 #판사재시사 #김지순 #상장군 #김원명 #담비가죽옷 #금띠 #월 #이여경 #여진 #양광도 #구정 #대중대부 #사복경 #세조황제 #정동행성 #도진무사 #이문소 #유학제거사 #의학제거사 #행성 #감찰사 #전법사 #중군 #우군 #좌군 #합포 #전라 #탐라 #서경 #만호부 #호계 #금강산 #추밀원 #체복사 #선휘원 #자정원 #장작원 #대부감 #이용감 #태복시 #삼살 #충헌왕 #조휘 #탁청 #이성 #타스테무르 #충선왕 #가을적 #홀고탁 #목사 #장천년 #판관 #이양길 #이제현 #참지문하정사 #이천선 #참지중서정사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강중상 #이부판서 #이수림
-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 최충헌(1149~1219) 최충헌의 우봉 최씨(牛峯崔氏) 가문은 우봉(牛峯)(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지역의 토착세력 이었다가 최주행․최정현 때부터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였으며, 최원호가 정3품의 상장군을 역임하면서부터 중앙에서 성장 기반을 …#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崔忠獻, 初名鸞, 牛峯人. 父元浩上將軍, 忠獻蔭補良醞令. 明宗四年, 元帥奇卓誠擊趙位寵, 聞忠獻勇敢, 選補別抄都令, 以勞累遷攝將軍. 弟忠粹爲東部錄事, 性猜險勇悍. 二十六年, 李義旼子將軍至榮, 奪忠粹家鵓鴿, 忠粹請還, 言甚悖. 至榮怒, 令家僮縛之, 忠粹曰, “非將…#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
백관지(百官志)문산계(文散階)文散階개국초기 관계(官階)에는 문관과 무관의 구분이 없었다. 관명 중 대서발한(大舒發韓)․서발한(舒發韓)․이찬(夷粲)․소판(蘇判)․파진찬(波珍粲)․한찬(韓粲)․알찬(閼粲)․일길찬(一吉粲)․급찬(級粲)은 신라의 제도이며, 대재상(大宰相)․중부(重副)․태사훈(台司訓)․…#문산계 #대서발한 #서발한 #이찬 #소판 #파진찬 #한찬 #알찬 #일길찬 #급찬 #신라 #대재상 #중부 #태사훈 #보좌상 #주서령 #광록승 #봉조판 #봉진위 #좌진사 #태봉 #태조 #대광 #정광 #대승 #대상 #성종 #개부의동삼사 #특진 #흥록대부 #금자흥록대부 #은청광록대부 #은청흥록대부 #문종 #금자광록대부 #광록대부 #정의대부 #통의대부 #대중대부 #중대부 #중산대부 #조의대부 #조청대부 #조산대부 #조의랑 #승의랑 #봉의랑 #통직랑 #조청랑 #선덕랑 #선의랑 #조산랑 #급사랑 #징사랑 #승봉랑 #승무랑 #유림랑 #등사랑 #문림랑 #장사랑 #충렬왕 #광정 #중봉 #충선왕 #숭록대부 #정봉대부 #영렬 #정헌 #조현대부 #삼중대광 #중대광 #광정대부 #통헌대부 #정순대부 #봉순대부 #중정대부 #중현대부 #봉상대부 #봉선대부 #낭 #종사랑 #통사랑 #봉익대부 #조봉랑 #공민왕 #의동삼사 #금자숭록대부 #은청영록대부 #영록대부 #수직랑 #승사랑 #벽상삼한삼중대광 #특진보국삼중대광 #특진삼중대광 #자덕대부 #중의대부 #조열대부
-
백관지(百官志)문산계(文散階)文散階國初官階, 不分文武. 曰大舒發韓, 曰舒發韓, 曰夷粲, 曰蘇判, 曰波珍粲, 曰韓粲, 曰閼粲, 曰一吉粲, 曰級粲, 新羅之制也, 曰大宰相, 曰重副, 曰台司訓, 曰輔佐相, 曰注書令, 曰光祿丞, 曰奉朝判, 曰奉進位, 曰佐眞使, 泰封之制也. 太祖以泰封主任情改制, 民不習知…#문산계 #대서발한 #서발한 #이찬 #소판 #파진찬 #한찬 #알찬 #일길찬 #급찬 #신라 #대재상 #중부 #태사훈 #보좌상 #주서령 #광록승 #봉조판 #봉진위 #좌진사 #태봉 #태조 #대광 #정광 #대승 #대상 #성종 #개부의동삼사 #특진 #흥록대부 #금자흥록대부 #은청광록대부 #은청흥록대부 #문종 #금자광록대부 #광록대부 #정의대부 #통의대부 #대중대부 #중대부 #중산대부 #조의대부 #조청대부 #조산대부 #조의랑 #승의랑 #봉의랑 #통직랑 #조청랑 #선덕랑 #선의랑 #조산랑 #급사랑 #징사랑 #승봉랑 #승무랑 #유림랑 #등사랑 #문림랑 #장사랑 #충렬왕 #광정 #중봉 #충선왕 #숭록대부 #정봉대부 #영렬 #정헌 #조현대부 #삼중대광 #중대광 #광정대부 #통헌대부 #정순대부 #봉순대부 #중정대부 #중현대부 #봉상대부 #봉선대부 #낭 #종사랑 #통사랑 #봉익대부 #조봉랑 #공민왕 #의동삼사 #금자숭록대부 #은청영록대부 #영록대부 #수직랑 #승사랑 #벽상삼한삼중대광 #특진보국삼중대광 #특진삼중대광 #자덕대부 #중의대부 #조열대부
-
성종 2년(983) 계미년2년 봄 정월 신미일. 왕이 원구(圓丘) 원구 원구[圜丘․園丘]․원구단(圜丘壇)․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작을 비는 기곡제(祈穀祭)와 4월 중의 기우제(祈雨祭) 형…
-
강종 원년(1212) 임신년봄 정월 초하루 기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해일. 왕자 왕진(王)⿰日眞이 안악현(安岳縣)(지금의 황해남도 안악군)에서 개경으로 돌아왔다. 을묘일. 선경전(宣慶殿)에서 관정도량(灌頂道場)을 열었다. 병인일. 왕이 다음…
-
공민왕 5년(1356) 병신년봄 정월 신묘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가서 태조(太祖)의 진전(眞殿)을 참배했다. 갑오일. 태양의 좌우에 몇 자가 넘는 붉은 기운이 나타났는데 그 가운데 모두 태양같이 둥근 것이 들어 있어 사람들이 “3개의 해가 함께 나왔다.”라고 떠들었다…
-
성종 2년(983) 계미년二年 春正月 辛未 王祈穀于圓丘, 配以太祖. 乙亥 躬耕籍田, 祀神農, 配以后稷. 祈穀籍田之禮, 始此. 丁丑 宴群臣於天德殿, 賜物有差. 甲申 以崔承老爲門下侍郞平章事. 二月 戊子 始置十二牧, 詔曰 “天高爲大, 分象緯以著明, 地厚無彊, 列山川而播氣.…
-
강종 원년(1212) 임신년元年 春正月 己酉朔 放朝賀. 辛亥 王子⿰日眞, 自安岳縣, 還京. 乙卯 設灌頂道場於宣慶殿. 丙寅 制, “登極之初, 例覃恩宥. 當於二月下旬, 擇吉頒赦, 西京及諸路州牧, 進奉方物, 一皆除之.” 設延生經道場于內殿三日. 二月 庚辰 遣告奏使中書舍人李儀如…
-
공민왕 5년(1356) 병신년五年 春正月 辛卯 王如奉恩寺, 謁太祖眞殿. 甲午 赤氣挾日, 長數尺餘, 其中皆有日輪, 人言, “三日並出.” 甲辰 益城府院君洪鐸卒. 二月 乙卯 幸榮安王大夫人第. 庚申 版圖摠郞宣天桂奉賜王衣酒, 還自元. 乙丑 燃燈, 王如奉恩寺. 辛未 元遣使, 錫王功臣…
-
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 최충헌(1149~1219) 최충헌의 우봉 최씨(牛峯崔氏) 가문은 우봉(牛峯)(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지역의 토착세력 이었다가 최주행․최정현 때부터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였으며, 최원호가 정3품의 상장군을 역임하면서부터 중앙에서 성장 기반을 …
-
최충헌崔忠獻崔忠獻, 初名鸞, 牛峯人. 父元浩上將軍, 忠獻蔭補良醞令. 明宗四年, 元帥奇卓誠擊趙位寵, 聞忠獻勇敢, 選補別抄都令, 以勞累遷攝將軍. 弟忠粹爲東部錄事, 性猜險勇悍. 二十六年, 李義旼子將軍至榮, 奪忠粹家鵓鴿, 忠粹請還, 言甚悖. 至榮怒, 令家僮縛之, 忠粹曰, “非將…
-
文散階개국초기 관계(官階)에는 문관과 무관의 구분이 없었다. 관명 중 대서발한(大舒發韓)․서발한(舒發韓)․이찬(夷粲)․소판(蘇判)․파진찬(波珍粲)․한찬(韓粲)․알찬(閼粲)․일길찬(一吉粲)․급찬(級粲)은 신라의 제도이며, 대재상(大宰相)․중부(重副)․태사훈(台司訓)․…
-
文散階國初官階, 不分文武. 曰大舒發韓, 曰舒發韓, 曰夷粲, 曰蘇判, 曰波珍粲, 曰韓粲, 曰閼粲, 曰一吉粲, 曰級粲, 新羅之制也, 曰大宰相, 曰重副, 曰台司訓, 曰輔佐相, 曰注書令, 曰光祿丞, 曰奉朝判, 曰奉進位, 曰佐眞使, 泰封之制也. 太祖以泰封主任情改制, 民不習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