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성종
    성종 2년(983) 계미년
    성종 2년(983) 계미년
    2년 봄 정월 신미일. 왕이 원구(圓丘) 원구 원구[圜丘․園丘]․원구단(圜丘壇)․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작을 비는 기곡제(祈穀祭)와 4월 중의 기우제(祈雨祭) 형…
    #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강종
    강종 원년(1212) 임신년
    강종 원년(1212) 임신년
    봄 정월 초하루 기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해일. 왕자 왕진(王)⿰日眞이 안악현(安岳縣)(지금의 황해남도 안악군)에서 개경으로 돌아왔다. 을묘일. 선경전(宣慶殿)에서 관정도량(灌頂道場)을 열었다. 병인일. 왕이 다음…
    #왕진 #안악현 #개경 #선경전 #관정도량 #서경 #내전 #연생경도량 #고주사 #중서사인 #이의 #금나라 #왕영 #왕탁 #왕오 #연등회 #봉은사 #의봉루 #문하시랑평장사 #임유 #광천절 #광정태후 #전경성 #보살계 #봉책사 #대리경 #완안유기 #직학사 #장한 #호부시랑 #이실춘 #만춘절 #명호대장군 #부사 #한림직학사 #대중대부 #수레 #의복 #금인 #포백 #활 #화살 #안장 딸린 말 #권고려국사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 #상로 #광화문 #성변소재도량 #숭경 #연덕궁주 #초제 #팔관회 #법왕사 #김원의 #참지정사 #판예부사 #최홍윤 #정당문학 #정극온 #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5년(1356) 병신년
    공민왕 5년(1356) 병신년
    봄 정월 신묘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가서 태조(太祖)의 진전(眞殿)을 참배했다. 갑오일. 태양의 좌우에 몇 자가 넘는 붉은 기운이 나타났는데 그 가운데 모두 태양같이 둥근 것이 들어 있어 사람들이 “3개의 해가 함께 나왔다.”라고 떠들었다…
    #봉은사 #태조 #홍탁 #영안왕대부인 #판도총랑 #선천계 #원나라 #친인보의선력봉국창혜정원 #선의문 #김영후 #접역 #내불당 #보우 #보허 #폐백 #충숙왕 #신효사 #손용 #감찰대부 #태사 #왕가노 #환조 #기황후 #기철 #쌍성 #차포온 #왕사 #원융부 #좌우사 #윤 #승 #사인 #주부 #좌우보마배 #지유 #행수 #연경궁 #보평청 #경천흥 #원송수 #왕균 #대호군 #김진 #내전 #밀직 #안우 #기울제이부카 #영안왕 #경왕 #태감 #권겸 #경양부원군 #노책 #정지상 #순군제공 #홍언박 #우정승 #윤환 #좌정승 #원호 #판삼사사 #허백 #황석기 #찬성사 #전보문 #한가귀 #삼사우․좌사 #김일봉 #김용 #인당 #첨의평리 #면성군 #구영검 #평리 #동지밀직사사 #강중경 #서북면병마사 #사윤 #신순 #유홍 #최영 #부정 #최부개 #부사 #밀직부사 #유인우 #동북면병마사 #공천보 #종부령 #김원봉 #홍거원 #이사경 #정인 #신청 #홍의 #만호 #진무 #천호 #백호 #패 #강안전 #파사부 #조도적 #금패 #윤시우 #직성사인 #태사도 #호군 #임중보 #영릉 #석기 #순군 #정승 #손수경 #강윤충 #동래현령 #한양윤 #홍중원 #조운 #절일사 #김구년 #요양성 #황하연 #진영서 #남경 #홍유 #압록강 #문하시중 #수문하시중 #유탁 #문하평장사 #중서평장사 #참지정사 #이인복 #정당문학 #정연 #수사공 #좌우복야 #판추밀원사 #최인원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배천경 #황상 #동지추밀원사 #이춘부 #추밀원부사 #김희조 #첨서추밀원사 #유숙 #추밀원학사 #병마사 #총관 #조소생 #탁도경 #화주 #등주 #정주 #장주 #예주 #고주 #문주 #의주 #선덕진 #원흥진 #영인진 #요덕진 #정변진 #함주 #우란분재 #중서성 #단사관 #사데이칸 #상의봉어 #도타이 #세조 #수 #당 #기미 #관방 #황순 #강릉도 #삭방도 #도순문사 #순천 #인승단 #보안 #청주목사 #서경』 #전라도 #제주 #화척 #재인 #서북면 #내상시 #염제신 #형부상서 #유연 #판사재시사 #김지순 #상장군 #김원명 #담비가죽옷 #금띠 #월 #이여경 #여진 #양광도 #구정 #대중대부 #사복경 #세조황제 #정동행성 #도진무사 #이문소 #유학제거사 #의학제거사 #행성 #감찰사 #전법사 #중군 #우군 #좌군 #합포 #전라 #탐라 #서경 #만호부 #호계 #금강산 #추밀원 #체복사 #선휘원 #자정원 #장작원 #대부감 #이용감 #태복시 #삼살 #충헌왕 #조휘 #탁청 #이성 #타스테무르 #충선왕 #가을적 #홀고탁 #목사 #장천년 #판관 #이양길 #이제현 #참지문하정사 #이천선 #참지중서정사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강중상 #이부판서 #이수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2년(983) 계미년
    성종 2년(983) 계미년
    二年 春正月 辛未 王祈穀于圓丘, 配以太祖. 乙亥 躬耕籍田, 祀神農, 配以后稷. 祈穀籍田之禮, 始此. 丁丑 宴群臣於天德殿, 賜物有差. 甲申 以崔承老爲門下侍郞平章事. 二月 戊子 始置十二牧, 詔曰 “天高爲大, 分象緯以著明, 地厚無彊, 列山川而播氣.…
    #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강종
    강종 원년(1212) 임신년
    강종 원년(1212) 임신년
    元年 春正月 己酉朔 放朝賀. 辛亥 王子⿰日眞, 自安岳縣, 還京. 乙卯 設灌頂道場於宣慶殿. 丙寅 制, “登極之初, 例覃恩宥. 當於二月下旬, 擇吉頒赦, 西京及諸路州牧, 進奉方物, 一皆除之.” 設延生經道場于內殿三日. 二月 庚辰 遣告奏使中書舍人李儀如…
    #왕진 #안악현 #개경 #선경전 #관정도량 #서경 #내전 #연생경도량 #고주사 #중서사인 #이의 #금나라 #왕영 #왕탁 #왕오 #연등회 #봉은사 #의봉루 #문하시랑평장사 #임유 #광천절 #광정태후 #전경성 #보살계 #봉책사 #대리경 #완안유기 #직학사 #장한 #호부시랑 #이실춘 #만춘절 #명호대장군 #부사 #한림직학사 #대중대부 #수레 #의복 #금인 #포백 #활 #화살 #안장 딸린 말 #권고려국사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 #상로 #광화문 #성변소재도량 #숭경 #연덕궁주 #초제 #팔관회 #법왕사 #김원의 #참지정사 #판예부사 #최홍윤 #정당문학 #정극온 #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5년(1356) 병신년
    공민왕 5년(1356) 병신년
    五年 春正月 辛卯 王如奉恩寺, 謁太祖眞殿. 甲午 赤氣挾日, 長數尺餘, 其中皆有日輪, 人言, “三日並出.” 甲辰 益城府院君洪鐸卒. 二月 乙卯 幸榮安王大夫人第. 庚申 版圖摠郞宣天桂奉賜王衣酒, 還自元. 乙丑 燃燈, 王如奉恩寺. 辛未 元遣使, 錫王功臣…
    #봉은사 #태조 #홍탁 #영안왕대부인 #판도총랑 #선천계 #원나라 #친인보의선력봉국창혜정원 #선의문 #김영후 #접역 #내불당 #보우 #보허 #폐백 #충숙왕 #신효사 #손용 #감찰대부 #태사 #왕가노 #환조 #기황후 #기철 #쌍성 #차포온 #왕사 #원융부 #좌우사 #윤 #승 #사인 #주부 #좌우보마배 #지유 #행수 #연경궁 #보평청 #경천흥 #원송수 #왕균 #대호군 #김진 #내전 #밀직 #안우 #기울제이부카 #영안왕 #경왕 #태감 #권겸 #경양부원군 #노책 #정지상 #순군제공 #홍언박 #우정승 #윤환 #좌정승 #원호 #판삼사사 #허백 #황석기 #찬성사 #전보문 #한가귀 #삼사우․좌사 #김일봉 #김용 #인당 #첨의평리 #면성군 #구영검 #평리 #동지밀직사사 #강중경 #서북면병마사 #사윤 #신순 #유홍 #최영 #부정 #최부개 #부사 #밀직부사 #유인우 #동북면병마사 #공천보 #종부령 #김원봉 #홍거원 #이사경 #정인 #신청 #홍의 #만호 #진무 #천호 #백호 #패 #강안전 #파사부 #조도적 #금패 #윤시우 #직성사인 #태사도 #호군 #임중보 #영릉 #석기 #순군 #정승 #손수경 #강윤충 #동래현령 #한양윤 #홍중원 #조운 #절일사 #김구년 #요양성 #황하연 #진영서 #남경 #홍유 #압록강 #문하시중 #수문하시중 #유탁 #문하평장사 #중서평장사 #참지정사 #이인복 #정당문학 #정연 #수사공 #좌우복야 #판추밀원사 #최인원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배천경 #황상 #동지추밀원사 #이춘부 #추밀원부사 #김희조 #첨서추밀원사 #유숙 #추밀원학사 #병마사 #총관 #조소생 #탁도경 #화주 #등주 #정주 #장주 #예주 #고주 #문주 #의주 #선덕진 #원흥진 #영인진 #요덕진 #정변진 #함주 #우란분재 #중서성 #단사관 #사데이칸 #상의봉어 #도타이 #세조 #수 #당 #기미 #관방 #황순 #강릉도 #삭방도 #도순문사 #순천 #인승단 #보안 #청주목사 #서경』 #전라도 #제주 #화척 #재인 #서북면 #내상시 #염제신 #형부상서 #유연 #판사재시사 #김지순 #상장군 #김원명 #담비가죽옷 #금띠 #월 #이여경 #여진 #양광도 #구정 #대중대부 #사복경 #세조황제 #정동행성 #도진무사 #이문소 #유학제거사 #의학제거사 #행성 #감찰사 #전법사 #중군 #우군 #좌군 #합포 #전라 #탐라 #서경 #만호부 #호계 #금강산 #추밀원 #체복사 #선휘원 #자정원 #장작원 #대부감 #이용감 #태복시 #삼살 #충헌왕 #조휘 #탁청 #이성 #타스테무르 #충선왕 #가을적 #홀고탁 #목사 #장천년 #판관 #이양길 #이제현 #참지문하정사 #이천선 #참지중서정사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강중상 #이부판서 #이수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최충헌(崔忠獻)
    최충헌崔忠獻
    최충헌(崔忠獻) 최충헌(1149~1219) 최충헌의 우봉 최씨(牛峯崔氏) 가문은 우봉(牛峯)(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지역의 토착세력 이었다가 최주행․최정현 때부터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였으며, 최원호가 정3품의 상장군을 역임하면서부터 중앙에서 성장 기반을 …
    #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최충헌(崔忠獻)
    최충헌崔忠獻
    崔忠獻, 初名鸞, 牛峯人. 父元浩上將軍, 忠獻蔭補良醞令. 明宗四年, 元帥奇卓誠擊趙位寵, 聞忠獻勇敢, 選補別抄都令, 以勞累遷攝將軍. 弟忠粹爲東部錄事, 性猜險勇悍. 二十六年, 李義旼子將軍至榮, 奪忠粹家鵓鴿, 忠粹請還, 言甚悖. 至榮怒, 令家僮縛之, 忠粹曰, “非將…
    #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백관지(百官志)
    문산계(文散階)
    文散階
    개국초기 관계(官階)에는 문관과 무관의 구분이 없었다. 관명 중 대서발한(大舒發韓)․서발한(舒發韓)․이찬(夷粲)․소판(蘇判)․파진찬(波珍粲)․한찬(韓粲)․알찬(閼粲)․일길찬(一吉粲)․급찬(級粲)은 신라의 제도이며, 대재상(大宰相)․중부(重副)․태사훈(台司訓)․…
    #문산계 #대서발한 #서발한 #이찬 #소판 #파진찬 #한찬 #알찬 #일길찬 #급찬 #신라 #대재상 #중부 #태사훈 #보좌상 #주서령 #광록승 #봉조판 #봉진위 #좌진사 #태봉 #태조 #대광 #정광 #대승 #대상 #성종 #개부의동삼사 #특진 #흥록대부 #금자흥록대부 #은청광록대부 #은청흥록대부 #문종 #금자광록대부 #광록대부 #정의대부 #통의대부 #대중대부 #중대부 #중산대부 #조의대부 #조청대부 #조산대부 #조의랑 #승의랑 #봉의랑 #통직랑 #조청랑 #선덕랑 #선의랑 #조산랑 #급사랑 #징사랑 #승봉랑 #승무랑 #유림랑 #등사랑 #문림랑 #장사랑 #충렬왕 #광정 #중봉 #충선왕 #숭록대부 #정봉대부 #영렬 #정헌 #조현대부 #삼중대광 #중대광 #광정대부 #통헌대부 #정순대부 #봉순대부 #중정대부 #중현대부 #봉상대부 #봉선대부 #낭 #종사랑 #통사랑 #봉익대부 #조봉랑 #공민왕 #의동삼사 #금자숭록대부 #은청영록대부 #영록대부 #수직랑 #승사랑 #벽상삼한삼중대광 #특진보국삼중대광 #특진삼중대광 #자덕대부 #중의대부 #조열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백관지(百官志)
    문산계(文散階)
    文散階
    國初官階, 不分文武. 曰大舒發韓, 曰舒發韓, 曰夷粲, 曰蘇判, 曰波珍粲, 曰韓粲, 曰閼粲, 曰一吉粲, 曰級粲, 新羅之制也, 曰大宰相, 曰重副, 曰台司訓, 曰輔佐相, 曰注書令, 曰光祿丞, 曰奉朝判, 曰奉進位, 曰佐眞使, 泰封之制也. 太祖以泰封主任情改制, 民不習知…
    #문산계 #대서발한 #서발한 #이찬 #소판 #파진찬 #한찬 #알찬 #일길찬 #급찬 #신라 #대재상 #중부 #태사훈 #보좌상 #주서령 #광록승 #봉조판 #봉진위 #좌진사 #태봉 #태조 #대광 #정광 #대승 #대상 #성종 #개부의동삼사 #특진 #흥록대부 #금자흥록대부 #은청광록대부 #은청흥록대부 #문종 #금자광록대부 #광록대부 #정의대부 #통의대부 #대중대부 #중대부 #중산대부 #조의대부 #조청대부 #조산대부 #조의랑 #승의랑 #봉의랑 #통직랑 #조청랑 #선덕랑 #선의랑 #조산랑 #급사랑 #징사랑 #승봉랑 #승무랑 #유림랑 #등사랑 #문림랑 #장사랑 #충렬왕 #광정 #중봉 #충선왕 #숭록대부 #정봉대부 #영렬 #정헌 #조현대부 #삼중대광 #중대광 #광정대부 #통헌대부 #정순대부 #봉순대부 #중정대부 #중현대부 #봉상대부 #봉선대부 #낭 #종사랑 #통사랑 #봉익대부 #조봉랑 #공민왕 #의동삼사 #금자숭록대부 #은청영록대부 #영록대부 #수직랑 #승사랑 #벽상삼한삼중대광 #특진보국삼중대광 #특진삼중대광 #자덕대부 #중의대부 #조열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1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