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정종
    정종 즉위년(1034) 갑술년
    정종 즉위년(1034) 갑술년
    겨울 10월 초하루 정사일. 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모셔두는 왕실의 사당이다. 고려 성종 때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며, 오묘제(五廟制)와 칠묘제가 실시되…
    #태묘 #덕종 #숙릉 #서경 #팔관회 #신봉루 #동번 #서번 #탐라국 #법왕사 #동경 #동로 #북로 #병마사 #4도호 #8목 #왕서 #수태사 #내사령 #왕기 #수태보 #황주량 #예부상서 #참지정사 #최제안 #이부상서 #유지성 #공부상서 #이진 #호부상서 #곽신 #전중감 #김영기 #어사중승 #김충찬 #이작충 #좌․우산기상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숙종
    숙종 6년(1101) 신사년
    숙종 6년(1101) 신사년
    6년 봄 정월 정묘일. 왕의 지시로, 구경(九經)과 제자서(諸子書) 각 한 부씩을 대성(臺省)과 추밀원(樞密院)에 나누어 소장하게 했다. ○ 태자의 생일을 창녕절(昌寧節)이라 정했다. 기사일. 문덕전(文德殿)에서 천제석도량(天帝釋道場…
    #구경 #제자서 #대성 #추밀원 #창녕절 #문덕전 #천제석도량 #신중원 #동여진 #여라불 #사온 #예부상서 #최홍사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김덕진 #동북면병마사 #요나라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극소 #송나라 #소규 #육정준 #유급 #육정걸 #병부상서 #한영 #대장군 #장홍점 #중서시랑 #김선석 #주부 #이경택 #어사대 #안산현 #형부 #주부동정 #조준명 #건덕전 #소재도량 #공목관 #이복 #사신 #이재 #내파지촌 #귀덕장군 #보마 #궁한이홀촌 #도령 #마포 #광탄촌 #장군 #골부 #이위촌 #괴부 #연등회 #봉은사 #참지정사 #신수 #공헌 #검교 태사 #수사공 #왕자 #역적 #이자의 #시어사 #왕태소 #전총 #판관 #이자 #위위소경 #김의영 #홍원사 #대장당 #구조당 #낙성식 #중광전 #왕륜사 #홍호사 #비서성 #국자감 #서적포 #회경전 #장경도량 #왕옹 #태묘 #반야도량 #검교우산기상시 #야율곡 #도종 #연국공 #야율연희 #광명사 #승려 #광기 #손필 #진사 #이진광 #장형 #유배 #오온신 #일식 #공자 #고애사 #검은 도포 #오모 #사천대 #복정 #유녹춘 #종묘 #추밀원사 #오수증 #지중군병마사사 #보제사 #묘통사 #마리지천도량 #평주 #각진 #곡주 #홍기 #공부상서 #사관 #수찬관 #대부소경 #왕공윤 #합문사 #노작공 #동로 #태일 #초제 #외제석원 #한림원 #옹화전 #상화전 #한나라 #경방 #역전 #임해원 #용왕도량 #개성 #양주 #일월사 #묘법연화경 #기우제 #인왕도량 #주전도감 #여진 #모직공 #고사모 #평로진 #추자전 #부채 #임의 #백가신 #신의보구방 #선정전 #왕하 #오연총 #태평어람 #어사대부 #윤관 #추밀원지주사 #임간 #판상서형부사 #위계정 #판한림원사 #판삼사사 #추밀원좌승선 #조규 #우부승선 #정주 #장금남 #철갑 #보살계 #개경 #서경 #내부 #대부경 #김한충 #어사중승 #고영신 #국청사 #흥왕사 #원효 #의상 #대성화쟁국사 #대성원교국사 #도병마사 #동경 #대안 #압록강 #동지추밀원사 #곽상 #허경 #서여진 #고시모 #총지사 #왕후 #구정 #인왕경도량 #남경개창도감 #문하시랑평장사 #최사추 #지주사 #소부감 #문상 #춘관정 #음덕전 #추관정 #최자호 #경기 #탁라 #성주 #배융부위 #구대 #유격장군 #노원역 #해촌처 #용산처 #삼각산 #면악 #대맥 #남경 #사직 #나준 #좌우위 #섭형부상서 #최정 #금오위 #팔관회 #법왕사 #탐라 #동․북번 #고주관내 관찰사 #고덕신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주국 #이오 #상서좌복야 #태자빈객 #유신 #한림학사승지 #김경용 #상서우복야 #이부상서 #병부시랑 #좌간의대부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강증 #고공낭중 #어사잡단 #노충근 #김지화 #우보궐 #김준 #장기 #좌․우습유 #숭록경 #오전 #비단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정종
    정종 즉위년(1034) 갑술년
    정종 즉위년(1034) 갑술년
    冬十月 丁巳朔 告朔于太 太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대(大)’자이나 ‘태(太)’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廟. 庚午 葬德宗于肅陵. 遣輔臣, 賜西京八關會, 酺二日. 十一月 十一月 『고려사』 동아대본 원문과 연세대본 원문이 ‘십이월(十二月)’로…
    #태묘 #덕종 #숙릉 #서경 #팔관회 #신봉루 #동번 #서번 #탐라국 #법왕사 #동경 #동로 #북로 #병마사 #4도호 #8목 #왕서 #수태사 #내사령 #왕기 #수태보 #황주량 #예부상서 #참지정사 #최제안 #이부상서 #유지성 #공부상서 #이진 #호부상서 #곽신 #전중감 #김영기 #어사중승 #김충찬 #이작충 #좌․우산기상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숙종
    숙종 6년(1101) 신사년
    숙종 6년(1101) 신사년
    六年 春正月 丁卯 制以九經子史各一本, 分置臺省․樞密院. 以太子生辰爲昌寧節. 己巳 設天帝釋道場于文德殿. 庚午 幸神衆院. 癸酉 東女眞余羅弗․沙溫等七十五人來, 獻土物. 丙子 以禮部尙書崔弘嗣爲西北面兵馬使, 尙書左丞金德珍爲東北面兵馬使. 遼東京持禮使禮賓副使高克少來. 庚辰…
    #구경 #제자서 #대성 #추밀원 #창녕절 #문덕전 #천제석도량 #신중원 #동여진 #여라불 #사온 #예부상서 #최홍사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김덕진 #동북면병마사 #요나라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극소 #송나라 #소규 #육정준 #유급 #육정걸 #병부상서 #한영 #대장군 #장홍점 #중서시랑 #김선석 #주부 #이경택 #어사대 #안산현 #형부 #주부동정 #조준명 #건덕전 #소재도량 #공목관 #이복 #사신 #이재 #내파지촌 #귀덕장군 #보마 #궁한이홀촌 #도령 #마포 #광탄촌 #장군 #골부 #이위촌 #괴부 #연등회 #봉은사 #참지정사 #신수 #공헌 #검교 태사 #수사공 #왕자 #역적 #이자의 #시어사 #왕태소 #전총 #판관 #이자 #위위소경 #김의영 #홍원사 #대장당 #구조당 #낙성식 #중광전 #왕륜사 #홍호사 #비서성 #국자감 #서적포 #회경전 #장경도량 #왕옹 #태묘 #반야도량 #검교우산기상시 #야율곡 #도종 #연국공 #야율연희 #광명사 #승려 #광기 #손필 #진사 #이진광 #장형 #유배 #오온신 #일식 #공자 #고애사 #검은 도포 #오모 #사천대 #복정 #유녹춘 #종묘 #추밀원사 #오수증 #지중군병마사사 #보제사 #묘통사 #마리지천도량 #평주 #각진 #곡주 #홍기 #공부상서 #사관 #수찬관 #대부소경 #왕공윤 #합문사 #노작공 #동로 #태일 #초제 #외제석원 #한림원 #옹화전 #상화전 #한나라 #경방 #역전 #임해원 #용왕도량 #개성 #양주 #일월사 #묘법연화경 #기우제 #인왕도량 #주전도감 #여진 #모직공 #고사모 #평로진 #추자전 #부채 #임의 #백가신 #신의보구방 #선정전 #왕하 #오연총 #태평어람 #어사대부 #윤관 #추밀원지주사 #임간 #판상서형부사 #위계정 #판한림원사 #판삼사사 #추밀원좌승선 #조규 #우부승선 #정주 #장금남 #철갑 #보살계 #개경 #서경 #내부 #대부경 #김한충 #어사중승 #고영신 #국청사 #흥왕사 #원효 #의상 #대성화쟁국사 #대성원교국사 #도병마사 #동경 #대안 #압록강 #동지추밀원사 #곽상 #허경 #서여진 #고시모 #총지사 #왕후 #구정 #인왕경도량 #남경개창도감 #문하시랑평장사 #최사추 #지주사 #소부감 #문상 #춘관정 #음덕전 #추관정 #최자호 #경기 #탁라 #성주 #배융부위 #구대 #유격장군 #노원역 #해촌처 #용산처 #삼각산 #면악 #대맥 #남경 #사직 #나준 #좌우위 #섭형부상서 #최정 #금오위 #팔관회 #법왕사 #탐라 #동․북번 #고주관내 관찰사 #고덕신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주국 #이오 #상서좌복야 #태자빈객 #유신 #한림학사승지 #김경용 #상서우복야 #이부상서 #병부시랑 #좌간의대부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강증 #고공낭중 #어사잡단 #노충근 #김지화 #우보궐 #김준 #장기 #좌․우습유 #숭록경 #오전 #비단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왕총지(?~1067) 고려 태조의 아들인 원보(元甫) 왕유(王裕)의 후손이다. 김주원(金周元)의 현손으로 대내마(大奈麻)를 지낸 김영길(金英吉)의 딸 옥경대주(玉慶大主)가 왕건의 후궁이 되어 대광(大匡) 왕술(王述), 정조(正朝) 왕춘(王春),…
    #왕총지 #과거에 급제 #기거사인 #우승선 #급사중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지주사 #예빈경 #동북로병마사 #참지정사 #김영기 #장주 #정주 #원흥진 #중추사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수사공 #상주국 #이부상서 #도병마사 #말갑옷 #어사대 #병부 #육위 #내사시랑 #문하시랑평장사 #개성감목직 #이계 #기두 #이인 #구사 #가달 #부군 #김조 #상서형부 #이자연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중서령 #경숙 #수태사 #문종의 묘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王寵之, 顯宗朝登第, 累遷起居舍人. 靖宗朝, 爲右承宣給事中, 與都兵馬副使朴成傑等奏, “東路靜邊鎭蕃賊窺覬之處, 百姓不得安居. 請俟農隙, 築設城池.” 從之. 轉知奏事禮賓卿, 十年, 與東北路兵馬使叅知政事金令器, 城長․定二州及元興鎭. 文宗初, 以中樞使, 爲西北面中軍使…
    #왕총지 #과거에 급제 #기거사인 #우승선 #급사중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지주사 #예빈경 #동북로병마사 #참지정사 #김영기 #장주 #정주 #원흥진 #중추사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수사공 #상주국 #이부상서 #도병마사 #말갑옷 #어사대 #병부 #육위 #내사시랑 #문하시랑평장사 #개성감목직 #이계 #기두 #이인 #구사 #가달 #부군 #김조 #상서형부 #이자연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중서령 #경숙 #수태사 #문종의 묘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오행지(五行志)수행(水行)
    14. 우설(雨雪)
    雨雪
    태조(太祖) 14년(931) 2월 경자일. 큰 눈이 내려 평지에 2척(尺)이나 쌓였다. 문종(文宗) 29년(1075) 3월 무신일. 눈이 내렸다. 숙종(肅宗) 6년(1101) 4월 계묘일. 동로(東路)의 주진(…
    #동로 #천둥 #입춘 #우박 #청주 #송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오행지(五行志)화행(火行)
    1. 화재(火災)
    火災
    정종(定宗) 2년(947) 10월 병신일. 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 중흥사(重興寺) 9층탑에 화재가 났다. 화재가 났다 이 사건은 정종(定宗)이 도참을 믿어 서경천도를 강행하고자 함에 따라 백성들의 노역과 원망이 심각해진 사태에 대한 천견(天譴…
    #서경 #중흥사 #경주 #황룡사 #상정전 #연등행사 #대부 #천추전 #용진진 #장작감 #자주성 #박주 #흥화진 #인수문 #영주 #잡재서 #동계 #고성현 #대부시 #동로 #승평문 #어사대 #송악 #신사 #호경 #경시서 #내사문하성 #회경전 #흡곡현 #정주 #청하관 #운흥창 #현덕진 #정변진 #성무 #군영 #금양현 #관해수 #환가수 #한성현 #죽도수 #시전 #회교역 #벼락 #번개 #신흥창 #제기도감 #약점 #동경 #장생서 #사의서 #이부 #태복시 #송 #맹주 #귀주 #좌목감 #대령궁 #북면 #상약국 #경시루 #도관 #중상서 #남면 #명릉 #곡령성 #공비고 #일관 #백주 #토산 #대화궐 #인덕궁 #화등수 #정변 #연덕궁 #인은관 #대동문 #차성 #목청전 #상승국 #신창관리 #만보전 #십원전 #선덕진 #승도 #부위 #정중부 #이준의 #이의방 #자성문 #산호정 #궁궐도감 #의연촌 #삼사 #사경원 #호부 #판적고 #추밀원 #수창궁 #평양 #사당 #내장택 #복원궁 #융기도감 #내도교 #병부 #저상전 #봉원전 #목친전 #함원전 #흥국사 #화주 #군기감 #문장고 #대창 #팔름지고 #등주 #연강 #예부 #궁전고 #강화도 #견자산 #연경궁 #법왕사 #어장고 #대상부 #수양도감 #강도 #양온동 #장봉리 #율포리 #궁노도감 #장간동 #강화경 #저시교 #국신고 #가구리 #환병동리 #염점동 #마판리 #조성도감 #저판교 #풍판교 #묵정리 #순창궁 #유성 #이현 #좌창리 #순마남리 #개성 #행성 #곽사동 #십천리 #연복사 #좌경리 #복주 #앵계리 #지장방리 #괴동리 #천화 #봉선고 #삼척현 #영전고 #의성창 #고류동 #합주 #산성 #해주 #통량고 #전농시 #내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
    동계(東界)
    동계東界
    본래 고구려의 옛 땅이다. 성종 14년(995)에 경내를 나누어 10도(道)로 편성할 때 화주(和州)․명주(溟州) 등의 군현으로 삭방도(朔方道)를 삼았다. 정종(靖宗) 2년(1036)에 동계(東界)라고 칭하였다【북계(北界)와 함께 양계(兩界)를 구성한다.】. …
    #고구려 #성종 #10도 #화주 #명주 #삭방도 #정종 #동계 #북계 #양계 #문종 #동북면 #동면 #동로 #동북로 #동북계 #함주 #동여진 #예종 #평장사 #윤관 #지추밀원사 #오연총 #여진 #9성 #공험진 #선춘령 #명종 #연해명주도 #고종 #용진현 #조휘 #정주 #탁청 #병마사 #신집평 #몽고 #쌍성총관부 #총관 #천호 #충청도 #영월 #평창 #원종 #강릉도 #충렬왕 #공민왕 #강릉삭방도 #추밀원부사 #유인우 #쌍성 #등주 #장주 #예주 #고주 #문주 #선덕진 #원흥진 #영인진 #요덕진 #정변진 #도련포 #선덕 #원흥 #원나라 #수춘군 #이수산 #도순문사 #삭방강릉도 #철령 #공험 #삼척 #도호부 #방어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식화지(食貨志)전제(田制)
    7. 조세(租稅)
    租稅
    태조 원년(918) 7월. 왕이 해당관청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태봉(泰封)의 임금 태봉의 임금 태봉을 세운 궁예를 말한다. 신라의 왕족으로 알려진 궁예는 세달사(世達寺)의 승려로 출가하여 그 법명이 선종(善宗)이었다. 뒤에 기훤과 양길…
    #태봉 #역 #역호 #진전 #사전 #전주 #공전 #수전 #한전 #문무양반전 #궁원전 #삼사 #황금 #백은 #백동 #적동 #철 #소금 #면사 #유밀 #문하성 #북로 #영주 #동로 #고주 #화주 #관 #공수전 #대로 #중로 #소로 #경창 #전세 #전호 #전부 #좌창 #우창 #재추 #채방사 #세법 #양전 #전원 #전농사 #사사 #공신전 #전조 #용문창 #대장도감 #선원사 #대위왕 #공부 #순방사 #서북면 #밀직제학 #백문보 #차자 #한 #경상도 #족정 #반정 #향리 #궁사 #존무사 #안렴사 #유지 #삼세 #도평의사사 #헌사 #사사전 #궁사전 #과렴 #좌사의대부 #권근 #찰방사 #판도사 #태조 이성계 #동북 1도 #화령 #지록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