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15년(1328) 무진년충숙왕 15년(1328) 무진년봄 2월 정사일. 세자(世子) 왕정(王禎)(충혜왕)을 원나라에 보내 황제를 숙위(宿衛)하게 하는 한편 좌상시(左常侍) 윤신걸(尹莘傑)을 보내 동녀(童女)를 바치게 했다. 여름 4월 갑오일. 윤석(尹碩)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왕정 #원나라 #좌상시 #윤신걸 #해평부원군 #정방길 #첨의정승 #강융 #임중연 #전영보 #찬성사 #손기 #최준 #평리 #토리테무르 #이자성 #화평군 #김심 #다마시리 #인종황제 #내수 #서해도 #목촌 #고원사 #백주 #이규 #평장정사 #매려 #사인 #이트미시부카 #흥례군 #박중인 #조적 #조운경 #상호군 #고자영 #심왕 #유청신 #오잠 #중서성 #상왕 #왕도 #왕호 #영종 #바얀투그스 #김이 #세조황제 #무종황제 #홍중희 #토번 #세조 #의주 #강남 #영성 #선성 #불가노 #윤석 #순군옥 #최안도 #평양 #금은 #능라 #모시베 #윤환 #종이 #지공 #연복정 #계림부 사록 #이광순 #성황당 #태정황제 #능침 #제기 #예성강 #이노개 #밀직부사 #김취기 #군부판사 #응양군 #평주 #조식 #김온 #권하 #전굉 #순군 #김지겸 #영해부사 #판사 #김천일 #전리 #만호 #홍수 #회왕 #상도 #문종 #좌산기상시 #윤신계 #홍바얀부카 #이능간 #김승용
-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15년(1328) 무진년충숙왕 15년(1328) 무진년十五年 春二月 丁巳 遣世子禎如元, 宿衛, 又遣左常侍尹莘傑, 獻童女. 夏四月 甲午 以尹碩爲海平府院君, 鄭方吉僉議政丞, 姜融․林仲沇․全英甫爲贊成事, 孫琦․崔濬爲評理. 乙未 元以改元致和, 遣闍里帖木兒來, 頒詔. 戊戌 郞將李自成還自元, 言, “帝封我…#왕정 #원나라 #좌상시 #윤신걸 #해평부원군 #정방길 #첨의정승 #강융 #임중연 #전영보 #찬성사 #손기 #최준 #평리 #토리테무르 #이자성 #화평군 #김심 #다마시리 #인종황제 #내수 #서해도 #목촌 #고원사 #백주 #이규 #평장정사 #매려 #사인 #이트미시부카 #흥례군 #박중인 #조적 #조운경 #상호군 #고자영 #심왕 #유청신 #오잠 #중서성 #상왕 #왕도 #왕호 #영종 #바얀투그스 #김이 #세조황제 #무종황제 #홍중희 #토번 #세조 #의주 #강남 #영성 #선성 #불가노 #윤석 #순군옥 #최안도 #평양 #금은 #능라 #모시베 #윤환 #종이 #지공 #연복정 #계림부 사록 #이광순 #성황당 #태정황제 #능침 #제기 #예성강 #이노개 #밀직부사 #김취기 #군부판사 #응양군 #평주 #조식 #김온 #권하 #전굉 #순군 #김지겸 #영해부사 #판사 #김천일 #전리 #만호 #홍수 #회왕 #상도 #문종 #좌산기상시 #윤신계 #홍바얀부카 #이능간 #김승용
-
폐행(嬖幸)최안도(崔安道)최안도崔安道최안도(崔安道) 최안도(1294~1340) 본래 해주 최씨(海州崔氏)였던 최안도의 가계는 뒤에 용주(龍州)(지금의 평안북도 룡천군 룡천)지역으로 옮겨와서 적을 두게 되었고, 최대부(崔大富) 때부터 중앙 관료를 배출하기 시작하여 최안도의 활동에 힘입어 크게 성장…#최안도 #최나해 #해주 #용주 #내료 #연경 #충숙왕 #이의풍 #조적 #정안군 #허경 #충선왕 #김지경 #신시용 #조륜 #대간 #김이 #상호군 #매려 #평양 #이인길 #신정 #이중양 #배전 #이길상 #정도치부카 #강화도 #평주 #행재소 #안렴사 #마계량 #감찰대부 #좨주 #김우류 #최경 #밀직제학 #한종유 #우대언 #이군해 #헌납 #허옹 #정언 #조렴 #정천유 #풍헌관 #차술 #의첩 #동지밀직사사 #정동행성 #좌우사원외랑 #원나라 #중상감승 #태부태감 #최유 #최원 #최숙신 #최문구 #대언 #판도판서 #공민왕 #교동 #갑산창 #밀직부사 #진력협모공신 #조일신 #바스부카 #찬성사 #유탁 #광양감무 #김보 #고우 #토벌 #용성군 #회안로 #이권
-
간신(姦臣)유청신(柳淸臣)유청신柳淸臣유청신 유청신(?∼1329) 정확한 출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흥유씨세보(高興柳氏世譜)』에 따르면 고종대 후반에 출생하여 원종 15년경에 잡과에 급제한 후 통역관에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 청신이란 이름도 당시 원나라 성종(成宗)이 내려준 것이다. 유청신은 …
-
폐행(嬖幸)최안도(崔安道)최안도崔安道崔安道, 小字那海. 其先海州人, 徙居龍州, 安道母宮婢. 以內僚, 事忠宣於燕邸, 遂通蒙漢語. 後爲忠肅僚屬, 錄其勞, 賜田及臧獲, 與李宜風, 俱爲忠肅嬖臣. 曹頔與許慶爭財, 安道與宜風, 右慶譖頔. 頔方得幸忠宣, 譖安道, 杖流海島. 未幾, 復見幸, 與宜風常在王側, 專…#최안도 #최나해 #해주 #용주 #내료 #연경 #충숙왕 #이의풍 #조적 #정안군 #허경 #충선왕 #김지경 #신시용 #조륜 #대간 #김이 #상호군 #매려 #평양 #이인길 #신정 #이중양 #배전 #이길상 #정도치부카 #강화도 #평주 #행재소 #안렴사 #마계량 #감찰대부 #좨주 #김우류 #최경 #밀직제학 #한종유 #우대언 #이군해 #헌납 #허옹 #정언 #조렴 #정천유 #풍헌관 #차술 #의첩 #동지밀직사사 #정동행성 #좌우사원외랑 #원나라 #중상감승 #태부태감 #최유 #최원 #최숙신 #최문구 #대언 #판도판서 #공민왕 #교동 #갑산창 #밀직부사 #진력협모공신 #조일신 #바스부카 #찬성사 #유탁 #광양감무 #김보 #고우 #토벌 #용성군 #회안로 #이권
-
간신(姦臣)유청신(柳淸臣)유청신柳淸臣柳淸臣, 初名庇, 長興府高伊部曲人, 其先皆爲部曲吏. 國制, 部曲吏雖有功, 不得過五品, 淸臣幼開悟, 有膽氣, 習蒙語, 屢奉使于元, 善應對, 由是, 爲忠烈寵任, 補郞將. 敎曰, “淸臣隨趙仁規, 盡力立功, 雖其家世當限五品, 且於其身, 許通三品. 又陞高伊部曲, 爲高興…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
-
충숙왕 15년(1328) 무진년봄 2월 정사일. 세자(世子) 왕정(王禎)(충혜왕)을 원나라에 보내 황제를 숙위(宿衛)하게 하는 한편 좌상시(左常侍) 윤신걸(尹莘傑)을 보내 동녀(童女)를 바치게 했다. 여름 4월 갑오일. 윤석(尹碩)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
-
충숙왕 15년(1328) 무진년十五年 春二月 丁巳 遣世子禎如元, 宿衛, 又遣左常侍尹莘傑, 獻童女. 夏四月 甲午 以尹碩爲海平府院君, 鄭方吉僉議政丞, 姜融․林仲沇․全英甫爲贊成事, 孫琦․崔濬爲評理. 乙未 元以改元致和, 遣闍里帖木兒來, 頒詔. 戊戌 郞將李自成還自元, 言, “帝封我…
-
최안도崔安道최안도(崔安道) 최안도(1294~1340) 본래 해주 최씨(海州崔氏)였던 최안도의 가계는 뒤에 용주(龍州)(지금의 평안북도 룡천군 룡천)지역으로 옮겨와서 적을 두게 되었고, 최대부(崔大富) 때부터 중앙 관료를 배출하기 시작하여 최안도의 활동에 힘입어 크게 성장…
-
유청신柳淸臣유청신 유청신(?∼1329) 정확한 출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흥유씨세보(高興柳氏世譜)』에 따르면 고종대 후반에 출생하여 원종 15년경에 잡과에 급제한 후 통역관에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 청신이란 이름도 당시 원나라 성종(成宗)이 내려준 것이다. 유청신은 …
-
최안도崔安道崔安道, 小字那海. 其先海州人, 徙居龍州, 安道母宮婢. 以內僚, 事忠宣於燕邸, 遂通蒙漢語. 後爲忠肅僚屬, 錄其勞, 賜田及臧獲, 與李宜風, 俱爲忠肅嬖臣. 曹頔與許慶爭財, 安道與宜風, 右慶譖頔. 頔方得幸忠宣, 譖安道, 杖流海島. 未幾, 復見幸, 與宜風常在王側, 專…
-
유청신柳淸臣柳淸臣, 初名庇, 長興府高伊部曲人, 其先皆爲部曲吏. 國制, 部曲吏雖有功, 不得過五品, 淸臣幼開悟, 有膽氣, 習蒙語, 屢奉使于元, 善應對, 由是, 爲忠烈寵任, 補郞將. 敎曰, “淸臣隨趙仁規, 盡力立功, 雖其家世當限五品, 且於其身, 許通三品. 又陞高伊部曲, 爲高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