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별전 #집사관 #거가 #본사 #청재 #공소 #태묘 #상사국 #행궁 #왕좌 #능실 #소차 #봉례 #배위 #행사관 #양부 #산 #선 #화개 #도종 #난가 #태상박사 #태상경 #찬자 #승전 #재신 #추밀 #시신 #재숙 #능령 #축판 #서압 #시중 #화포 #의장 #시위 #재랑 #태축 #신좌 #준소 #작 #재방 #통사사인 #침궁 #선사 #5묘 #유신 #소목 #체협 #협례 #은 #당 #진서 #신주 #혜종 #정종 #광종 #경종 #부묘 #친체 #대종 #시제 #덕종 #태조 #성종 #목종 #현종 #창릉 #세조 #건릉 #안종 #원릉 #보신 #서눌 #황주량 #소 #목 #목묘 #유징필 #진 #종아 #경황제 #공양전 #희공 #민공 #노 #문세실 #무세실 #상서예부 #책봉례 #섭사 #내사문하 #예관 #곡례 #제복 #변 #비 #현의 #적석 #어사대 #삼사 #서자 #솔경령 #주부 #종묘 #악현 #시향 #동향 #순릉 #안릉 #헌릉 #당서 #선종 #목종실 #민경지 #문종 #예종 #순종 #숙종 #인종 #사시 #납향 #삭망 #한식 #신종 #묘제 #조천 #최충헌 #재추 #금관 #국학 #문유 #봉사 #한서 #주 #문왕 #무왕 #태종 #세종 #홍녹주 #경령전 #제향 #두 #내전 #정사색 #유사 #하향 #경사 #입조 #협실 #명종 #침원 #춘향 #서계 #태위 #향관 #규정 #첨의찬성사 #김사원 #사선 #전의 #내수 #박인평 #충선왕 #인왕 #강종 #묘정 #법사 #전리좌랑 #조렴 #고종 #원종 #충렬왕 #혜왕 #명왕 #현왕 #강왕 #참리 #안자유 #원찰 #백원석 #공민왕 #연 #문관 #무관 #월대 #종헌관 #우정승 #이제현 #성균 #12도 #교방 #원 #낙안군 #이천선 #사도 #전의령 #김의열 #김해부원군 #춘추좌씨전 #태왕 #왕계 #춘추공양전 #대송 #협향위차도 #철종 #휘종 #흠종 #위판 #강도 #향사 #동한 #헌종 #의종 #희종 #중서성 #예관박사 #봉향 #재사 #능직 #태상시 #축사 #도제고 #전구서 #안렴사 #복주 #향교 #제릉서 #숭인문 #미타방 #충숙왕 #충목왕 #예복 #상로 #평로 #공복 #관대 #환안제 #내시 #태조실 #헌관 #집사 #집례 #관례 #전영 #칠사 #공신 #도감관 #응고 #악공 #악장 #등가 #현릉 #선릉 #별제 #정릉 #인희전 #삭망제 #내행 #국행 #도평의사행 #중방 #태조진전 #예조 #사관 #한 #왕망 #광무제 #효원황제 #낙양 #남돈군 #용릉절후 #송 #영종 #복왕 #사마광 #정자 #삼한 #우왕 #서원군 #습작 #삼한국대공 #마한국공 #마한국비 #진한국공 #진한국비 #변한국공 #변한국비 #적경원 #적경서 #성균관 #영빈관 #장전 #정양부원군 #왕우 #제품 #도평의사사 #안신제 #사시제 #진영 #양릉사 #효신전 #태향
-
國恤고려 사람들은 국상에 관련된 의례를 따로 정해두지 않았다. 나라에 대고(大故) 대고 대상(大喪)이라고도 하며, 천자․국왕․황후․세자의 죽음이나 상을 말한다.가 생기면 그 때마다 임시로 널리 옛 전적을 참고하여 전례에 따라 일을 치렀는데, 일이 끝나고 나면 의례…#대고 #신덕전 #학사 #김악 #유조 #백관 #내의성 #유언 #혜종 #거애 #상정전 #빈소 #조전 #태상경 #시책 #섭시중 #원보 #행예빈령 #왕인택 #대뢰 #태조 #현릉 #상장 #원릉 #한 #위 #상복 #주상 #대상 #서경 #안동 #안남 #등주 #정침 #영릉 #성종 #중광전 #덕종 #현종 #선릉 #수라 #양암 #반곡 #당 #태묘 #합사 #선덕전 #순종 #문종 #경릉 #주 #진 #선종 #성릉 #혼전 #대릉 #요 #왕정 #천자 #제후 #삼년상 #사대부 #장례 #심상 #하절사 #인예태후 #반혼전 #소상제 #신주 #본전 #장평문 #어련 #서화문 #연영전 #목 #예종 #숙종 #우궁 #숭릉 #궐정 #전송 #선정전 #인종 #유릉 #우제 #보화전 #의종 #장릉 #대상제 #이의민 #계림 #희릉 #의창궁 #순릉 #미륵사 #졸곡 #예관 #상례 #중서성 #상제 #연등회 #연등대회 #국상 #금 #제전사 #태부감 #완안고 #서교정 #접반사 #대장군 #장박인 #문상례 #무도 #사신 #화연 #기복 #채붕 #연상 #금나라 #팔관회 #구정 #하례 #참지정사 #문극겸 #국기 #명종 #창락궁 #재추 #상참관 #종실 #사서인 #흰옷 #장례도감 #호부시랑 #이중원 #대관전 #좌승선 #우승경 #조서 #풍악 #정전 #지릉 #최충헌 #경순왕후 #강화도 #천령전 #희종 #정안궁 #예부 #상기 #신종 #양릉 #수창궁 #고종 #강종 #후릉 #관 #유경 #원종 #희생 #몽고 #가대 #지대 #검정 가죽띠 #홍릉 #원 #봉은사 #일산 #부월 #제왕 #문무 #강안전 #길복 #붉은 가죽 띠 #소상 #번진 #현 #중국 #과거 #혼인 #제상궁 #심왕 #원나라 #빈전 #황포 #충렬왕 #참최 #마질 #소릉 #경령전 #안평공주 #현성사 #수령궁 #고릉 #신효사 #심양왕충선왕 #제문 #시립 #대렴 #장사 #관아 #장지로 #향로 #십천교 #영진전 #침원 #섭태위 #대령군 #최유엄 #재계 #섭사도 #정승 #유청신 #전의판사 #이지저 #제관 #축판 #의장 #밀직 #섭상호군 #내시 #태위 #사도 #상석 #수레 #가마 #주악 #재랑 #배위 #고유 #집례 #정실 #초헌 #아헌 #종헌 #계국대장공주 #어사대 #상여 #영안궁 #태위왕 #연경 #삼사사 #윤신걸 #강융 #평양 #영구 #숙비궁 #충선왕 #덕릉 #악양현 #충혜왕 #충정왕 #강화 #총릉 #선명전 #휘의공주 #빈전도감 #국장도감 #조묘도감 #산소영반색 #법위의색 #상유색 #이거색 #제기색 #상복색 #반혼색 #복완색 #소조색 #관곽색 #묘실색 #포진색 #진영색 #정릉 #반혼 #홍륜 #보방 #우왕 #재신 #추신 #공민왕 #연복사 #선의문 #산릉 #보원고 #정순숙의공주 #공복 #혼여
-
兵馬使及軍官拜坐儀병마사(兵馬使)가 상장군(上將軍)이거나 판사(判事)면 남향하고 지병마사(知兵馬事)는 동쪽 벽에, 부사(副使)는 서쪽 벽에 함께 마련해 둔 걸상에 앉고 판관(判官)․녹사(錄事)․남항업사(南行業師) 및 내상(內廂) 내상 각도의 국방거점인 도순문사영(都巡問使營), …
-
冠服【王冠服․祭服․視朝之服, 王妃冠服, 王世子冠服, 百官祭服․朝服․公服, 長吏公服, 冠服通制】왕의 관복 관복 왕의 관복의 항목에서 말하는 관복은 면복(冕服) 즉 면류관과 곤복(袞服)을 가리킨다. 정종(靖宗) 9년(1043) 11월. 거란 임금이 관복을 보내 왔다. 문종(文宗) 3년(1049) 정월. 거란 임금이 관복…#거란 #관복 #규 #구류관 #구장복 #옥규 #송 #신종 #칠갑 #라 #한삼 #첨 #포두 #늑백 #백색 면릉 #투배 #허리띠 #은갑 #옥 #대모 #홍정 #무소뿔 #요 #면관 #대 #장복 #금 #9류관 #9장복 #금나라 #7장복 #원구 #사직 #태묘 #선농단 #곤복 #9류면 #훈상 #무릎가리개 #백라 #중단 #대대 #혁대 #주록대 #태조 고황제 #면류관 #청의 #폐슬 #자황포 #어복 #율력지 #당사 #강사의 #조회 #개원례 #강사포 #고사 #동짓날 #절일 #대관전 #의봉문 #사면령 #봉은사 #팔관회 #연등대회 #초례 #연등소회 #원나라 #복색 제도 #자포 #황포 #명나라 #원유관 #금박산 #잠도 #가대 #방심곡령 #효자황후 #양박빈 #적의 #곡 #상아 #홀 #요나라 #1품복 #시중 #7류면 #5장복 #2품복 #태상경 #오사 #5류면 #3장복 #3품복 #공신헌관 #통사사인 #감찰어사 #무류면 #소 #비녀 #현의 #옥패 #태위 #사도 #사공 #중서령 #현황대 #광록경 #황문시랑 #전중감 #적전 #사농경 #3류면 #태축 #태사령 #태상박사 #집례 #봉례 #당상협률 #1장복 #상의봉어 #찬인 #찬자 #어사 #평면 #당하협률 #태악령 #알자 #태관령 #양온령 #수궁령 #교사령 #장생령 #태관승 #축사 #태묘령 #궁위령 #흑개책 #비견의 #비견고 #납 #주석 #청라의 #백사 #홍라치마 #홍라폐슬 #라의 #청라 #홍라 #조라 #청견 #백견 #홍견 #조견 #생견 #은환 #유석동환 #5량관 #4량관 #3량관 #동환 #2량관 #1량관 #정월 #동지 #삼대조하 #상아홀 #조정 #초 #동반 #서반 #나무홀 #각대 #명주 #모시 #공복 #원윤 #자삼 #중단경 #단삼 #도항경 #비삼 #소주부 #녹삼 #문관 #금어 #상참 #은어 #합문 #어부 #내시 #다방 #서경유수 #상서 #부유수 #동경 #남경 #대도호 #목 #도호 #판관 #지주사 #지주부사 #공 #후 #백 #통서대 #금옥반서대 #추밀 #방단구로대 #팔좌 #좌우상시 #어사대부 #한림학사승지 #상장군 #금반서대 #급사 #중승 #반서금도은대 #상참관 #금도은서대 #지후 #금도은대 #참외관 #서대 #양부 #승제 #지제고 #한림동궁시강학사 #한림동궁시독학사 #보문각직학사 #보문각대제 #지합문사 #다방시랑 #조삼 #주 #부 #군 #현 #호장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사옥부정 #사 #병사 #창사 #단사 #동북면 #서북면 #병마사 #옥대 #병마부사 #자의 #방수중랑장 #승 #영 #최항 #창두 #복두 #복장 #재추 #흑대 #개체 #좌승지 #박항 #집사관 #감찰사 #오교양종 #승려 #치의 #사천소감 #우필흥 #옥룡기 #백두산 #지리산 #흑의 #청립 #승복 #흑건 #흑라 #대언 #판서 #상호군 #대호군 #판통례문사 #삼사좌우윤 #지통례문사 #흑립 #백옥 #정자 #총랑 #삼사부사 #비신호군 #전배호군 #후전호군 #청옥 #정랑 #좌랑 #수정 #성대 #성균 #전교 #지제교원 #현령 #감무 #갓 #반주 #흑초방립 #재상 #대성 #중방 #서리 #방립 #사헌부 #서운관 #사모 #단령 #중대광 #삽화금대 #소금대 #개성윤 #대사헌 #상시 #삽화은대 #판사 #소은대 #문하녹사 #주서 #밀직사당후 #삼사도사 #예문춘추관 #전교시 #성균관 #전모 #사대 #고정립 #도감 #지유 #행수 #참상 #참외 #대간 #안렴 #옥정자 #3도감 #5군 #녹사 #재추소 #지인 #두건 #녹관 #교위 #대정 #감투 #직령 #전대 #인가 #전함 #정순 #봉군 #봉익 #통헌 #성균생원 #학생 #권무 #고정모 #평정두건 #별감 #소친시 #악관 #녹라두건 #반방 #수방 #등촉상소 #공상인 #순군 #나장 #조의 #정리 #황의 #도평의사사 #평양부 #토관 #품대 #도아 #주사 #평정건
-
鹵簿【法駕鹵簿, 燃燈鹵簿, 八關鹵簿, 巡幸奉迎鹵簿, 宣赦鹵簿․小駕鹵簿, 王太子鹵簿, 百官儀從, 外官衙從】법가노부(法駕鹵簿) 의종(毅宗)조.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제1인(引)은 개성령(開城令)이 길 가운데 서고 청도공학(靑道共鶴) 청도공학 어가의 행렬에 앞서 길을 정리하는 공학군사를 말한다. 1명【삽각(挿角)모자에 자의(紫衣)를…#개성령 #청도공학 #금락봉의군 #냉리군 #산수군 #개성윤 #어사대부 #지휘의장사 #정랑 #지휘원 #청도전리 #홍문대기 #인장교 #협군사 #오방기 #주작중기 #채기 #백택기 #황기린중기 #백상대기 #용기 #백룡대기 #천하태평대기 #사해영청대기 #백택대기 #이의교태대기 #오방룡중기 #쌍무선인대기 #적룡대기 #공작대기 #좌청룡중기 #우백호중기 #벽봉대기 #금계기 #보주기 #화주기 #적표기 #호인기 #황룡대기 #군왕만세중기 #각단기 #백상기 #현학기 #봉기 #보주선인대기 #난대기 #백기린기 #신구함주기 #난기 #황사자기 #적사자기 #용마대기 #흑사자기 #백사자기 #청사자기 #기린기 #오색룡기 #황룡부도기 #공작기 #천록기 #신룡함주기 #벽사도기 #백학기 #악작기 #주잡기 #삼각수기 #용마기 #흑기 #현기 #일각수기 #흑대기 #궁전 #군사 #표미창 #금정 #강고 #도고 #은간창 #반검 #가서봉 #은작자 #등장자 #월부 #와마번 #은장장도 #영장교 #상원 #봉은사 #진전 #일각수대기 #추아대기 #천록대기 #봉보주선인대기 #교룡대기 #악작대기 #은간소기창 #작자 #등장 #유석 #도금장장도 #중동 #간악전 #궁전대 #인기장교 #취각 #소기은간창 #흑간작자 #소룡기 #백사자대기 #호인대기 #청룡대기 #적상대기 #채봉대기 #황사자대기 #가구선인대기 #백기린대기 #냉리 #와마번창 #의봉루 #사면령 #의장군 #봉예군 #반거군 #지유장교 #대정 #오방중기 #인구취번 #천하태평기 #이두궁전 #금쟁 #요고창 #조준대기 #은창 #도금장도 #예사 #대가 #위위시 #첨사부 #선배대 #백택중기 #삼각수중기 #백사자중기 #추아중기 #잡채기 #은골타자대 #은장장도대 #행로 #다담 #교상 #수관자 #서함 #필연안 #은작자대 #도지반 #행수 #중금반 #대산 #공학군 #청양산 #견룡반지유 #우산 #다방 #의방 #공군사 #현무대 #식목도감 #승 #사직 #녹사 #어가 #재추 #일산 #수태사 #태부 #태보 #구사 #수태위 #수사도 #사공 #공 #후 #백 #자 #남 #중서령 #문하시중 #문하중서시랑평장사 #참지정사 #지문하성사 #정당문학 #좌우상시 #직문하성사 #급사중 #좌우간의 #기거주 #기거사인 #좌우사간 #좌우정언 #상서령 #좌우복야 #지상서성사 #좌우승 #좌우사랑중 #좌우사원외랑 #판추밀원사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동지추밀원사 #추밀원부사 #밀직학사 #추밀원지주사 #승선 #육상서관 #판사 #육상서 상장군 #전중감 #근장 #대장군 #경 #감 #좨주 #지부사 #장군 #시랑 #중랑장 #낭중 #낭장 #원외랑 #판삼사사 #삼사사 #지삼사사 #삼사부사 #삼사 #판관 #판어사대사 #지어사대사 #중승 #어사잡단 #시어사 #전중시어사 #감찰어사 #판비서성사 #판전중시사 #판예빈성사 #판위위시사 #판사재시사 #판태복시사 #판태부사 #판소부사 #판장작감사 #판국자감사 #소경 #소감 #사업 #비서승 #전중승 #내급사 #국자박사 #판한림원사 #한림학사승지 #한림학사 #한림시강학사 #한림시독학사 #사관감수국사 #수국사 #수찬관 #판군기감사 #판태의감사 #판합문사 #합문인진사 #지합문사 #합문사 #합문부사 #합문통사사인 #합문지후 #첨사 #소첨사 #지상식국사 #지상의국사 #지상사국사 #지상승국사 #지상약국사 #판태사국 #지태사국사 #태사령 #판사천대사 #사천감 #사천소감 #사관정 #능 #태묘 #영 #참외 #별장 #동반 #남반 #산원 #권무관 #갑과 #동과 #태정문 #체통문 #정덕전 #강안전 #시위장군 #직한림사관 #유원교감 #권무 #양반 #치사원 #문하시랑평장사 #재신 #추밀원 #수삼공 #상서 #상장군 #판보문각학사 #직보문각학사 #보문각대제 #직보문각 #예의사 #시중 #성재 #밀직 #육부판서 #대언 #반주 #포도순작관 #사모 #양부 #통헌 #산기상시 #대 #성 #원선 #학령선 #고정모 #수령 #대도호부 #목 #사 #부사 #사록 #법조 #의사 #문사 #중도호부사 #방어진사 #현령 #진장 #부장 #위 #유수관 #윤 #참군 #대도호부사 #목관 #지주사 #감무
-
백관지(百官志)서문(序文)서문序文고려 태조는 개국 초기에 신라와 태봉(泰封) 태봉 궁예는 건국 후 국호를 후고구려(後高句麗)(901), 마진(摩震)(904), 태봉(泰封)(911~918)으로 고쳐 칭하였다.의 제도를 참조해 관청을 설치하고 관직을 나누어 모든 행정 사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
-
大都護府문종 때 관제를 정하여 사는 1명으로 3품 이상, 부사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은 1명으로 6품 이상, 사록 겸 장서기(司錄兼掌書記)는 1명으로 7품 이상, 법조(法曹)는 1명으로 8품 이상, 의사(醫師) 1명과 문사(文師) 1명은 다같이 9품으로 하였다.…
-
祿科田고종 44년(1257) 6월. 재추(宰樞) 재추 재추(宰樞)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재신(宰臣)과 중추원(中樞院)의 추신(樞臣)으로, 고려전기에 국왕과 함께 국정을 의논하던 최고위 직이었다. 중서문하성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 …#녹과전 #재추 #급전도감 #도병마사 #경기 8현 #우승선 #허공 #경기 #전지 #개경 #교위 #대정 #사전 #직전 #사급전 #도평의사사 #오위 #공부 #재상 #조업전 #사패 #어분전 #궁사전 #향리 #진척 #역자 #잡구분위전 #양반 #군인 #한인 #원종 #평양부 #토관 #일경 #지록 #창왕 #토지제도 #사헌부 #판도사 #요물고 #장 #처 #동북면 #서북면 #도순문사 #대사헌 #조준 #문왕 #무왕 #주공 #정전제 #주 #한 #당 #진 #태조 #요 #순 #삼한 #부병 #사대부 #부위 #군 #역 #금 #공음 #투화 #입진 #가급 #보급 #등과 #별사 #군전 #역분 #42도부 #하 #은 #전법사 #수령 #안렴사 #전호 #어분 #종실 #공신 #외역 #원 #관 #병마사 #부사 #판관 #별좌 #녹과전시 #시중 #서인 #구분전 #산직 #첨설직 #투화전 #외역전 #유수 #부 #현 #소 #부곡 #위전 #성황 #향교 #지장 #묵척 #수급 #도척 #백정대전 #사사전 #시지 #도선밀기 #신라 #백제 #고구려 #역전 #마위구분전 #외록전 #목 #도호 #감무 #공해전 #공전 #대전 #백정 #양전 #헌부 #대성 #정조 #간관 #이행 #안렴 #창부 #구분 #호정 #별정 #변정도감 #양부 #이윤 #방숙 #소호 #장군 #판도판서 #황순상 #창고전 #사세 #사족 #전법판서 #조인옥 #적전 #장전 #처전 #전시 #향 #부전 #종묘 #사직 #전라도 #경상도 #양광도 #부고 #우상시 #허응 #판도 #전법 #균전 #도전 #신사 #명나라 #요동 #위 #공장 #공양왕 #신돈 #규전 #채지 #문종 #주나라 #관찰사 #공상 #우창 #4고 #좌창 #6도 #시 #사객 #늠급 #아록 #방진 #토지대장 #과전 #좌도 #우도 #능침전 #군자시전 #사원전 #외관의 직전 #늠급전 #향리전 #진리전 #역리전 #잡색전 #재내대군 #문하시중 #재내부원군 #검교시중 #찬성사 #재내제군 #지문하부사 #판사사밀직 #동지밀직사사 #밀직부사 #밀직제학 #재내원윤 #좌․우상시 #판통례문사 #판사 #좌․우사의 #전의정 #6조 #총랑 #소윤 #문하사인 #부정 #정랑 #화령판관 #전의시승 #중랑장 #좌랑 #낭장 #권무직 #양계 #한량관리 #한량관 #공신전 #삼군총제부 #수신전 #천인 #상인 #점쟁이 #맹인 #무당 #창기 #승려 #수전 #한전 #풍저창 #광흥창 #전주 #전객
-
병지(兵志)성보(城堡)성보城堡태조 2년(919). 용강현(龍岡縣)(지금의 평안남도 용강군)에 1,807간(閒)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6개, 수구가 1개였다. 평양에 성을 쌓았다. 3년. 함종현(咸從縣)(지금의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에 236간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4…#용강현 #평양 #함종현 #성두 #차성 #운남현 #서경 #성주 #운주옥산 #유금필 #탕정군 #북계 #진국성 #안정진 #영청 #안수 #흥덕 #안북부 #조양진 #청주 #나성 #연주성 #통해현 #이물 #숙주 #순주 #영청현 #양암진 #용강 #평원 #대안주 #은주 #덕창진 #왕성 #철옹 #삼척 #통덕 #덕성진 #박주 #장청진 #위화진 #무주 #안삭진 #습홀 #송성 #낙릉군 #장평진 #영삭진 #태주 #운주 #화주 #고주 #박평 #가주 #안융진 #청새진 #수덕진 #문주 #평장사 #서희 #여진 #장흥 #귀화 #곽주 #귀주 #안의 #흥화 #영주 #맹주 #선주 #덕주 #영풍 #평로 #위화 #광화 #진명현 #금양현 #용진진 #중성 #흥화진 #울진 #익령현 #통주 #등주 #송악성 #황성 #청하 #흥해 #영일 #울주 #장기 #경주 #장주 #금양 #궁올산 #용주 #운림진 #의주 #철주성 #안의진 #영평진 #동래군 #요덕진 #상음현 #순덕 #동북계 #현덕진 #봉화산 #유소 #석성 #위원진 #정융진 #인주 #영덕 #삭주 #국내성 #압록강 #위원 #정주 #영해 #영삭 #청새 #영원 #정융 #요덕 #정변 #간성현 #정주진 #명주성 #서북로 #송령 #장성 #재전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김해부 #최충 #금강수 #선위수 #선덕수 #장평수 #정잠수 #진하수 #철용수 #정안수 #보자 #도융수 #진흉수 #직잠수 #항마수 #절충수 #정융수 #환가현 #수덕 #김영기 #왕총지 #원흥진 #장주성 #정북 #고령 #소흉 #소번 #염천 #정원 #정주성 #방수 #압호 #홍화 #대화 #안륙 #내항 #압로 #해문 #도안 #선덕진 #영흥진 #병부낭중 #김경 #성보 #위주성 #진자농장 #위주 #병마사 #안변도호부 #성루 #윤관 #몽라골 #성랑 #화곶산 #웅주 #오림금촌 #복주 #궁한이촌 #길주 #함주 #공험진 #진동군 #안령군 #영해군 #통태 #평융 #동계 #숭녕 #진양 #선화 #예주 #금 #연주 #철관 #강화 #외성 #강도 #전주 #승천부 #개성부 #태조 #현종 #산성 #당감 #고구려 #봉수 #목 #부 #군 #현 #동․서강 #헌사 #군정 #기장군 #해주 #옹진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
-
國恤고려 사람들은 국상에 관련된 의례를 따로 정해두지 않았다. 나라에 대고(大故) 대고 대상(大喪)이라고도 하며, 천자․국왕․황후․세자의 죽음이나 상을 말한다.가 생기면 그 때마다 임시로 널리 옛 전적을 참고하여 전례에 따라 일을 치렀는데, 일이 끝나고 나면 의례…
-
兵馬使及軍官拜坐儀병마사(兵馬使)가 상장군(上將軍)이거나 판사(判事)면 남향하고 지병마사(知兵馬事)는 동쪽 벽에, 부사(副使)는 서쪽 벽에 함께 마련해 둔 걸상에 앉고 판관(判官)․녹사(錄事)․남항업사(南行業師) 및 내상(內廂) 내상 각도의 국방거점인 도순문사영(都巡問使營), …
-
冠服【王冠服․祭服․視朝之服, 王妃冠服, 王世子冠服, 百官祭服․朝服․公服, 長吏公服, 冠服通制】왕의 관복 관복 왕의 관복의 항목에서 말하는 관복은 면복(冕服) 즉 면류관과 곤복(袞服)을 가리킨다. 정종(靖宗) 9년(1043) 11월. 거란 임금이 관복을 보내 왔다. 문종(文宗) 3년(1049) 정월. 거란 임금이 관복…
-
鹵簿【法駕鹵簿, 燃燈鹵簿, 八關鹵簿, 巡幸奉迎鹵簿, 宣赦鹵簿․小駕鹵簿, 王太子鹵簿, 百官儀從, 外官衙從】법가노부(法駕鹵簿) 의종(毅宗)조.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제1인(引)은 개성령(開城令)이 길 가운데 서고 청도공학(靑道共鶴) 청도공학 어가의 행렬에 앞서 길을 정리하는 공학군사를 말한다. 1명【삽각(挿角)모자에 자의(紫衣)를…
-
서문序文고려 태조는 개국 초기에 신라와 태봉(泰封) 태봉 궁예는 건국 후 국호를 후고구려(後高句麗)(901), 마진(摩震)(904), 태봉(泰封)(911~918)으로 고쳐 칭하였다.의 제도를 참조해 관청을 설치하고 관직을 나누어 모든 행정 사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
-
大都護府문종 때 관제를 정하여 사는 1명으로 3품 이상, 부사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은 1명으로 6품 이상, 사록 겸 장서기(司錄兼掌書記)는 1명으로 7품 이상, 법조(法曹)는 1명으로 8품 이상, 의사(醫師) 1명과 문사(文師) 1명은 다같이 9품으로 하였다.…
-
祿科田고종 44년(1257) 6월. 재추(宰樞) 재추 재추(宰樞)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재신(宰臣)과 중추원(中樞院)의 추신(樞臣)으로, 고려전기에 국왕과 함께 국정을 의논하던 최고위 직이었다. 중서문하성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 …
-
성보城堡태조 2년(919). 용강현(龍岡縣)(지금의 평안남도 용강군)에 1,807간(閒)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6개, 수구가 1개였다. 평양에 성을 쌓았다. 3년. 함종현(咸從縣)(지금의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에 236간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