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2년 봄 정월 ○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지어 삼성(三省) 삼성 문하성(門下省)․상서성(尙書省)․중서성(中書省)의 삼성을 말한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문하성과 중서성을 합쳐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中書門下省․都僉議府]라 하여, 이성이…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6년(923) 계미년
    태조 6년(923) 계미년
    6년 봄 3월 갑신일. 하지현(下枝縣) 장군(將軍) 원봉(元奉)을 원윤(元尹)으로 임명했다. 신축일. 명지성(命旨城)(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명지성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으나, 당시 문경지역에는 고사갈이성(高思曷伊城)이 …
    #하지현 #장군 #원봉 #원윤 #명지성 #성달 #이달 #단림 #양나라 #복부경 #윤질 #오백나한 #해주 #숭산사 #오월국 #문사 #박암 #벽진군 #양문 #규환 #진보성 #성주 #홍술 #왕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목종
    목종 8년(1005) 을사년
    목종 8년(1005) 을사년
    8년 봄 정월 ○ 동여진(東女眞)이 등주(登州)(지금의 강원도 안변군 안변)를 침구 침구 목종 8년(1005) 정월 동여진(東女眞)이 등주(登州) 등 고려의 동해안으로 침략한 사실을 말한다. 북번(北蕃)이라고도 지칭되던 이들은 두만강(豆滿江)하류를 중심…
    #동여진 #등주 #최충 #송나라 #온주 #문사 #주저 #투항 #예빈주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二年 春正月 定都于松嶽之陽, 創宮闕, 置三省․六尙書․官九寺. 立市廛, 辨坊里, 分五部, 置六衛. 三月 創法王․王輪等十寺于都內, 兩京塔廟, 肖像之廢缺者, 並令修葺. 辛巳 追謚三代, 以曾祖考爲始祖元德大王, 妃爲貞和王后, 祖考爲懿祖景康大王, 妃爲元…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6년(923) 계미년
    태조 6년(923) 계미년
    六年 春三月 甲申 以下枝縣將軍元奉爲元尹. 辛丑 命旨城將軍城達, 與其弟伊達․端林來附. 夏六月 癸未 福府卿尹質使梁, 還獻五百羅漢畵像, 命置于海州嵩山寺. 癸巳 吳越國文士朴巖來投. 秋八月 壬申 碧珍郡將軍良文遣其甥圭奐, 來降, 拜圭奐元尹…
    #하지현 #장군 #원봉 #원윤 #명지성 #성달 #이달 #단림 #양나라 #복부경 #윤질 #오백나한 #해주 #숭산사 #오월국 #문사 #박암 #벽진군 #양문 #규환 #진보성 #성주 #홍술 #왕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목종
    목종 8년(1005) 을사년
    목종 8년(1005) 을사년
    八年 春正月 東女眞寇登州, 燒州鎭部落三十餘所, 遣將禦之. 三月 己酉 汰外官. 夏四月 癸酉 賜崔冲等及第. 是歲, 宋溫州文士周佇來投, 授禮賓注薄.
    #동여진 #등주 #최충 #송나라 #온주 #문사 #주저 #투항 #예빈주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금의(琴儀)
    금의琴儀
    금의(琴儀) 금의(1153~1230) 삼한공신(三韓功臣) 금용식(琴容式)의 후손으로, 명종 14년(1184) 9월 조준(趙準) 등과 함께 과거에 급제한 후 고종 때까지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봉화 금씨(奉化琴氏)에서 김포 금씨(金浦琴氏)…
    #금의 #절지 #금극의 #봉화현 #김포 #삼한공신 #금용식 #청도 감무 #철태수 #명종 #내시 #최충헌 #문사 #이종규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 #장작감 #희종 #우부승선 #황보관 #방상 #은병 #최이 #지주사 #지이부사 #강종 #의봉문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고종 #정당문학 #수국사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팔관회 #어사대 #대정 #주장 #수태보 #문하시랑 #중서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벽상공신 #거문고 #바둑 #영렬 #한림곡 #금학사 #금기 #금규 #금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금의(琴儀)
    금의琴儀
    琴儀, 字節之, 初名克儀, 本奉化縣人, 後賜籍金浦. 三韓功臣容式之後. 體貌奇爽, 器度雄偉, 少力學, 善屬文, 屢擧不第. 出監淸道務, 剛直不撓, 民目爲鐵太守. 明宗十四年, 中魁科, 籍內侍. 崔忠獻當國, 求文士, 有李宗揆者薦儀, 遂諂事忠獻, 歷敭華要. 神宗朝, 拜…
    #금의 #절지 #금극의 #봉화현 #김포 #삼한공신 #금용식 #청도 감무 #철태수 #명종 #내시 #최충헌 #문사 #이종규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 #장작감 #희종 #우부승선 #황보관 #방상 #은병 #최이 #지주사 #지이부사 #강종 #의봉문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고종 #정당문학 #수국사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팔관회 #어사대 #대정 #주장 #수태보 #문하시랑 #중서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벽상공신 #거문고 #바둑 #영렬 #한림곡 #금학사 #금기 #금규 #금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소사(吉禮小祀)
    5. 여러 주현(州縣)의 문선왕묘[(諸州縣文宣王廟)]
    諸州縣文宣王廟
    석전의 의례[釋奠儀] ○ 재계(齋戒). 제향 사흘 전, 세 헌관【목사․도호부사․지주사․부사․군사가 다스리는 큰 고을은 사 이하의 관리들이 벼슬 차례대로 세 헌관을 맡는다. 방어진사․현령․진장․감무가 다스리는 작…
    #제향 #헌관 #목사 #도호부사 #지주사 #부사 #군사 #방어진사 #현령 #진장 #감무 #산재 #치재 #정침 #본사 #사형 #조교 #생도 #학관 #문선왕묘 #장사 #찬장자 #문사 #장례 #학원 #아전 #찬례 #찬창 #예원 #제기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변 #소금 #말린생선 #말린대추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사슴육포 #두 #부추절임 #담해 #사슴고기육장 #미나리절임 #토끼육장 #죽순절임 #생선젓 #돼지 #털 #작 #잔대 #준 #명수 #예제 #신좌 #국자 #폐백 #대광주리 #준소 #축판 #선사 #종향 #진설 #기장 #물항아리 #축사 #향관 #예복 #전창자 #찬례자 #초헌관 #선성 #축 #보자기 #배좌 #복주 #제육 #기장밥 #집찬자 #헌작 #초헌 #아헌관 #음복 #종헌관 #재방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가례(嘉禮)
    48. 목(牧)․도호(都護)․지주(知州)의 관원이 동석하는 의례
    牧都護知州員同坐儀
    목(牧)․도호부(都護府)의 판관 이상과 지주방어부사(知州防禦副使)․판관 이상은 함께 대청에 앉고, 목․도호부의 장서기(掌書記)․법조(法曹) 법조 고려시대 사록(司祿)․장서기(掌書記)와 함께 개성부(開城府)․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동경(東京)(지금의 경…
    #장서기 #법조 #지주방어법조 #별청 #봉명사신 #의사 #문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