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숙왕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봄 정월 경인일. 왕이 은자원(銀字院)으로 승려 만항(萬恒)을 찾아보았다. 신묘일. 원나라 황태후의 만수무강을 기도하기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이레 동안 『반야경(般若經)』 『반야경』 『금강경(金剛經)』․『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은자원 #만항 #연경궁 #반야경 #경릉 #고릉 #상왕 #우헌납 #이규 #우사보 #우칭 #좌사보 #윤기 #순군 #재추 #체협 #경령전 #강안전 #연등회 #남양부원군 #김지겸 #충근익대공신 #낙안군 #이호 #판삼사사 #오잠 #삼사사 #백이정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굉 #우상시 #강방언 #좌상시 #민적 #보문각제학 #원나라 #연복사 #조계종 #경린 #경총 #대선사 #이조은 #사보 #조홀도 #정권 #이부 #최여 #식목도감 #염세 #매 #개 #재보 #요역 #공전 #공호 #민지 #찬성사 #권보 #태조 #성균관 #양현고 #만승회 #백금 #금교역 #강릉도 #명주 #등주 #상호군 #학사 #이가노 #지밀직사사 #채홍철 #오도순방계정사 #내부령 #한중희 #부사 #민부의랑 #최득평 #판관 #양전 #제찰사 #묘련사 #베르케티무르 #왕륜사 #진왕 #흥천사 #영안궁 #내원당 #구요당 #초제 #의성창 #덕천창 #선원사 #묘통사 #선부의랑 #윤신걸 #사헌집의 #윤선좌 #전교령 #백원항 #신천 #선부직랑 #안규 #산랑 #밀직부사 #중서성 #이광봉 #예안군 #이지저 #오형 #민천도감 #이진 #권한공 #평리 #조간 #지밀직 #안우기 #성균제거사 #박사 #유연 #학유 #유적 #강남 #태자부참군 #남경 #판전교시사 #홍약 #보초 #언양군 #김문연 #김이 #동지밀직사사 #숙비궁 #세자부 #시학 #주영 #윤석 #현성사 #복령사 #가락군 #우산절 #풍산군 #왕안 #정양군 #최난수 #흥해군 #우부대언
-
충숙왕충숙왕 3년(1316) 병진년충숙왕 3년(1316) 병진년봄 2월 병자일. 공주의 영구가 원나라로부터 도착하자 백관들이 검은 관과 소복차림으로 도성 바깥에서 맞아다가 영안궁(永安宮)에 빈소를 차렸다. 경인일. 공주의 장례를 치렀다. 상왕이 황제에게 왕의 혼인을 허락해 달라고 황제에게 요청함에 따라 …
-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6년(1319) 기미년충숙왕 6년(1319) 기미년봄 정월 임술일.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김사원(金士元)이 죽었다. 경오일. 영왕(營王)의 편비(偏妃)가 왕과 공주를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열었다. 2월 초하루 정해일. 일식이 발생했다. 임진일…
-
충숙왕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春正月 庚寅 王訪僧萬恒于銀字院. 辛卯 轉般若經于延慶宮七日, 爲皇太后祈福. 癸巳 上王謁慶․高二陵. 上王下右獻納李樛, 右思補禹偁, 左思補尹頎于巡軍, 明日釋之. 時僧俗多有濫受職者諫官, 不肯署告身故也. 上王命宰樞及耆老, 議禘祫禮計定田民等事. 乙未 上王謁景靈殿, 還御康…#은자원 #만항 #연경궁 #반야경 #경릉 #고릉 #상왕 #우헌납 #이규 #우사보 #우칭 #좌사보 #윤기 #순군 #재추 #체협 #경령전 #강안전 #연등회 #남양부원군 #김지겸 #충근익대공신 #낙안군 #이호 #판삼사사 #오잠 #삼사사 #백이정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굉 #우상시 #강방언 #좌상시 #민적 #보문각제학 #원나라 #연복사 #조계종 #경린 #경총 #대선사 #이조은 #사보 #조홀도 #정권 #이부 #최여 #식목도감 #염세 #매 #개 #재보 #요역 #공전 #공호 #민지 #찬성사 #권보 #태조 #성균관 #양현고 #만승회 #백금 #금교역 #강릉도 #명주 #등주 #상호군 #학사 #이가노 #지밀직사사 #채홍철 #오도순방계정사 #내부령 #한중희 #부사 #민부의랑 #최득평 #판관 #양전 #제찰사 #묘련사 #베르케티무르 #왕륜사 #진왕 #흥천사 #영안궁 #내원당 #구요당 #초제 #의성창 #덕천창 #선원사 #묘통사 #선부의랑 #윤신걸 #사헌집의 #윤선좌 #전교령 #백원항 #신천 #선부직랑 #안규 #산랑 #밀직부사 #중서성 #이광봉 #예안군 #이지저 #오형 #민천도감 #이진 #권한공 #평리 #조간 #지밀직 #안우기 #성균제거사 #박사 #유연 #학유 #유적 #강남 #태자부참군 #남경 #판전교시사 #홍약 #보초 #언양군 #김문연 #김이 #동지밀직사사 #숙비궁 #세자부 #시학 #주영 #윤석 #현성사 #복령사 #가락군 #우산절 #풍산군 #왕안 #정양군 #최난수 #흥해군 #우부대언
-
충숙왕충숙왕 3년(1316) 병진년충숙왕 3년(1316) 병진년三年 春二月 丙子 公主之喪至自元, 百官玄冠素服迎于郊, 殯永安宮. 庚寅 葬公主. 王如元, 以上王請婚于帝, 帝許之. 三月 乙巳 禁酒. 辛亥 上王奏于帝, 傳瀋王位于世子暠, 自稱大尉王. 戊午 罷密直副使兼大司憲安于器, 檢校僉議評理, 以元尹趙延壽, 代之…
-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6년(1319) 기미년충숙왕 6년(1319) 기미년六年 春正月 壬戌 僉議贊成事金士元卒. 庚午 營王偏妃, 宴王及公主于延慶宮. 二月 丁亥朔 日食. 壬辰 王與公主, 移御于康安殿, 燃燈. 丙申 遣贊成事權漢功如元, 賀聖節. 戊戌 以李偰爲僉議贊成事, 朴侶爲評理, 元忠爲密直司使, 趙延壽․趙雲卿知密直司事,…
-
제신(諸臣)민종유(閔宗儒)민종유閔宗儒민종유(閔宗儒) 민종유(1245~1324) 본관은 황려(黃驪)이며, 아버지는 호부시랑을 지낸 민황(閔滉)이고, 어머니는 창원군부인(昌原郡夫人) 최씨로 철원 최씨 평장사 최린(崔璘)의 딸이다. 고종 43년(1256)에 왕자시양부학우(王子始陽府學友)를 시작으로 청…
-
제신(諸臣)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민적(閔頔)은 자가 낙전(樂全)으로 태어날 때부터 그 모습이 예사롭지 않았다. 외조부 유천우(兪千遇)가 그를 보고 기특히 여겨 “이 아이는 뒷날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니 이모부인 전 재상 김군(金頵) 김군(?~1299) 본관은 언양(彦陽)이다.…
-
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봄 정월 경인일. 왕이 은자원(銀字院)으로 승려 만항(萬恒)을 찾아보았다. 신묘일. 원나라 황태후의 만수무강을 기도하기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이레 동안 『반야경(般若經)』 『반야경』 『금강경(金剛經)』․『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
-
충숙왕 3년(1316) 병진년봄 2월 병자일. 공주의 영구가 원나라로부터 도착하자 백관들이 검은 관과 소복차림으로 도성 바깥에서 맞아다가 영안궁(永安宮)에 빈소를 차렸다. 경인일. 공주의 장례를 치렀다. 상왕이 황제에게 왕의 혼인을 허락해 달라고 황제에게 요청함에 따라 …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
-
충숙왕 6년(1319) 기미년봄 정월 임술일.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김사원(金士元)이 죽었다. 경오일. 영왕(營王)의 편비(偏妃)가 왕과 공주를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열었다. 2월 초하루 정해일. 일식이 발생했다. 임진일…
-
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春正月 庚寅 王訪僧萬恒于銀字院. 辛卯 轉般若經于延慶宮七日, 爲皇太后祈福. 癸巳 上王謁慶․高二陵. 上王下右獻納李樛, 右思補禹偁, 左思補尹頎于巡軍, 明日釋之. 時僧俗多有濫受職者諫官, 不肯署告身故也. 上王命宰樞及耆老, 議禘祫禮計定田民等事. 乙未 上王謁景靈殿, 還御康…
-
충숙왕 3년(1316) 병진년三年 春二月 丙子 公主之喪至自元, 百官玄冠素服迎于郊, 殯永安宮. 庚寅 葬公主. 王如元, 以上王請婚于帝, 帝許之. 三月 乙巳 禁酒. 辛亥 上王奏于帝, 傳瀋王位于世子暠, 自稱大尉王. 戊午 罷密直副使兼大司憲安于器, 檢校僉議評理, 以元尹趙延壽, 代之…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
-
충숙왕 6년(1319) 기미년六年 春正月 壬戌 僉議贊成事金士元卒. 庚午 營王偏妃, 宴王及公主于延慶宮. 二月 丁亥朔 日食. 壬辰 王與公主, 移御于康安殿, 燃燈. 丙申 遣贊成事權漢功如元, 賀聖節. 戊戌 以李偰爲僉議贊成事, 朴侶爲評理, 元忠爲密直司使, 趙延壽․趙雲卿知密直司事,…
-
민종유閔宗儒민종유(閔宗儒) 민종유(1245~1324) 본관은 황려(黃驪)이며, 아버지는 호부시랑을 지낸 민황(閔滉)이고, 어머니는 창원군부인(昌原郡夫人) 최씨로 철원 최씨 평장사 최린(崔璘)의 딸이다. 고종 43년(1256)에 왕자시양부학우(王子始陽府學友)를 시작으로 청…
-
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민적(閔頔)은 자가 낙전(樂全)으로 태어날 때부터 그 모습이 예사롭지 않았다. 외조부 유천우(兪千遇)가 그를 보고 기특히 여겨 “이 아이는 뒷날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니 이모부인 전 재상 김군(金頵) 김군(?~1299) 본관은 언양(彦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