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고종 23년(1236) 병신년고종 23년(1236) 병신년23년 봄 정월 정해일. 대장군 이영장(李齡長)을 동북면 지병마사로, 판소부감사(判少府監事) 손습경(孫襲卿) 손습경 나중에 손변(孫抃)으로 개명하였으며 자신의 열전이 있다.을 서북면 지병마사로 각각 임명했다. 2월 초하루 무…#대장군 #이영장 #동북면 지병마사 #판소부감사 #손습경 #서북면 지병마사 #소재도량 #연등회 #봉은사 #내시 #유종경 #최종경 #최우 #화주 #승선 #채송년 #복야 #송경인 #왕심 #수사공 #대집성 #장주 #방수소 #몽고 #박희 #의주강 #오물지천 #영삭진 #가주 #안북부 #운암역 #박주 #선주 #형제산 #자주 #삭주 #귀주 #곽주 #산성방호별감 #황주 #신주 #안주 #개주 #경별초 #교위 #희경 #중랑장 #명준 #활 #화살 #의복 #낭장 #광대 #정주 #내급사 #김정 #주국 #동여진 #요덕 #정변 #영흥창 #공덕천도량 #부사 #최경후 #판관 #김지저 #은주부사 #김경희 #석도 #방호별감 #온수군 #차현현 #남경 #평택 #아주 #하양창 #야별초 #지유 #이임수 #박인걸 #군리 #현려 #병기 #죽주 #송문주 #현성사 #전라도지휘사 #상장군 #전보구 #전주 #고부 #의업 #부령 #별초 #전공렬 #고란사 #병장기 #말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유석 #술 #과일 #공주 #효가동 #대흥현 #박문성 #지문하성사 #추밀원부사 #송윤 #최종재 #좌․우복야 #좌승선
-
고종고종 41년(1254) 갑인년고종 41년(1254) 갑인년41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왕이 경령전(景靈殿)을 참배했다. 정축일.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이 몽고군 진지를 찾아가 잔치를 베풀고 풍악을 울리며 군사들을 대접하자 아모간이 군대를 철수했다. …#경령전 #안경공 #왕창 #몽고 #아모간 #천병신중도량 #개경 #소경 #박여익 #낭장 #정자여 #천룡성 #양근성 #인왕도량 #초제 #이현 #처형 #조방언 #정신단 #유배 #정준 #최평 #임경필 #추밀원부사 #연등회 #봉은사 #북계병마사 #갈도 #화엄신중도량 #문하시랑 #송순 #수태위 #이순효 #현성사 #참지정사 #최공 #대장 #어사 #고평절 #최탁 #양신성 #박유 #봉공윤 #대창 #비서소감 #이수손 #사문박사 #김양영 #의주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왕륜사 #천병화엄신중도량 #단오절 #윤정형 #정전 #보살계 #공덕천도량 #약사도량 #중서사인 #김수정 #사신 #다가 #승천부 #안경부 #전첨 #민인해 #쟈릴타이 #최항 #이응렬 #주영규 #유경 #역마 #서북면병마사 #서해도 #협계 #관산역 #소재도량 #경상도 #전라도 #야별초 #광주 #장형 #제포 #괴주성 #산원 #장자방 #별초 #대장군 #이장 #보현원 #예쉬데르 #보파대 #영녕공 #왕준 #홍복원 #술그릇 #사슴가죽 #비단 #동계병마사 #동진 #박인기 #차라대 #술 #과일 #충주산성 #최온 #비서성 #한림원 #보문각 #동문원 #어서원 #자릴타이 #상주산성 #황령사 #홍지 #최린 #문하평장사 #재신 #태종대왕 #세종대왕 #숙종 #예종 #인종 #신종 #강종 #교사 #9묘 #북방 오랑캐 #종묘 #신묘 #충주성 #청주성 #월악산 #합주 #단계
-
고종고종 42년(1255) 을묘년고종 42년(1255) 을묘년42년 봄 정월 초하루 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축일. 몽고 기병 20여 기가 갑곶강(甲串江) 건너편까지 당도했다. 계묘일. 적에게 잡혀갔던 대구(大丘)(지금의 대구광역시) 사람이 도망쳐 와서, 몽고 황제가 쟈릴타이[車羅…#몽고 #갑곶강 #대구 #쟈릴타이 #압록강 #승천성 #대장군 #최영 #평장사 #최린 #표문 #개경 #보정문 #교하현 #재추 #신격전 #아두 #잉부 #제포관 #철령 #등주 #별초 #연등회 #봉은사 #도제고판관 #고정매 #황려 #이천 #천녕 #양근 #죽주 #음죽 #소복별감 #최항 #감수국사 #공산성 #현성사 #화엄신중도량 #판사천사 #안방열 #지릉 #불정심도량 #건성사 #복녕사 #묘통사 #왕륜사 #외원 #구요당 #북계병마사 #의주 #정주 #형제산 #대부성 #소재도량 #도병마사 #북계 #용강 #함종 #동계병마사 #동진 #고주 #화주 #권농사 #곽왕부 #시어사 #김수강 #낭장 #유자필 #천병신중도량 #편전 #참형 #교수형 #유배 #신주 #제릉서 #공덕천도량 #청천강 #최의 #전중내급사 #승천부 #복령사 #영녕공 #서경 #금교 #사신 #제포 #윤평 #집정 #대원령 #충주 #인왕도량 #구정 #팔관회 #법왕사 #금경도량 #김련 #신희 #중서령 #기윤숙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군경 #지문하성사 #조수 #정당문학 #조도
-
고종고종 43년(1256) 병진년고종 43년(1256) 병진년43년 봄 정월 초하루 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술일. 왕이 친히 천병신중도량(天兵神衆道場)을 열었다. 임인일. 추밀원부사 최평(崔坪)이 죽었다. 병오일.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나 하늘을 가로질렀다. …#천병신중도량 #추밀원부사 #최평 #몽고 #장군 #이광 #송군비 #수태사 #문하시랑평장사 #김창 #연등회 #봉은사 #선지사용별감 #현성사 #신집평 #쟈릴타이 #건성사 #복령사 #착량 #최항 #도방 #영광 #입암산성 #현풍현 #권농사 #김종서 #왕륜사 #영녕공 #담양 #홍복원 #해양 #재추 #묘통사 #서북면병마사 #별초군 #의주 #대부도 #별초 #인주 #소래산 #충주도순문사 #한취 #아주 #충주성 #월악산 #신사 #외원 #구요당 #나주 #승천관 #승천부 #포백 #술그릇 #신양백 #왕전 #동북면병마사 #등주성 #강화도 #이천 #수군 #남도 #내전 #온수현 #무등산 #신흥창 #유배 #송길유 #청주 #갑곶강 #대안 #통진산 #강도 #수안현 #김수강 #서지 #평장사 #최린 #애도 #개경 #병란 #동경총관 #송산 #미곡 #최자 #중서평장사 #팔관회 #법왕사 #김기손 #지문하성사 #이보 #이세재 #이장용 #태자부 #옥책 #채색 비단
-
고종고종 44년(1257) 정사년고종 44년(1257) 정사년44년 봄 정월 초하루 정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재추(宰樞)들이, 몽고가 해마다 전란을 일으키니 아무리 힘껏 섬겨도 이득이 없다고 의견을 모은 후, 봄철마다 정기적으로 보내는 공납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재추 #몽고 #공납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문하시랑평장사 #기윤숙 #왕륜사 #외제석원 #원주 #도적 #안열 #반란 #장군 #윤군정 #낭장 #권찬 #흥원창 #송비 #돈정 #당로 #중서령 #최항 #동진 #동주 #참형 #교수형 #기거주 #김수강 #진세기 #동북면병마사 #분사어사 #안희 #영풍 #병장기 #군마 #청천강 #용강 #함종 #등주 #방호별감 #태주 #부사 #최제 #척후병 #개경 #장작감 #이응 #평장사 #김태서 #남경 #보파대 #쟈릴타이 #직산 #시어사 #김식 #서북면병마사 #서경 #승천관 #제포관 #최의 #우부승선 #안북부 #상장군 #조성 #대정 #신거룡 #유배 #최자 #김보정 #영안공 #왕희 #은병 #술 #과일 #봉주 #송산 #승천부 #갑곶강 #대안 #신사 #주과 #은폐 #수달가죽 #신위도 #맹주 #호수 #별장 #이성의 #유거 #강도 #왕아낭가대 #왕도 #정옥 #이양 #교정소 #참수 #염주 #내시소경 #선인열 #붉은 가죽 띠 #창린도 #이수송 #별초 #외원 #구요당 #팔관회 #법왕사 #정준 #지문하성사 #이세재 #어사대부 #박홍무 #추밀원부사 #황보기 #좌복야 #안경공 #왕창 #최영
-
고종고종 46년(1259) 기미년고종 46년(1259) 기미년46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미일. 몽고군이 성주(成州)(지금의 평안남도 성천군)의 기암성(岐巖城)을 침공하자 야별초가 성안의 백성들을 거느리고 싸워 적을 대파했다. ○ 동진(東眞)이 금강성(金剛城)을…#몽고 #성주 #기암성 #야별초 #동진 #금강성 #별초 #정지 #서북면병마사 #김윤후 #동북면병마사 #강화 #형부시랑 #이응 #서경 #왕만호 #사거지 #연등회 #봉은사 #재추 #마리산 #교서랑 #경유 #윤춘 #송산 #현성사 #황주 #덕적도 #후릉 #예릉 #건성사 #복령사 #별장 #박천식 #쟈릴타이 #온양가대 #박희실 #조문주 #최의 #차라대 #강안전 #포백 #중방 #북계 #애도 #갈도 #경별초 #참형 #교수형 #최영 #허공 #신사 #도관 #동당감시 #유경 #왕전 #이세재 #추밀원부사 #김보정 #강화도 #산원 #민칭 #흑산도 #삼랑성 #신니동 #사당동 #민수 #은병 #쌀 #단오날 #북계병마사 #아두 #잉부 #삼미 #삼계 #초제 #원수 #예쉬데르 #송길대왕 #사절 #주자 #도고 #참지정사 #호천 #동경 #백은 #은 주전자 #은 항아리 #술 #과실 #여수달 #강도 #송길 #안경공 #도방 #배 #대장군 #김인준 #양부 #안효 #고종 #홍릉 #원나라 #충헌
-
원종원종 12년(1271) 신미년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공유 #안세정 #아카이 #장군 #인공수 #몽고 #문하시중 #이장용 #참지정사 #최영 #임연 #모의 #박천주 #진도 #벽파정 #홍다구 #복야 #홍백수 #추밀원부사 #부카 #맹기 #추밀원사 #김련 #표문 #남송 #송나라 #일본 #시중 #중서성 #둔전경략사 #둔전 #강화도 #권농사 #낭장 #이영 #사천감 #오윤부 #김희목 #사신 #일본국신사 #비서감 #조양필 #쿠룸치 #왕국창 #조서 #국신사 #금주 #홍복원 #강윤소 #반행객사 #두원외 #밀성군 #방보 #계년 #박평 #박공 #박경순 #경기 #부사 #이이 #공국병마사 #청도감무 #임종 #최양재 #청도군 #밀성 #조천 #일선현령 #청도 #손일 #안찰사 #이오 #이숙진 #금주방어사 #김훤 #경주판관 #엄수안 #평장사 #유경 #애도 #유배 #관노 #숭겸 #공덕 #다루가치 #대정 #송사균 #최문본 #조자일 #합문지후 #신좌선 #재추 #승선 #중방 #내시 #다방 #지추밀원사 #이현원 #상장군 #정자여 #톡토르 #섭별장 #은병 #나견 #착량 #대부도 #반란 #수주부사 #안열 #도병마사 #녹과전 #이분희 #김자정 #이분성 #전원 #영송고 #당리 #최승적 #삼별초 #장흥부 #방어도령 #진정 #유학 #충청도 안찰사 #홍자번 #교주도 안찰사 #노문좌 #연등회 #봉은사 #저시교 #연등 #태조 #장일 #경상도 #주열 #전라도 #곽여필 #충청도 #소재도량 #보성 #천호 #충청 #전라 #우부승선 #홍문계 #은 #박지량 #수로방호사 #힌두 #사추 #둔전군 #행경략사 #봉주 #동경 #경략사 #동계안집사 #양주 #장세 #김세 #수령 #향리 #천서 #화주 #조휘 #지양주사 #합포 #감무 #봉주경략사 #남산궁 #동래군 #단사관 #심혼 #유천우 #전중감 #쟁기 #경상도 금주 #남해 #창선 #거제 #공부 #농무별감 #황주 #관등 #방호 장군 #박보 #별초 #영광부사 #김수 #추토사 #김방경 #배중손 #영녕공 #왕희 #왕옹 #당성 #홍택 #참수 #홍균비 #장형 #역리 #방수군 #주부개 #바얀 #관민 #도령 #지유 #경군 #초제 #변량 #이수심 #토벌 #문하시랑평장사 #김전 #몽고 사신 #승화후 #김통정 #탐라 #국자감시 #초천익 #지비케 #취납관 #개경 #서경 #대경 #민방 #상서좌승 #왕심 #질자 #상서우승 #송분 #군기감 #설공검 #호부낭중 #김서 #이창경 #보살계 #이황수 #임유무 #송송례 #나주 #전민 #승상 #대장군 #국자박사 #위문개 #비칙치 #카라쿠룩 #이추 #금칠 #청등 #팔랑충 #비목 #노태목 #오매 #화리 #등석 #승천부 #금요도 #비자 열매 #동백 열매 #교동군 #해죽 #동백 #죽점 #서해도 #은파장 #삼진강 #두련가국왕 #호적 #백호 #복대 #일식 #채정 #토번 #선의문 #원수 #과시적 #관인 #찰살적 #수령관 #영사 #오산 #왕륜사 #사면령 #참형 #교수형 #제주 #고여림 #경별초 #외별초 #직전 #전정 #잡류인 #현문혁 #직학 #정문감 #금강법석 #부다루가치 #염주 #문선열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백주 #대원 #원나라 #제수대보
-
충렬왕충렬왕 17년(1291) 신묘년충렬왕 17년(1291) 신묘년봄 정월 기미일. 카다안[哈丹]의 군사가 철령(鐵嶺)을 넘어 교주도(交州道)에 난입해 양근성(楊根城)(지금의 경기도 양평군)을 공격 함락시켰다. 갑인일. 원주(原州)에 진을 친 카다안 군대를 별초(別抄)인 향공진사(鄕貢進士) 향공진사 고려시대…#카다안 #철령 #교주도 #양근성 #원주 #별초 #향공진사 #원충갑 #나이만다이 #장군 #오인영 #당나라 #태종 #대장군 #송화 #개경 #이천 #신비 #용강 #김철 #순마소 #홍문계 #첨의찬성사치사 #한희유 #판삼사사 #김흔 #판밀직사사 #최유엄 #부지밀직사사 #감찰대부 #백거 #우승지 #원주산성 방호별감 #복규 #곡주 #별장 #강평기 #충주산성별감 #남도 #하서국왕 #경중군왕 #세토겐 #토리티무르 #평장 #타추 #우승 #바이티무르 #강남 #찬성사 #홍자번 #상국 #내고 #선원사 #원수 #산예 #중익만호 #인후 #좌익만호 #우익만호 #금령역 #연기현 #정좌산 #교주산성별감 #교주 #장봉 #만호 #박지량 #정수기 #경기 #동계 #라오데이 #장전군 #강화 #고동주 #평양 #승천부 #강화도 #김련 #연기 #누리 #죽전 #충청 #나유 #낭장 #이무 #유홍신 #고세 #사신 #충청도 #서해도 #구급별감 #민훤 #입조 #환도 #정당문학 #정가신 #원나라 #절서영전사 #다이타 #사면령 #상서성 #중서성 #초법 #서원후 #안전 #서북면 도지휘사 #첨의중찬 #허공 #김위량 #동경 #심주 #이덕손 #근시 #김용검 #충청도 소복별감 #판전리사사 #세자사 #조인규 #판군부사사 #세자부 #염승익 #판판도사사 #세자보 #첨의찬성사 #세자이사 #지밀직사사 #유승 #강도 #홍중경 #정동행중서성 좌승상 #진변만호부 다루가치 #송분 #선무장군 #진변만호 #유석 #충현교위 #관군천호 #금패 #참형 #교수형 #사면 #청주부사 #김승우 #강수사 #흥의역 #강미 #특진 #상주국 #고려국왕세자 #금인 #수정배 #무소뿔 #연엽잔 #옥배 #도지휘사 #경상도 #동북면 #김지숙 #서북면 #안남 #상장군 #유비 #허평 #박의 #우부승지 #이혼 #좌부승지 #백은 #은병 #저포 #영송고 #대부 #백저포
-
고종고종 23년(1236) 병신년고종 23년(1236) 병신년二十三年 春正月 丁亥 以大將軍李齡長爲東北面知兵馬事, 判少府監事孫襲卿爲西北面知兵馬事. 二月 戊子朔 設消災道場于內殿. 庚子 燃燈, 王如奉恩寺. 命內侍柳宗卿․宗敬, 賜花酒于晋陽府, 翌日大會, 亦如之. 壬寅 曲宴于內殿, 承宣蔡松年奏, “僕射宋景仁, …#대장군 #이영장 #동북면 지병마사 #판소부감사 #손습경 #서북면 지병마사 #소재도량 #연등회 #봉은사 #내시 #유종경 #최종경 #최우 #화주 #승선 #채송년 #복야 #송경인 #왕심 #수사공 #대집성 #장주 #방수소 #몽고 #박희 #의주강 #오물지천 #영삭진 #가주 #안북부 #운암역 #박주 #선주 #형제산 #자주 #삭주 #귀주 #곽주 #산성방호별감 #황주 #신주 #안주 #개주 #경별초 #교위 #희경 #중랑장 #명준 #활 #화살 #의복 #낭장 #광대 #정주 #내급사 #김정 #주국 #동여진 #요덕 #정변 #영흥창 #공덕천도량 #부사 #최경후 #판관 #김지저 #은주부사 #김경희 #석도 #방호별감 #온수군 #차현현 #남경 #평택 #아주 #하양창 #야별초 #지유 #이임수 #박인걸 #군리 #현려 #병기 #죽주 #송문주 #현성사 #전라도지휘사 #상장군 #전보구 #전주 #고부 #의업 #부령 #별초 #전공렬 #고란사 #병장기 #말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유석 #술 #과일 #공주 #효가동 #대흥현 #박문성 #지문하성사 #추밀원부사 #송윤 #최종재 #좌․우복야 #좌승선
-
고종고종 41년(1254) 갑인년고종 41년(1254) 갑인년四十一年 春正月 乙亥朔 放朝賀. 謁景靈殿. 丁丑 安慶公淐至蒙古屯所, 設宴張樂饗士, 阿母侃還師. 戊寅 親設天兵神衆道埸. 甲申 京城解嚴. 遣少卿朴汝翼, 郞將鄭子璵等, 往探蒙兵還否, 兼安撫天龍․楊根二城. 甲午 親設仁王道場. 丁酉 親醮北斗于內殿. 庚子 李峴棄市. …#경령전 #안경공 #왕창 #몽고 #아모간 #천병신중도량 #개경 #소경 #박여익 #낭장 #정자여 #천룡성 #양근성 #인왕도량 #초제 #이현 #처형 #조방언 #정신단 #유배 #정준 #최평 #임경필 #추밀원부사 #연등회 #봉은사 #북계병마사 #갈도 #화엄신중도량 #문하시랑 #송순 #수태위 #이순효 #현성사 #참지정사 #최공 #대장 #어사 #고평절 #최탁 #양신성 #박유 #봉공윤 #대창 #비서소감 #이수손 #사문박사 #김양영 #의주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왕륜사 #천병화엄신중도량 #단오절 #윤정형 #정전 #보살계 #공덕천도량 #약사도량 #중서사인 #김수정 #사신 #다가 #승천부 #안경부 #전첨 #민인해 #쟈릴타이 #최항 #이응렬 #주영규 #유경 #역마 #서북면병마사 #서해도 #협계 #관산역 #소재도량 #경상도 #전라도 #야별초 #광주 #장형 #제포 #괴주성 #산원 #장자방 #별초 #대장군 #이장 #보현원 #예쉬데르 #보파대 #영녕공 #왕준 #홍복원 #술그릇 #사슴가죽 #비단 #동계병마사 #동진 #박인기 #차라대 #술 #과일 #충주산성 #최온 #비서성 #한림원 #보문각 #동문원 #어서원 #자릴타이 #상주산성 #황령사 #홍지 #최린 #문하평장사 #재신 #태종대왕 #세종대왕 #숙종 #예종 #인종 #신종 #강종 #교사 #9묘 #북방 오랑캐 #종묘 #신묘 #충주성 #청주성 #월악산 #합주 #단계
-
고종 23년(1236) 병신년23년 봄 정월 정해일. 대장군 이영장(李齡長)을 동북면 지병마사로, 판소부감사(判少府監事) 손습경(孫襲卿) 손습경 나중에 손변(孫抃)으로 개명하였으며 자신의 열전이 있다.을 서북면 지병마사로 각각 임명했다. 2월 초하루 무…
-
고종 41년(1254) 갑인년41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왕이 경령전(景靈殿)을 참배했다. 정축일.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이 몽고군 진지를 찾아가 잔치를 베풀고 풍악을 울리며 군사들을 대접하자 아모간이 군대를 철수했다. …
-
고종 42년(1255) 을묘년42년 봄 정월 초하루 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축일. 몽고 기병 20여 기가 갑곶강(甲串江) 건너편까지 당도했다. 계묘일. 적에게 잡혀갔던 대구(大丘)(지금의 대구광역시) 사람이 도망쳐 와서, 몽고 황제가 쟈릴타이[車羅…
-
고종 43년(1256) 병진년43년 봄 정월 초하루 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술일. 왕이 친히 천병신중도량(天兵神衆道場)을 열었다. 임인일. 추밀원부사 최평(崔坪)이 죽었다. 병오일.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나 하늘을 가로질렀다. …
-
고종 44년(1257) 정사년44년 봄 정월 초하루 정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재추(宰樞)들이, 몽고가 해마다 전란을 일으키니 아무리 힘껏 섬겨도 이득이 없다고 의견을 모은 후, 봄철마다 정기적으로 보내는 공납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
-
고종 46년(1259) 기미년46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미일. 몽고군이 성주(成州)(지금의 평안남도 성천군)의 기암성(岐巖城)을 침공하자 야별초가 성안의 백성들을 거느리고 싸워 적을 대파했다. ○ 동진(東眞)이 금강성(金剛城)을…
-
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
-
충렬왕 17년(1291) 신묘년봄 정월 기미일. 카다안[哈丹]의 군사가 철령(鐵嶺)을 넘어 교주도(交州道)에 난입해 양근성(楊根城)(지금의 경기도 양평군)을 공격 함락시켰다. 갑인일. 원주(原州)에 진을 친 카다안 군대를 별초(別抄)인 향공진사(鄕貢進士) 향공진사 고려시대…
-
고종 23년(1236) 병신년二十三年 春正月 丁亥 以大將軍李齡長爲東北面知兵馬事, 判少府監事孫襲卿爲西北面知兵馬事. 二月 戊子朔 設消災道場于內殿. 庚子 燃燈, 王如奉恩寺. 命內侍柳宗卿․宗敬, 賜花酒于晋陽府, 翌日大會, 亦如之. 壬寅 曲宴于內殿, 承宣蔡松年奏, “僕射宋景仁, …
-
고종 41년(1254) 갑인년四十一年 春正月 乙亥朔 放朝賀. 謁景靈殿. 丁丑 安慶公淐至蒙古屯所, 設宴張樂饗士, 阿母侃還師. 戊寅 親設天兵神衆道埸. 甲申 京城解嚴. 遣少卿朴汝翼, 郞將鄭子璵等, 往探蒙兵還否, 兼安撫天龍․楊根二城. 甲午 親設仁王道場. 丁酉 親醮北斗于內殿. 庚子 李峴棄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