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종의종 21년(1167) 정해년의종 21년(1167) 정해년21년 봄 정월 갑진일. 전․나주로안찰부사(全羅州路按察副使) 윤평수(尹平壽)가 은 80근을 바쳤다. 윤평수는 백성들을 착취해 왕으로부터 총애를 받으려 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추잡하다고 여겼다. 계축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전․나주로안찰부사 #윤평수 #연등회 #봉은사 #김돈중 #동반 #정랑 #서반 #은병 #가구소 #부병 #내순검 #간관 #신중원 #관북궁 #영통사 #장흥원 #각예 #우승선 #금신굴 #나한재 #현화사 #이공승 #허홍재 #중미정 #청녕재 #정자각 #귀법사 #보현원 #하청절 #만춘정 #연흥전 #대악서 #관현방 #채붕 #준화 #헌선도 #포구락 #판적요 #영덕정 #수어당 #선벽재 #옥간정 #금화교 #수덕문 #승려 #충희 #승선 #이담 #별서 #임진현 #재추 #김영윤 #서공 #최온 #남강 #사간 #임종식 #시어 #고자사 #자효사 #장단현 #응덕정 #오색 비단 장막을 두른 배 #채색비단 #내시 #노영순 #능라견 #황낙정 #안화사 #사천 #용연사 #호암 #이당주 #배연 #연복정 #남경 #가돈원 #광주 #말 #어깨에 메는 가마 한 채 #햇빛 가리개 #유수관 #소 #중방 #능견 #삼각산 #승가사 #문수사 #장의사 #파평현 #추밀원사 #어가 #개경 #참형 #교수형 #사면령 #주장 #예종 #인종 #용흥사 #흥왕사 #행생원 #예빈소경 #최현 #금나라 #야율성정 #소부감 #이위국
-
의종의종 21년(1167) 정해년의종 21년(1167) 정해년二十一年 春正月 甲辰 全羅州路按察副使尹平壽, 獻銀八十斤. 平壽割民膏血, 以要恩寵, 時議鄙之. 癸丑 燃燈, 王如奉恩寺, 夜還, 金敦中馬, 突觸騎士矢房, 矢落輦傍. 王驚愕, 以爲流矢, 疾馳還宮, 宮城戒嚴. 甲寅 命有司, 榜于市曰, “有能告賊者, 勿論有無職, 東班正…#전․나주로안찰부사 #윤평수 #연등회 #봉은사 #김돈중 #동반 #정랑 #서반 #은병 #가구소 #부병 #내순검 #간관 #신중원 #관북궁 #영통사 #장흥원 #각예 #우승선 #금신굴 #나한재 #현화사 #이공승 #허홍재 #중미정 #청녕재 #정자각 #귀법사 #보현원 #하청절 #만춘정 #연흥전 #대악서 #관현방 #채붕 #준화 #헌선도 #포구락 #판적요 #영덕정 #수어당 #선벽재 #옥간정 #금화교 #수덕문 #승려 #충희 #승선 #이담 #별서 #임진현 #재추 #김영윤 #서공 #최온 #남강 #사간 #임종식 #시어 #고자사 #자효사 #장단현 #응덕정 #오색 비단 장막을 두른 배 #채색비단 #내시 #노영순 #능라견 #황낙정 #안화사 #사천 #용연사 #호암 #이당주 #배연 #연복정 #남경 #가돈원 #광주 #말 #어깨에 메는 가마 한 채 #햇빛 가리개 #유수관 #소 #중방 #능견 #삼각산 #승가사 #문수사 #장의사 #파평현 #추밀원사 #어가 #개경 #참형 #교수형 #사면령 #주장 #예종 #인종 #용흥사 #흥왕사 #행생원 #예빈소경 #최현 #금나라 #야율성정 #소부감 #이위국
-
제신(諸臣)조준(趙浚)조준趙浚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조준 #명중 #시중 #조인규 #공민왕 #수덕궁 #보마배지유 #홍륜 #과거 #통례문부사 #강원도 #안찰사 #정선군 #명주 #사헌장령 #감문위 #대호군 #지제교 #지신사 #김도 #대언 #박진록 #김주 #우왕 #고원 #재신 #전법판서 #왜놈 #경상도 #도통사 #최영 #체복사 #도순문사 #이거인 #병마사 #유익환 #도당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양광도 #원수 #왜적 #강릉교주도 #도검찰사 #선위좌명공신 #임견미 #염흥방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허금 #조인옥 #유원정 #정지 #백군녕 #우리 태조 #지밀직사사 #대사헌 #정도전 #사전 #이색 #이림 #우현보 #변안열 #권근 #유백유 #정몽주 #태조 #간관 #오사충 #이서 #이준 #주례 #천관 #총재 #6경 #육전 #사도 #예속 #6부 #감 #시 #창 #고 #유품 #판도사 #전법사 #예의사 #예관 #전공사 #공관 #6전 #사 #판사사 #밀직 #판서 #봉익 #낭관 #6색장 #주공 #소공 #태공 #문왕 #무왕 #성왕 #강왕 #소하 #조참 #방현령 #두여회 #한고조 #당태종 #중서성 #영 #평장 #참정 #정당 #추밀 #원나라 #삼군 #양부 #후한 #광무제 #6시 #7감 #통헌 #춘추 #공자 #주나라 #문종 #공경 #사대부 #동반 #규정 #정언 #수령 #사림 #감무 #현령 #부사 #서리 #대간 #6조 #안집 #공사 #주리 #역리 #장인 #상인 #헌사 #공역서 #8도 #군부사 #사복시 #백경 #내승 #내수 #경기 #공호 #구사 #호적 #농장 #상승 #수의 #부병 #도감 #조성도감 #선공 #선공시 #방어․화통도감 #군기시 #임진강 #예성강 #도성 #도총도감 #5부 #개성부 #사장 #학교 #부형 #도관 #궁사 #창고 #노비 #변정도감 #방리 #이인임 #시호 #뇌사 #정렬공 #이자송 #당나라 #현릉 #중국 #명나라 #호복 #품제 #전교 #당후관 #상장군 #전리사 #도평의사 #녹사 #왕패 #성중애마 #외관 #정 #노 #안렴 #호부 #조정 #향리 #양전 #양호 #천호 #판도 #신라 #백제 #금성 #삼한 #압록강 #한왕조 #흉노 #수군만호부 #봉화 #합포 #의주 #조운 #수군만호 #둔전 #전라 #경상 #양광 #만호 #상만호 #부만호 #초피 #송자 #인삼 #봉밀 #황랍 #미두 #매 #새매 #화척 #재인 #창왕 #상신 #헌신 #편작 #침원서 #산재 #상서성 #치재 #정순 #당악 #향악 #창기 #절제사 #관찰사 #기인 #경저주인 #막사 #주선 #지문하부사 #추충여절좌명공신 #공양왕 #삼국 #수시중 #이성계 #진평 #주발 #한나라 #적인걸 #장간지 #당 #노국대장공주 #종묘 #의릉 #면성 #황려 #고성 #예안 #근비 #의비 #숙비 #헌비 #안비 #영비 #정비 #현비 #선비 #내탕 #인장 #내부 #추밀원 #부원군 #국대부인 #옹주 #택주 #작첩 #유배 #조선 #양한 #육조 #수 #오대 #우 #수문제 #요순 #걸 #주 #이제 #삼왕 #탕왕 #사관 #좌사 #우사 #서연 #8위 #군부 #42도부 #대 #오 #위 #상장 #근시 #충용위 #호군 #우다치 #쉬구치 #별보 #애마 #5원 #10장 #공장 #노예 #좌우위 #사문 #사순 #비순위 #신호위 #위정 #사막 #상사 #사설 #사옹 #상식 #사선 #6국 #김부식 #서도 #낙랑후 #정승 #김방경 #탐라 #상락공 #환관 #경릉 #대장군 #낭장 #별장 #판사 #주부 #향원 #교수관 #향교 #유학 #맹자 #가묘 #신사 #주자가례 #대부 #서인 #삼령절 #한식 #경기 8현 #동북면 #서북면 #5군 #한 #남북군 #부위병 #요나라 #금나라 #양계 #진제 #송나라 #한산 #장좌 #부위 #중방 #첨설 #상호군 #중랑장 #산원 #진차 #역호 #관리 #정역별감 #승 #반인 #경관 #역승 #상평창 #의창 #경수창 #장손평 #사창 #위인 #금살도감 #달단 #삭선 #객사 #전구서 #사재시 #군관 #민관 #재상 #문제 #가의 #서경 #순임금 #곤 #무경 #전법 도관 #공판도감 #삼사 #순군 #대성 #정조 #권지행사 #잡과 #향역 #성균 #전법 #전의 #첨설봉익 #명경 #전원 #평리 #판상서시사 #중흥공신 #녹권 #조선군충의군 #정숙공 #충렬왕 #신우 #조민수 #신창 #강후 #양공 #대리 #화장 #규전 #3과 #어사 #관 #역 #복시 #군리 #수군 #참관 #예부 #찬성사 #판예조사 #판상서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 #삼사좌사 #김진양 #수원옥 #판삼사사
-
반역(叛逆)이의방(李義方)이의방李義方이의방 이의방(?~1174) 전주사람이다. 그이 동생 이린(李隣)은 후일 조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신난 당시 그의 직위는 산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는 매우 다양하였다. 친형 이준의(李俊儀)를 비롯하여 명종 3년(1173)에 남로선…#이의방 #전주 #의종 #산원 #견룡행수 #정중부 #이고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이준의 #승선 #명종 #대장군 #전중감 #집주 #벽상공신 #한순 #장군 #한공 #신대예 #사직재 #차중규 #법운사 #수혜 #개국사 #현소 #여정궁 #선화사 #교위 #김대용 #내시 장군 #채원 #순검군 #중방 #위위경 #흥위위 #섭대 장군 #지병부사 #귀법사 #선유 승록 #언선 #중광사 #홍호사 #홍화사 #부병 #용흥사 #묘지사 #복흥사 #문극겸 #이린 #좌승선 #서경유수 #조위총 #원수 #윤인첨 #개경 #서경 #상서 #윤인미 #김덕신 #김석재 #최숙 #대동강 #정균 #종참 #고득원 #유윤원 #이영령 #별장 #고득시 #대정 #돈장
-
제신(諸臣)조준(趙浚)조준趙浚趙浚, 字明仲, 侍中仁規之曾孫. 自幼, 倜儻有大志. 恭愍王在壽德宮, 望見浚挾書過宮前, 召見奇之, 問其家世, 卽命屬寶馬陪指諭. 王使洪倫輩, 强辱諸妃, 浚嘆曰, “人道滅矣, 復奚言哉? 且王以威福與奪, 常與群小謀, 而不及君子, 今日之勢, 岌岌乎殆哉!” 母吳氏嘗見新及…#조준 #명중 #시중 #조인규 #공민왕 #수덕궁 #보마배지유 #홍륜 #과거 #통례문부사 #강원도 #안찰사 #정선군 #명주 #사헌장령 #감문위 #대호군 #지제교 #지신사 #김도 #대언 #박진록 #김주 #우왕 #고원 #재신 #전법판서 #왜놈 #경상도 #도통사 #최영 #체복사 #도순문사 #이거인 #병마사 #유익환 #도당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양광도 #원수 #왜적 #강릉교주도 #도검찰사 #선위좌명공신 #임견미 #염흥방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허금 #조인옥 #유원정 #정지 #백군녕 #우리 태조 #지밀직사사 #대사헌 #정도전 #사전 #이색 #이림 #우현보 #변안열 #권근 #유백유 #정몽주 #태조 #간관 #오사충 #이서 #이준 #주례 #천관 #총재 #6경 #육전 #사도 #예속 #6부 #감 #시 #창 #고 #유품 #판도사 #전법사 #예의사 #예관 #전공사 #공관 #6전 #사 #판사사 #밀직 #판서 #봉익 #낭관 #6색장 #주공 #소공 #태공 #문왕 #무왕 #성왕 #강왕 #소하 #조참 #방현령 #두여회 #한고조 #당태종 #중서성 #영 #평장 #참정 #정당 #추밀 #원나라 #삼군 #양부 #후한 #광무제 #6시 #7감 #통헌 #춘추 #공자 #주나라 #문종 #공경 #사대부 #동반 #규정 #정언 #수령 #사림 #감무 #현령 #부사 #서리 #대간 #6조 #안집 #공사 #주리 #역리 #장인 #상인 #헌사 #공역서 #8도 #군부사 #사복시 #백경 #내승 #내수 #경기 #공호 #구사 #호적 #농장 #상승 #수의 #부병 #도감 #조성도감 #선공 #선공시 #방어․화통도감 #군기시 #임진강 #예성강 #도성 #도총도감 #5부 #개성부 #사장 #학교 #부형 #도관 #궁사 #창고 #노비 #변정도감 #방리 #이인임 #시호 #뇌사 #정렬공 #이자송 #당나라 #현릉 #중국 #명나라 #호복 #품제 #전교 #당후관 #상장군 #전리사 #도평의사 #녹사 #왕패 #성중애마 #외관 #정 #노 #안렴 #호부 #조정 #향리 #양전 #양호 #천호 #판도 #신라 #백제 #금성 #삼한 #압록강 #한왕조 #흉노 #수군만호부 #봉화 #합포 #의주 #조운 #수군만호 #둔전 #전라 #경상 #양광 #만호 #상만호 #부만호 #초피 #송자 #인삼 #봉밀 #황랍 #미두 #매 #새매 #화척 #재인 #창왕 #상신 #헌신 #편작 #침원서 #산재 #상서성 #치재 #정순 #당악 #향악 #창기 #절제사 #관찰사 #기인 #경저주인 #막사 #주선 #지문하부사 #추충여절좌명공신 #공양왕 #삼국 #수시중 #이성계 #진평 #주발 #한나라 #적인걸 #장간지 #당 #노국대장공주 #종묘 #의릉 #면성 #황려 #고성 #예안 #근비 #의비 #숙비 #헌비 #안비 #영비 #정비 #현비 #선비 #내탕 #인장 #내부 #추밀원 #부원군 #국대부인 #옹주 #택주 #작첩 #유배 #조선 #양한 #육조 #수 #오대 #우 #수문제 #요순 #걸 #주 #이제 #삼왕 #탕왕 #사관 #좌사 #우사 #서연 #8위 #군부 #42도부 #대 #오 #위 #상장 #근시 #충용위 #호군 #우다치 #쉬구치 #별보 #애마 #5원 #10장 #공장 #노예 #좌우위 #사문 #사순 #비순위 #신호위 #위정 #사막 #상사 #사설 #사옹 #상식 #사선 #6국 #김부식 #서도 #낙랑후 #정승 #김방경 #탐라 #상락공 #환관 #경릉 #대장군 #낭장 #별장 #판사 #주부 #향원 #교수관 #향교 #유학 #맹자 #가묘 #신사 #주자가례 #대부 #서인 #삼령절 #한식 #경기 8현 #동북면 #서북면 #5군 #한 #남북군 #부위병 #요나라 #금나라 #양계 #진제 #송나라 #한산 #장좌 #부위 #중방 #첨설 #상호군 #중랑장 #산원 #진차 #역호 #관리 #정역별감 #승 #반인 #경관 #역승 #상평창 #의창 #경수창 #장손평 #사창 #위인 #금살도감 #달단 #삭선 #객사 #전구서 #사재시 #군관 #민관 #재상 #문제 #가의 #서경 #순임금 #곤 #무경 #전법 도관 #공판도감 #삼사 #순군 #대성 #정조 #권지행사 #잡과 #향역 #성균 #전법 #전의 #첨설봉익 #명경 #전원 #평리 #판상서시사 #중흥공신 #녹권 #조선군충의군 #정숙공 #충렬왕 #신우 #조민수 #신창 #강후 #양공 #대리 #화장 #규전 #3과 #어사 #관 #역 #복시 #군리 #수군 #참관 #예부 #찬성사 #판예조사 #판상서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 #삼사좌사 #김진양 #수원옥 #판삼사사
-
반역(叛逆)이의방(李義方)이의방李義方李義方, 全州人. 毅宗末, 以散員爲牽龍行首, 與鄭仲夫․李高等作亂, 王懼, 卽拜義方鷹揚龍虎軍中郞將, 兄俊儀爲承宣. 明宗立, 授大將軍殿中監兼執奏, 冊爲壁上功臣, 圖形閣上. 元年, 大將軍韓順, 將軍韓恭․申大譽․史直哉․車仲規等, 相與言, “李義方․李高等, 擅殺朝臣, …#이의방 #전주 #의종 #산원 #견룡행수 #정중부 #이고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이준의 #승선 #명종 #대장군 #전중감 #집주 #벽상공신 #한순 #장군 #한공 #신대예 #사직재 #차중규 #법운사 #수혜 #개국사 #현소 #여정궁 #선화사 #교위 #김대용 #내시 장군 #채원 #순검군 #중방 #위위경 #흥위위 #섭대 장군 #지병부사 #귀법사 #선유 승록 #언선 #중광사 #홍호사 #홍화사 #부병 #용흥사 #묘지사 #복흥사 #문극겸 #이린 #좌승선 #서경유수 #조위총 #원수 #윤인첨 #개경 #서경 #상서 #윤인미 #김덕신 #김석재 #최숙 #대동강 #정균 #종참 #고득원 #유윤원 #이영령 #별장 #고득시 #대정 #돈장
-
식화지(食貨志)전제(田制)전제田制고려의 토지제도는 크게 보아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모방한 『고려사』 식화지 편찬자들은 고려의 토지제도가 당나라 토지제도인 균전제(均田制)를 모방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런 생각은 ‘선왕의 균전제도를 부활시킬 것’을 주장한 우왕 14년 9월의 허응(許應) 상소…
-
祿科田고종 44년(1257) 6월. 재추(宰樞) 재추 재추(宰樞)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재신(宰臣)과 중추원(中樞院)의 추신(樞臣)으로, 고려전기에 국왕과 함께 국정을 의논하던 최고위 직이었다. 중서문하성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 …#녹과전 #재추 #급전도감 #도병마사 #경기 8현 #우승선 #허공 #경기 #전지 #개경 #교위 #대정 #사전 #직전 #사급전 #도평의사사 #오위 #공부 #재상 #조업전 #사패 #어분전 #궁사전 #향리 #진척 #역자 #잡구분위전 #양반 #군인 #한인 #원종 #평양부 #토관 #일경 #지록 #창왕 #토지제도 #사헌부 #판도사 #요물고 #장 #처 #동북면 #서북면 #도순문사 #대사헌 #조준 #문왕 #무왕 #주공 #정전제 #주 #한 #당 #진 #태조 #요 #순 #삼한 #부병 #사대부 #부위 #군 #역 #금 #공음 #투화 #입진 #가급 #보급 #등과 #별사 #군전 #역분 #42도부 #하 #은 #전법사 #수령 #안렴사 #전호 #어분 #종실 #공신 #외역 #원 #관 #병마사 #부사 #판관 #별좌 #녹과전시 #시중 #서인 #구분전 #산직 #첨설직 #투화전 #외역전 #유수 #부 #현 #소 #부곡 #위전 #성황 #향교 #지장 #묵척 #수급 #도척 #백정대전 #사사전 #시지 #도선밀기 #신라 #백제 #고구려 #역전 #마위구분전 #외록전 #목 #도호 #감무 #공해전 #공전 #대전 #백정 #양전 #헌부 #대성 #정조 #간관 #이행 #안렴 #창부 #구분 #호정 #별정 #변정도감 #양부 #이윤 #방숙 #소호 #장군 #판도판서 #황순상 #창고전 #사세 #사족 #전법판서 #조인옥 #적전 #장전 #처전 #전시 #향 #부전 #종묘 #사직 #전라도 #경상도 #양광도 #부고 #우상시 #허응 #판도 #전법 #균전 #도전 #신사 #명나라 #요동 #위 #공장 #공양왕 #신돈 #규전 #채지 #문종 #주나라 #관찰사 #공상 #우창 #4고 #좌창 #6도 #시 #사객 #늠급 #아록 #방진 #토지대장 #과전 #좌도 #우도 #능침전 #군자시전 #사원전 #외관의 직전 #늠급전 #향리전 #진리전 #역리전 #잡색전 #재내대군 #문하시중 #재내부원군 #검교시중 #찬성사 #재내제군 #지문하부사 #판사사밀직 #동지밀직사사 #밀직부사 #밀직제학 #재내원윤 #좌․우상시 #판통례문사 #판사 #좌․우사의 #전의정 #6조 #총랑 #소윤 #문하사인 #부정 #정랑 #화령판관 #전의시승 #중랑장 #좌랑 #낭장 #권무직 #양계 #한량관리 #한량관 #공신전 #삼군총제부 #수신전 #천인 #상인 #점쟁이 #맹인 #무당 #창기 #승려 #수전 #한전 #풍저창 #광흥창 #전주 #전객
-
병지(兵志)병제(兵制)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2군 #응양군 #용호군 #6위 #좌우위 #보승 #정용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역령 #천우위 #상령 #해령 #감문위 #도부외 #의장부 #견예부 #노부 #별호제반 #신기 #신보 #경궁 #정노 #석투 #대각 #철수 #강노 #도탕 #사궁 #발화 #오군 #중군 #병진도지유 #도장교 #오병도지유 #장교도업사 #신기도령 #지유 #좌우경궁도령 #좌우정노도령 #도령 #전군 #후군 #좌군 #우군 #신보도령 #정노도령 #병금관 #낭중 #사 #거란 #광군 #광군사 #좌우군영 #군영 #직원 #장수 #잡역 #방수 #역 #선정전 #열병 #선화문 #해군 #노군 #교위 #선두 #차 #생강 #삼위 #도병마사 #함화문 #채충순 #시정 #성윤 #이향 #중외군사 #정역 #장교 #상사봉어 #박원작 #혁차 #수질노 #뇌등석포 #팔우노 #9도 #위 #명전 #호부 #공전 #주례 #양경 #양로 #서북로병마사 #김해병서 #주진 #서면병마도감사 #수질구궁노 #국자감 #근장 #영 #호군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오위 #대정 #정군방정인 #망군정인 #역역 #정인 #천역 #녹관 #추역군 #품종 #5부방리 #영사 #주사 #기관 #유음품관 #천구 #양반 #백정인 #선군별감 #전정연립 #십장 #육십 #중금 #도지 #백갑 #정인호 #진첩 #도감 #동 #궁원 #구사 #시중 #최제안 #병서 #6위군 #장군 #경군 #외군 #2․3품군 #위위시 #노수전 #차노전 #서북로병마소 #서경 #감군 #분사어사 #맹군 #상경 #좌부 #왕총지 #중추 #동반 #남반 #금고 #정기 #좌작 #마군 #선봉마병 #어사대 #병부 #영부 #유음기광군 #경직대상 #동북로 #병마감창사 #수령관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병부 #군민 #봉책사 #흥왕사 #봉책군 #사면기광군 #금위군사 #제위 #동교 #동․서계 #방수군 #참외 #전마 #보반 #군반씨족 #성적 #장적 #솜도포 #솜바지 #털모자 #서북면 #정포고 #솜옷 #가죽신 #1품군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식록정 #공수정 #부병정 #부창정 #부호정 #단정 #병역 #궁사 #군장 #양호 #관곽 #대전 #내외군정 #장상 #혜각미 #섭랑장 #차대정 #건명고 #평포 #정포도감 #무관 #문관 #서북면병마사 #유홍 #귀주 #은완접 #소감 #천균노 #봉의 #대영고 #동․북양계 #귀령각 #무반장군 #좌복야 #황중보 #상장군 #대장군 #시신 #어사중승 #김경용 #은쟁반 #동지 #재추 #기병 #회복루 #동반신료 #장경사 #정주 #장사 #마대 #명주 #윤관 #별무반 #문무산관 #이서 #상고 #노비 #진부 #승려 #항마군 #사원 #수원승도 #보승군 #동계병마사 #오연총 #신기군 #재신 #추밀 #점군사 #신보반 #백정 #전지 #악공 #남명문 #도탕반 #타구 #열무 #단봉문 #기군 #보군 #색전 #병마원리 #위신종졸 #한인 #공사노 #원수 #부원수 #도지병마 #군사 #지병마사 #부사 #판관 #군후사 #용약원 #제색원 #병마인리 #제색인리 #중군병마사 #5군 #3군 #조진약 #봉획 #방정 #평전 #남적집착병마사 #정숙첨 #행영원수 #군마 #거란군 #개경 #중방 #태조 #임보 #동남도가발병마사 #공사천예 #생도 #충실도감 #갑곶강 #수전 #삼별초 #최우 #야별초 #별초 #몽골 #신의군 #김준 #최의 #임연 #송송례 #임유무 #사공 #전분 #윤군정 #부위병 #문무산직 #잡색 #변량 #이수심 #수수 #전함병량도감 #동반산직인 #경상 #전라 #충청도 #동계 #군기별감 #경산부 #석주 #밀직부사 #경병 #충청 #교주도 #서반 #시관 #산관 #3관 #사졸 #종군 #산직 #학생 #동정군 #전정 #백금 #윤수 #일본원정군 #도평의사 #판밀직 #김주정 #연등도감 #나유 #나얀대왕 #반란 #공유 #시위군사 #금학양관 #유생 #과거 #조선열 #최백윤 #순마 #상부 #진사 #쿠치 #응방 #내시 #다방 #첨의찬성사 #송분 #숭문관 #선군 #순포 #내승 #조라치 #팔가치 #순군4번 #송악산 #봉획소 #관사 #활 #화살 #창 #행성3소 #제군만호부 #정구 #쌍정 #군호 #토전 #추쇄 #수졸 #정 #다루가치 #순천사 #서북면도원수 #염제신 #충용사위 #위장 #대장 #왜적 #교동 #쿠치4번 #충용위 #충용위3번 #역어 #조강 #적구 #후석 #성중애마 #정군 #서강 #적강 #성문수리오도감 #왜적방어병마판관 #방리병 #전함 #사면도감 #용성 #유탁 #경기도통사 #방리인 #대호 #소호 #동강 #행수유사 #성문도감 #사인 #향리 #궁사노예 #감찰사 #정장 #8위 #경상도 #양광도 #전라도 #강릉도 #삭방도 #서해도 #주현 #존무 #안렴 #체찰 #한산관 #서경만호부 #좌익 #우익 #정예 #정의 #충의 #충성 #신첨 #신성 #십군 #안주만호부 #좌용 #우용 #좌맹 #우맹 #전용 #후용 #전맹 #후맹 #팔군 #의주만호부 #좌정 #우정 #충신 #의용 #사군 #니성만호부 #진평 #진강 #진정 #진원 #강계만호부 #진변 #진성 #진안 #진령 #상만호 #부만호 #애마 #5부 #한량품관 #나주목사 #이진수 #4케식 #군수부 #시직 #문무품관 #도통사 #케식관 #동면 #남면 #서해 #북계 #토지제도 #부병 #양천포 #간관 #우현보 #손무 #오기 #공자 #의용좌우군 #판사 #지사 #5부도총도감 #흥국사 #방리 #방어도감 #도성 #호수 #군정 #체복사 #곽선 #연호군 #별군 #왜구 #우왕 #도순문사 #군목도 #병마사 #대소품관 #한산양반 #재인 #화척 #보병 #평양도 #안주 #익군 #신용군 #신맹군 #8익 #10익 #서경군 #경산 #교주 #5부방리군 #판삼사사 #최영 #행성 #종사관 #창고 #강화 #조민수 #한산군 #초군사 #개성부 #마병 #칼 #백봉 #5부원수 #정요위 #봉수 #백성 #화통도감 #강릉 #삭방 #도당 #군익 #계점원수 #봉익 #천호 #백호 #통주 #인리 #역자 #노 #사노 #두목 #검 #노구 #도끼 #낫 #원수부 #주역』 #헌사 #5도 #수령 #군역 #익 #공부 #전조 #6도도순찰사 #화약 #통헌 #동북계 #잡류 #응양군상호군 #이무 #한량 #보충군 #마암 #제색장인 #궁수 #연호 #품질 #역리 #만호 #군부사 #도목 #대호군 #상호군 #제색공장 #군부 #42도부 #대 #오 #금위 #원나라 #문신 #무신 #근시 #충용 #우달치 #쉬구치 #별보 #오원 #천예 #사문 #사순 #비순위 #대간 #절제사 #동북면 #한 #남북군 #당 #요 #금 #양계 #요나라 #진제 #송나라 #군사제도 #부위 #첨설직 #관찰사 #경기 #3군도총제부 #방사량 #양부 #대성 #6조 #수군 #육군 #호패 #병조 #3위
-
병지(兵志)숙위(宿衛)숙위宿衛성종 원년(982) 6월. 정광(正匡) 최승로(崔承老)가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글을 올렸다 최승로의 시무 28조 중 병제와 관련된 부분이다. 최승로는 태조에서 성종대 이르기까지 관료로서 재직하면서 고려의 국정 전반에 대한 28개 항목의 개혁안을 건의하였는…#정광 #최승로 #시위 #태조 #광종 #경종 #예사 #금위사 #궁성사 #부병 #내순검 #위졸 #위국초맹반 #칼 #창 #수창궁 #숙위 #중방 #장군 #김준 #활 #후벽장군 #김보의 #임유무 #조윤번 #최종소 #홍개함 #충렬왕 #뚤루게 #쿠치 #달달인 #원나라 #견룡 #세자부 #응방 #등촉 #순군 #순작 #재추 #개경 #초적 #영사 #유탁 #염제신 #서해도 #8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교주도 #강릉도 #산관 #나주목사 #이진수 #케식관 #나연 #문관 #무관 #상장군 #대장군 #42도부 #충용 #원수부 #추밀 #성중애마 #자문 #익위군 #반당 #근시좌우전후위 #녹관 #삼군총제부 #도당 #금위 #밀직
-
의종 21년(1167) 정해년21년 봄 정월 갑진일. 전․나주로안찰부사(全羅州路按察副使) 윤평수(尹平壽)가 은 80근을 바쳤다. 윤평수는 백성들을 착취해 왕으로부터 총애를 받으려 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추잡하다고 여겼다. 계축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
-
의종 21년(1167) 정해년二十一年 春正月 甲辰 全羅州路按察副使尹平壽, 獻銀八十斤. 平壽割民膏血, 以要恩寵, 時議鄙之. 癸丑 燃燈, 王如奉恩寺, 夜還, 金敦中馬, 突觸騎士矢房, 矢落輦傍. 王驚愕, 以爲流矢, 疾馳還宮, 宮城戒嚴. 甲寅 命有司, 榜于市曰, “有能告賊者, 勿論有無職, 東班正…
-
조준趙浚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
-
이의방李義方이의방 이의방(?~1174) 전주사람이다. 그이 동생 이린(李隣)은 후일 조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신난 당시 그의 직위는 산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는 매우 다양하였다. 친형 이준의(李俊儀)를 비롯하여 명종 3년(1173)에 남로선…
-
조준趙浚趙浚, 字明仲, 侍中仁規之曾孫. 自幼, 倜儻有大志. 恭愍王在壽德宮, 望見浚挾書過宮前, 召見奇之, 問其家世, 卽命屬寶馬陪指諭. 王使洪倫輩, 强辱諸妃, 浚嘆曰, “人道滅矣, 復奚言哉? 且王以威福與奪, 常與群小謀, 而不及君子, 今日之勢, 岌岌乎殆哉!” 母吳氏嘗見新及…
-
이의방李義方李義方, 全州人. 毅宗末, 以散員爲牽龍行首, 與鄭仲夫․李高等作亂, 王懼, 卽拜義方鷹揚龍虎軍中郞將, 兄俊儀爲承宣. 明宗立, 授大將軍殿中監兼執奏, 冊爲壁上功臣, 圖形閣上. 元年, 大將軍韓順, 將軍韓恭․申大譽․史直哉․車仲規等, 相與言, “李義方․李高等, 擅殺朝臣, …
-
전제田制고려의 토지제도는 크게 보아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모방한 『고려사』 식화지 편찬자들은 고려의 토지제도가 당나라 토지제도인 균전제(均田制)를 모방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런 생각은 ‘선왕의 균전제도를 부활시킬 것’을 주장한 우왕 14년 9월의 허응(許應) 상소…
-
祿科田고종 44년(1257) 6월. 재추(宰樞) 재추 재추(宰樞)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재신(宰臣)과 중추원(中樞院)의 추신(樞臣)으로, 고려전기에 국왕과 함께 국정을 의논하던 최고위 직이었다. 중서문하성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 …
-
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
-
숙위宿衛성종 원년(982) 6월. 정광(正匡) 최승로(崔承老)가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글을 올렸다 최승로의 시무 28조 중 병제와 관련된 부분이다. 최승로는 태조에서 성종대 이르기까지 관료로서 재직하면서 고려의 국정 전반에 대한 28개 항목의 개혁안을 건의하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