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고종 3년(1216) 병자년고종 3년(1216) 병자년3년 정월 신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정축일. 왕이 친히 수문전(修文殿)에서 제석도량 제석도량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승려 홍경(洪慶)이 대…#수문전 #제석도량 #창락 #재추 #상참관 #일본 #연등회 #봉은사 #건성사 #제석재 #선경전 #장경회 #보제사 #유석 #기우제 #사도 #주국 #왕선 #찰방사 #북계병마사 #금나라 #동경총관부 #달단족 #거란 #요해 #포선만노 #융안부행성 #이랄전 #달단 #선무사 #요동 #대진 #의주 #정주 #소재도량 #현화사 #금산 #금시 #아아 #걸노 #영삭진 #정융진 #상장군 #노원순 #중군병마사 #오응부 #우군병마사 #대장군 #김취려 #후군병마사 #북계 #영덕성 #안주 #귀주 #인주 #용주 #철주 #선주 #삭주분도장군 #노인수 #차덕위 #중랑장 #이희주 #김공석 #차장군 #요 #여진 #파속로 #이보 #서해도방호사 #최유공 #동계 겸 춘주도방호사 #조양진 #갑장별감 #동대비원녹사 #유성장 #부장 #이순로 #깃발 #징 #북 #사재주부 #대비원녹사 #내원성 #병마 #창주분도장군 #창주 #연주낭장 #현장 #운주부사 #설득유 #서경 #조양 #풍단역 #성주 #지구천 #대부영 #황주
-
고종고종 18년(1231) 신묘년고종 18년(1231) 신묘년18년 여름 4월. ○ 가뭄이 들었다. 5월 초하루 병술일. 가뭄이 계속되자 전국의 죄수들을 사면했다. 무자일. 다시 기우제를 지냈다. 6월 초하…#기우제 #봉은사 #왕륜사 #몽고 #원수 #살리타이 #함신진 #철주 #최우 #대장군 #채송년 #북계병마사 #귀주성 #서경성 #황주 #봉주 #철도 #북계 #용주 #부사 #위소 #선주 #곽주 #평주 #전중시어사 #김효인 #동진 #낭장 #지의심 #개경 #여진 #귀주 #신서문 #안북성 #후군진주 #대집성 #진주 #지병마 #기병 #우군 #중군 #장군 #이언문 #정웅 #우군판관 #채식 #동계 #화주 #동진군 #선덕진 #도령 #문하시중 #이항 #북계분대어사 #민희 #병마판관 #원외랑 #최계년 #분대관인 #오군병마 #선의문 #포도 #금교 #적거 #오산 #탕꾸 #포리 #예성강 #흥왕사 #어사 #지합문사 #최공 #접반사 #의장대 #선은관 #안북도호부 #대관전 #양털 옷 #양털 모자 #활 #칼 #자줏빛 비단 도포 #허리띠 #공문 #살리타고르치 #흑거란 #거란 #차라 #카치운 #사신 #화리일녀 #저고여 #아토 #금으로 만든 술그릇 #술잔 #쟁반 #은병 #수달가죽으로 만든 옷 #비단 #모시 #회안공 #왕정 #광주 #충주 #청주 #베 #말다래 #말굴레장식 #조숙창 #대몽고국 #살리타코르치 #구슬 #수달피 #거위 털로 만든 좋은 의복 #자색 비단 #대마 #소마 #오로토 #지빈목 #도호 #주전자 #술잔받침 #모시베 #적황색 말 #안장 #웃옷 #말 #조시저 #술그릇 #백은 #식기 #수놓은 옷 #붉은 집으로 만든 웃옷 #은도금 허리띠 #명주 웃옷 #수달가죽 #능라깁으로 만든 웃옷 #가불애 #상국 #털옷 #모자 #안장 딸린 말
-
고종고종 20년(1233) 계사년고종 20년(1233) 계사년20년 봄 3월 ○ 사간(司諫) 최린(崔璘)으로 하여금 표문을 가지고 금나라에 가게 했는데 길이 막혀서 가지 못하고 돌아왔다. 돌아왔다 고종 20년(1233) 5월 금나라의 수도 변경(卞京)(지금의 카이펑[開封])은 우구데이의 명장 수베에테이에게 함락…
-
고종고종 35년(1248) 무신년고종 35년(1248) 무신년35년 봄 2월 ○ 추밀원사 손변(孫抃)과 비서감 환공숙(桓公叔)을 몽고에 보냈다. 3월 ○ 북계병마사 노연(盧演)으로 하여금 북계 여러 성의 백성들을 모두 바닷섬으로 피난시키게 했다. ○ 김균(金均) 등을 급제시켰다…
-
고종고종 36년(1249) 기유년고종 36년(1249) 기유년36년 봄 정월 무신일. 북계병마사가 급보를 올려 몽고 황제의 죽음을 알렸는데 이 사람이 정종(定宗) 정종(1205~1248) 우구데이칸[窩闊台汗]의 장자로 몽고 이름은 구육[貴由]이다. 어머니는 투리게네이다. 투리게네의 부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
고종고종 40년(1253) 계축년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최항 #문하시중 #판이부 #어사대사 #안경후 #왕간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동계병마사 #동진 #동주 #공덕천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오랑캐 #북계병마사 #몽고 #원주 #아모간 #홍복원 #송주 #동계 #북계 #대이주 #왕륜사 #화엄신중도량 #인왕도량 #외원 #구요당 #예구대왕 #아토 #제포궁 #포백 #사면 #양반 #남반 #잡로 #동정직 #홍유후 #설총 #문창후 #최치원 #주․부․군․현 #진 #역 #잡척 #장전 #무산계 #약사전 #천병신중도량 #압록강 #안찰사 #순문사 #대동강 #하마탄 #화주 #갑곶강 #교위 #대금취 #우봉별초 #금교 #흥의 #말 #활 #화살 #갑옷 #유배 #원수 #예구 #육사 #서해도 #양산성 #낭장 #최동식 #토산 #경령전 #고주 #척후 #광주 #재추 #안경공 #동주산성 #전주성 #반석역 #별초지유 #이주 #대장군 #고열 #승천부 #백마산 #동북계 #술그릇 #비단 #삼베 #수달 가죽 #삿갓 #띠 #이송무 #중양절 #충주 #창정 #최수 #금당협 #대정 #춘주성 #등주 #금양성 #양근성 #방호별감 #윤춘 #천룡산성 #황려 #현령 #정신단 #조방언 #양주 #승선 #이세재 #내시 #민양선 #시중 #소경 #정수 #경산부 #영안백 #왕희 #복야 #김보정 #우열 #왕만호 #팔관회 #법왕사 #남경 #수주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 #개경 #보정문 #강화도 #사신 #몽고대 #야별초 #교동 #평주성 #장자방 #둔장 #다루가치 #호화 #수달가죽 #소재도량 #제포관 #초제 #왕창 #후릉 #예릉 #경상주도 #임주 #백마 #서대 #흰모시
-
고종고종 41년(1254) 갑인년고종 41년(1254) 갑인년41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왕이 경령전(景靈殿)을 참배했다. 정축일.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이 몽고군 진지를 찾아가 잔치를 베풀고 풍악을 울리며 군사들을 대접하자 아모간이 군대를 철수했다. …#경령전 #안경공 #왕창 #몽고 #아모간 #천병신중도량 #개경 #소경 #박여익 #낭장 #정자여 #천룡성 #양근성 #인왕도량 #초제 #이현 #처형 #조방언 #정신단 #유배 #정준 #최평 #임경필 #추밀원부사 #연등회 #봉은사 #북계병마사 #갈도 #화엄신중도량 #문하시랑 #송순 #수태위 #이순효 #현성사 #참지정사 #최공 #대장 #어사 #고평절 #최탁 #양신성 #박유 #봉공윤 #대창 #비서소감 #이수손 #사문박사 #김양영 #의주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왕륜사 #천병화엄신중도량 #단오절 #윤정형 #정전 #보살계 #공덕천도량 #약사도량 #중서사인 #김수정 #사신 #다가 #승천부 #안경부 #전첨 #민인해 #쟈릴타이 #최항 #이응렬 #주영규 #유경 #역마 #서북면병마사 #서해도 #협계 #관산역 #소재도량 #경상도 #전라도 #야별초 #광주 #장형 #제포 #괴주성 #산원 #장자방 #별초 #대장군 #이장 #보현원 #예쉬데르 #보파대 #영녕공 #왕준 #홍복원 #술그릇 #사슴가죽 #비단 #동계병마사 #동진 #박인기 #차라대 #술 #과일 #충주산성 #최온 #비서성 #한림원 #보문각 #동문원 #어서원 #자릴타이 #상주산성 #황령사 #홍지 #최린 #문하평장사 #재신 #태종대왕 #세종대왕 #숙종 #예종 #인종 #신종 #강종 #교사 #9묘 #북방 오랑캐 #종묘 #신묘 #충주성 #청주성 #월악산 #합주 #단계
-
고종고종 42년(1255) 을묘년고종 42년(1255) 을묘년42년 봄 정월 초하루 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축일. 몽고 기병 20여 기가 갑곶강(甲串江) 건너편까지 당도했다. 계묘일. 적에게 잡혀갔던 대구(大丘)(지금의 대구광역시) 사람이 도망쳐 와서, 몽고 황제가 쟈릴타이[車羅…#몽고 #갑곶강 #대구 #쟈릴타이 #압록강 #승천성 #대장군 #최영 #평장사 #최린 #표문 #개경 #보정문 #교하현 #재추 #신격전 #아두 #잉부 #제포관 #철령 #등주 #별초 #연등회 #봉은사 #도제고판관 #고정매 #황려 #이천 #천녕 #양근 #죽주 #음죽 #소복별감 #최항 #감수국사 #공산성 #현성사 #화엄신중도량 #판사천사 #안방열 #지릉 #불정심도량 #건성사 #복녕사 #묘통사 #왕륜사 #외원 #구요당 #북계병마사 #의주 #정주 #형제산 #대부성 #소재도량 #도병마사 #북계 #용강 #함종 #동계병마사 #동진 #고주 #화주 #권농사 #곽왕부 #시어사 #김수강 #낭장 #유자필 #천병신중도량 #편전 #참형 #교수형 #유배 #신주 #제릉서 #공덕천도량 #청천강 #최의 #전중내급사 #승천부 #복령사 #영녕공 #서경 #금교 #사신 #제포 #윤평 #집정 #대원령 #충주 #인왕도량 #구정 #팔관회 #법왕사 #금경도량 #김련 #신희 #중서령 #기윤숙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군경 #지문하성사 #조수 #정당문학 #조도
-
고종고종 46년(1259) 기미년고종 46년(1259) 기미년46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미일. 몽고군이 성주(成州)(지금의 평안남도 성천군)의 기암성(岐巖城)을 침공하자 야별초가 성안의 백성들을 거느리고 싸워 적을 대파했다. ○ 동진(東眞)이 금강성(金剛城)을…#몽고 #성주 #기암성 #야별초 #동진 #금강성 #별초 #정지 #서북면병마사 #김윤후 #동북면병마사 #강화 #형부시랑 #이응 #서경 #왕만호 #사거지 #연등회 #봉은사 #재추 #마리산 #교서랑 #경유 #윤춘 #송산 #현성사 #황주 #덕적도 #후릉 #예릉 #건성사 #복령사 #별장 #박천식 #쟈릴타이 #온양가대 #박희실 #조문주 #최의 #차라대 #강안전 #포백 #중방 #북계 #애도 #갈도 #경별초 #참형 #교수형 #최영 #허공 #신사 #도관 #동당감시 #유경 #왕전 #이세재 #추밀원부사 #김보정 #강화도 #산원 #민칭 #흑산도 #삼랑성 #신니동 #사당동 #민수 #은병 #쌀 #단오날 #북계병마사 #아두 #잉부 #삼미 #삼계 #초제 #원수 #예쉬데르 #송길대왕 #사절 #주자 #도고 #참지정사 #호천 #동경 #백은 #은 주전자 #은 항아리 #술 #과실 #여수달 #강도 #송길 #안경공 #도방 #배 #대장군 #김인준 #양부 #안효 #고종 #홍릉 #원나라 #충헌
-
고종고종 3년(1216) 병자년고종 3년(1216) 병자년三年 春正月 辛未 地震. 丁丑 親設帝釋道場于修文殿. 辛巳 昌樂公主卒. 壬午 諸王․宰樞․常叅官以上, 詣闕陳慰. 二月 甲申朔 日食. 己丑 日本國僧來求其法. 丁酉 燃燈, 王如奉恩寺. 三月 戊辰 始幸乾聖寺, 行帝釋齋. 又設藏經會於宣…#수문전 #제석도량 #창락 #재추 #상참관 #일본 #연등회 #봉은사 #건성사 #제석재 #선경전 #장경회 #보제사 #유석 #기우제 #사도 #주국 #왕선 #찰방사 #북계병마사 #금나라 #동경총관부 #달단족 #거란 #요해 #포선만노 #융안부행성 #이랄전 #달단 #선무사 #요동 #대진 #의주 #정주 #소재도량 #현화사 #금산 #금시 #아아 #걸노 #영삭진 #정융진 #상장군 #노원순 #중군병마사 #오응부 #우군병마사 #대장군 #김취려 #후군병마사 #북계 #영덕성 #안주 #귀주 #인주 #용주 #철주 #선주 #삭주분도장군 #노인수 #차덕위 #중랑장 #이희주 #김공석 #차장군 #요 #여진 #파속로 #이보 #서해도방호사 #최유공 #동계 겸 춘주도방호사 #조양진 #갑장별감 #동대비원녹사 #유성장 #부장 #이순로 #깃발 #징 #북 #사재주부 #대비원녹사 #내원성 #병마 #창주분도장군 #창주 #연주낭장 #현장 #운주부사 #설득유 #서경 #조양 #풍단역 #성주 #지구천 #대부영 #황주
-
고종 3년(1216) 병자년3년 정월 신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정축일. 왕이 친히 수문전(修文殿)에서 제석도량 제석도량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승려 홍경(洪慶)이 대…
-
고종 18년(1231) 신묘년18년 여름 4월. ○ 가뭄이 들었다. 5월 초하루 병술일. 가뭄이 계속되자 전국의 죄수들을 사면했다. 무자일. 다시 기우제를 지냈다. 6월 초하…
-
고종 20년(1233) 계사년20년 봄 3월 ○ 사간(司諫) 최린(崔璘)으로 하여금 표문을 가지고 금나라에 가게 했는데 길이 막혀서 가지 못하고 돌아왔다. 돌아왔다 고종 20년(1233) 5월 금나라의 수도 변경(卞京)(지금의 카이펑[開封])은 우구데이의 명장 수베에테이에게 함락…
-
고종 35년(1248) 무신년35년 봄 2월 ○ 추밀원사 손변(孫抃)과 비서감 환공숙(桓公叔)을 몽고에 보냈다. 3월 ○ 북계병마사 노연(盧演)으로 하여금 북계 여러 성의 백성들을 모두 바닷섬으로 피난시키게 했다. ○ 김균(金均) 등을 급제시켰다…
-
고종 36년(1249) 기유년36년 봄 정월 무신일. 북계병마사가 급보를 올려 몽고 황제의 죽음을 알렸는데 이 사람이 정종(定宗) 정종(1205~1248) 우구데이칸[窩闊台汗]의 장자로 몽고 이름은 구육[貴由]이다. 어머니는 투리게네이다. 투리게네의 부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
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
-
고종 41년(1254) 갑인년41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왕이 경령전(景靈殿)을 참배했다. 정축일.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이 몽고군 진지를 찾아가 잔치를 베풀고 풍악을 울리며 군사들을 대접하자 아모간이 군대를 철수했다. …
-
고종 42년(1255) 을묘년42년 봄 정월 초하루 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신축일. 몽고 기병 20여 기가 갑곶강(甲串江) 건너편까지 당도했다. 계묘일. 적에게 잡혀갔던 대구(大丘)(지금의 대구광역시) 사람이 도망쳐 와서, 몽고 황제가 쟈릴타이[車羅…
-
고종 46년(1259) 기미년46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미일. 몽고군이 성주(成州)(지금의 평안남도 성천군)의 기암성(岐巖城)을 침공하자 야별초가 성안의 백성들을 거느리고 싸워 적을 대파했다. ○ 동진(東眞)이 금강성(金剛城)을…
-
고종 3년(1216) 병자년三年 春正月 辛未 地震. 丁丑 親設帝釋道場于修文殿. 辛巳 昌樂公主卒. 壬午 諸王․宰樞․常叅官以上, 詣闕陳慰. 二月 甲申朔 日食. 己丑 日本國僧來求其法. 丁酉 燃燈, 王如奉恩寺. 三月 戊辰 始幸乾聖寺, 行帝釋齋. 又設藏經會於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