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2월 경인일. 강조(康兆)를 중대사(中臺使)로, 이현운(李鉉雲) 이현운(?~?) 목종~현종 때 중대부사․이부시랑(吏部侍郎)․행영도통부사(行營都統副事)를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94, 열전7, 양규전(楊規傳) 참조.을 중대부사(中…
-
문종문종 11년(1057) 정유년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 지…#고유 #우습유 #중서성 #탐라 #간성 #황주 #건덕전 #소재도량 #소계종 #왕수졸 #천덕군 #절도사 #좌천우위 #대장군 #책봉사 #부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중서령 #상주국 #계림 #주몽 #환공 #문공 #정승 #정사 #부절 #상서령 #사보 #삼공 #소소 #시덕자 #이주관내 관찰사 #사농경 #왕훈 #수사농경 #순의군절도사 #삭무등주 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위 #동 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삼한국공 #이부 #시중 #최숙 #최무 #호부영사동정 #이유충 #동지중추원사 #임종일 #상서좌복야 #왕무숭 #어사대부 #김원황 #공부상서 #불일사 #거란 #궁구문 #우정 #송령 #승단배위관 #상참 #향직 #동정직 #장고 #산사 #서수 #근장군두 #이준 #수춘궁 #예부 #광주 #송악 #박연 #회화장군 #고도달 #흥성궁비 #검교공부상서 #야율가행 #동경지례회사사 #유원장군 #요어내 #장완 #태사국감후 #구정 #선정전 #섭덕총 #비서성교감 #경정상 #권지직한림원사 #시경 #곽만 #서경 #이자연 #평장사 #왕총지 #개경 #왕이보 #최원준 #팔관회 #장경사 #횡선사 #태주자사 #야율굉 #김정준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우간의대부 #왕종량 #상서호부시랑 #안민보 #태황태후 #상서공부시랑 #최계유 #지맹 #궤장 #김원정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김현 #참지정사 #한공서 #상서우복야 #어사대
-
문종문종 18년(1064) 갑진년문종 18년(1064) 갑진년18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신유일. 서북로병마사(西北路兵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지난 임인(壬寅)년(문종 16, 1062)에 몽포촌(蒙浦村)의 적들이 우리 영토를 침략하려고 평로진(平虜…
-
현종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二月 庚寅 以康兆爲中臺使, 李鉉雲爲中臺副使, 蔡忠順爲直中臺, 尹餘爲尙書右丞兼直中臺. 是月, 遣司農卿王日卿如契丹, 告哀稱嗣. 罷敎坊, 放宮女一百餘人, 毁閬苑亭, 珍禽奇獸龜魚之類, 放之山澤. 三月 以柳允孚爲門下侍中, 柳邦憲爲門下侍郞平章事, 康兆爲吏…
-
문종문종 11년(1057) 정유년문종 11년(1057) 정유년十一年 春正月 戊寅朔 放朝賀. 己丑 以高維爲右拾遺. 中書省奏, “維系出耽羅, 不合諫省, 如惜其才, 請授他官.” 從之. 乙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二月 癸酉 設消灾道場于乾德殿五日. 三月 乙酉 契丹遣蕭繼從․王守拙, 來冊王, 詔曰, …#고유 #우습유 #중서성 #탐라 #간성 #황주 #건덕전 #소재도량 #소계종 #왕수졸 #천덕군 #절도사 #좌천우위 #대장군 #책봉사 #부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중서령 #상주국 #계림 #주몽 #환공 #문공 #정승 #정사 #부절 #상서령 #사보 #삼공 #소소 #시덕자 #이주관내 관찰사 #사농경 #왕훈 #수사농경 #순의군절도사 #삭무등주 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위 #동 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삼한국공 #이부 #시중 #최숙 #최무 #호부영사동정 #이유충 #동지중추원사 #임종일 #상서좌복야 #왕무숭 #어사대부 #김원황 #공부상서 #불일사 #거란 #궁구문 #우정 #송령 #승단배위관 #상참 #향직 #동정직 #장고 #산사 #서수 #근장군두 #이준 #수춘궁 #예부 #광주 #송악 #박연 #회화장군 #고도달 #흥성궁비 #검교공부상서 #야율가행 #동경지례회사사 #유원장군 #요어내 #장완 #태사국감후 #구정 #선정전 #섭덕총 #비서성교감 #경정상 #권지직한림원사 #시경 #곽만 #서경 #이자연 #평장사 #왕총지 #개경 #왕이보 #최원준 #팔관회 #장경사 #횡선사 #태주자사 #야율굉 #김정준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우간의대부 #왕종량 #상서호부시랑 #안민보 #태황태후 #상서공부시랑 #최계유 #지맹 #궤장 #김원정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김현 #참지정사 #한공서 #상서우복야 #어사대
-
문종문종 18년(1064) 갑진년문종 18년(1064) 갑진년十八年 春正月 丁酉朔 放朝賀. 辛酉 西北路兵馬使奏, “去壬寅年, 蒙浦村賊謀侵我疆, 潛入平虜鎭, 設伏折衝․降魔兩戍閒, 有化內番長齊俊那知之, 來告鎭將. 先伏兵草莽以待之, 賊果突入. 我兵齊發, 俘斬甚多. 請厚賞俊那金帛.” 從之. 二月 二月 『고려사』…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冠服【王冠服․祭服․視朝之服, 王妃冠服, 王世子冠服, 百官祭服․朝服․公服, 長吏公服, 冠服通制】왕의 관복 관복 왕의 관복의 항목에서 말하는 관복은 면복(冕服) 즉 면류관과 곤복(袞服)을 가리킨다. 정종(靖宗) 9년(1043) 11월. 거란 임금이 관복을 보내 왔다. 문종(文宗) 3년(1049) 정월. 거란 임금이 관복…#거란 #관복 #규 #구류관 #구장복 #옥규 #송 #신종 #칠갑 #라 #한삼 #첨 #포두 #늑백 #백색 면릉 #투배 #허리띠 #은갑 #옥 #대모 #홍정 #무소뿔 #요 #면관 #대 #장복 #금 #9류관 #9장복 #금나라 #7장복 #원구 #사직 #태묘 #선농단 #곤복 #9류면 #훈상 #무릎가리개 #백라 #중단 #대대 #혁대 #주록대 #태조 고황제 #면류관 #청의 #폐슬 #자황포 #어복 #율력지 #당사 #강사의 #조회 #개원례 #강사포 #고사 #동짓날 #절일 #대관전 #의봉문 #사면령 #봉은사 #팔관회 #연등대회 #초례 #연등소회 #원나라 #복색 제도 #자포 #황포 #명나라 #원유관 #금박산 #잠도 #가대 #방심곡령 #효자황후 #양박빈 #적의 #곡 #상아 #홀 #요나라 #1품복 #시중 #7류면 #5장복 #2품복 #태상경 #오사 #5류면 #3장복 #3품복 #공신헌관 #통사사인 #감찰어사 #무류면 #소 #비녀 #현의 #옥패 #태위 #사도 #사공 #중서령 #현황대 #광록경 #황문시랑 #전중감 #적전 #사농경 #3류면 #태축 #태사령 #태상박사 #집례 #봉례 #당상협률 #1장복 #상의봉어 #찬인 #찬자 #어사 #평면 #당하협률 #태악령 #알자 #태관령 #양온령 #수궁령 #교사령 #장생령 #태관승 #축사 #태묘령 #궁위령 #흑개책 #비견의 #비견고 #납 #주석 #청라의 #백사 #홍라치마 #홍라폐슬 #라의 #청라 #홍라 #조라 #청견 #백견 #홍견 #조견 #생견 #은환 #유석동환 #5량관 #4량관 #3량관 #동환 #2량관 #1량관 #정월 #동지 #삼대조하 #상아홀 #조정 #초 #동반 #서반 #나무홀 #각대 #명주 #모시 #공복 #원윤 #자삼 #중단경 #단삼 #도항경 #비삼 #소주부 #녹삼 #문관 #금어 #상참 #은어 #합문 #어부 #내시 #다방 #서경유수 #상서 #부유수 #동경 #남경 #대도호 #목 #도호 #판관 #지주사 #지주부사 #공 #후 #백 #통서대 #금옥반서대 #추밀 #방단구로대 #팔좌 #좌우상시 #어사대부 #한림학사승지 #상장군 #금반서대 #급사 #중승 #반서금도은대 #상참관 #금도은서대 #지후 #금도은대 #참외관 #서대 #양부 #승제 #지제고 #한림동궁시강학사 #한림동궁시독학사 #보문각직학사 #보문각대제 #지합문사 #다방시랑 #조삼 #주 #부 #군 #현 #호장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사옥부정 #사 #병사 #창사 #단사 #동북면 #서북면 #병마사 #옥대 #병마부사 #자의 #방수중랑장 #승 #영 #최항 #창두 #복두 #복장 #재추 #흑대 #개체 #좌승지 #박항 #집사관 #감찰사 #오교양종 #승려 #치의 #사천소감 #우필흥 #옥룡기 #백두산 #지리산 #흑의 #청립 #승복 #흑건 #흑라 #대언 #판서 #상호군 #대호군 #판통례문사 #삼사좌우윤 #지통례문사 #흑립 #백옥 #정자 #총랑 #삼사부사 #비신호군 #전배호군 #후전호군 #청옥 #정랑 #좌랑 #수정 #성대 #성균 #전교 #지제교원 #현령 #감무 #갓 #반주 #흑초방립 #재상 #대성 #중방 #서리 #방립 #사헌부 #서운관 #사모 #단령 #중대광 #삽화금대 #소금대 #개성윤 #대사헌 #상시 #삽화은대 #판사 #소은대 #문하녹사 #주서 #밀직사당후 #삼사도사 #예문춘추관 #전교시 #성균관 #전모 #사대 #고정립 #도감 #지유 #행수 #참상 #참외 #대간 #안렴 #옥정자 #3도감 #5군 #녹사 #재추소 #지인 #두건 #녹관 #교위 #대정 #감투 #직령 #전대 #인가 #전함 #정순 #봉군 #봉익 #통헌 #성균생원 #학생 #권무 #고정모 #평정두건 #별감 #소친시 #악관 #녹라두건 #반방 #수방 #등촉상소 #공상인 #순군 #나장 #조의 #정리 #황의 #도평의사사 #평양부 #토관 #품대 #도아 #주사 #평정건
-
백관지(百官志)전농시(典農寺)典農寺제수용으로 쓰는 곡물[粢盛 자성 제사에 쓰는 곡물로 보통 서직(黍稷) 즉 기장과 쌀을 의미한다. 고려시대는 왕이 친히 적전(籍田)을 갈아 거기에서 나온 자성을 제물로 사용하였다. 성종 2년에 왕이 몸소 적전(籍田)을 갈아 신농(神農)에게 제사하고 후직(后稷)을…
-
籍田先農籍田壇. 方三丈高五尺. 四出陛兩壝, 每壝二十五步. 瘞埳 埳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감(塪)’자이나 ‘감(埳)’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在內壝之外壬地,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孟春吉亥. 神位設神農氏位于壇上, 北方南向. 配以后稷氏位于壇上, 東方西向,…#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2월 경인일. 강조(康兆)를 중대사(中臺使)로, 이현운(李鉉雲) 이현운(?~?) 목종~현종 때 중대부사․이부시랑(吏部侍郎)․행영도통부사(行營都統副事)를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94, 열전7, 양규전(楊規傳) 참조.을 중대부사(中…
-
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 지…
-
문종 18년(1064) 갑진년18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신유일. 서북로병마사(西北路兵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지난 임인(壬寅)년(문종 16, 1062)에 몽포촌(蒙浦村)의 적들이 우리 영토를 침략하려고 평로진(平虜…
-
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二月 庚寅 以康兆爲中臺使, 李鉉雲爲中臺副使, 蔡忠順爲直中臺, 尹餘爲尙書右丞兼直中臺. 是月, 遣司農卿王日卿如契丹, 告哀稱嗣. 罷敎坊, 放宮女一百餘人, 毁閬苑亭, 珍禽奇獸龜魚之類, 放之山澤. 三月 以柳允孚爲門下侍中, 柳邦憲爲門下侍郞平章事, 康兆爲吏…
-
문종 11년(1057) 정유년十一年 春正月 戊寅朔 放朝賀. 己丑 以高維爲右拾遺. 中書省奏, “維系出耽羅, 不合諫省, 如惜其才, 請授他官.” 從之. 乙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二月 癸酉 設消灾道場于乾德殿五日. 三月 乙酉 契丹遣蕭繼從․王守拙, 來冊王, 詔曰, …
-
문종 18년(1064) 갑진년十八年 春正月 丁酉朔 放朝賀. 辛酉 西北路兵馬使奏, “去壬寅年, 蒙浦村賊謀侵我疆, 潛入平虜鎭, 設伏折衝․降魔兩戍閒, 有化內番長齊俊那知之, 來告鎭將. 先伏兵草莽以待之, 賊果突入. 我兵齊發, 俘斬甚多. 請厚賞俊那金帛.” 從之. 二月 二月 『고려사』…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
-
冠服【王冠服․祭服․視朝之服, 王妃冠服, 王世子冠服, 百官祭服․朝服․公服, 長吏公服, 冠服通制】왕의 관복 관복 왕의 관복의 항목에서 말하는 관복은 면복(冕服) 즉 면류관과 곤복(袞服)을 가리킨다. 정종(靖宗) 9년(1043) 11월. 거란 임금이 관복을 보내 왔다. 문종(文宗) 3년(1049) 정월. 거란 임금이 관복…
-
典農寺제수용으로 쓰는 곡물[粢盛 자성 제사에 쓰는 곡물로 보통 서직(黍稷) 즉 기장과 쌀을 의미한다. 고려시대는 왕이 친히 적전(籍田)을 갈아 거기에서 나온 자성을 제물로 사용하였다. 성종 2년에 왕이 몸소 적전(籍田)을 갈아 신농(神農)에게 제사하고 후직(后稷)을…
-
籍田先農籍田壇. 方三丈高五尺. 四出陛兩壝, 每壝二十五步. 瘞埳 埳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감(塪)’자이나 ‘감(埳)’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在內壝之外壬地,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孟春吉亥. 神位設神農氏位于壇上, 北方南向. 配以后稷氏位于壇上, 東方西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