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종정종 5년(1039) 기묘년정종 5년(1039) 기묘년5월 봄 정월 신축일. 우신(雨神)을 제사지냈다. 병오일. 공부상서(工部尙書) 원영(元穎) 원영(?~?) 상서좌복야를 지낸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징연[元徵衍․元徵演]의 아들로, 현종 ~정종 때 시병부원외랑(試兵部員外郞)․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
-
문종문종 11년(1057) 정유년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 지…#고유 #우습유 #중서성 #탐라 #간성 #황주 #건덕전 #소재도량 #소계종 #왕수졸 #천덕군 #절도사 #좌천우위 #대장군 #책봉사 #부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중서령 #상주국 #계림 #주몽 #환공 #문공 #정승 #정사 #부절 #상서령 #사보 #삼공 #소소 #시덕자 #이주관내 관찰사 #사농경 #왕훈 #수사농경 #순의군절도사 #삭무등주 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위 #동 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삼한국공 #이부 #시중 #최숙 #최무 #호부영사동정 #이유충 #동지중추원사 #임종일 #상서좌복야 #왕무숭 #어사대부 #김원황 #공부상서 #불일사 #거란 #궁구문 #우정 #송령 #승단배위관 #상참 #향직 #동정직 #장고 #산사 #서수 #근장군두 #이준 #수춘궁 #예부 #광주 #송악 #박연 #회화장군 #고도달 #흥성궁비 #검교공부상서 #야율가행 #동경지례회사사 #유원장군 #요어내 #장완 #태사국감후 #구정 #선정전 #섭덕총 #비서성교감 #경정상 #권지직한림원사 #시경 #곽만 #서경 #이자연 #평장사 #왕총지 #개경 #왕이보 #최원준 #팔관회 #장경사 #횡선사 #태주자사 #야율굉 #김정준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우간의대부 #왕종량 #상서호부시랑 #안민보 #태황태후 #상서공부시랑 #최계유 #지맹 #궤장 #김원정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김현 #참지정사 #한공서 #상서우복야 #어사대
-
정종정종 5년(1039) 기묘년정종 5년(1039) 기묘년五年 春正月 辛丑 祭雨師. 丙午 以工部尙書元穎爲春夏番西北路兵馬使, 大府少卿楊帶春副之, 右散騎常侍秦玄錫爲東路兵馬使, 殿中侍御史林宗翰․王夷甫副之. 二月 壬戌朔 遣殿中監李成功如契丹, 獻方物. 丁卯 遣戶部郞中庾先, 謝安撫, 仍請罷鴨江東加築城堡. 乙亥 …
-
문종문종 11년(1057) 정유년문종 11년(1057) 정유년十一年 春正月 戊寅朔 放朝賀. 己丑 以高維爲右拾遺. 中書省奏, “維系出耽羅, 不合諫省, 如惜其才, 請授他官.” 從之. 乙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二月 癸酉 設消灾道場于乾德殿五日. 三月 乙酉 契丹遣蕭繼從․王守拙, 來冊王, 詔曰, …#고유 #우습유 #중서성 #탐라 #간성 #황주 #건덕전 #소재도량 #소계종 #왕수졸 #천덕군 #절도사 #좌천우위 #대장군 #책봉사 #부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중서령 #상주국 #계림 #주몽 #환공 #문공 #정승 #정사 #부절 #상서령 #사보 #삼공 #소소 #시덕자 #이주관내 관찰사 #사농경 #왕훈 #수사농경 #순의군절도사 #삭무등주 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위 #동 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삼한국공 #이부 #시중 #최숙 #최무 #호부영사동정 #이유충 #동지중추원사 #임종일 #상서좌복야 #왕무숭 #어사대부 #김원황 #공부상서 #불일사 #거란 #궁구문 #우정 #송령 #승단배위관 #상참 #향직 #동정직 #장고 #산사 #서수 #근장군두 #이준 #수춘궁 #예부 #광주 #송악 #박연 #회화장군 #고도달 #흥성궁비 #검교공부상서 #야율가행 #동경지례회사사 #유원장군 #요어내 #장완 #태사국감후 #구정 #선정전 #섭덕총 #비서성교감 #경정상 #권지직한림원사 #시경 #곽만 #서경 #이자연 #평장사 #왕총지 #개경 #왕이보 #최원준 #팔관회 #장경사 #횡선사 #태주자사 #야율굉 #김정준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우간의대부 #왕종량 #상서호부시랑 #안민보 #태황태후 #상서공부시랑 #최계유 #지맹 #궤장 #김원정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김현 #참지정사 #한공서 #상서우복야 #어사대
-
종실(宗室)현종(顯宗) 왕자현종顯宗 왕자현종은 아들 다섯을 두었다. 원성태후(元成太后) 김씨(金氏)는 덕종․정종(靖宗)을 낳았다. 원혜왕후(元惠王后) 김씨(金氏)는 문종․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를 낳았다. 궁인 한씨(韓氏)는 검교태사(檢校太師) 왕충(王忠)을 낳았다. 1…#현종 #원성태후 #덕종 #정종 #원혜왕후 #문종 #평양공 #검교태사 #왕충 #홍인숭효광덕공신 #수태위 #상서령 #개성국공 #수태보 #책문 #보옥 #제왕 #왕기 #구석 #삼공 #품계 #훈작 #시의 #수태사 #내사령 #중서령 #정간왕 #왕진 #왕거 #왕영 #태위 #사공 #교위 #거신 #역모 #장선 #해남 #평장사 #왕무숭 #장녕궁주 #이씨 #수안택주 #왕정 #안동 #곡주 #보령궁주 #낙랑백 #수사도 #헌종 #개부의동삼사 #후 #숙종 #수충공신 #식읍 #식실봉 #경안 #왕지 #검교상서우복야 #검교사공 #흥수공주 #특진 #검교사도 #수사공 #승화백 #찬화공신 #왕재 #검교우복야 #예종 #승덕공주 #왕성 #왕박 #왕평 #신안백 #강종 #왕원 #계성후 #왕경 #왕춘 #왕희 #청화후 #왕온 #왕서 #왕준 #승화후 #삼별초 #반란 #진도 #몽고 #왕옹 #홍다구 #왕환 #단양백 #장양공 #영녕공 #예구대왕 #충주 #고종 #원나라 #입시 #고려국왕 #아무간 #차라대 #상주 #낭장 #채취화 #내수 #정자명 #동경총관 #홍복원 #진킴태자 #왕함 #왕시 #왕화 #왕림 #신안후 #왕미 #광화후 #왕형 #왕구 #영인후 #사도 #왕연 #정윤 #왕빈 #영녕군 #화의군 #화의대군 #남해 #왕선 #왕의 #양양군 #왕규 #수연군 #원윤 #덕풍부원군 #수흥군 #왕복 #보령군 #왕유 #함녕후 #하원공 #왕전 #신안공 #한남군 #명종 #연희궁주 #불교 #도교 #숙의 #신종 #경녕궁주 #시흥백 #회안공 #살리타이 #요배 #동락 #계양후 #신양백 #수흥궁주 #왕숙 #왕징 #제안공 #원종 #경안궁주 #충렬왕 #정녕원비 #삼사 #대군 #충선왕 #정동성 #신언경 #제안대군 #삼중대광 #부원대군 #왕현 #순정군 #인종 #바얀쿠둑 #한림학사 #향 #서해도 #주군 #해주 #관인 #도당 #역마 #요양 #망해 #단사관 #중란합리합적 #영사 #구우직 #사신 #행성 #회인군 #왕상 #순인대군 #대방공 #의관자제 #뚤루게 #백은 #중원공 #왕순 #왕우 #왕수 #회안대군 #왕증 #왕당 #익성부원군 #왕완 #왕집 #익창군 #익천군 #익산군 #공양왕 #숙녕궁주 #창녕군 #영원군 #창원군 #낙랑군 #왕방 #순안군 #동지밀직사사 #조반 #왕격 #왕담 #영복군 #찬성사 #권중화 #사은사 #명나라 #왕회 #순녕군 #성균사예 #유백순 #대성 #형조 #자은사 #요동 #정벌 #회군 #창왕 #변란 #유생 #정도전 #족보 #견주 #기주 #의종 #안정궁주 #함녕백 #상주국 #연창군 #최충수 #최충헌 #박진재 #검교호부상서 #주국 #검교태사 왕충
-
종실(宗室)현종(顯宗) 왕자현종顯宗 왕자顯宗五子. 元成太后金氏, 生德宗․靖宗. 元惠王后金氏, 生文宗․平壤公基. 宮人韓氏, 生檢校太師忠. 平壤公基, 顯宗十二年, 命名賜禮物. 二十二年, 冊爲弘引崇孝光德功臣守太尉兼尙書令開城國公. 靖宗初, 冊加守太…#현종 #원성태후 #덕종 #정종 #원혜왕후 #문종 #평양공 #검교태사 #왕충 #홍인숭효광덕공신 #수태위 #상서령 #개성국공 #수태보 #책문 #보옥 #제왕 #왕기 #구석 #삼공 #품계 #훈작 #시의 #수태사 #내사령 #중서령 #정간왕 #왕진 #왕거 #왕영 #태위 #사공 #교위 #거신 #역모 #장선 #해남 #평장사 #왕무숭 #장녕궁주 #이씨 #수안택주 #왕정 #안동 #곡주 #보령궁주 #낙랑백 #수사도 #헌종 #개부의동삼사 #후 #숙종 #수충공신 #식읍 #식실봉 #경안 #왕지 #검교상서우복야 #검교사공 #흥수공주 #특진 #검교사도 #수사공 #승화백 #찬화공신 #왕재 #검교우복야 #예종 #승덕공주 #왕성 #왕박 #왕평 #신안백 #강종 #왕원 #계성후 #왕경 #왕춘 #왕희 #청화후 #왕온 #왕서 #왕준 #승화후 #삼별초 #반란 #진도 #몽고 #왕옹 #홍다구 #왕환 #단양백 #장양공 #영녕공 #예구대왕 #충주 #고종 #원나라 #입시 #고려국왕 #아무간 #차라대 #상주 #낭장 #채취화 #내수 #정자명 #동경총관 #홍복원 #진킴태자 #왕함 #왕시 #왕화 #왕림 #신안후 #왕미 #광화후 #왕형 #왕구 #영인후 #사도 #왕연 #정윤 #왕빈 #영녕군 #화의군 #화의대군 #남해 #왕선 #왕의 #양양군 #왕규 #수연군 #원윤 #덕풍부원군 #수흥군 #왕복 #보령군 #왕유 #함녕후 #하원공 #왕전 #신안공 #한남군 #명종 #연희궁주 #불교 #도교 #숙의 #신종 #경녕궁주 #시흥백 #회안공 #살리타이 #요배 #동락 #계양후 #신양백 #수흥궁주 #왕숙 #왕징 #제안공 #원종 #경안궁주 #충렬왕 #정녕원비 #삼사 #대군 #충선왕 #정동성 #신언경 #제안대군 #삼중대광 #부원대군 #왕현 #순정군 #인종 #바얀쿠둑 #한림학사 #향 #서해도 #주군 #해주 #관인 #도당 #역마 #요양 #망해 #단사관 #중란합리합적 #영사 #구우직 #사신 #행성 #회인군 #왕상 #순인대군 #대방공 #의관자제 #뚤루게 #백은 #중원공 #왕순 #왕우 #왕수 #회안대군 #왕증 #왕당 #익성부원군 #왕완 #왕집 #익창군 #익천군 #익산군 #공양왕 #숙녕궁주 #창녕군 #영원군 #창원군 #낙랑군 #왕방 #순안군 #동지밀직사사 #조반 #왕격 #왕담 #영복군 #찬성사 #권중화 #사은사 #명나라 #왕회 #순녕군 #성균사예 #유백순 #대성 #형조 #자은사 #요동 #정벌 #회군 #창왕 #변란 #유생 #정도전 #족보 #견주 #기주 #의종 #안정궁주 #함녕백 #상주국 #연창군 #최충수 #최충헌 #박진재 #검교호부상서 #주국 #검교태사 왕충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避馬式현종 즉위년(1010). 예의사(禮儀司)의 건의에 따라 문․무관이 길에서 만났을 때 행하는 상견례(相見禮)의 법식을 정하였다. 1품관과 마주쳤을 경우, 정3품 이상은 말 위에서 공손히 읍(揖)을 하고, 종3품 이하는 말에서 내려 길을 피한다. 3품관과 마주쳤을…#예의사 #상견례 #유품외 #잡리 #정요 #6상서 #9경 #친왕 #삼공 #제왕 #문반 #무반 #상장군 #대장군 #재신 #참지정사 #정당문학 #좌우복야 #급사중승 #남반 #선휘사 #제위장군 #인진사 #소경 #소감 #국자사업 #6국봉어 #제릉령 #태사령 #중랑장 #합문부사 #상참 #합문통사사인 #보궐 #전중 #참외 #낭장 #합문지후 #습유 #감찰 #별장 #숭반 #내전숭반 #공봉관 #산원 #시금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관 #중승 #잡단 #시어 #전중시어 #감찰어사 #이부시랑 #상서좌우승 #급사 #제조 #시신 #공후 #지제고 #낭사 #보유 #대부 #추밀 #근신
-
籍田先農籍田壇. 方三丈高五尺. 四出陛兩壝, 每壝二十五步. 瘞埳 埳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감(塪)’자이나 ‘감(埳)’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在內壝之外壬地,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孟春吉亥. 神位設神農氏位于壇上, 北方南向. 配以后稷氏位于壇上, 東方西向,…#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避馬式顯宗卽位 禮儀司奏, 定文武官路上相見禮. 一品官, 正三品以上, 馬上祗揖, 從三品以下, 下馬廻避. 三品官, 五品以上, 馬上祗揖, 六品以下, 下馬廻避. 四品官, 六品以上, 馬上祗揖, 七品以下, 下馬廻避. 五品官, 七品以上, 馬上祗揖, 八品以下, 下馬廻避. 六品官, …#예의사 #상견례 #유품외 #잡리 #정요 #6상서 #9경 #친왕 #삼공 #제왕 #문반 #무반 #상장군 #대장군 #재신 #참지정사 #정당문학 #좌우복야 #급사중승 #남반 #선휘사 #제위장군 #인진사 #소경 #소감 #국자사업 #6국봉어 #제릉령 #태사령 #중랑장 #합문부사 #상참 #합문통사사인 #보궐 #전중 #참외 #낭장 #합문지후 #습유 #감찰 #별장 #숭반 #내전숭반 #공봉관 #산원 #시금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관 #중승 #잡단 #시어 #전중시어 #감찰어사 #이부시랑 #상서좌우승 #급사 #제조 #시신 #공후 #지제고 #낭사 #보유 #대부 #추밀 #근신
-
정종 5년(1039) 기묘년5월 봄 정월 신축일. 우신(雨神)을 제사지냈다. 병오일. 공부상서(工部尙書) 원영(元穎) 원영(?~?) 상서좌복야를 지낸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징연[元徵衍․元徵演]의 아들로, 현종 ~정종 때 시병부원외랑(試兵部員外郞)․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
-
문종 11년(1057) 정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기축일. 고유(高維) 고유(?~?) 제주성주(濟州星主)를 지낸 제주 고씨(濟州高氏) 고자견(高自堅)의 아들로, 정종 11년(1045) 국자시[國子試․南省試]에 급제하고 이듬해 3월 지…
-
정종 5년(1039) 기묘년五年 春正月 辛丑 祭雨師. 丙午 以工部尙書元穎爲春夏番西北路兵馬使, 大府少卿楊帶春副之, 右散騎常侍秦玄錫爲東路兵馬使, 殿中侍御史林宗翰․王夷甫副之. 二月 壬戌朔 遣殿中監李成功如契丹, 獻方物. 丁卯 遣戶部郞中庾先, 謝安撫, 仍請罷鴨江東加築城堡. 乙亥 …
-
문종 11년(1057) 정유년十一年 春正月 戊寅朔 放朝賀. 己丑 以高維爲右拾遺. 中書省奏, “維系出耽羅, 不合諫省, 如惜其才, 請授他官.” 從之. 乙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二月 癸酉 設消灾道場于乾德殿五日. 三月 乙酉 契丹遣蕭繼從․王守拙, 來冊王, 詔曰, …
-
현종顯宗 왕자현종은 아들 다섯을 두었다. 원성태후(元成太后) 김씨(金氏)는 덕종․정종(靖宗)을 낳았다. 원혜왕후(元惠王后) 김씨(金氏)는 문종․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를 낳았다. 궁인 한씨(韓氏)는 검교태사(檢校太師) 왕충(王忠)을 낳았다. 1…
-
현종顯宗 왕자顯宗五子. 元成太后金氏, 生德宗․靖宗. 元惠王后金氏, 生文宗․平壤公基. 宮人韓氏, 生檢校太師忠. 平壤公基, 顯宗十二年, 命名賜禮物. 二十二年, 冊爲弘引崇孝光德功臣守太尉兼尙書令開城國公. 靖宗初, 冊加守太…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
-
避馬式현종 즉위년(1010). 예의사(禮儀司)의 건의에 따라 문․무관이 길에서 만났을 때 행하는 상견례(相見禮)의 법식을 정하였다. 1품관과 마주쳤을 경우, 정3품 이상은 말 위에서 공손히 읍(揖)을 하고, 종3품 이하는 말에서 내려 길을 피한다. 3품관과 마주쳤을…
-
籍田先農籍田壇. 方三丈高五尺. 四出陛兩壝, 每壝二十五步. 瘞埳 埳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감(塪)’자이나 ‘감(埳)’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在內壝之外壬地,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孟春吉亥. 神位設神農氏位于壇上, 北方南向. 配以后稷氏位于壇上, 東方西向,…
-
避馬式顯宗卽位 禮儀司奏, 定文武官路上相見禮. 一品官, 正三品以上, 馬上祗揖, 從三品以下, 下馬廻避. 三品官, 五品以上, 馬上祗揖, 六品以下, 下馬廻避. 四品官, 六品以上, 馬上祗揖, 七品以下, 下馬廻避. 五品官, 七品以上, 馬上祗揖, 八品以下, 下馬廻避. 六品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