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사』 찬수(纂修) 범례纂修 高麗史 凡例1. 세가(世家) 『사기(史記)』를 상고하건대 천자(天子)는 기(紀)라 하고 제후(諸侯)는 세가(世家)라 하였으니, 이제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함에 있어서 왕기(王紀)를 세가(世家)라고 함으로써 명분을 바르게 한다. 그 서법(書法)은 『한서…
-
인종인종 23년(1145) 을축년인종 23년(1145) 을축년23년 봄 정월 계축일. 금나라에서 한림직학사(翰林直學士) 조동(趙洞)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묘일. 왕이 수문전(修文殿)에 친히 도량(道場) 도량 법회(法會)․법석(法席)․재(齋)라고도 하는 불교의식 가운데 하나인 도량은 고려시대 …#금나라 #한림직학사 #조동 #수문전 #도량 #사신 #대관전 #신중원 #외제석원 #추밀원부사 #박정유 #합문통사사인 #서공 #동경 #왕륜사 #명인전 #불정도량 #최재 #동지추밀원사 #태자빈객 #보제사 #이자겸 #우박 #정당문학 #참지정사 #이지저 #소재도량 #조문진 #봉은사 #횡선사 #태부감 #완안사해 #북계 #창주 #삭주 #귀주 #의주 #정주 #용주 #철주 #서해도 #누리 #한유충 #판상서예부사 #수국사 #태자소보 #왕충 #수사공 #판공부사 #추밀원사 #판삼사사 #이인실 #김정순 #안화사 #선경전 #백좌도량 #승려 #우상시 #배경성 #간의대부 #최함 #법운사 #승신교위비기위 #왕호고 #보빙사 #차위위경 #정언심 #차호부시랑 #안작유 #차전중소감 #이지정 #차예빈소경 #이인위 #차예부시랑 #예낙전 #만수절 #김부식 #삼국사 #임원애 #수태보 #판서경유수사 #최진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 #문하평장사 #태자소사 #최관 #상서좌우복야 #호부상서 #지추밀원사
-
『고려사』 찬수(纂修) 범례纂修 高麗史 凡例一, 世家, 按史記, 天子曰紀, 諸侯曰世家, 今纂高麗史, 王紀爲世家, 以正名分. 其書法, 準兩漢書及元史, 事實與言辭, 皆書之. 凡稱宗, 稱陛下太后太子節日制詔之類, 雖涉僭踰, 今從當時所稱, 書之, 以存其實. 如圓丘籍田燃燈八關等常事, 書初見, 以着其例, 若親行則必…
-
인종인종 23년(1145) 을축년인종 23년(1145) 을축년二十三年 春正月 癸丑 金遣翰林直學士趙洞來, 賀生辰. 乙卯 親設道場於脩文殿. 丙辰 宴金使於大觀殿. 壬申 幸神衆院. 甲戌 幸外帝釋院. 二月 丁亥 樞密院副使朴挺蕤來. 三月 庚戌 遣閤門通事舍人徐恭, 如金東京. 甲寅 幸王輪寺. 設佛頂…#금나라 #한림직학사 #조동 #수문전 #도량 #사신 #대관전 #신중원 #외제석원 #추밀원부사 #박정유 #합문통사사인 #서공 #동경 #왕륜사 #명인전 #불정도량 #최재 #동지추밀원사 #태자빈객 #보제사 #이자겸 #우박 #정당문학 #참지정사 #이지저 #소재도량 #조문진 #봉은사 #횡선사 #태부감 #완안사해 #북계 #창주 #삭주 #귀주 #의주 #정주 #용주 #철주 #서해도 #누리 #한유충 #판상서예부사 #수국사 #태자소보 #왕충 #수사공 #판공부사 #추밀원사 #판삼사사 #이인실 #김정순 #안화사 #선경전 #백좌도량 #승려 #우상시 #배경성 #간의대부 #최함 #법운사 #승신교위비기위 #왕호고 #보빙사 #차위위경 #정언심 #차호부시랑 #안작유 #차전중소감 #이지정 #차예빈소경 #이인위 #차예부시랑 #예낙전 #만수절 #김부식 #삼국사 #임원애 #수태보 #판서경유수사 #최진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 #문하평장사 #태자소사 #최관 #상서좌우복야 #호부상서 #지추밀원사
-
제신(諸臣)김부식(金富軾)김부식金富軾김부식(金富軾) 김부식(1075~1151) 국자좨주(國子祭酒)․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낸 경주 김씨(慶州金氏) 김근(金覲)의 아들로, 숙종 원년(1096) 3월 지공거 최사추(崔思諏)와 동지공거 임성개(林成槩)가 주관한 과거에 김보신(金輔臣) 등과 함께 급…#김부식 #김부일 #안서대도호부 #사록참군사 #직한림원 #우사간 #중서사인 #인종 #이자겸 #양부 #양제 #보문각학사 #정극영 #어사잡단 #최유 #보문각대제 #한나라 #고조 #불기후 #정현 #동진 #목제 #저태후 #박사 #서선 #위제 #의례 #오복 #소공 #강후현 #박승중 #예부시랑 #분황 #교방 #종묘제례 #분묘 #당나라 #현종 #평장사 #김약온 #시랑 #어사대부 #호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수사공 #묘청 #서경 #간관 #조광 #유참 #반역 #김정순 #정정숙 #노영거 #임영 #윤언이 #이진 #고당유 #유영 #이부상서 #김부의 #좌군 #김단 #이유 #이유개 #윤언민 #지어사대사 #이주연 #우군 #진숙 #양우충 #진경보 #왕수 #양계 #정지상 #김안 #백수한 #천복전 #부월 #마천정 #금교역 #전원직 #홍이서 #이중부 #생양역 #역리 #평주 #백령진 #보산역 #관산역 #사암역 #신성부곡 #성주 #군리 #노인해 #연주 #안북대도호부 #동계 #녹사 #김자호 #평주판관 #김순부 #유호 #분사대부경 #윤첨 #소감 #조창언 #대장군 #곽응소 #낭장 #서정 #백녹진 #재상 #문공인 #한유충 #안북 #개경 #법사 #대간 #은약합 #육군 #전중시어사 #김부 #내시 #황문상 #이덕경 #삼군 #종묘사직 #중군 #천덕부 #흥복사 #중흥사 #대동강 #김양수 #양제보 #원외랑 #김정 #합문지후 #최자영 #직장 #권경량 #후군 #낭중 #왕의 #전용 #안보구 #전군 #선요문 #다경루 #내시지후 #정습명 #제위보부사 #허순 #잡직서령 #왕식 #순화현 #남강 #상장군 #이녹천 #김태수 #정준 #윤유한 #군후 #위통원 #철도 #마탄 #자포 #관선 #병선 #병장기 #북계 #주진 #오군 #왕성강 #근신 #최포항 #조석 #조서영 #강우 #품선 #금나라 #북조 #서도 #운제 #충차 #양명포 #장군 #의보 #방재 #노충 #적선 #쇠뇌 #석포 #조언 #박광유 #상숭 #우방재 #김숙 #김선 #권정균 #지석숭 #형부원외랑 #박정명 #김예웅 #중도 #전중내급사 #이후 #좌도 #이영장 #김신련 #우도 #공직 #양맹 #당포 #양명문 #연정문 #함원문 #흥례문 #광덕문 #유위후 #팽숙 #김현근 #정선 #유한후 #정극승 #최공비 #조선 #김택승 #최영 #이인실 #시어사 #이식 #어사 #김정황 #관풍전 #신지충 #병장사 #감검창고사 #이약눌 #객관수영사 #최포칭 #백사청 #신유일 #경창문 #병마장좌 #성황신묘 #병마판관 #노수 #후한 #광무제 #외효 #덕종 #희열 #운괴 #뇌차 #원묘 #의관 #옥좌 #황린 #덕선 #판관 #윤주형 #주부 #김지 #조의부 #장사 #나손언 #분사호부상서 #송선유 #장서기 #오선각 #대창승 #정총 #유수관 #노령거 #의학박사 #김공정 #위근영 #한유관 #안덕칭 #김영년 #이영 #김신 #김치 #이자기 #조간 #정덕환 #좌승선 #이지저 #전중소감 #임의 #의복 #절령 #장상 #수충정난정국공신 #검교태보 #수태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감수국사 #상주국 #태자태보 #부사 #은 #비단 #능라 #검교태사 #집현전대학사 #태자태사 #사마광 #왕안석 #국자좨주 #임광 #금 #쌀 #베 #약재 #동덕찬화공신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사 #최산보 #화주 #의종 #낙랑군개국후 #문열 #송나라 #사신 #노윤적 #관반 #서긍 #고려도경 #사국 #중서령 #김돈중 #김돈시 #상서우승 #정중부
-
제신(諸臣)김부식(金富軾)김부식金富軾金富軾, 富佾之弟. 肅宗時登第, 補安西大都護府司錄叅軍事, 考滿, 直翰林院, 歷右司諫中書舍人. 仁宗卽位, 李資謙, 以國舅當國, 王詔, “資謙於朕爲外祖, 班次禮數不可與百官同. 兩府兩制及諸侍從官, 其會議以聞.” 寶文閣學士鄭克永御史雜端崔濡議曰, “傳云天子有不臣者三, …#김부식 #김부일 #안서대도호부 #사록참군사 #직한림원 #우사간 #중서사인 #인종 #이자겸 #양부 #양제 #보문각학사 #정극영 #어사잡단 #최유 #보문각대제 #한나라 #고조 #불기후 #정현 #동진 #목제 #저태후 #박사 #서선 #위제 #의례 #오복 #소공 #강후현 #박승중 #예부시랑 #분황 #교방 #종묘제례 #분묘 #당나라 #현종 #평장사 #김약온 #시랑 #어사대부 #호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수사공 #묘청 #서경 #간관 #조광 #유참 #반역 #김정순 #정정숙 #노영거 #임영 #윤언이 #이진 #고당유 #유영 #이부상서 #김부의 #좌군 #김단 #이유 #이유개 #윤언민 #지어사대사 #이주연 #우군 #진숙 #양우충 #진경보 #왕수 #양계 #정지상 #김안 #백수한 #천복전 #부월 #마천정 #금교역 #전원직 #홍이서 #이중부 #생양역 #역리 #평주 #백령진 #보산역 #관산역 #사암역 #신성부곡 #성주 #군리 #노인해 #연주 #안북대도호부 #동계 #녹사 #김자호 #평주판관 #김순부 #유호 #분사대부경 #윤첨 #소감 #조창언 #대장군 #곽응소 #낭장 #서정 #백녹진 #재상 #문공인 #한유충 #안북 #개경 #법사 #대간 #은약합 #육군 #전중시어사 #김부 #내시 #황문상 #이덕경 #삼군 #종묘사직 #중군 #천덕부 #흥복사 #중흥사 #대동강 #김양수 #양제보 #원외랑 #김정 #합문지후 #최자영 #직장 #권경량 #후군 #낭중 #왕의 #전용 #안보구 #전군 #선요문 #다경루 #내시지후 #정습명 #제위보부사 #허순 #잡직서령 #왕식 #순화현 #남강 #상장군 #이녹천 #김태수 #정준 #윤유한 #군후 #위통원 #철도 #마탄 #자포 #관선 #병선 #병장기 #북계 #주진 #오군 #왕성강 #근신 #최포항 #조석 #조서영 #강우 #품선 #금나라 #북조 #서도 #운제 #충차 #양명포 #장군 #의보 #방재 #노충 #적선 #쇠뇌 #석포 #조언 #박광유 #상숭 #우방재 #김숙 #김선 #권정균 #지석숭 #형부원외랑 #박정명 #김예웅 #중도 #전중내급사 #이후 #좌도 #이영장 #김신련 #우도 #공직 #양맹 #당포 #양명문 #연정문 #함원문 #흥례문 #광덕문 #유위후 #팽숙 #김현근 #정선 #유한후 #정극승 #최공비 #조선 #김택승 #최영 #이인실 #시어사 #이식 #어사 #김정황 #관풍전 #신지충 #병장사 #감검창고사 #이약눌 #객관수영사 #최포칭 #백사청 #신유일 #경창문 #병마장좌 #성황신묘 #병마판관 #노수 #후한 #광무제 #외효 #덕종 #희열 #운괴 #뇌차 #원묘 #의관 #옥좌 #황린 #덕선 #판관 #윤주형 #주부 #김지 #조의부 #장사 #나손언 #분사호부상서 #송선유 #장서기 #오선각 #대창승 #정총 #유수관 #노령거 #의학박사 #김공정 #위근영 #한유관 #안덕칭 #김영년 #이영 #김신 #김치 #이자기 #조간 #정덕환 #좌승선 #이지저 #전중소감 #임의 #의복 #절령 #장상 #수충정난정국공신 #검교태보 #수태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감수국사 #상주국 #태자태보 #부사 #은 #비단 #능라 #검교태사 #집현전대학사 #태자태사 #사마광 #왕안석 #국자좨주 #임광 #금 #쌀 #베 #약재 #동덕찬화공신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사 #최산보 #화주 #의종 #낙랑군개국후 #문열 #송나라 #사신 #노윤적 #관반 #서긍 #고려도경 #사국 #중서령 #김돈중 #김돈시 #상서우승 #정중부
-
백관지(百官志)상서성(尙書省)尙書省태조는 태봉(泰封)의 제도를 답습해 광평성(廣評省)을 설치하고 백관을 모두 통솔하게 했는데, 여기에는 시중(侍中)․시랑(侍郞)․낭중(郎中)․원외랑(員外郞)이 있었다. 있었다 광평성은 태봉 최고의 관부였는데, 왕위에 오른 고려 태조 왕건은 그 체제를 그대로 두고…
-
백관지(百官志)상서성(尙書省)尙書省太祖仍泰封之制, 置廣評省, 摠領百官, 有侍中․侍郞․郞中․員外郞【太祖時, 又有內奉省. 三國史云, ‘內奉省, 卽今都省.’ 沿革與此不同.】成宗元年, 改廣評省, 爲御事都省, 十四年, 改尙書都省. 文宗定尙書令一人, 秩從一品, 左右僕射, 各一人正二品, 知省事一人從二品, …
-
纂修 高麗史 凡例1. 세가(世家) 『사기(史記)』를 상고하건대 천자(天子)는 기(紀)라 하고 제후(諸侯)는 세가(世家)라 하였으니, 이제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함에 있어서 왕기(王紀)를 세가(世家)라고 함으로써 명분을 바르게 한다. 그 서법(書法)은 『한서…
-
인종 23년(1145) 을축년23년 봄 정월 계축일. 금나라에서 한림직학사(翰林直學士) 조동(趙洞)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묘일. 왕이 수문전(修文殿)에 친히 도량(道場) 도량 법회(法會)․법석(法席)․재(齋)라고도 하는 불교의식 가운데 하나인 도량은 고려시대 …
-
纂修 高麗史 凡例一, 世家, 按史記, 天子曰紀, 諸侯曰世家, 今纂高麗史, 王紀爲世家, 以正名分. 其書法, 準兩漢書及元史, 事實與言辭, 皆書之. 凡稱宗, 稱陛下太后太子節日制詔之類, 雖涉僭踰, 今從當時所稱, 書之, 以存其實. 如圓丘籍田燃燈八關等常事, 書初見, 以着其例, 若親行則必…
-
인종 23년(1145) 을축년二十三年 春正月 癸丑 金遣翰林直學士趙洞來, 賀生辰. 乙卯 親設道場於脩文殿. 丙辰 宴金使於大觀殿. 壬申 幸神衆院. 甲戌 幸外帝釋院. 二月 丁亥 樞密院副使朴挺蕤來. 三月 庚戌 遣閤門通事舍人徐恭, 如金東京. 甲寅 幸王輪寺. 設佛頂…
-
김부식金富軾김부식(金富軾) 김부식(1075~1151) 국자좨주(國子祭酒)․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낸 경주 김씨(慶州金氏) 김근(金覲)의 아들로, 숙종 원년(1096) 3월 지공거 최사추(崔思諏)와 동지공거 임성개(林成槩)가 주관한 과거에 김보신(金輔臣) 등과 함께 급…
-
김부식金富軾金富軾, 富佾之弟. 肅宗時登第, 補安西大都護府司錄叅軍事, 考滿, 直翰林院, 歷右司諫中書舍人. 仁宗卽位, 李資謙, 以國舅當國, 王詔, “資謙於朕爲外祖, 班次禮數不可與百官同. 兩府兩制及諸侍從官, 其會議以聞.” 寶文閣學士鄭克永御史雜端崔濡議曰, “傳云天子有不臣者三, …
-
尙書省태조는 태봉(泰封)의 제도를 답습해 광평성(廣評省)을 설치하고 백관을 모두 통솔하게 했는데, 여기에는 시중(侍中)․시랑(侍郞)․낭중(郎中)․원외랑(員外郞)이 있었다. 있었다 광평성은 태봉 최고의 관부였는데, 왕위에 오른 고려 태조 왕건은 그 체제를 그대로 두고…
-
尙書省太祖仍泰封之制, 置廣評省, 摠領百官, 有侍中․侍郞․郞中․員外郞【太祖時, 又有內奉省. 三國史云, ‘內奉省, 卽今都省.’ 沿革與此不同.】成宗元年, 改廣評省, 爲御事都省, 十四年, 改尙書都省. 文宗定尙書令一人, 秩從一品, 左右僕射, 各一人正二品, 知省事一人從二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