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현종 10년(1019) 기미년현종 10년(1019) 기미년10년 봄 정월 신유일. 소손녕(蕭遜寧)이 신은현(新恩縣)(지금의 황해북도 신계군)까지 진군했는데, 개경과는 불과 1백 리의 거리였다. 왕은 성 밖의 민가를 성안으로 몰아넣고 적이 사용하지 못하게 들판의 곡식을 다 거두게 한 다음 적을 기다리게 했다.…#소손녕 #신은현 #개경 #야율호덕 #통덕문 #금교역 #우나 #귀주 #강감찬 #상서우복야 #전보인 #명경과 #학관 #영파역 #명복전 #삼군 #일식 #상서좌복야 #문인위 #통주도부서 #유백부 #이응보 #강민첨 #응양군 #상장군 #주국 #유참 #예빈경 #김종현 #예부원외랑 #나사 #아로태 #신사 #진명선병도부서 #장위남 #공역령 #정자량 #태백성 #동경문적원소감 #오장공 #철리국 #나사불 #나민 #상서예부시랑 #우간의대부 #이원 #상서좌․우복야 #천주 #진문궤 #아라불 #복주 #우선 #우산국 #최원신 #이수화 #송나라 #동경사 #공부소경 #고응수 #고공원외랑 #이인택 #동경 #문하시중 #유진 #모일라 #태사 #수창궁 #탐라 #흑수 #유소 #사헌중승 #양절 #망난 #문하시랑 #내사문하평장사 #강남 #주현 #정호 #상산 #이천현 #수안현 #협계현 #우봉군 #태조 #현릉 #왕서 #연덕궁 #구돌라 #최사위 #청하현개국남 #우산기상시 #유방 #천승현개국남 #채충순 #제양현개국남 #혜성
-
의종의종 24년(1170) 경인년의종 24년(1170) 경인년24년 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대관전(大觀殿)에서 신년 하례를 받고는 친히 신료가 올리는 하례의 표문을 지어 신하들에게 보여주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해 정월이 돌아오니 만물이 새로우며 궁전에 봄이 돌아오니 용안에는 …#대관전 #신년 하례 #요 #순 #금나라 #일본국 #간자 #봉원전 #서경 #연등회 #봉은사 #영통사 #화엄회 #백관 #광화문 #관현방 #대악서 #수놓은 비단 #산호 #대모 #국자학관 #승선 #김돈중 #노영순 #임종식 #봉은전 #대원공 #왕효 #중서시랑평장사 #허홍재 #지문하성사 #최온 #판중군병마사 #동지추밀원사 #서순 #추밀원부사 #이광진 #중군병마사 #연복정 #지어사대사 #이복기 #기거주 #한뢰 #화평재 #낭성 #서해도안렴사 #박순하 #노인성 #역마 #서강 #현화사 #노인당 #우부승선 #해주 #상산 #내전 #초제 #충주목부사 #최광균 #죽장사 #수성 #연복사 #시신 #금내육관 #복원궁 #평장사 #상춘정 #좌승선 #충주 #판예빈성사 #김우번 #낭중 #진역승 #진관사 #별은기소 #금꽃 #은꽃 #금그릇 #옥그릇 #내시 #황문장 #태평호문지주 #염현사 #전중감 #김천 #재추 #대간 #편전 #홍정 #서대 #국자박사 #직한림원 #동문원 #보현원 #일식 #옷 #장신구 #술 #고기 #건포 #과일 #문하시랑 동 평장사 #참지정사 #양순정 #지추밀원사 #상서좌복야 #판비서성사 #동강 #서재 #수주 #지주사 #오록지 #흥왕사 #오병수박희 #어가 #이고 #이의방 #순검군 #개경 #정중부 #강안전 #환관 #수문전 #채원 #양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익양공 #왕호 #명종 #김보당 #계림 #이의민 #곤원사 #장효 #묘호 #의종 #희릉 #강과
-
현종현종 10년(1019) 기미년현종 10년(1019) 기미년十年 春正月 辛酉 蕭遜寧至新恩縣, 去京城百里. 王命收城外民戶入內, 淸野以待. 遜寧遣耶律好德賚書, 至通德門, 告以回軍. 潛遣候騎三百餘, 至金郊驛, 我遣兵一百, 乘夜掩殺之. 丙子 東女眞酋長于那等來朝. 二月 己丑朔 丹兵過龜州, 邯贊等邀戰, 大敗之, …#소손녕 #신은현 #개경 #야율호덕 #통덕문 #금교역 #우나 #귀주 #강감찬 #상서우복야 #전보인 #명경과 #학관 #영파역 #명복전 #삼군 #일식 #상서좌복야 #문인위 #통주도부서 #유백부 #이응보 #강민첨 #응양군 #상장군 #주국 #유참 #예빈경 #김종현 #예부원외랑 #나사 #아로태 #신사 #진명선병도부서 #장위남 #공역령 #정자량 #태백성 #동경문적원소감 #오장공 #철리국 #나사불 #나민 #상서예부시랑 #우간의대부 #이원 #상서좌․우복야 #천주 #진문궤 #아라불 #복주 #우선 #우산국 #최원신 #이수화 #송나라 #동경사 #공부소경 #고응수 #고공원외랑 #이인택 #동경 #문하시중 #유진 #모일라 #태사 #수창궁 #탐라 #흑수 #유소 #사헌중승 #양절 #망난 #문하시랑 #내사문하평장사 #강남 #주현 #정호 #상산 #이천현 #수안현 #협계현 #우봉군 #태조 #현릉 #왕서 #연덕궁 #구돌라 #최사위 #청하현개국남 #우산기상시 #유방 #천승현개국남 #채충순 #제양현개국남 #혜성
-
의종의종 24년(1170) 경인년의종 24년(1170) 경인년二十四年 春正月 壬子朔 王受賀於大觀殿, 親製臣僚賀表, 宣示群臣, 表曰, “三陽應序, 萬物惟新, 玉殿春回, 龍顔慶洽. 體一元而敷惠, 斂諸福以大和, 是大人道長之初, 乃陽德氣萌之始. 恭惟陛下, 重高之聖哲, 疊舜之聰明, 百福是叢, 新又新而不息, 天齡更固, 月復月以無期…#대관전 #신년 하례 #요 #순 #금나라 #일본국 #간자 #봉원전 #서경 #연등회 #봉은사 #영통사 #화엄회 #백관 #광화문 #관현방 #대악서 #수놓은 비단 #산호 #대모 #국자학관 #승선 #김돈중 #노영순 #임종식 #봉은전 #대원공 #왕효 #중서시랑평장사 #허홍재 #지문하성사 #최온 #판중군병마사 #동지추밀원사 #서순 #추밀원부사 #이광진 #중군병마사 #연복정 #지어사대사 #이복기 #기거주 #한뢰 #화평재 #낭성 #서해도안렴사 #박순하 #노인성 #역마 #서강 #현화사 #노인당 #우부승선 #해주 #상산 #내전 #초제 #충주목부사 #최광균 #죽장사 #수성 #연복사 #시신 #금내육관 #복원궁 #평장사 #상춘정 #좌승선 #충주 #판예빈성사 #김우번 #낭중 #진역승 #진관사 #별은기소 #금꽃 #은꽃 #금그릇 #옥그릇 #내시 #황문장 #태평호문지주 #염현사 #전중감 #김천 #재추 #대간 #편전 #홍정 #서대 #국자박사 #직한림원 #동문원 #보현원 #일식 #옷 #장신구 #술 #고기 #건포 #과일 #문하시랑 동 평장사 #참지정사 #양순정 #지추밀원사 #상서좌복야 #판비서성사 #동강 #서재 #수주 #지주사 #오록지 #흥왕사 #오병수박희 #어가 #이고 #이의방 #순검군 #개경 #정중부 #강안전 #환관 #수문전 #채원 #양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익양공 #왕호 #명종 #김보당 #계림 #이의민 #곤원사 #장효 #묘호 #의종 #희릉 #강과
-
淸州牧본래 백제의 상당현(上黨縣)으로,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685)에 처음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 경덕왕 때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켰다. 태조 23년(940)에 청주(淸州)로 고쳤다. 성종 2년(983)에 처음 12목을 설치했는데 청주도 그 중 하…#백제 #상당현 #신라 #신문왕 #서원소경 #경덕왕 #서원경 #태조 #청주 #성종 #12목 #12주 절도사 #전절군 #중원도 #현종 #안무사 #8목 #속군 #속현 #지사부 #지사군 #현령관 #일모산군 #명종 #고종 #위사공신 #박희실 #문의현 #충렬왕 #가림 #대목악군 #대록군 #감무 #신정 #고구려 #금물노군 #만노군 #수지 #신지 #흑양군 #고려 #강주 #자사 #목종 #임연 #창의현 #원종 #지의령군사 #상산 #태령산 #만노군태수 #김서현 #만명 #유신 #구지현 #금지 #영현 #살매현 #도서현 #도서 #청연현 #두잉지현 #연산군 #목천감무 #원수산 #한희유 #김흔 #카다안 #정좌산 #웅진 #웅천하 #미곡현 #매곡 #회덕감무 #우왕
-
尙州牧본래 사벌국(沙伐國) 사벌국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소국으로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하며, 첨해이사금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삼국사기』 열전에는 당시 신라에 복속되었던 사량벌국이 이 때 백제로 붙자 토벌하여 항복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으로 신라 첨해왕(…#사벌국 #신라 #첨해왕 #법흥왕 #상주 #군주 #진흥왕 #상락군 #신문왕 #경덕왕 #혜공왕 #사벌주 #태조 #안동도독부 #성종 #12목 #12주 절도사 #귀덕군 #영남도 #현종 #안동대도호부 #상주안무사 #상락 #상산 #북면 #임하촌 #영순현 #낙동강 #공검 #명종 #사록 #최정빈 #속군 #속현 #지사부 #관문현 #관현 #고사갈이성 #관산 #고령군 #영현 #고려 #문희군 #공양왕 #감무 #가은현 #주흘산 #초점 #이화현 #곶갑천 #축산 #원산 #용주자사 #목종 #하풍진 #감문소국 #청주 #진평왕 #문무왕 #감문군 #삼년산군 #삼년군 #보령군 #속리산 #속리악 #중사 #고령가야국 #고동람군 #고릉군 #광종 #함녕군 #길동군 #계주자사 #현령 #인종 #일선 #굴산현 #돌산 #기산 #주성부곡 #근품현 #가유 #예천군 #답달비군 #답달 #화녕군 #대병부곡 #무동미지현 #갈동미지 #문소군 #아화옥현 #병옥 #아시혜현 #아을혜 #안현 #비옥 #도량현 #도안 #호측현 #배산성 #금물현 #음달 #개령군 #달이현 #다이 #보주 #인양 #음리화현 #청효현 #가해현 #가선 #문경 #일선군 #숭선군 #선주자사 #지선주사 #화의 #금오산 #노동멱현 #효령 #모혜현 #선주 #부림
-
進禮縣본래 백제의 진내군(進乃郡)【진잉을현(進仍乙縣)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 때 진례군(進禮郡)으로 고쳤으나 고려에 들어 현령관으로 강등시켰다. 충렬왕 31년(1305)에, 이 고을 사람 김신(金侁)이 원나라에 벼슬해 요양행성(遼陽行省) 요양행성 원나라가 요…
-
谷州본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덕돈홀(德頓忽), 혹은 곡성현(谷城縣), 혹은 고곡군(古谷郡)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 때 이름을 진서(鎭瑞)로 고쳐 영풍군(永豐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바꾸었다. 성종 14년(995)에 방어사를 두…
-
식화지(食貨志)농상(農桑)농상農桑농사와 양잠은 의식(衣食)의 근본으로 정치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사항이다. 태조께서 즉위하신 초기에 먼저 온 나라에 조서를 내려 3년 동안 전조(田租)를 면제해 주시고 농사와 양잠을 권장했으며, 민들과 더불어 한 숨을 돌리시었다. 성종 5년(…#태조 #전조 #12목 #주 #진 #수령 #목사 #서북면 #홍범 #금기방 #잡직방 #갑방 #강남 #도병마사 #흥화진 #우산국 #동북여진 #이원구 #동주 #수안 #곡주 #상산 #협계 #잠주 #신은 #거란 #개경 #정호 #백정 #백성 #어사대 #입춘 #안찰사 #문하성 #서북로병마사 #양대춘 #연주방어사 #장리 #군민 #방어부사 #소현 #이부 #동북로감창사 #교주방어사 #판관 #이유백 #연성 #장양 #동북로병마사 #영흥진 #군인 #성후 #상사직장 #정작염 #서경 #권농사 #둔전 #궁원전 #조가전 #군인전 #양호 #전호 #수양도감 #뽕나무 #밤나무 #옷나무 #닥나무 #7도 #감창사 #제서 #배나무 #대추나무 #민희 #경상주도 #손습경 #전라주도 #송국첨 #충청주도 #순문사 #산성 #조부 #기인 #휴한지 #권무 #정부 #제포 #와포 #좌둔전 #이포 #초포 #우둔전 #신흥창 #백은 #농무별감 #황주 #봉주 #원나라 #홍다구 #농무도감 #충청도 #서해도 #감찰사 #김상 #낭장 #김양수 #충선왕 #밀직제학 #백문보 #강회 #계수관 #직파 #이앙 #안렴사
-
淸州牧本百濟上黨縣, 新羅神文王五年, 初置西原小京. 景德王, 陞西原京. 太祖二十三年, 改爲淸州. 成宗二年, 初置十二牧, 州其一也. 十四年, 置十二州節度使, 號全節軍, 屬中原道. 顯宗三年, 廢爲安撫使. 九年, 定爲牧, 爲八牧之一. 屬郡二, 縣七. 領知事府一, 知事郡二,…#백제 #상당현 #신라 #신문왕 #서원소경 #경덕왕 #서원경 #태조 #청주 #성종 #12목 #12주 절도사 #전절군 #중원도 #현종 #안무사 #8목 #속군 #속현 #지사부 #지사군 #현령관 #일모산군 #명종 #고종 #위사공신 #박희실 #문의현 #충렬왕 #가림 #대목악군 #대록군 #감무 #신정 #고구려 #금물노군 #만노군 #수지 #신지 #흑양군 #고려 #강주 #자사 #목종 #임연 #창의현 #원종 #지의령군사 #상산 #태령산 #만노군태수 #김서현 #만명 #유신 #구지현 #금지 #영현 #살매현 #도서현 #도서 #청연현 #두잉지현 #연산군 #목천감무 #원수산 #한희유 #김흔 #카다안 #정좌산 #웅진 #웅천하 #미곡현 #매곡 #회덕감무 #우왕
-
현종 10년(1019) 기미년10년 봄 정월 신유일. 소손녕(蕭遜寧)이 신은현(新恩縣)(지금의 황해북도 신계군)까지 진군했는데, 개경과는 불과 1백 리의 거리였다. 왕은 성 밖의 민가를 성안으로 몰아넣고 적이 사용하지 못하게 들판의 곡식을 다 거두게 한 다음 적을 기다리게 했다.…
-
의종 24년(1170) 경인년24년 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대관전(大觀殿)에서 신년 하례를 받고는 친히 신료가 올리는 하례의 표문을 지어 신하들에게 보여주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해 정월이 돌아오니 만물이 새로우며 궁전에 봄이 돌아오니 용안에는 …
-
현종 10년(1019) 기미년十年 春正月 辛酉 蕭遜寧至新恩縣, 去京城百里. 王命收城外民戶入內, 淸野以待. 遜寧遣耶律好德賚書, 至通德門, 告以回軍. 潛遣候騎三百餘, 至金郊驛, 我遣兵一百, 乘夜掩殺之. 丙子 東女眞酋長于那等來朝. 二月 己丑朔 丹兵過龜州, 邯贊等邀戰, 大敗之, …
-
의종 24년(1170) 경인년二十四年 春正月 壬子朔 王受賀於大觀殿, 親製臣僚賀表, 宣示群臣, 表曰, “三陽應序, 萬物惟新, 玉殿春回, 龍顔慶洽. 體一元而敷惠, 斂諸福以大和, 是大人道長之初, 乃陽德氣萌之始. 恭惟陛下, 重高之聖哲, 疊舜之聰明, 百福是叢, 新又新而不息, 天齡更固, 月復月以無期…
-
淸州牧본래 백제의 상당현(上黨縣)으로,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685)에 처음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 경덕왕 때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켰다. 태조 23년(940)에 청주(淸州)로 고쳤다. 성종 2년(983)에 처음 12목을 설치했는데 청주도 그 중 하…
-
尙州牧본래 사벌국(沙伐國) 사벌국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소국으로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하며, 첨해이사금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삼국사기』 열전에는 당시 신라에 복속되었던 사량벌국이 이 때 백제로 붙자 토벌하여 항복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으로 신라 첨해왕(…
-
進禮縣본래 백제의 진내군(進乃郡)【진잉을현(進仍乙縣)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 때 진례군(進禮郡)으로 고쳤으나 고려에 들어 현령관으로 강등시켰다. 충렬왕 31년(1305)에, 이 고을 사람 김신(金侁)이 원나라에 벼슬해 요양행성(遼陽行省) 요양행성 원나라가 요…
-
谷州본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덕돈홀(德頓忽), 혹은 곡성현(谷城縣), 혹은 고곡군(古谷郡)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 때 이름을 진서(鎭瑞)로 고쳐 영풍군(永豐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바꾸었다. 성종 14년(995)에 방어사를 두…
-
농상農桑농사와 양잠은 의식(衣食)의 근본으로 정치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사항이다. 태조께서 즉위하신 초기에 먼저 온 나라에 조서를 내려 3년 동안 전조(田租)를 면제해 주시고 농사와 양잠을 권장했으며, 민들과 더불어 한 숨을 돌리시었다. 성종 5년(…
-
淸州牧本百濟上黨縣, 新羅神文王五年, 初置西原小京. 景德王, 陞西原京. 太祖二十三年, 改爲淸州. 成宗二年, 初置十二牧, 州其一也. 十四年, 置十二州節度使, 號全節軍, 屬中原道. 顯宗三年, 廢爲安撫使. 九年, 定爲牧, 爲八牧之一. 屬郡二, 縣七. 領知事府一, 知事郡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