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조이제현(李齊賢)의 논평이제현李齊賢의 논평이제현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충선왕은 일찍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태조께서 중국에서 태어났더라도 그 도량과 인격이 응당 송나라 태조(太祖)보다 덜하지 않았을 것이다. 송나라 태조는 주나라 세종(世宗)을 섬겼는데 세종은 현명한 군주로…
-
신종신종 3년(1200) 경신년신종 3년(1200) 경신년3년 봄 정월 초하루 무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하였다. ○ 예빈소경(禮賓少卿) 백원식(白元軾)을 금나라에 보내 신년을 하례하게 했다. 기유일. 최충헌(崔忠獻)이, 전국에 수감되어 있는 죄수들을 감형시켜 주고 또한 유배 중인 죄수 가…#예빈소경 #백원식 #금나라 #최충헌 #유배 #태백성 #원자 #왕연 #왕덕 #중서평장사 #이문충 #궁주 #보제사 #우박 #왕태자 #한사 #상사 #왕서 #덕양후 #묘통사 #소부감 #조통 #중랑장 #이당적 #진주 #안무사 #밀성 #관노 #은그릇 #운문 #이의민 #경주 #안찰사 #전원균 #방수 #별장 #통인 #금주 #부사 #이적유 #팔관회 #예부시랑 #유공헌 #함성절 #세종 #대정 #대관전 #사신 #최선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기홍수 #수태사 #주국 #임유 #수태부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 #안유부 #우부승선 #중서사인 #조준 #호부시랑 #우간의대부 #경주부유수 #방응교 #낭중 #위돈겸 #최무 #경주 수령 #이사경 #이백유 #이직재 #최용웅 #최대의
-
태조이제현(李齊賢)의 논평이제현李齊賢의 논평李齊賢賛曰, “忠宣王嘗言, ‘我太祖, 規模德量, 生於中國, 當不減宋太祖. 宋太祖事周世宗, 世宗賢主也, 待宋太祖甚厚, 宋太祖, 亦爲之盡力. 及恭帝幼冲, 政出太后, 迫于群情, 而受周禪, 盖出於不得已也. 我太祖事弓裔, 猜暴之君, 三韓之地, 裔有其二, 太祖之功也. 以…
-
신종신종 3년(1200) 경신년신종 3년(1200) 경신년三年 春正月 戊子朔 放朝賀. 遣禮賓少卿白元軾如金, 賀正. 己酉 崔忠獻奏, 減中外獄囚, 又計流人年月久近及老少, 原免. 二 二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삼(三)’으로 되어 있으나, ‘이(二)’로 바로잡는다.月 甲子 太白經天. …#예빈소경 #백원식 #금나라 #최충헌 #유배 #태백성 #원자 #왕연 #왕덕 #중서평장사 #이문충 #궁주 #보제사 #우박 #왕태자 #한사 #상사 #왕서 #덕양후 #묘통사 #소부감 #조통 #중랑장 #이당적 #진주 #안무사 #밀성 #관노 #은그릇 #운문 #이의민 #경주 #안찰사 #전원균 #방수 #별장 #통인 #금주 #부사 #이적유 #팔관회 #예부시랑 #유공헌 #함성절 #세종 #대정 #대관전 #사신 #최선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기홍수 #수태사 #주국 #임유 #수태부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 #안유부 #우부승선 #중서사인 #조준 #호부시랑 #우간의대부 #경주부유수 #방응교 #낭중 #위돈겸 #최무 #경주 수령 #이사경 #이백유 #이직재 #최용웅 #최대의
-
제신(諸臣)김자수(金子粹)김자수金子粹김자수(金子粹)는 자가 순중(純仲)이며 계림부(雞林府) 사람이다. 공민왕 말년에 과거에 장원급제해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벼슬을 받았다. 우왕 초에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당시 경상도 도순문사(都巡問使) 조민수가 밀성(密城)에서 왜구를 격파해 수십 명의 목을 …#김자수 #순중 #계림부 #과거 #덕녕부주부 #정언 #경상도 도순문사 #조민수 #밀성 #왜구 #김해 #대구 #순위부 #지윤 #대사헌 #하윤원 #유배 #도당 #밀직부사 #이보림 #우왕 #우사 #김속명 #간관 #전라도 #돌산수 #낭사 #간의대부 #정우 #경상도 #죽림수 #전교부령 #판사재시사 #성균대사성 #세자좌보덕 #삼한 #봉숭도감 #당나라 #한유 #헌종 #후한 #명제 #불교 #송 #제 #양 #진 #원위 #연복사 #교주도 #태묘 #송나라 #경공 #성왕 #신라 #태조 #금주령 #대성 #간신 #성균 생원 #박초 #태학 #걸 #선궁 #상랑 #주 #경궁 #녹대 #초 #영왕 #장화대 #여정 #아방궁 #태사 #최응 #회암사 #후주 #삼대 #소 #승려들 #군자시 #도관 #관사 #군기시 #예빈시 #한 #당 #김전 #탕 #무 #후위 #세종 #현릉 #문수회 #석가 #달마 #맹자 #양주 #묵적 #동자 #한자 #정자 #주자 #왕안석 #장천각 #겸대사성 #정도전 #공자 #사예 #유백순 #생원 #윤향 #한고 #허지 #김권 #이자찬 #지신사 #성석용 #박사 #김초 #김조 #학정 #정포 #학록 #황희 #서복례 #장관 #국학 #언관 #군수 #대사성 #좌보덕 #순군 #판전교시사 #좌상시 #삼사 #녹패 #도평의사사 #형조판서
-
제신(諸臣)김자수(金子粹)김자수金子粹金子粹, 字純仲, 鷄林府人. 恭愍末, 擢魁科, 授德寧府注簿. 辛禑初, 爲正言, 時慶尙道都巡問使曹敏修, 擊倭于密城, 斬數十級. 禑賜衣酒及馬, 敏修上箋謝. 命子粹製回敎. 子粹辭曰, “敏修摠一道兵, 金海․大丘之戰, 怯懦敗沒, 多殺士卒. 密城小捷, 功不掩罪. 衣酒․廐…#김자수 #순중 #계림부 #과거 #덕녕부주부 #정언 #경상도 도순문사 #조민수 #밀성 #왜구 #김해 #대구 #순위부 #지윤 #대사헌 #하윤원 #유배 #도당 #밀직부사 #이보림 #우왕 #우사 #김속명 #간관 #전라도 #돌산수 #낭사 #간의대부 #정우 #경상도 #죽림수 #전교부령 #판사재시사 #성균대사성 #세자좌보덕 #삼한 #봉숭도감 #당나라 #한유 #헌종 #후한 #명제 #불교 #송 #제 #양 #진 #원위 #연복사 #교주도 #태묘 #송나라 #경공 #성왕 #신라 #태조 #금주령 #대성 #간신 #성균 생원 #박초 #태학 #걸 #선궁 #상랑 #주 #경궁 #녹대 #초 #영왕 #장화대 #여정 #아방궁 #태사 #최응 #회암사 #후주 #삼대 #소 #승려들 #군자시 #도관 #관사 #군기시 #예빈시 #한 #당 #김전 #탕 #무 #후위 #세종 #현릉 #문수회 #석가 #달마 #맹자 #양주 #묵적 #동자 #한자 #정자 #주자 #왕안석 #장천각 #겸대사성 #정도전 #공자 #사예 #유백순 #생원 #윤향 #한고 #허지 #김권 #이자찬 #지신사 #성석용 #박사 #김초 #김조 #학정 #정포 #학록 #황희 #서복례 #장관 #국학 #언관 #군수 #대사성 #좌보덕 #순군 #판전교시사 #좌상시 #삼사 #녹패 #도평의사사 #형조판서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별전 #집사관 #거가 #본사 #청재 #공소 #태묘 #상사국 #행궁 #왕좌 #능실 #소차 #봉례 #배위 #행사관 #양부 #산 #선 #화개 #도종 #난가 #태상박사 #태상경 #찬자 #승전 #재신 #추밀 #시신 #재숙 #능령 #축판 #서압 #시중 #화포 #의장 #시위 #재랑 #태축 #신좌 #준소 #작 #재방 #통사사인 #침궁 #선사 #5묘 #유신 #소목 #체협 #협례 #은 #당 #진서 #신주 #혜종 #정종 #광종 #경종 #부묘 #친체 #대종 #시제 #덕종 #태조 #성종 #목종 #현종 #창릉 #세조 #건릉 #안종 #원릉 #보신 #서눌 #황주량 #소 #목 #목묘 #유징필 #진 #종아 #경황제 #공양전 #희공 #민공 #노 #문세실 #무세실 #상서예부 #책봉례 #섭사 #내사문하 #예관 #곡례 #제복 #변 #비 #현의 #적석 #어사대 #삼사 #서자 #솔경령 #주부 #종묘 #악현 #시향 #동향 #순릉 #안릉 #헌릉 #당서 #선종 #목종실 #민경지 #문종 #예종 #순종 #숙종 #인종 #사시 #납향 #삭망 #한식 #신종 #묘제 #조천 #최충헌 #재추 #금관 #국학 #문유 #봉사 #한서 #주 #문왕 #무왕 #태종 #세종 #홍녹주 #경령전 #제향 #두 #내전 #정사색 #유사 #하향 #경사 #입조 #협실 #명종 #침원 #춘향 #서계 #태위 #향관 #규정 #첨의찬성사 #김사원 #사선 #전의 #내수 #박인평 #충선왕 #인왕 #강종 #묘정 #법사 #전리좌랑 #조렴 #고종 #원종 #충렬왕 #혜왕 #명왕 #현왕 #강왕 #참리 #안자유 #원찰 #백원석 #공민왕 #연 #문관 #무관 #월대 #종헌관 #우정승 #이제현 #성균 #12도 #교방 #원 #낙안군 #이천선 #사도 #전의령 #김의열 #김해부원군 #춘추좌씨전 #태왕 #왕계 #춘추공양전 #대송 #협향위차도 #철종 #휘종 #흠종 #위판 #강도 #향사 #동한 #헌종 #의종 #희종 #중서성 #예관박사 #봉향 #재사 #능직 #태상시 #축사 #도제고 #전구서 #안렴사 #복주 #향교 #제릉서 #숭인문 #미타방 #충숙왕 #충목왕 #예복 #상로 #평로 #공복 #관대 #환안제 #내시 #태조실 #헌관 #집사 #집례 #관례 #전영 #칠사 #공신 #도감관 #응고 #악공 #악장 #등가 #현릉 #선릉 #별제 #정릉 #인희전 #삭망제 #내행 #국행 #도평의사행 #중방 #태조진전 #예조 #사관 #한 #왕망 #광무제 #효원황제 #낙양 #남돈군 #용릉절후 #송 #영종 #복왕 #사마광 #정자 #삼한 #우왕 #서원군 #습작 #삼한국대공 #마한국공 #마한국비 #진한국공 #진한국비 #변한국공 #변한국비 #적경원 #적경서 #성균관 #영빈관 #장전 #정양부원군 #왕우 #제품 #도평의사사 #안신제 #사시제 #진영 #양릉사 #효신전 #태향
-
上國喪○ 현종 22년(1031) 7월 기미일. 거란(契丹)의 보애사(報哀使)인 공부낭중(工部郎中) 남승안(南承顔)이 와서 자기 나라 국왕 성종(聖宗)의 상을 알리고, 우리 현종의 혼당(魂堂)에 조서를 내렸다. 신유일. 덕종이 거란의 사신을 내전(內殿)으로 데려다가 …#거란 #보애사 #공부낭중 #남승안 #성종 #현종 #혼당 #덕종 #내전 #유교 #고애사 #홍로소경 #장사복 #흥종 #압록강 #예사 #예법 #제후 #천자 #상복 #시마 #낙랑후 #개성후 #국원후 #평양공 #백관 #창덕문 #지중추원사 #최유선 #공부시랑 #이득로 #금 #검교우산기상시 #왕정 #태조 #흰옷 #소경 #김단 #시어사 #이시민 #태황태후 #전중감 #윤언식 #좌사간 #최윤의 #금나라 #세종 #봉위사 #제전사 #회장사 #도성 #완안신 #대장군 #한정수 #낭중 #최돈례 #문득려 #사업 #이세장 #장종 #사홍기 #이순중 #원 #세조 #빈전 #동지밀직사사 #설경성 #명
-
연표(年表)1卷 八十六, 表第 一 年表 一고려 태조(太祖)는 신라(新羅)를 항복시키고 후백제[百濟]를 멸망시켜 삼한(三韓)의 땅을 다 차지하였다. 그 자손들이 왕위를 이어가면서 대대로 중국[上國]과 통교하였으니 가짜 왕인 우왕과 창왕[僞辛]의 재위 기간을 포함해 모두 475년 동안 나라를 유지했다. …#고려 #태조 #신라 #후백제 #삼한 #우왕 #창왕 #후량 #말제 #정명 #거란 #신책 #천수 #용덕 #천찬 #후당 #장종 #동광 #발해국 #대광현 #명종 #천성 #태종 #천현 #장흥 #민제 #응순 #로왕 #청태 #신라왕 #김부 #후진 #고조 #천복 #견훤 #신검 #회동 #출제 #왕무 #개운 #혜종 #왕요 #정종 #후한 #요 #대통 #세종 #천록 #은제 #건우 #왕소 #선위 #광종 #광덕 #후주 #광순 #목종 #응력 #현덕 #송 #건륭 #송나라 #건덕 #개보 #경종 #보녕 #건형 #태평흥국 #개녕군 #왕치 #성종 #통화 #옹희 #단공 #순화 #왕주 #지도 #개령군 #왕송 #진종 #함평 #대중상부 #대량군 #왕순 #강조 #폐위 #시해 #나주 #현종 #개경 #개태 #천희 #태평 #건흥 #인종 #흥종 #경복 #왕흠 #압록강 #성교 #하정사 #명도 #중희 #경우 #평양군 #왕형 #보원 #강정 #경력 #문종 #황우 #지화 #도종 #청녕 #가우 #낙랑군 #왕휘 #영종 #치평 #함옹 #신종 #희녕 #태강 #원풍 #왕훈 #순종 #국원종 #왕운 #대안 #선종 #철종 #원우 #소성 #왕욱 #수륭 #헌종 #계림군 #왕옹 #숙종 #원부 #휘종 #건중정국 #천조제 #건통 #숭녕 #태자 #왕우 #예종 #대관 #윤관 #여진 #공험진 #정화 #천경 #수국 #금 #대성악 #천보 #중화 #선화 #보대 #왕해 #천회 #흠종 #정강 #이자겸 #유배 #고종 #건염 #남송 #소흥 #희종 #승려 #묘청 #서경 #김부식 #천권 #황통 #해릉왕 #의종 #정원 #정륭 #세조 #왕융 #대정 #효종 #융흥 #건도 #보현원 #정중부 #거제 #익양공 #왕호 #왕현 #천덕
-
연표(年表)2卷 八十七, 表第 二 年表 二중국[上國]고려신묘년(1171)남송 : 효종(孝宗) 건도(乾道) 7년.금 : 세종(世宗) 대정(大定) 11년.명종(明宗) 원년.임진년(1172)남송 : 효종(孝宗) 건도(乾道) 8년.금 : 세종(世宗) 대정(大定) 12년.명종(明宗) 2년. 5월, 금나라 사신…#남송 #효종 #건도 #금 #세종 #대정 #명종 #김보당 #반정 #거제 #의종 #계림부 #정중부 #이의민 #순희 #서경유수 #조위총 #광종 #소희 #장종 #명창 #영종 #경원 #승안 #최충헌 #평량공 #왕민 #신종 #가태 #태화 #동경 #왕영 #개희 #희종 #몽고 #태조 #가정 #동해후 #대안 #한남공 #왕정 #숭경 #강종 #지녕 #선종 #정우 #왕진 #고종 #거란 #금산왕자 #금시왕자 #흥정 #개경 #조충 #김취려 #강동성 #수달가죽 #명주 #모시 #원광 #애종 #정대 #이종 #보경 #소정 #개흥 #천흥 #태종 #최우 #강화 #서경 #필현보 #단평 #남경 #가희 #순우 #영녕공 #왕준 #뚤루게 #정종 #헌종 #보우 #승천부 #안경공 #왕창 #쟈릴타이 #원나라 #영안공 #유경 #김준 #최의 #정주 #탁정 #왕전 #왕심 #경정 #세조 #중통 #원종 #지원 #도종 #함순 #임연 #폐위 #최탄 #홍문계 #송송례 #임유무 #삼별초 #승화후 #왕온 #진도 #다루가치 #김방경 #원수 #힌두 #홍다구 #탐라 #원 #안평공주 #이끼섬 #효공제 #충렬왕 #덕우 #단종 #경염 #제병 #상흥 #왕원 #일본정벌 #하카다 #카다안 #평장사 #세토겐 #연기현 #성종 #원정 #대덕 #부다시리공주 #충선왕 #일수왕 #심양왕 #무종 #지대 #인종 #황경 #왕도 #강양공 #왕자 #왕호 #연우 #충숙왕 #대위왕 #영왕 #이린진발공주 #항향 #강남 #대도 #바얀튀구스 #토번 #지치 #백원항 #박효수 #심왕 #조적 #채하중 #권한공 #채홍철 #연경 #태정제 #태정 #치화 #문종 #천력 #지순 #충혜왕 #순제 #원통 #정동행성 #형부 #고려 #지정 #게양 #악양현 #왕흔 #충목왕 #충정왕 #왕저 #강녕대군 #왕기 #공민왕 #기철 #홍건적 #복주 #안우 #이방실 #김득배 #흥왕사 #김용 #덕흥군 #최유 #압록강 #의주 #대명 #태조고황제 #홍무 #사라 #금릉 #이성계 #동녕부 #신돈 #한 #진우량 #진리 #하 #명정 #명승 #우 #홍륜 #최만생 #이인임 #밀직 #김의 #임밀 #채빈 #북원 #우왕 #선광 #왜적 #운봉현 #인월역 #철령위 #조민수 #좌군도통 #우군도통 #요동 #위화도 #강화도 #창 #창왕 #심덕부 #정창부원군 #왕요 #공양왕 #원주
-
이제현李齊賢의 논평이제현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충선왕은 일찍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태조께서 중국에서 태어났더라도 그 도량과 인격이 응당 송나라 태조(太祖)보다 덜하지 않았을 것이다. 송나라 태조는 주나라 세종(世宗)을 섬겼는데 세종은 현명한 군주로…
-
신종 3년(1200) 경신년3년 봄 정월 초하루 무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하였다. ○ 예빈소경(禮賓少卿) 백원식(白元軾)을 금나라에 보내 신년을 하례하게 했다. 기유일. 최충헌(崔忠獻)이, 전국에 수감되어 있는 죄수들을 감형시켜 주고 또한 유배 중인 죄수 가…
-
이제현李齊賢의 논평李齊賢賛曰, “忠宣王嘗言, ‘我太祖, 規模德量, 生於中國, 當不減宋太祖. 宋太祖事周世宗, 世宗賢主也, 待宋太祖甚厚, 宋太祖, 亦爲之盡力. 及恭帝幼冲, 政出太后, 迫于群情, 而受周禪, 盖出於不得已也. 我太祖事弓裔, 猜暴之君, 三韓之地, 裔有其二, 太祖之功也. 以…
-
신종 3년(1200) 경신년三年 春正月 戊子朔 放朝賀. 遣禮賓少卿白元軾如金, 賀正. 己酉 崔忠獻奏, 減中外獄囚, 又計流人年月久近及老少, 原免. 二 二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삼(三)’으로 되어 있으나, ‘이(二)’로 바로잡는다.月 甲子 太白經天. …
-
김자수金子粹김자수(金子粹)는 자가 순중(純仲)이며 계림부(雞林府) 사람이다. 공민왕 말년에 과거에 장원급제해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벼슬을 받았다. 우왕 초에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당시 경상도 도순문사(都巡問使) 조민수가 밀성(密城)에서 왜구를 격파해 수십 명의 목을 …
-
김자수金子粹金子粹, 字純仲, 鷄林府人. 恭愍末, 擢魁科, 授德寧府注簿. 辛禑初, 爲正言, 時慶尙道都巡問使曹敏修, 擊倭于密城, 斬數十級. 禑賜衣酒及馬, 敏修上箋謝. 命子粹製回敎. 子粹辭曰, “敏修摠一道兵, 金海․大丘之戰, 怯懦敗沒, 多殺士卒. 密城小捷, 功不掩罪. 衣酒․廐…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
-
上國喪○ 현종 22년(1031) 7월 기미일. 거란(契丹)의 보애사(報哀使)인 공부낭중(工部郎中) 남승안(南承顔)이 와서 자기 나라 국왕 성종(聖宗)의 상을 알리고, 우리 현종의 혼당(魂堂)에 조서를 내렸다. 신유일. 덕종이 거란의 사신을 내전(內殿)으로 데려다가 …
-
卷 八十六, 表第 一 年表 一고려 태조(太祖)는 신라(新羅)를 항복시키고 후백제[百濟]를 멸망시켜 삼한(三韓)의 땅을 다 차지하였다. 그 자손들이 왕위를 이어가면서 대대로 중국[上國]과 통교하였으니 가짜 왕인 우왕과 창왕[僞辛]의 재위 기간을 포함해 모두 475년 동안 나라를 유지했다. …
-
卷 八十七, 表第 二 年表 二중국[上國]고려신묘년(1171)남송 : 효종(孝宗) 건도(乾道) 7년.금 : 세종(世宗) 대정(大定) 11년.명종(明宗) 원년.임진년(1172)남송 : 효종(孝宗) 건도(乾道) 8년.금 : 세종(世宗) 대정(大定) 12년.명종(明宗) 2년. 5월, 금나라 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