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2년 봄 정월 ○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지어 삼성(三省) 삼성 문하성(門下省)․상서성(尙書省)․중서성(中書省)의 삼성을 말한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문하성과 중서성을 합쳐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中書門下省․都僉議府]라 하여, 이성이…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혜왕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봄 정월 정해일. 왕이 총관(摠管) 이수산(李壽山)과 함께 청교역(靑郊驛)에서 말달리기 시합을 하고는 친히 말을 씻겨 주었다. 병신일. 왕이 도성 밖에서 사냥판을 벌이고 기해일에도 또 벌이는 등, 이후로부터 날마다 무절제하게 드나들며 사냥을 …
    #총관 #이수산 #청교역 #평리 #홍탁 #화비 #은천옹주 #정천기 #왕후 #원나라 #대행왕 #의성창 #덕천창 #보흥고 #베 #강음현 #이대 #삼도순무사 #대경 #종골 #부거 #초 #비단 #영빈관 #연경궁 #낭장 #한용규 #전교부령 #정승 #이능간 #초화 #유주 #연주 #숭인문 #나장 #시전 #상춘정 #호군 #승신 #제조 #곽지보 #황화상 #조적 #해평부원군 #윤석 #채하중 #화평부원군 #김석견 #이문 #홍빈 #상락부원군 #김영돈 #서하군 #임자송 #찬성사 #김인연 #언양군 #김륜 #김해군 #이제현 #성산군 #이조년 #첨의평리 #한종유 #삼사우사 #김영후 #삼사좌사 #이몽가 #판밀직사사 #이운 #개성윤 #윤신계 #지밀직사사 #이엄 #동지밀직사사 #윤환 #박청 #밀직부사 #강윤충 #안천길 #노영서 #원외랑 #한의신 #군부판서 #배전 #최유 #지신사 #황석기 #판종부시사 #손수경 #판사복시사 #윤원우 #대호군 #김첨수 #김선장 #남궁신 #임성 #영창군 #김승택 #학성군 #박인수 #안자유 #상호군 #김경 #전윤장 #판서운관사 #손원 #이광원 #김장 #진교화 #이헌 #손습 #중랑장 #왕석 #이충 #이원용 #이광계 #전경 #홍매노 #신효사 #축수재 #구산사 #고용보 #테무르부카 #기황후 #홍법사 #학선 #장생 #숭교사 #서운관 #목종 #화원 #원호 #김예 #송악 #진무작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3년(1377) 정사년
    우왕 3년(1377) 정사년
    정월 ○ 왜적이 회원창(會原倉) 회원창 합포(合浦)의 석두창(石頭倉)을 말한다. 합포는 일본정벌의 전진기지로 그 위상이 강화되어 충렬왕 8년(1282)에 회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현령을 두었다.을 털어갔다. ○ 지용기(池湧奇)를 양광도 부원수(副…
    #왜적 #회원창 #지용기 #양광도 부원수 #나하추 #인해 #신평현 #양광도 도순문사 #홍인계 #북원 #한림승지 #보라데이 #모니노 #세조 #바얀테무르 #톡토부카 #정동성좌승상 #고려국왕 #윤환 #평장사 #문카라부카 #두마달 #경효대왕 #선광 #경양 #평택현 #우왕 #지밀직사사 #조희고 #전라도 도병마사 #방호 #지정 #지윤 #삼사좌사 #이자송 #진왕 #좌상 #해동청 #순 #세조황제 #백금 #저포 #백저포 #황저포 #홍저포 #중서성 #태사 #코코테무르 #태보 #카라장 #태위 #만자 #흑마포 #평장 #참정 #대대부 #내관 #소신 #예의판서 #문천식 #호상 #표피 #병풍 #두마대 #녹봉포 #사면령 #홍륜 #사헌부 #금주령 #해주 #수미사 #문수도량 #착량 #강화 #개경 #최영 #6도도통사 #이희필 #동강도원수 #목인길 #임견미 #부장 #수성도통사 #경복흥 #의창군 #서강도원수 #우리 태조 #양백연 #변안열 #경기도통사 #이인임 #경산 #양광도 #교주 #서해 #평양도 #승려 #울주 #계림 #홍중선 #문하찬성사 #목충 #동지밀직 #왕빈 #밀직부사 #판군기감사 #이광보 #용진 #전함 #양주 #밀성 #지밀직 #이림 #경상도 조전원수 #언양현 #계림부윤 #윤승순 #안동도부원수 #서성군 #강릉도원수 #서강 #도당 #김현 #경의 #서경도순문사 #서북면 부원수 #성석연 #김건 #폭우 #우박 #가뭄 #교수형 #참형 #안동조전원수 #기우제 #진전 #정당문학 #권중화 #철원 #지리산 #남양현 #안성현 #종덕현 #시전 #원수 #덕녕공주 #신효사 #충혜왕 #경상도 도순문사 #우인열 #배극렴 #최인철 #사신 #장형 #영주 #김속명 #서해도 #안주 #김공세 #장택현 #지문하 #박보로 #서해도 조전원수 #사은사 #원나라 #이인립 #서경부원수 #판밀직 #한방언 #안주원수 #판전객시사 #안길상 #만호 #김용 #정이대장군 #나흥유 #구주 #제주 #전라도 수군도만호 #정용 #윤인우 #영강현 #장연현 #풍주 #안악 #함종현 #삼화현 #강서현 #재상 #야성군 #김자 #한산 #숭경부윤 #진영세 #연주 #선휘원사 #테리테무르 #정요위 #서해도 상원수 #부사 #조천옥 #진천군 #계품사 #찬성사 #양백익 #서해도 원수 #신주 #문화 #봉주 #나세 #도순문사 #심덕부 #유만수 #홍징 #조전원수 #태조 #대우전 #김사훈 #노현수 #이만중 #일본국 #신홍 #삼사우사 #최공철 #의주원수 #영광 #장사 #모평 #함풍 #평주 #김득제 #박수년 #조사민 #강영 #유영 #유실 #박수경 #배언 #화평부윤 #강인유 #문전성 #대참정 #장해마 #승상 #군부판서 #악양현 #대사성 #정몽주 #일본 #명나라 #대장군 #판사 #최무선 #화통도감 #이원 #동래현 #함열현 #서연 #정관정요 #위징 #당나라 #태종 #상원수 #개성윤 #황숙경 #청주옥 #이산 #월식 #팔관회 #장녕공주 #지신사 #양이시 #부여 #정산 #홍산 #김해 #의창 #수안현 #동성현 #통진현 #한산군 #이색 #당태종 #백자비 #순흥군 #중랑장 #지우연 #판서 #민백훤 #판도사 #판도정랑 #이양중 #합포 #도관정랑 #순군 #정언 #달명 #충숙왕 #덕흥군 #판개성부사 #경보 #선주 #왕가물 #충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二年 春正月 定都于松嶽之陽, 創宮闕, 置三省․六尙書․官九寺. 立市廛, 辨坊里, 分五部, 置六衛. 三月 創法王․王輪等十寺于都內, 兩京塔廟, 肖像之廢缺者, 並令修葺. 辛巳 追謚三代, 以曾祖考爲始祖元德大王, 妃爲貞和王后, 祖考爲懿祖景康大王, 妃爲元…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혜왕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後三年 春正月 丁亥 王與總管李壽山, 較馬步於靑郊驛, 王親洗馬. 丙申 王出畋, 己亥, 亦如之, 自是, 日以遊獵爲事, 出入無度. 二月 冊評理洪鐸之女, 爲和妃, 將納之, 林氏妬之, 乃封爲銀川翁主, 以慰其意. 丁未 王出畋, 仍宴于鄭天起第. 庚戌 遣雞…
    #총관 #이수산 #청교역 #평리 #홍탁 #화비 #은천옹주 #정천기 #왕후 #원나라 #대행왕 #의성창 #덕천창 #보흥고 #베 #강음현 #이대 #삼도순무사 #대경 #종골 #부거 #초 #비단 #영빈관 #연경궁 #낭장 #한용규 #전교부령 #정승 #이능간 #초화 #유주 #연주 #숭인문 #나장 #시전 #상춘정 #호군 #승신 #제조 #곽지보 #황화상 #조적 #해평부원군 #윤석 #채하중 #화평부원군 #김석견 #이문 #홍빈 #상락부원군 #김영돈 #서하군 #임자송 #찬성사 #김인연 #언양군 #김륜 #김해군 #이제현 #성산군 #이조년 #첨의평리 #한종유 #삼사우사 #김영후 #삼사좌사 #이몽가 #판밀직사사 #이운 #개성윤 #윤신계 #지밀직사사 #이엄 #동지밀직사사 #윤환 #박청 #밀직부사 #강윤충 #안천길 #노영서 #원외랑 #한의신 #군부판서 #배전 #최유 #지신사 #황석기 #판종부시사 #손수경 #판사복시사 #윤원우 #대호군 #김첨수 #김선장 #남궁신 #임성 #영창군 #김승택 #학성군 #박인수 #안자유 #상호군 #김경 #전윤장 #판서운관사 #손원 #이광원 #김장 #진교화 #이헌 #손습 #중랑장 #왕석 #이충 #이원용 #이광계 #전경 #홍매노 #신효사 #축수재 #구산사 #고용보 #테무르부카 #기황후 #홍법사 #학선 #장생 #숭교사 #서운관 #목종 #화원 #원호 #김예 #송악 #진무작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3년(1377) 정사년
    우왕 3년(1377) 정사년
    三年 正月 倭盜會原倉. 以池湧奇爲楊廣道副元帥. 納哈出遣使, 遺羊馬. 以印海爲楊廣道副元帥. 二月 倭寇新平縣, 楊廣道都巡問使洪仁桂擊之. 北元遣翰林承旨孛刺的, 齎冊命及御酒․海靑來. 詔曰, “上天眷命, 皇帝聖旨, 諭牟尼奴. 粵惟, 我國家, 受天景命, …
    #왜적 #회원창 #지용기 #양광도 부원수 #나하추 #인해 #신평현 #양광도 도순문사 #홍인계 #북원 #한림승지 #보라데이 #모니노 #세조 #바얀테무르 #톡토부카 #정동성좌승상 #고려국왕 #윤환 #평장사 #문카라부카 #두마달 #경효대왕 #선광 #경양 #평택현 #우왕 #지밀직사사 #조희고 #전라도 도병마사 #방호 #지정 #지윤 #삼사좌사 #이자송 #진왕 #좌상 #해동청 #순 #세조황제 #백금 #저포 #백저포 #황저포 #홍저포 #중서성 #태사 #코코테무르 #태보 #카라장 #태위 #만자 #흑마포 #평장 #참정 #대대부 #내관 #소신 #예의판서 #문천식 #호상 #표피 #병풍 #두마대 #녹봉포 #사면령 #홍륜 #사헌부 #금주령 #해주 #수미사 #문수도량 #착량 #강화 #개경 #최영 #6도도통사 #이희필 #동강도원수 #목인길 #임견미 #부장 #수성도통사 #경복흥 #의창군 #서강도원수 #우리 태조 #양백연 #변안열 #경기도통사 #이인임 #경산 #양광도 #교주 #서해 #평양도 #승려 #울주 #계림 #홍중선 #문하찬성사 #목충 #동지밀직 #왕빈 #밀직부사 #판군기감사 #이광보 #용진 #전함 #양주 #밀성 #지밀직 #이림 #경상도 조전원수 #언양현 #계림부윤 #윤승순 #안동도부원수 #서성군 #강릉도원수 #서강 #도당 #김현 #경의 #서경도순문사 #서북면 부원수 #성석연 #김건 #폭우 #우박 #가뭄 #교수형 #참형 #안동조전원수 #기우제 #진전 #정당문학 #권중화 #철원 #지리산 #남양현 #안성현 #종덕현 #시전 #원수 #덕녕공주 #신효사 #충혜왕 #경상도 도순문사 #우인열 #배극렴 #최인철 #사신 #장형 #영주 #김속명 #서해도 #안주 #김공세 #장택현 #지문하 #박보로 #서해도 조전원수 #사은사 #원나라 #이인립 #서경부원수 #판밀직 #한방언 #안주원수 #판전객시사 #안길상 #만호 #김용 #정이대장군 #나흥유 #구주 #제주 #전라도 수군도만호 #정용 #윤인우 #영강현 #장연현 #풍주 #안악 #함종현 #삼화현 #강서현 #재상 #야성군 #김자 #한산 #숭경부윤 #진영세 #연주 #선휘원사 #테리테무르 #정요위 #서해도 상원수 #부사 #조천옥 #진천군 #계품사 #찬성사 #양백익 #서해도 원수 #신주 #문화 #봉주 #나세 #도순문사 #심덕부 #유만수 #홍징 #조전원수 #태조 #대우전 #김사훈 #노현수 #이만중 #일본국 #신홍 #삼사우사 #최공철 #의주원수 #영광 #장사 #모평 #함풍 #평주 #김득제 #박수년 #조사민 #강영 #유영 #유실 #박수경 #배언 #화평부윤 #강인유 #문전성 #대참정 #장해마 #승상 #군부판서 #악양현 #대사성 #정몽주 #일본 #명나라 #대장군 #판사 #최무선 #화통도감 #이원 #동래현 #함열현 #서연 #정관정요 #위징 #당나라 #태종 #상원수 #개성윤 #황숙경 #청주옥 #이산 #월식 #팔관회 #장녕공주 #지신사 #양이시 #부여 #정산 #홍산 #김해 #의창 #수안현 #동성현 #통진현 #한산군 #이색 #당태종 #백자비 #순흥군 #중랑장 #지우연 #판서 #민백훤 #판도사 #판도정랑 #이양중 #합포 #도관정랑 #순군 #정언 #달명 #충숙왕 #덕흥군 #판개성부사 #경보 #선주 #왕가물 #충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오행지(五行志)화행(火行)
    1. 화재(火災)
    火災
    정종(定宗) 2년(947) 10월 병신일. 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 중흥사(重興寺) 9층탑에 화재가 났다. 화재가 났다 이 사건은 정종(定宗)이 도참을 믿어 서경천도를 강행하고자 함에 따라 백성들의 노역과 원망이 심각해진 사태에 대한 천견(天譴…
    #서경 #중흥사 #경주 #황룡사 #상정전 #연등행사 #대부 #천추전 #용진진 #장작감 #자주성 #박주 #흥화진 #인수문 #영주 #잡재서 #동계 #고성현 #대부시 #동로 #승평문 #어사대 #송악 #신사 #호경 #경시서 #내사문하성 #회경전 #흡곡현 #정주 #청하관 #운흥창 #현덕진 #정변진 #성무 #군영 #금양현 #관해수 #환가수 #한성현 #죽도수 #시전 #회교역 #벼락 #번개 #신흥창 #제기도감 #약점 #동경 #장생서 #사의서 #이부 #태복시 #송 #맹주 #귀주 #좌목감 #대령궁 #북면 #상약국 #경시루 #도관 #중상서 #남면 #명릉 #곡령성 #공비고 #일관 #백주 #토산 #대화궐 #인덕궁 #화등수 #정변 #연덕궁 #인은관 #대동문 #차성 #목청전 #상승국 #신창관리 #만보전 #십원전 #선덕진 #승도 #부위 #정중부 #이준의 #이의방 #자성문 #산호정 #궁궐도감 #의연촌 #삼사 #사경원 #호부 #판적고 #추밀원 #수창궁 #평양 #사당 #내장택 #복원궁 #융기도감 #내도교 #병부 #저상전 #봉원전 #목친전 #함원전 #흥국사 #화주 #군기감 #문장고 #대창 #팔름지고 #등주 #연강 #예부 #궁전고 #강화도 #견자산 #연경궁 #법왕사 #어장고 #대상부 #수양도감 #강도 #양온동 #장봉리 #율포리 #궁노도감 #장간동 #강화경 #저시교 #국신고 #가구리 #환병동리 #염점동 #마판리 #조성도감 #저판교 #풍판교 #묵정리 #순창궁 #유성 #이현 #좌창리 #순마남리 #개성 #행성 #곽사동 #십천리 #연복사 #좌경리 #복주 #앵계리 #지장방리 #괴동리 #천화 #봉선고 #삼척현 #영전고 #의성창 #고류동 #합주 #산성 #해주 #통량고 #전농시 #내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오행지(五行志)금행(金行)
    5. 모충지얼(毛蟲之孼)
    毛蟲之孼
    태조(太祖) 원년(918) 8월 무진일. 범이 도성 흑창(黑倉) 흑창 태조가 설치한 빈민구제기관이다. 성종 때 상평의창(常平義倉)으로 고쳤다. 담 안으로 들어왔으므로 쏘아 잡았다. 점을 쳐 보았더니 범은 맹수이므로 상서롭지 않으며 병란의 조짐[主兵]이…
    #흑창 #서경 #구정 #우창 #귀인문 #경기 #선희문 #개경 #금원 #산호정 #도성 #도성청 #대창 #병부 #수창궁 #선군 #태사 #형부 #흥국사 #악경 #대명궁 #경성 #연경궁 #목청전 #상춘정 #광화문 #북계 #내성 #고성현 #석천사 #동문 #침전 #사판궁 #대전 #수녕궁 #행성 #민천사 #강안전 #시전 #수덕궁 #풍저창 #경령전 #동궁 #금경도량 #선의문 #본궐 #일관 #비기 #서문 #사친관 #문하부 #한양 #백악산 #목멱산 #서낭당 #효사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백관지(百官志)
    경시서(京市署)
    京市署
    시전(市廛)을 감독하는 일을 맡았다. 목종 때 경시서에 영(令)을 두었다. 문종 때 영은 1명에 정7품, 승은 2명에 정8품으로 정하였다. 충렬왕 24년에 충선왕이 영을 임시 참질[權叅]로 올렸다. 34년에는 충선왕이 승을 늘려 3명으로 하였다. 공민왕 5년에…
    #경시서 #시전 #목종 #영 #문종 #승 #충렬왕 #충선왕 #참질 #공민왕 #사 #기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