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숙종 3년(1098) 무인년숙종 3년(1098) 무인년3년 봄 정월 병인일.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과인이 조상의 위업을 이어 나라를 다스리게 되자 요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특별히 은혜를 내려주었다. 이에 온 나라 사람과 기쁨을 함께 함으로써 천자의 책명에 보답해야 마땅하리라. 책명을…#요나라 #외제석원 #나한재 #구정 #초제 #왕륜사 #봉은사 #동여진 #창곤 #묘통사 #창릉 #대릉 #첨사부 #좌춘방 #연경궁사 #소태보 #태사 #김상기 #태부 #최사추 #태보 #김선석 #소사 #황영 #소부 #임간 #소보 #위계정 #이오 #조인충 #곽상 #빈객 #김한충 #홍기 #좌․우서자 #유신 #김경용 #좌․우유덕 #윤관 #동궁시강학사 #최공후 #가령 #문익 #고령신 #좌․우찬선대부 #우원령 #중사인 #이위 #전내 #장영 #세마 #유재 #시독 #강증 #중윤 #유인무 #사의랑 #장경 #약장랑 #최인필 #궁문랑 #이후 #솔경 #황유현 #시위 #오손경 #최유정 #좌․우청도솔부솔 #나준 #궁제 #좌․우감문 #최정 #우위 #최현 #여분중랑장 #백관 #태자부 #요진 #고두 #이덕윤 #급제 #흥왕사 #승려 #우박 #회경전 #송악신사 #조규 #송나라 #왕운 #왕욱 #국청사 #인왕도량 #태묘 #신봉문 #참형 #교수형 #사면 #유배 #개경 #원장 #제례악 #악부 #악공 #진사과 #명경과 #지중추원사 #김용 #예부시랑 #조양휴 #상서형부 #재상 #김약충 #천안절 #홍보 #팔관회 #법왕사 #왕하 #윤계형 #신년을 하례 #좌간의대부 #내고부 #왕필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령 #상서이부시랑 #지어사대사 #이계응 #상서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급사중 #이부낭중 #추밀원우승선 #오연총 #기거랑 #병부원외랑 #추밀원우부승선 #개보정례 #예부
-
숙종숙종 3년(1098) 무인년숙종 3년(1098) 무인년三年 春正月 丙寅 詔曰, “寡人纂承祖構, 方宅丕圖, 大遼遣使, 特示封崇. 宜頒慶賚, 上答休命. 其受冊日, 接詔以下, 升壇執禮, 內外諸色員僚, 及客使接伴官, 賜爵一級, 有違犯當坐者, 免之, 指揮軍人, 賜物有差. 甲戌 幸外帝釋院, 設羅漢齋. 二月…#요나라 #외제석원 #나한재 #구정 #초제 #왕륜사 #봉은사 #동여진 #창곤 #묘통사 #창릉 #대릉 #첨사부 #좌춘방 #연경궁사 #소태보 #태사 #김상기 #태부 #최사추 #태보 #김선석 #소사 #황영 #소부 #임간 #소보 #위계정 #이오 #조인충 #곽상 #빈객 #김한충 #홍기 #좌․우서자 #유신 #김경용 #좌․우유덕 #윤관 #동궁시강학사 #최공후 #가령 #문익 #고령신 #좌․우찬선대부 #우원령 #중사인 #이위 #전내 #장영 #세마 #유재 #시독 #강증 #중윤 #유인무 #사의랑 #장경 #약장랑 #최인필 #궁문랑 #이후 #솔경 #황유현 #시위 #오손경 #최유정 #좌․우청도솔부솔 #나준 #궁제 #좌․우감문 #최정 #우위 #최현 #여분중랑장 #백관 #태자부 #요진 #고두 #이덕윤 #급제 #흥왕사 #승려 #우박 #회경전 #송악신사 #조규 #송나라 #왕운 #왕욱 #국청사 #인왕도량 #태묘 #신봉문 #참형 #교수형 #사면 #유배 #개경 #원장 #제례악 #악부 #악공 #진사과 #명경과 #지중추원사 #김용 #예부시랑 #조양휴 #상서형부 #재상 #김약충 #천안절 #홍보 #팔관회 #법왕사 #왕하 #윤계형 #신년을 하례 #좌간의대부 #내고부 #왕필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령 #상서이부시랑 #지어사대사 #이계응 #상서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급사중 #이부낭중 #추밀원우승선 #오연총 #기거랑 #병부원외랑 #추밀원우부승선 #개보정례 #예부
-
제신(諸臣)소태보(邵台輔)소태보邵台輔소태보(邵台輔)는 역사 기록에 그 가계가 나와 있지 않다. 문종 말에 호부시랑(戶部侍郞)으로 임명되었고, 선종 때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정사(叅知政事)가 되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판형병부사(判刑兵副事)로 승진하였다. 당시 이런 건의를 올렸다. …
-
제신(諸臣)이혼(李混)이혼李混이혼(李混) 이혼(1252~1312)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거화(去華)․일우(一宇)․태초(太初)이며, 호는 몽암(蒙菴)이다.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원종 9년(1268) 과거에 급제하여 광주참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이혼 #전의현 #원종 #광주참군 #국학학정 #충렬왕 #첨의사인 #우부승지 #부지밀직사사 #문한학사승지 #동지사사 #탐라 #내고 #도당 #도평의사 #도지휘사 #역리 #순마관 #당리 #이우 #고종수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밀직사사 #집현전 대학사 #수국사 #판밀직사사 #윤보 #이자화 #행수 #윤안비 #권무 #왕유소 #송방영 #충선왕 #첨의시랑찬성사 #중호 #원나라 #하정사 #밀직 #중방 #내시 #최균 #김원구 #권준 #재추 #자운사 #심양왕 #예문관 #대사백 #벽상삼한 #숙비 #회주목사 #예주목사 #첨의정승 #정해 #정방 #문장 #영해 #무고 #악부 #이이 #성균악정
-
제신(諸臣)유탁(柳濯)유탁柳濯유탁(柳濯)은 자가 춘경(春卿)으로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 유청신(柳淸臣)의 손자다. 용기와 지략이 있었으며 무예에 능했다. 일찍이 음보로 벼슬하여 원나라에 들어가 숙위했으며, 귀국해서는 감문위(監門衛) 대호군(大護軍)으로 임명되었다. 몇 해 못 되는 동안 세…#유탁 #춘경 #고흥부원군 #유청신 #원나라 #감문위 #대호군 #고흥군 #합포만호 #충정왕 #도첨의참리 #추성양절익조공신 #찬성사 #공민왕 #전라도 만호 #왜구 #만덕사 #악부 #좌정승 #수성양절익조보리공신 #홍건적 #채하중 #염제신 #태사 #톡토 #고우 #장사성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고흥후 #경상도 도순문 #흥왕사의 난 #시중 #평리 #최영 #밀직부사 #오인택 #정방 #대성 #우다치 #노국공주 #추충병의동덕보리익조공신 #첨의 #추밀 #감찰 #중방 #양부 #도첨의사 #김부 #녹사 #박윤룡 #손국영 #우사의 #최안영 #좌정언 #김존성 #첨서 #이색 #감찰사 #도평의녹사 #집의 #최원우 #재추 #제석천 #사신 #대도려 #영전 #마암 #동지밀직사사 #안극인 #첨서밀직 #정사도 #정비 #이춘부 #영화공주 #국문 #신돈 #정릉 #납제 #도당 #전라도 #에센테무르 #만호부 #군목 #청책 #추밀원 #이백수 #환관 #샤얀부카 #청교 #태조 #유습 #특진 #보국 #고흥백 #충정 #유운 #유선
-
제신(諸臣)소태보(邵台輔)소태보邵台輔邵台輔, 史失世系. 文宗末, 授戶部侍郞, 宣宗時, 官累叅知政事, 進中書侍郞平章事判刑兵部事奏, “北路邊城將士, 多自山南州縣充入. 故丁田在遠, 貲産貧乏. 脫有兵事, 並爲先鋒. 請自今, 令入遼使臣, 揀 揀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동(㨂)’자이나 뜻으로 ‘간…
-
제신(諸臣)이혼(李混)이혼李混李混, 字去華, 一字太初, 全義縣人. 元宗朝, 年十七登第, 調廣州參軍, 入補國學學正. 忠烈時, 累歷僉議舍人右副承旨, 陞副知密直司事文翰學士承旨, 加同知司事. 王嘗欲籍耽羅民戶隷內庫, 混極言不可, 王不悅. 時近幸多奉使擾民, 都堂言, “西北界, 人性暴悍, 不可以內旨擾…#이혼 #전의현 #원종 #광주참군 #국학학정 #충렬왕 #첨의사인 #우부승지 #부지밀직사사 #문한학사승지 #동지사사 #탐라 #내고 #도당 #도평의사 #도지휘사 #역리 #순마관 #당리 #이우 #고종수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밀직사사 #집현전 대학사 #수국사 #판밀직사사 #윤보 #이자화 #행수 #윤안비 #권무 #왕유소 #송방영 #충선왕 #첨의시랑찬성사 #중호 #원나라 #하정사 #밀직 #중방 #내시 #최균 #김원구 #권준 #재추 #자운사 #심양왕 #예문관 #대사백 #벽상삼한 #숙비 #회주목사 #예주목사 #첨의정승 #정해 #정방 #문장 #영해 #무고 #악부 #이이 #성균악정
-
제신(諸臣)유탁(柳濯)유탁柳濯柳濯, 字春卿, 高興府院君淸臣之孫. 有膽略, 善武藝. 早以門蔭, 入元宿衛, 還拜監門衛大護軍. 不數年三轉, 封高興君, 元授合浦萬戶. 忠定朝, 拜都僉議叅理, 賜推誠亮節翊祚功臣號, 進贊成事. 恭愍初, 出爲全羅道萬戶, 持軍整肅, 不擾州縣, 與士卒同甘苦. 王下敎褒獎, …#유탁 #춘경 #고흥부원군 #유청신 #원나라 #감문위 #대호군 #고흥군 #합포만호 #충정왕 #도첨의참리 #추성양절익조공신 #찬성사 #공민왕 #전라도 만호 #왜구 #만덕사 #악부 #좌정승 #수성양절익조보리공신 #홍건적 #채하중 #염제신 #태사 #톡토 #고우 #장사성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고흥후 #경상도 도순문 #흥왕사의 난 #시중 #평리 #최영 #밀직부사 #오인택 #정방 #대성 #우다치 #노국공주 #추충병의동덕보리익조공신 #첨의 #추밀 #감찰 #중방 #양부 #도첨의사 #김부 #녹사 #박윤룡 #손국영 #우사의 #최안영 #좌정언 #김존성 #첨서 #이색 #감찰사 #도평의녹사 #집의 #최원우 #재추 #제석천 #사신 #대도려 #영전 #마암 #동지밀직사사 #안극인 #첨서밀직 #정사도 #정비 #이춘부 #영화공주 #국문 #신돈 #정릉 #납제 #도당 #전라도 #에센테무르 #만호부 #군목 #청책 #추밀원 #이백수 #환관 #샤얀부카 #청교 #태조 #유습 #특진 #보국 #고흥백 #충정 #유운 #유선
-
지리지(地理志)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숙종 3년(1098) 무인년3년 봄 정월 병인일.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과인이 조상의 위업을 이어 나라를 다스리게 되자 요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특별히 은혜를 내려주었다. 이에 온 나라 사람과 기쁨을 함께 함으로써 천자의 책명에 보답해야 마땅하리라. 책명을…
-
숙종 3년(1098) 무인년三年 春正月 丙寅 詔曰, “寡人纂承祖構, 方宅丕圖, 大遼遣使, 特示封崇. 宜頒慶賚, 上答休命. 其受冊日, 接詔以下, 升壇執禮, 內外諸色員僚, 及客使接伴官, 賜爵一級, 有違犯當坐者, 免之, 指揮軍人, 賜物有差. 甲戌 幸外帝釋院, 設羅漢齋. 二月…
-
소태보邵台輔소태보(邵台輔)는 역사 기록에 그 가계가 나와 있지 않다. 문종 말에 호부시랑(戶部侍郞)으로 임명되었고, 선종 때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정사(叅知政事)가 되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판형병부사(判刑兵副事)로 승진하였다. 당시 이런 건의를 올렸다. …
-
이혼李混이혼(李混) 이혼(1252~1312)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거화(去華)․일우(一宇)․태초(太初)이며, 호는 몽암(蒙菴)이다.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원종 9년(1268) 과거에 급제하여 광주참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
유탁柳濯유탁(柳濯)은 자가 춘경(春卿)으로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 유청신(柳淸臣)의 손자다. 용기와 지략이 있었으며 무예에 능했다. 일찍이 음보로 벼슬하여 원나라에 들어가 숙위했으며, 귀국해서는 감문위(監門衛) 대호군(大護軍)으로 임명되었다. 몇 해 못 되는 동안 세…
-
소태보邵台輔邵台輔, 史失世系. 文宗末, 授戶部侍郞, 宣宗時, 官累叅知政事, 進中書侍郞平章事判刑兵部事奏, “北路邊城將士, 多自山南州縣充入. 故丁田在遠, 貲産貧乏. 脫有兵事, 並爲先鋒. 請自今, 令入遼使臣, 揀 揀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동(㨂)’자이나 뜻으로 ‘간…
-
이혼李混李混, 字去華, 一字太初, 全義縣人. 元宗朝, 年十七登第, 調廣州參軍, 入補國學學正. 忠烈時, 累歷僉議舍人右副承旨, 陞副知密直司事文翰學士承旨, 加同知司事. 王嘗欲籍耽羅民戶隷內庫, 混極言不可, 王不悅. 時近幸多奉使擾民, 都堂言, “西北界, 人性暴悍, 不可以內旨擾…
-
유탁柳濯柳濯, 字春卿, 高興府院君淸臣之孫. 有膽略, 善武藝. 早以門蔭, 入元宿衛, 還拜監門衛大護軍. 不數年三轉, 封高興君, 元授合浦萬戶. 忠定朝, 拜都僉議叅理, 賜推誠亮節翊祚功臣號, 進贊成事. 恭愍初, 出爲全羅道萬戶, 持軍整肅, 不擾州縣, 與士卒同甘苦. 王下敎褒獎, …
-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