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세계(高麗世系)高麗世系고려의 선대는 역사기록이 없어 상세하지 않다.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조실록』 제2차 거란(契丹) 침입 후 수찬관(修撰官) 황주량(黃周亮)이 주저(周佇)․윤징고(尹徵古)․최충(崔冲) 등과 함께 현종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칠대실록(七代實錄)』 36권 가운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 #원창왕후 #세조 #위숙왕후 #김관의 #편년통록 #호경 #성골장군 #백두산 #부소산 #평나산 #평나군 #구룡산 #강충 #서강 #영안촌 #구치의 #오관산 #마아갑 #감간 #팔원 #부소군 #송악군 #상사찬 #손호술 #보육 #지리산 #곡령 #이제건 #덕주 #진의 #숙종 #패강 #서포 #전포 #민지 #편년강목 #벽암록 #선종 #목종 #무종 #염관현 #안선사 #광왕 #양주 #항주 #당사 #안록산 #충선왕 #한림학사 #영무 #양자동 #편년강목』 #작제건 #국조원덕대왕 #김양정 #저민의 #백주 #정조 #유상희 #개주 #정주 #염주 #강화현 #교동현 #하음현 #영안성 #광명사 #장갑사 #의조경강대왕 #용건 #문명 #송악 #몽부인 #한씨 #연경궁 #도선 #일행 #왕건 #금성군 #이제현 #태조 #세조위무대왕 #왕대종족기 #성원록 #흔강대왕 #평주 #두은점 #각간 #궁예 #왕씨종족기 #아간 #대아간 #아찬 #알찬 #동지추밀원사 #병부상서 #김영부 #징사랑 #검교군기감 #종족기 #당서 #태조실록 #정당문학 #수국사 #황주량 #북사 #탁발씨 #헌원 #신원황제 #모용씨 #우문씨 #염제
-
고려세계(高麗世系)高麗世系高麗之先, 史闕未詳. 太祖實錄, “卽位二年, 追王三代祖考, 冊上始祖尊謚曰元德大王, 妣爲貞和王后, 懿祖爲景康大王, 妣爲元昌王后, 世祖爲威武大王, 妣爲威肅王后.” 金寬毅編年通錄云, “有名虎景者, 自號聖骨將軍. 自白…#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 #원창왕후 #세조 #위숙왕후 #김관의 #편년통록 #호경 #성골장군 #백두산 #부소산 #평나산 #평나군 #구룡산 #강충 #서강 #영안촌 #구치의 #오관산 #마아갑 #감간 #팔원 #부소군 #송악군 #상사찬 #손호술 #보육 #지리산 #곡령 #이제건 #덕주 #진의 #숙종 #패강 #서포 #전포 #민지 #편년강목 #벽암록 #선종 #목종 #무종 #염관현 #안선사 #광왕 #양주 #항주 #당사 #안록산 #충선왕 #한림학사 #영무 #양자동 #편년강목』 #작제건 #국조원덕대왕 #김양정 #저민의 #백주 #정조 #유상희 #개주 #정주 #염주 #강화현 #교동현 #하음현 #영안성 #광명사 #장갑사 #의조경강대왕 #용건 #문명 #송악 #몽부인 #한씨 #연경궁 #도선 #일행 #왕건 #금성군 #이제현 #태조 #세조위무대왕 #왕대종족기 #성원록 #흔강대왕 #평주 #두은점 #각간 #궁예 #왕씨종족기 #아간 #대아간 #아찬 #알찬 #동지추밀원사 #병부상서 #김영부 #징사랑 #검교군기감 #종족기 #당서 #태조실록 #정당문학 #수국사 #황주량 #북사 #탁발씨 #헌원 #신원황제 #모용씨 #우문씨 #염제
-
제신(諸臣)정세운(鄭世雲)정세운鄭世雲정세운(鄭世雲)은 광주(光州)(지금의 광주광역시) 장택현(長澤縣)(지금의 전라남도 장흥군) 사람이다. 공민왕이 숙위(宿衛)하러 원나라에 갔을 때 호종했으며 거듭 벼슬해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왕이 즉위하자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었으며, 김용(金鏞)과 …#정세운 #광주 #장택현 #공민왕 #숙위 #원나라 #대호군 #김용 #양광도 #안렴사 #김남득 #쿠치 #중랑장 #정곡 #권석화 #밀직부사 #임군보 #제주 #군부판서 #지문하성사 #기철 #홍건적 #서경 #서북면 도순찰사 #황주 #개경 #참지정사 #왜적 #간관 #복주 #추밀 #응양군 #총병관 #태조 #도당 #재상 #죽령 #유숙 #수시중 #이암 #중서평장사 #이상 #삼재 #우다치 #권천우 #고경 #예부상서 #이순 #도솔원 #대장군 #김한귀 #김경 #행재소 #태왕 #빈 #적인 #명황 #안록산 #촉 #갈구 #적미 #한나라 #황건적 #위나라 #손무 #오기 #전단 #제갈량 #이소 #채주 #한신 #조나라 #내첨사 #이대두리 #태후 #공주 #안우 #홍언박 #첨의정승
-
제신(諸臣)이첨(李詹)이첨李詹이첨(李詹) 이첨(1345~1405) 본관은 신평(新平)(지금의 충남 당진군 신평면)으로, 자는 중숙(中叔)(족보에는 소숙小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으로 충목왕 원년(1345)에 홍주목의 속현인 신평현(新平縣)에서 출생하였다. 조부는 도관공(都官公) 이승건(…#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
제신(諸臣)정세운(鄭世雲)정세운鄭世雲鄭世雲, 光州長澤縣人. 從恭愍, 入元宿衛, 累官大護軍. 王卽位, 錄其功爲一等, 與金鏞, 有寵於王. 楊廣道按廉 廉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광(廣)’자로 되어 있으나 ‘렴(廉)’자로 바로잡는다.金南得, 笞辱忽赤中郞將鄭谷, 谷同僚權石和等訴於王. 世雲․鏞與南…#정세운 #광주 #장택현 #공민왕 #숙위 #원나라 #대호군 #김용 #양광도 #안렴사 #김남득 #쿠치 #중랑장 #정곡 #권석화 #밀직부사 #임군보 #제주 #군부판서 #지문하성사 #기철 #홍건적 #서경 #서북면 도순찰사 #황주 #개경 #참지정사 #왜적 #간관 #복주 #추밀 #응양군 #총병관 #태조 #도당 #재상 #죽령 #유숙 #수시중 #이암 #중서평장사 #이상 #삼재 #우다치 #권천우 #고경 #예부상서 #이순 #도솔원 #대장군 #김한귀 #김경 #행재소 #태왕 #빈 #적인 #명황 #안록산 #촉 #갈구 #적미 #한나라 #황건적 #위나라 #손무 #오기 #전단 #제갈량 #이소 #채주 #한신 #조나라 #내첨사 #이대두리 #태후 #공주 #안우 #홍언박 #첨의정승
-
제신(諸臣)이첨(李詹)이첨李詹李詹, 洪州人. 恭愍王幸九齋, 試經義, 賜詹等七人及第, 授詹藝文檢閱. 三轉爲正言, 上䟽曰, “史典之法尙矣. 古者諸侯無私史, 邦國之志, 藏於王室而已. 及其三史繼作, 列國皆有史官, 掌記時事. 本朝自統三以來, 褒貶可記之事常多, 史官筆不停書, 易世而後, 乃編摩. 然其…#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
高麗世系고려의 선대는 역사기록이 없어 상세하지 않다.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조실록』 제2차 거란(契丹) 침입 후 수찬관(修撰官) 황주량(黃周亮)이 주저(周佇)․윤징고(尹徵古)․최충(崔冲) 등과 함께 현종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칠대실록(七代實錄)』 36권 가운데…
-
高麗世系高麗之先, 史闕未詳. 太祖實錄, “卽位二年, 追王三代祖考, 冊上始祖尊謚曰元德大王, 妣爲貞和王后, 懿祖爲景康大王, 妣爲元昌王后, 世祖爲威武大王, 妣爲威肅王后.” 金寬毅編年通錄云, “有名虎景者, 自號聖骨將軍. 自白…
-
정세운鄭世雲정세운(鄭世雲)은 광주(光州)(지금의 광주광역시) 장택현(長澤縣)(지금의 전라남도 장흥군) 사람이다. 공민왕이 숙위(宿衛)하러 원나라에 갔을 때 호종했으며 거듭 벼슬해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왕이 즉위하자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었으며, 김용(金鏞)과 …
-
이첨李詹이첨(李詹) 이첨(1345~1405) 본관은 신평(新平)(지금의 충남 당진군 신평면)으로, 자는 중숙(中叔)(족보에는 소숙小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으로 충목왕 원년(1345)에 홍주목의 속현인 신평현(新平縣)에서 출생하였다. 조부는 도관공(都官公) 이승건(…
-
정세운鄭世雲鄭世雲, 光州長澤縣人. 從恭愍, 入元宿衛, 累官大護軍. 王卽位, 錄其功爲一等, 與金鏞, 有寵於王. 楊廣道按廉 廉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광(廣)’자로 되어 있으나 ‘렴(廉)’자로 바로잡는다.金南得, 笞辱忽赤中郞將鄭谷, 谷同僚權石和等訴於王. 世雲․鏞與南…
-
이첨李詹李詹, 洪州人. 恭愍王幸九齋, 試經義, 賜詹等七人及第, 授詹藝文檢閱. 三轉爲正言, 上䟽曰, “史典之法尙矣. 古者諸侯無私史, 邦國之志, 藏於王室而已. 及其三史繼作, 列國皆有史官, 掌記時事. 本朝自統三以來, 褒貶可記之事常多, 史官筆不停書, 易世而後, 乃編摩. 然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