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성종
    성종 12년(993) 계묘년
    성종 12년(993) 계묘년
    12년 봄 3월 을미일.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임금은 하늘과 땅을 부모로 삼고 해와 달을 형과 누이로 삼아 시기에 따라 의례를 제정하여 경건히 제사를 지냄으로써 효도를 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천자(天子)는 칠묘(七廟), 제후…
    #은나라 #당나라 #진서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여진 #거란 #이유현 #병마제정사 #시중 #박양유 #상군사 #내사시랑 #서희 #중군사 #문하시랑 #최량 #하군사 #침략 #서경 #안북부 #소손녕 #봉산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3년(994) 갑오년
    성종 13년(994) 갑오년
    13년 봄 2월 ○ 소손녕(蕭遜寧)이 다음과 같은 글을 보내왔다. “근래에 우리 황제께서 보낸 조칙은 이러합니다. ‘고려와는 일찍부터 우호관계를 맺어왔고 국경이 서로 접해 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길 경우 합당한 규범과 의례가 있…
    #소손녕 #안북부 #압록강 #거란 #통화 #태묘 #대종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집사 #시중 #박양유 #원욱 #송나라 #최원신 #숭록경 #소술관 #어사대부 #이완 #이승건 #압강도구당사 #하공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이제현(李齊賢)의 논평
    이제현李齊賢의 논평
    이제현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성종은 종묘를 세우고 사직단을 설치했으며, 교육 재정을 확충해 선비를 양성하고 복시를 보여 어진 이를 등용했다. 지방 수령을 독려해 백성들을 구휼했고 효자와 열녀들에게 선물을 보내 미풍양속을 진작시켰다. 손수 …
    #이제현 #성종 #거란 #서도 #안북부 #구준 #진종 #절령 #대동강 #최승로 #제나라 #노나라 #소손녕 #이지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23년(1236) 병신년
    고종 23년(1236) 병신년
    23년 봄 정월 정해일. 대장군 이영장(李齡長)을 동북면 지병마사로, 판소부감사(判少府監事) 손습경(孫襲卿) 손습경 나중에 손변(孫抃)으로 개명하였으며 자신의 열전이 있다.을 서북면 지병마사로 각각 임명했다. 2월 초하루 무…
    #대장군 #이영장 #동북면 지병마사 #판소부감사 #손습경 #서북면 지병마사 #소재도량 #연등회 #봉은사 #내시 #유종경 #최종경 #최우 #화주 #승선 #채송년 #복야 #송경인 #왕심 #수사공 #대집성 #장주 #방수소 #몽고 #박희 #의주강 #오물지천 #영삭진 #가주 #안북부 #운암역 #박주 #선주 #형제산 #자주 #삭주 #귀주 #곽주 #산성방호별감 #황주 #신주 #안주 #개주 #경별초 #교위 #희경 #중랑장 #명준 #활 #화살 #의복 #낭장 #광대 #정주 #내급사 #김정 #주국 #동여진 #요덕 #정변 #영흥창 #공덕천도량 #부사 #최경후 #판관 #김지저 #은주부사 #김경희 #석도 #방호별감 #온수군 #차현현 #남경 #평택 #아주 #하양창 #야별초 #지유 #이임수 #박인걸 #군리 #현려 #병기 #죽주 #송문주 #현성사 #전라도지휘사 #상장군 #전보구 #전주 #고부 #의업 #부령 #별초 #전공렬 #고란사 #병장기 #말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유석 #술 #과일 #공주 #효가동 #대흥현 #박문성 #지문하성사 #추밀원부사 #송윤 #최종재 #좌․우복야 #좌승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44년(1257) 정사년
    고종 44년(1257) 정사년
    44년 봄 정월 초하루 정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재추(宰樞)들이, 몽고가 해마다 전란을 일으키니 아무리 힘껏 섬겨도 이득이 없다고 의견을 모은 후, 봄철마다 정기적으로 보내는 공납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
    #재추 #몽고 #공납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문하시랑평장사 #기윤숙 #왕륜사 #외제석원 #원주 #도적 #안열 #반란 #장군 #윤군정 #낭장 #권찬 #흥원창 #송비 #돈정 #당로 #중서령 #최항 #동진 #동주 #참형 #교수형 #기거주 #김수강 #진세기 #동북면병마사 #분사어사 #안희 #영풍 #병장기 #군마 #청천강 #용강 #함종 #등주 #방호별감 #태주 #부사 #최제 #척후병 #개경 #장작감 #이응 #평장사 #김태서 #남경 #보파대 #쟈릴타이 #직산 #시어사 #김식 #서북면병마사 #서경 #승천관 #제포관 #최의 #우부승선 #안북부 #상장군 #조성 #대정 #신거룡 #유배 #최자 #김보정 #영안공 #왕희 #은병 #술 #과일 #봉주 #송산 #승천부 #갑곶강 #대안 #신사 #주과 #은폐 #수달가죽 #신위도 #맹주 #호수 #별장 #이성의 #유거 #강도 #왕아낭가대 #왕도 #정옥 #이양 #교정소 #참수 #염주 #내시소경 #선인열 #붉은 가죽 띠 #창린도 #이수송 #별초 #외원 #구요당 #팔관회 #법왕사 #정준 #지문하성사 #이세재 #어사대부 #박홍무 #추밀원부사 #황보기 #좌복야 #안경공 #왕창 #최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2년(993) 계묘년
    성종 12년(993) 계묘년
    十二年 春三月 乙未 敎曰, “朕聞, 王者父天母地, 兄日姊月, 因時制禮, 追孝敬親. 天子七廟, 諸侯五廟, 祖功宗德, 左昭右穆. 大孝感于神明, 至德動乎天地. 我國以大聖生聖, 重明繼明, 保大定功, 超今越古. 朕謬叨顧命, 纘守洪基, 遵奉祖先, 聿懷襟臆. 爰從去歲, 新…
    #은나라 #당나라 #진서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여진 #거란 #이유현 #병마제정사 #시중 #박양유 #상군사 #내사시랑 #서희 #중군사 #문하시랑 #최량 #하군사 #침략 #서경 #안북부 #소손녕 #봉산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3년(994) 갑오년
    성종 13년(994) 갑오년
    十三年 春二月 蕭孫寧致書曰, “近奉宣命, ‘但以彼國信好早通, 境土相接. 雖以小事大, 固有規儀, 而原始要終, 須 須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회(湏)’자이나 뜻으로는 ‘수(須)’자가 옳다. 이하동일.存悠久. 若不設於預備, 慮中阻於使人. 遂與彼國相議, 便於…
    #소손녕 #안북부 #압록강 #거란 #통화 #태묘 #대종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집사 #시중 #박양유 #원욱 #송나라 #최원신 #숭록경 #소술관 #어사대부 #이완 #이승건 #압강도구당사 #하공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이제현(李齊賢)의 논평
    이제현李齊賢의 논평
    李齊賢贊曰, “成宗立宗廟, 定社稷, 贍學以養士, 覆試以求賢. 勵守令, 恤其民, 賚孝節, 美其俗. 每下手札, 詞旨懇惻, 而以移風易俗爲務. 及乎契丹意在呑噬, 遣將來侵, 夙駕西都, 進兵安北, 卽寇準澶淵之策也. 其欲移關防於岊嶺, 棄委積於大同, 當時庸臣之議耳, 必非成宗…
    #이제현 #성종 #거란 #서도 #안북부 #구준 #진종 #절령 #대동강 #최승로 #제나라 #노나라 #소손녕 #이지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23년(1236) 병신년
    고종 23년(1236) 병신년
    二十三年 春正月 丁亥 以大將軍李齡長爲東北面知兵馬事, 判少府監事孫襲卿爲西北面知兵馬事. 二月 戊子朔 設消災道場于內殿. 庚子 燃燈, 王如奉恩寺. 命內侍柳宗卿․宗敬, 賜花酒于晋陽府, 翌日大會, 亦如之. 壬寅 曲宴于內殿, 承宣蔡松年奏, “僕射宋景仁, …
    #대장군 #이영장 #동북면 지병마사 #판소부감사 #손습경 #서북면 지병마사 #소재도량 #연등회 #봉은사 #내시 #유종경 #최종경 #최우 #화주 #승선 #채송년 #복야 #송경인 #왕심 #수사공 #대집성 #장주 #방수소 #몽고 #박희 #의주강 #오물지천 #영삭진 #가주 #안북부 #운암역 #박주 #선주 #형제산 #자주 #삭주 #귀주 #곽주 #산성방호별감 #황주 #신주 #안주 #개주 #경별초 #교위 #희경 #중랑장 #명준 #활 #화살 #의복 #낭장 #광대 #정주 #내급사 #김정 #주국 #동여진 #요덕 #정변 #영흥창 #공덕천도량 #부사 #최경후 #판관 #김지저 #은주부사 #김경희 #석도 #방호별감 #온수군 #차현현 #남경 #평택 #아주 #하양창 #야별초 #지유 #이임수 #박인걸 #군리 #현려 #병기 #죽주 #송문주 #현성사 #전라도지휘사 #상장군 #전보구 #전주 #고부 #의업 #부령 #별초 #전공렬 #고란사 #병장기 #말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유석 #술 #과일 #공주 #효가동 #대흥현 #박문성 #지문하성사 #추밀원부사 #송윤 #최종재 #좌․우복야 #좌승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44년(1257) 정사년
    고종 44년(1257) 정사년
    四十四年 春正月 丁亥朔 放朝賀. 丙辰 宰樞議以蒙國連歲加兵, 竭力事之無益, 停春例進奉. 二月 庚午 燃燈, 王如奉恩寺. 三月 丁酉 幸賢聖寺. 甲寅 幸乾聖寺. 夏四月 丁巳 幸福靈寺. 乙丑 幸妙通寺. 丁卯 門下侍郞…
    #재추 #몽고 #공납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문하시랑평장사 #기윤숙 #왕륜사 #외제석원 #원주 #도적 #안열 #반란 #장군 #윤군정 #낭장 #권찬 #흥원창 #송비 #돈정 #당로 #중서령 #최항 #동진 #동주 #참형 #교수형 #기거주 #김수강 #진세기 #동북면병마사 #분사어사 #안희 #영풍 #병장기 #군마 #청천강 #용강 #함종 #등주 #방호별감 #태주 #부사 #최제 #척후병 #개경 #장작감 #이응 #평장사 #김태서 #남경 #보파대 #쟈릴타이 #직산 #시어사 #김식 #서북면병마사 #서경 #승천관 #제포관 #최의 #우부승선 #안북부 #상장군 #조성 #대정 #신거룡 #유배 #최자 #김보정 #영안공 #왕희 #은병 #술 #과일 #봉주 #송산 #승천부 #갑곶강 #대안 #신사 #주과 #은폐 #수달가죽 #신위도 #맹주 #호수 #별장 #이성의 #유거 #강도 #왕아낭가대 #왕도 #정옥 #이양 #교정소 #참수 #염주 #내시소경 #선인열 #붉은 가죽 띠 #창린도 #이수송 #별초 #외원 #구요당 #팔관회 #법왕사 #정준 #지문하성사 #이세재 #어사대부 #박홍무 #추밀원부사 #황보기 #좌복야 #안경공 #왕창 #최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2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