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민왕공민왕 20년(1371) 신해년공민왕 20년(1371) 신해년봄 정월 초하루 을유일. 왕이 공주의 혼전(魂殿) 혼전 혼궁(魂宮)․혼당(魂堂)이라고도 하며, 국왕이나 왕비의 국상 가운데 장사를 마치고 나서 종묘(宗廟)에 입향할 때까지 신위(神位)를 봉안하던 공간을 말한다. 국왕의 경우에는 삼년상이 끝날 때까지 신위…#혼전 #영전 #승려 #연복사 #담선회 #한천 #경상도 도순문사 #양백안 #전라도 도순문사 #노국공주 #왕륜사 #여진 #천호 #백호 #보개 #운암사 #정릉 #왜적 #해주 #목사 #보평청 #간관 #헌부 #보국사 #북원 #요양성평장사 #유익 #왕우승 #명나라 #요양 #사자 #장단 #대장군 #이화 #악공 #상장군 #김흥경 #헌릉 #용둔야 #이옥 #김용초 #경릉 #중서성 #원나라 #요양행성평장사 #금주 #복주 #개주 #문수회 #태백성 #자은사 #평장사 #화상원사 #쿠치 #영통사 #순천사 #감춘추관사 #이인복 #지춘추관사 #이색 #금경록 #장사감무 #이존오 #오왕 #강중상 #판개성부사 #정사도 #지밀직사사 #홍중원 #좌사간 #민수생 #우사간 #기숙륜 #우정언 #이첨 #사헌잡단 #김효선 #김잠 #예성강 #병마사 #김입견 #안산 #태조 #서강도지휘사 #양백연 #동강도지휘사 #고가노 #선부의랑 #이인 #신돈 #기현 #최사원 #정구한 #진윤검 #기중수 #수원 #시중 #경천흥 #찬성사 #안우상 #평리 #이순 #윤승순 #대호군 #이백수 #성여완 #조사겸 #유준 #윤환 #문하시중 #한방신 #정당문학 #지문하부사 #유탁 #환관 #샤얀부카 #백현 #손연 #김두달 #김원만 #송란 #석란 #손주 #김안 #김중원 #박천우 #모니노 #태후전 #대사헌 #손용 #전녹생 #총부상서 #천추절 #이춘부 #김란 #이운목 #기중평 #김진 #김정 #고인기 #헌사 #한을송 #임인무 #철관 #천정 #나주목사 #이진수 #내재추 #재신 #추밀 #도당 #지신사 #승선 #용후 #내상 #판전교시사 #혜근 #왕사 #신순 #신귀 #임희재 #기중제 #최진 #홍영통 #김횡 #허완 #오중화 #성준덕 #오일악 #이광부 #이원부 #봉주 #황상 #안우경 #최영 #문하찬성사 #삼사좌사 #서경 #도만호 #안주 #상만호 #오로산성 #염제신 #서북면 도통사 #판사 #황용성 #추밀원부사 #카라부카 #태묘 #숭인문 #성균학관 #생원 #12도 #유학 #종묘사직 #제향 #제기 #금 #슬 #축 #어 #제례악 #옥잔 #집사 #공축 #여무 #축사 #교방 #가주 #카라장동지 #태비전 #김수만 #팔관소회 #강안전 #사헌부 #경연 #응방 #현릉 #선릉 #고릉 #덕릉 #동지밀직사사 #교동도 #밀직부사 #한방언 #요동 #요동도사 #곡성백 #이부 #한나라 #문제 #당나라 #태종 #태실 #책봉 #도평의사 #태상시 #태묘서 #능서 #도제고 #태악서 #환구 #적전 #사직단 #재랑 #가무인 #사농시 #전구 #사전 #덕호 #태묘 9실 #이강달 #해양만호 #궁대 #진변원수 #달마대
-
공민왕공민왕 20년(1371) 신해년공민왕 20년(1371) 신해년二十年 春正月 乙酉朔 王親祭公主魂殿. 己丑 又幸影殿, 飯僧八百. 庚寅 幸魂殿. 己亥 幸演福寺, 設談禪會. 二月 己未 幸魂殿, 飯僧. 甲子 以韓蕆爲慶尙道都巡問使, 楊伯顔爲全羅道都巡問使. 己巳 王以公主忌日, 幸王輪寺, 飯僧千餘. 甲戌 女眞千戶李豆…#혼전 #영전 #승려 #연복사 #담선회 #한천 #경상도 도순문사 #양백안 #전라도 도순문사 #노국공주 #왕륜사 #여진 #천호 #백호 #보개 #운암사 #정릉 #왜적 #해주 #목사 #보평청 #간관 #헌부 #보국사 #북원 #요양성평장사 #유익 #왕우승 #명나라 #요양 #사자 #장단 #대장군 #이화 #악공 #상장군 #김흥경 #헌릉 #용둔야 #이옥 #김용초 #경릉 #중서성 #원나라 #요양행성평장사 #금주 #복주 #개주 #문수회 #태백성 #자은사 #평장사 #화상원사 #쿠치 #영통사 #순천사 #감춘추관사 #이인복 #지춘추관사 #이색 #금경록 #장사감무 #이존오 #오왕 #강중상 #판개성부사 #정사도 #지밀직사사 #홍중원 #좌사간 #민수생 #우사간 #기숙륜 #우정언 #이첨 #사헌잡단 #김효선 #김잠 #예성강 #병마사 #김입견 #안산 #태조 #서강도지휘사 #양백연 #동강도지휘사 #고가노 #선부의랑 #이인 #신돈 #기현 #최사원 #정구한 #진윤검 #기중수 #수원 #시중 #경천흥 #찬성사 #안우상 #평리 #이순 #윤승순 #대호군 #이백수 #성여완 #조사겸 #유준 #윤환 #문하시중 #한방신 #정당문학 #지문하부사 #유탁 #환관 #샤얀부카 #백현 #손연 #김두달 #김원만 #송란 #석란 #손주 #김안 #김중원 #박천우 #모니노 #태후전 #대사헌 #손용 #전녹생 #총부상서 #천추절 #이춘부 #김란 #이운목 #기중평 #김진 #김정 #고인기 #헌사 #한을송 #임인무 #철관 #천정 #나주목사 #이진수 #내재추 #재신 #추밀 #도당 #지신사 #승선 #용후 #내상 #판전교시사 #혜근 #왕사 #신순 #신귀 #임희재 #기중제 #최진 #홍영통 #김횡 #허완 #오중화 #성준덕 #오일악 #이광부 #이원부 #봉주 #황상 #안우경 #최영 #문하찬성사 #삼사좌사 #서경 #도만호 #안주 #상만호 #오로산성 #염제신 #서북면 도통사 #판사 #황용성 #추밀원부사 #카라부카 #태묘 #숭인문 #성균학관 #생원 #12도 #유학 #종묘사직 #제향 #제기 #금 #슬 #축 #어 #제례악 #옥잔 #집사 #공축 #여무 #축사 #교방 #가주 #카라장동지 #태비전 #김수만 #팔관소회 #강안전 #사헌부 #경연 #응방 #현릉 #선릉 #고릉 #덕릉 #동지밀직사사 #교동도 #밀직부사 #한방언 #요동 #요동도사 #곡성백 #이부 #한나라 #문제 #당나라 #태종 #태실 #책봉 #도평의사 #태상시 #태묘서 #능서 #도제고 #태악서 #환구 #적전 #사직단 #재랑 #가무인 #사농시 #전구 #사전 #덕호 #태묘 9실 #이강달 #해양만호 #궁대 #진변원수 #달마대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文宣王廟문선왕 문선왕 공자(孔子)의 존호이다.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이 개원(開元) 27년(739)에 공자를 추증하여 봉한 칭호이다.의 묘 제물 묻는 구덩이는 전각 북쪽에 두고, 그 너비와 깊이는 제물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히 한다. 석전(釋奠) 석전 …#석전 #문선왕 #신위 #연국공 #안회 #낭야공 #민손 #동평공 #염경 #하비공 #염옹 #임치공 #재여 #성백 #증삼 #여양공 #단목사 #팽성공 #염구 #하내공 #중유 #단양공 #언언 #하동공 #복상 #추국공 #맹가 #문창후 #최치원 #홍유후 #설총 #영창후 #전손사 #금향후 #담대멸명 #단보후 #복불제 #임성후 #원헌 #고밀후 #공야장 #문양후 #남궁도 #북해후 #공석애 #내무후 #증점 #곡부후 #안뮤요 #수상후 #상구 #공성후 #고시 #평여후 #칠조개 #수장후 #공백료 #수양후 #사마경 #익도후 #번수 #거야후 #공서적 #평음후 #유약 #동아후 #무마시 #남돈후 #진항 #천승후 #양전 #양곡후 #안신 #임기후 #염유 #제성후 #염계 #목양후 #백건 #지강후 #공손룡 #신식후 #진녕 #진성후 #진상 #복양후 #칠조치 #뇌택후 #안교 #고원후 #칠도보 #상규후 #양사적 #장산후 #임방 #추평후 #상택 #성기후 #석작촉 #당양후 #임불제 #모평후 #공양유 #문등후 #신정 #상채후 #조휼 #제양후 #해용잠 #부양후 #구정강 #치천후 #신당 #동무 #즉묵후 #공단구자 #염차후 #영기 #성무후 #현성 #남화후 #좌인영 #견원후 #연급 #구산후 #정국 #화정후 #진비 #임한후 #시상 #박창후 #보숙승 #원구후 #안지복 #내황후 #거원 #박평후 #숙중회 #당읍후 #안하 #임려후 #적묵 #고당후 #규손 #운성후 #공환 #임구후 #공서거여 #서성후 #공서잠 #양평후 #금장 #중도백 #좌구명 #난릉백 #순황 #임치백 #공양고 #수릉백 #곡량적 #승씨백 #복승 #내무백 #고당생 #고성백 #대승 #낙수백 #모장 #곡부백 #공안국 #팽성백 #유향 #중모백 #정중 #성도백 #양웅 #유시백 #두자춘 #부풍백 #마융 #양향백 #노식 #고밀백 #정현 #영양백 #복건 #기양백 #가규 #임성백 #하휴 #사공 #왕숙 #언사백 #왕필 #사도 #두예 #신야백 #범녕 #서무 #축판 #천신 #폐백 #정위 #배위 #종향위 #헌관 #초헌관 #석전좨주 #아헌관 #사업 #종헌관 #박사 #시학 #묘전 #학당 #상사국 #수궁서 #재신 #추밀 #국자감 #각문 #반렬 #신좌 #변 #두 #작 #사준 #국자 #청주 #향로 #배향 #종향 #잔대 #돈화당 #강서관 #시신 #곤룡포 #어련 #집례관 #본감 #학관 #거가 #태상박사 #태상경 #감장 #부장 #헌작 #가죽신 #통사사인 #공자 #감관 #배향위 #무 #재추 #감과 학관 #내시관 #책상 #아첨 #무도 #각문사 #사인 #제향 #정침 #산재 #치재 #제향소 #상서성 #학생 #악공 #태상사 #향관 #제위 #태악령 #등가 #제기 #방석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대갱 #형 #채소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밤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돼지갈비살 #사슴고기육장 #담해 #명수 #예제 #상준 #앙제 #산뢰 #현주 #보자기 #대광주리 #준소 #선사 #배좌 #돼지 #물항아리 #수건 #준 #봉례 #분헌관 #집사 #어사 #영사 #배종 #악현 #찬자 #협률랑 #집례 #알자 #감찰어사 #찬인 #태관령 #제향일 #재인 #찬소 #정좌 #교사령 #양온령 #축사 #소제 #문무 #무무 #좨주 #축 #헌가 #고선궁 #어 #협종궁 #명안지곡 #남려궁 #명안지곡」 #재랑 #동문 #무역궁 #풍안지곡 #축문 #성안지곡」 #아헌 #종헌 #항아리 #복주 #제육 #찰기장밥 #메기장밥 #숭안지곡 #무대 #손 #무안지곡 #향악 #음복 #감 #재방 #위차 #송나라 #십철 #사당 #종사 #한림학사 #박승중 #대사성 #열명 #백관 #생원 #가송 #신라 #집사성시랑 #내사령 #초헌 #임거 #성균관 #소 #양 #명경 #학유 #소상 #삼사우사 #이색 #삭망제 #일식
-
親祠登歌軒架등가(登歌) 금종(金鍾) 금종 쇠로 만든 타악기인 종으로 특종(特鍾)이라고도 한다.을 다는 시렁 가 악기를 다는 틀이다. 하나는 동쪽에 두고 옥경(玉磬) 옥경 옥으로 만든 타악기로 고유어로는 경쇠라 하는데, 돌로 만든 석경(石磬)보다 존귀한 것…
-
有司攝事登歌軒架등가 종가 하나를 동쪽에 두고 경가 하나를 서쪽에 둔다. 축 하나를 종의 북쪽에 조금 서편으로 두고, 어 하나를 경의 북쪽에서 조금 동편에 둔다. 박부가 둘인데, 하나는 축의 북쪽에 두고 하나는 어의 …
-
登歌樂器편종(編鐘)은 정성(正聲) 정성 십이율(十二律), 즉 육률(六律)과 육려(六呂)를 가리킨다. 육률은 양성(陽聲)인 여섯 소리로 황종(黃鐘)․태주(太簇)․고선(姑洗)․유빈(蕤賓)․이칙(夷則)․무역(無射)이고, 육려는 음성(陰聲)인 여섯 소리로 대려(大呂)․협종(…
-
軒架樂器편종(編鍾)은 9가인데, 가마다 정성 16개와 중성 12개가 각각 홍선도결이 완전하고 담상이 완전하다. 악가의 기물은 가마다 다음과 같다. 탑뇌가 1조이고, 협주가 2조이고, 중성과 정성의 천이 각각 2조이고, 각광이 2조이고, 각부가 2척이고, 요엽판이 5단…#편종 #담상 #각광 #각부 #요엽판 #오주유소 #구리 #화월 #유주 #반자 #패 #각퇴 #철정궐 #흑칠교상 #청도결 #편경 #정성 #중성 #홍선도결 #악가 #탑뇌 #협주 #자주도 #금 #일현금 #삼현금 #오현금 #칠현금 #구현금 #슬 #탁자 #현안주용 #홍선츤현 #지 #홍현찰전 #적 #홍사찰전 #소 #홍선결자 #환 #소생 #우생 #훈 #진고 #고좌 #홍견욕 #고간 #퇴 #입고 #십자사자좌 #비고 #응고 #고승 #고곡 #방륜 #원륜 #액 #백로자 #조목연화좌 #목퇴 #칠주유소 #결주 #간자도삭 #축 #어 #알자 #휘번 #간자 #말록제 #말록고각 #철퇴 #자견연등심석 #문무 #색장 #은두장자 #무무 #정 #대 #약 #독 #도고 #요령 #쌍두탁 #금순 #좌대 #매홍도 #상고 #금정 #권도추 #아고 #간과 #무색장 #말액 #자시수란포 #무변관 #비시수란삼 #금비구 #백견말대 #동혁대 #오피리 #정독 #평면관 #조시수란삼 #흑칠표간
-
圜丘圜丘壇. 周六丈三尺, 高五尺. 十有二陛, 三壝. 每壝, 二十五步. 周垣四門. 燎壇. 在神壇南. 廣一丈, 高一丈二尺. 戶方六尺, 開上南出. 祀圜丘. 有常日者, …#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공민왕 20년(1371) 신해년봄 정월 초하루 을유일. 왕이 공주의 혼전(魂殿) 혼전 혼궁(魂宮)․혼당(魂堂)이라고도 하며, 국왕이나 왕비의 국상 가운데 장사를 마치고 나서 종묘(宗廟)에 입향할 때까지 신위(神位)를 봉안하던 공간을 말한다. 국왕의 경우에는 삼년상이 끝날 때까지 신위…
-
공민왕 20년(1371) 신해년二十年 春正月 乙酉朔 王親祭公主魂殿. 己丑 又幸影殿, 飯僧八百. 庚寅 幸魂殿. 己亥 幸演福寺, 設談禪會. 二月 己未 幸魂殿, 飯僧. 甲子 以韓蕆爲慶尙道都巡問使, 楊伯顔爲全羅道都巡問使. 己巳 王以公主忌日, 幸王輪寺, 飯僧千餘. 甲戌 女眞千戶李豆…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
-
文宣王廟문선왕 문선왕 공자(孔子)의 존호이다.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이 개원(開元) 27년(739)에 공자를 추증하여 봉한 칭호이다.의 묘 제물 묻는 구덩이는 전각 북쪽에 두고, 그 너비와 깊이는 제물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히 한다. 석전(釋奠) 석전 …
-
親祠登歌軒架등가(登歌) 금종(金鍾) 금종 쇠로 만든 타악기인 종으로 특종(特鍾)이라고도 한다.을 다는 시렁 가 악기를 다는 틀이다. 하나는 동쪽에 두고 옥경(玉磬) 옥경 옥으로 만든 타악기로 고유어로는 경쇠라 하는데, 돌로 만든 석경(石磬)보다 존귀한 것…
-
有司攝事登歌軒架등가 종가 하나를 동쪽에 두고 경가 하나를 서쪽에 둔다. 축 하나를 종의 북쪽에 조금 서편으로 두고, 어 하나를 경의 북쪽에서 조금 동편에 둔다. 박부가 둘인데, 하나는 축의 북쪽에 두고 하나는 어의 …
-
登歌樂器편종(編鐘)은 정성(正聲) 정성 십이율(十二律), 즉 육률(六律)과 육려(六呂)를 가리킨다. 육률은 양성(陽聲)인 여섯 소리로 황종(黃鐘)․태주(太簇)․고선(姑洗)․유빈(蕤賓)․이칙(夷則)․무역(無射)이고, 육려는 음성(陰聲)인 여섯 소리로 대려(大呂)․협종(…
-
軒架樂器편종(編鍾)은 9가인데, 가마다 정성 16개와 중성 12개가 각각 홍선도결이 완전하고 담상이 완전하다. 악가의 기물은 가마다 다음과 같다. 탑뇌가 1조이고, 협주가 2조이고, 중성과 정성의 천이 각각 2조이고, 각광이 2조이고, 각부가 2척이고, 요엽판이 5단…
-
圜丘圜丘壇. 周六丈三尺, 高五尺. 十有二陛, 三壝. 每壝, 二十五步. 周垣四門. 燎壇. 在神壇南. 廣一丈, 高一丈二尺. 戶方六尺, 開上南出. 祀圜丘. 有常日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