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제신(諸臣)권단(權㫜) 부 권근(權近)권단權㫜 부 권근權近권근(權近)은 처음 이름이 권진(權晉)이며, 자가 가원(可遠)이고 다른 자는 사숙(思叔)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해 공민왕 때 나이 열여덟으로 과거에 급제 급제 공민왕 17년(1368) 권근(權近)이 국자시(國子試)에 뽑힌 이후 이듬해 6월 지공거 이인복(…#권근 #권진 #공민왕 #동지공거 #이색 #사한 #향시 #명나라 #성균직강 #예문응교 #우왕 #예의군부정랑 #전교부령 #좌사의대부 #서경 #서경』 #벽제 #한나라 #문제 #원앙 #역경 #우 #태강 #탕왕 #태갑 #이윤 #무왕 #소왕 #여왕 #선왕 #신후 #보후 #하 #은 #주 #한문제 #당태종 #당나라 #진 #2세 #수나라 #양제 #태조 #헌부 #공경 #백관 #개경 #헌납 #성석린 #판전교시사 #집정 #대언 #간관 #성균대사성 #예의판서 #좌대언 #밀직부사 #창왕 #후덕부윤 #첨서밀직사사 #문하평리 #윤승순 #예부 #도평의사사 #이숭인 #우봉현 #이림 #성지통 #도당 #영해 #낭사 #윤소종 #흥해 #대간 #김해 #윤이 #이초 #청주 #한양 #익주 #충주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
제신(諸臣)민종유(閔宗儒) 부 민사평(閔思平)민종유閔宗儒 부 민사평閔思平민사평(閔思平) 민사평(1295~1359) 민자이(閔子夷)이라고도 한다. 호는 급암(及菴)이다. 충렬왕 21년(1295) 12월 무진일에 태어났으며, 다섯 살에 모친을 여의고 조부인 민종유에 의해 양육되었다. 예문춘추수찬(藝文春秋修撰)․전리판서(典理判書) 등을…
-
제신(諸臣)박충좌(朴忠佐)박충좌朴忠佐박충좌(朴忠佐)는 자가 자화(子華)이며 함양(咸陽)(지금의 경상남도 함양군) 사람이다. 조부 박지빈(朴之彬)은 위위윤(衛尉尹)을 지냈으며 아들 네 명이 네 명이 이색은 박지빈(朴之彬)의 아들 박장(朴莊)․박리(朴理)․박계원(朴季元) 셋이 과거에 급제한 것으로 …
-
제신(諸臣)최해(崔瀣)최해崔瀣최해(崔瀣) 최해(1287~1340) 본관은 경주(慶州)로, 자는 언명보(彦明父)․수옹(壽翁)이며, 호는 졸옹(拙翁)․예산농은(猊山農隱)이다. 신라말 최치원의 후손으로 부친은 민부의랑(民部議郎) 최백륜(崔伯倫)이며, 모친은 대호군(大護軍) 임모(任某)의 딸로 …
-
제신(諸臣)이성(李晟)이성李晟이성(李晟)은 담양(潭陽)(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사람이다. 약관에 과거에 급제 급제 이성(李晟)이 과거 급제한 해는 명확하지 않으나, 원종 연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432쪽.해 온수감무(溫水監務…
-
제신(諸臣)한종유(韓宗愈)한종유韓宗愈한종유(韓宗愈) 한종유(1287~1354)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자는 사고(師古)이며, 자호는 복재(復齋)이다. 증조 한언서(韓元諝)는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였는데 참지정사(叅知政事)에 추증되었고, 조부 한언(韓彦)은 동면도관판관(東面都官判官)으로 동지…
-
제신(諸臣)김도(金濤)김도金濤김도(金濤) 김도(?~1379)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증조는 김경성(金景成), 조부는 김우(金祐), 아버지는 밀직부사 김광후(金光厚)이다. 공민왕 19년(1370) 명나라에 가서 이듬해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동창부승(東昌部丞)에 임명되었다. 우왕이 즉위한 …
-
제신(諸臣)이색(李穡)이색李穡이색(李穡) 이색(1328~1396)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이곡(李穀)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공양왕 때까지 정당문학(政堂文學)․판삼사사(判三司事)․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가계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109, 열전22…#이색 #영숙 #찬성사 #이곡 #성균시 #원나라 #중서사전부 #국자감 #생원 #정전 #초나라 #시경 #갑인주안 #왜구 #호 #맥 #양 #월 #봉수체계 #안렴사 #군수 #도순문사 #수령 #왜적 #추포사 #순임금 #하 #은 #주 #양한 #한나라 #고조 #소하 #한신 #광무제 #후한 #만호 #부 #제위 #중원 #일본 #여진 #강소성 #절강성 #중국 #연산 #무과 #가의 #문제 #공자 #문묘 #학교 #성균 #12도 #동서학당 #향교 #학당 #생도 #예부 #과거 #불교 #부처 #태조 #오교 양종 #승려 #도첩 #속백 #정료 #주역 #숙옹부승 #정동행성 #향시 #서장관 #제과 #정시 #독권관 #참지정사 #두병이 #한림승지 #구양현 #응봉한림문자 #승사랑동지제고 #국사원편수관 #전리정랑 #예문응교 #내서사인 #한림원권경력 #정방 #이부 #병부 #이부시랑 #병부낭중 #시국자좨주 #우간의대부 #간관 #상주 #추밀원우부승선 #한림학사 #홍건적 #개경 #불호사 #어보인 #환관 #승패 #지도첨의사 #유숙 #정동행중서성 #유학제거 #밀직제학 #동지춘추관사 #단성보리공신 #첨서밀직사사 #성균관 #판개성부사 #성균대사성 #김구용 #정몽주 #박상충 #박의중 #이숭인 #교관 #명륜당 #정주 #성리학 #좌우사낭중 #시중 #유탁 #마암 #영전 #연복사 #영화공주 #영도첨의사사 #신돈 #이춘부 #정비궁 #이인임 #유연 #문사관 #옥관 #삼사우사 #정당문학 #문충보절찬화공신 #우리 태조 #지문하부사 #이인복 #신조 #한산군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 #대장경 #지신사 #노숭 #판삼사사 #한산부원군 #명나라 #장보 #주탁 #우왕 #검교문하시중 #지공거 #판문하부사 #조민수 #동지공거 #염흥방 #서보통탑 #주나라 #문왕 #이성림 #전민 #좌사 #위화도 #회군 #창왕 #문하시중 #추충보절동덕찬화보리공신 #주과 #공민왕 #김사안 #하정사 #우리 태종 #최영 #한림 #예부관 #나하추 #발해 #반양산 #대사헌 #조준 #사전 #도평의사사 #황려부 #이림 #홍영통 #이무방 #남신사 #백련회 #이종학 #사림 #요동 #도당 #이림과 #채단 #말 #부사 #유배 #중관 #술 #우인열 #장단현 #별업 #중사 #이광 #이행 #공양왕 #태묘 #관제 #신주 #좌사의 #오사충 #문하사인 #조박 #현릉 #유학 #요동 정벌 #대장 #신우 #여흥부 #삼한 #변안열 #김저 #정득후 #신창 #왕망 #장우 #주운 #임견미 #송사 #유가 #순천 #규정 #전시 #창녕 #헌사 #사헌 #좌상시 #윤소종 #대간 #집의 #이고 #장단 #옥졸 #창녕옥 #위화도회군 #상서 #이원명 #요양 #이성계 #의주 #강화 #여흥 #진 #원제 #동진 #갈 #함창 #좌주 #우대언 #조인옥 #성석린 #우홍수 #부마 #우성범 #평리 #배극렴 #대제학 #안종원 #권중화 #청주 #왕방 #조반 #파평군 #윤이 #중랑장 #이초 #고려 #왕요 #장하 #권근 #이귀생 #우현보 #정지 #김종연 #윤유린 #홍인계 #진을서 #경보 #이인민 #순군 #대성 #형조 #최공철 #최칠석 #조언 #조경 #공의 #한성 #김충 #안주 #곽선 #정단봉 #박의룡 #윤사강 #가신 #정부개 #청주옥 #문하평리 #윤호 #밀직부사 #박경 #우사의 #형조좌랑 #신효창 #양광도 #도관찰사 #유구 #관사 #헌부 #충주 #여주 #역마 #편전 #영예문춘추관사 #수창궁 #대호군 #김정경 #유만수 #이념 #김진양 #이종선 #양강 #금천 #한산백 #문정 #목은집 #이종덕 #동지밀직사사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
-
권단權㫜 부 권근權近권근(權近)은 처음 이름이 권진(權晉)이며, 자가 가원(可遠)이고 다른 자는 사숙(思叔)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해 공민왕 때 나이 열여덟으로 과거에 급제 급제 공민왕 17년(1368) 권근(權近)이 국자시(國子試)에 뽑힌 이후 이듬해 6월 지공거 이인복(…
-
민종유閔宗儒 부 민사평閔思平민사평(閔思平) 민사평(1295~1359) 민자이(閔子夷)이라고도 한다. 호는 급암(及菴)이다. 충렬왕 21년(1295) 12월 무진일에 태어났으며, 다섯 살에 모친을 여의고 조부인 민종유에 의해 양육되었다. 예문춘추수찬(藝文春秋修撰)․전리판서(典理判書) 등을…
-
박충좌朴忠佐박충좌(朴忠佐)는 자가 자화(子華)이며 함양(咸陽)(지금의 경상남도 함양군) 사람이다. 조부 박지빈(朴之彬)은 위위윤(衛尉尹)을 지냈으며 아들 네 명이 네 명이 이색은 박지빈(朴之彬)의 아들 박장(朴莊)․박리(朴理)․박계원(朴季元) 셋이 과거에 급제한 것으로 …
-
최해崔瀣최해(崔瀣) 최해(1287~1340) 본관은 경주(慶州)로, 자는 언명보(彦明父)․수옹(壽翁)이며, 호는 졸옹(拙翁)․예산농은(猊山農隱)이다. 신라말 최치원의 후손으로 부친은 민부의랑(民部議郎) 최백륜(崔伯倫)이며, 모친은 대호군(大護軍) 임모(任某)의 딸로 …
-
이성李晟이성(李晟)은 담양(潭陽)(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사람이다. 약관에 과거에 급제 급제 이성(李晟)이 과거 급제한 해는 명확하지 않으나, 원종 연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432쪽.해 온수감무(溫水監務…
-
한종유韓宗愈한종유(韓宗愈) 한종유(1287~1354)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자는 사고(師古)이며, 자호는 복재(復齋)이다. 증조 한언서(韓元諝)는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였는데 참지정사(叅知政事)에 추증되었고, 조부 한언(韓彦)은 동면도관판관(東面都官判官)으로 동지…
-
김도金濤김도(金濤) 김도(?~1379)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증조는 김경성(金景成), 조부는 김우(金祐), 아버지는 밀직부사 김광후(金光厚)이다. 공민왕 19년(1370) 명나라에 가서 이듬해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동창부승(東昌部丞)에 임명되었다. 우왕이 즉위한 …
-
이색李穡이색(李穡) 이색(1328~1396)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이곡(李穀)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공양왕 때까지 정당문학(政堂文學)․판삼사사(判三司事)․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가계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109, 열전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