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17년(934) 갑오년
    태조 17년(934) 갑오년
    17년 봄 정월 갑진일. 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북쪽의 진(鎭)을 두루 순시했다. 여름 5월 을사일. 왕이 예산진(禮山鎭)(지금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행차하여 다음과 같은 조서를 내렸다. “지난날 신라의 …
    #서경 #예산진 #녹읍 #대광현 #왕계 #원보 #백주 #운주 #견훤 #웅진 #진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0년(1115) 을미년
    예종 10년(1115) 을미년
    10년 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계유일. 건덕전에서 요나라의 횡선사(橫宣使) 횡선사 요나라와 금나라가 고려와 서하(西夏) 같은 나라에 보낸 황제의 칙사를 말한다. 횡선사는 횡사사(橫賜使)로도 불렸으며, 고려왕을 책봉…
    #신년 하례행사 #건덕전 #횡선사 #낙기복사 #요나라 #관찰사 #고경순 #왕서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 #이수 #시랑 #황군상 #왕교 #생여진 #완안부 #아구타 #거란 #사금 #담비 가죽 #평주 #승려 #금준 #여진 #아지고촌 #금나라 #김행 #김극수 #고을태사 #활라태사 #핵리발 #영가 #우야소 #왕구 #주나라 #문왕 #왕계 #한나라 #혜제 #한고조 #연등회 #중광전 #중서령 #최사추 #내전 #신봉문 #구정 #초제 #연덕궁주 #묘통사 #상춘정 #양부 #재추 #송나라 #사신 #왕자지 #문공미 #중서문하성 #시신 #추밀원 #승제 #순천관 #낙빈정 #내시 #임경청 #보제사 #우박 #구산사 #조중장 #복시 #종친 #봉은사 #김정 #급제 #곡연 #중서시랑평장사 #이자겸 #일식 #명의태후 #개국사 #이부상서 #호부시랑 #진사 #김단 #견유저 #조석 #강취정 #권적 #태학 #대학 #호한 #토번 #당나라 #개보 #신종 #국자감 #문하시랑평장사 #허경 #선정전 #도병마판관 #장령전 #소연 #태백성 #외제석원 #평장사 #오수증 #서북면병마사 #박경작 #박경인 #어원 #처사 #곽여 #순복전 #청심대 #동지 #숙종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신기군 #김연 #동교 #시어사 #윤언순 #천흥절 #서경 #응건전 #낭중 #김인관 #팔관회 #합문 #어사대부 #최지 #잡단 #허재 #이주관내 관찰사 #야율의 #대리소경 #손양모 #포백 #북로병마사 #동경 #생신사 #동경유수 #회사지례사 #예빈부사 #고효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7년(934) 갑오년
    태조 17년(934) 갑오년
    十七年 春正月 甲辰 幸西京, 歷巡北鎭. 夏五月 乙巳 幸禮山鎭, 詔曰 “往者, 新羅政衰, 群盜競起, 民庶亂離, 曝骨荒野. 前主服紛爭之黨, 啓邦國之基, 及乎末年, 毒流下民, 傾覆社稷. 朕承其危緖, 造此新邦, 勞役瘡痍之民, 豈予意哉? 但草昧之時, 事不獲已. …
    #서경 #예산진 #녹읍 #대광현 #왕계 #원보 #백주 #운주 #견훤 #웅진 #진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0년(1115) 을미년
    예종 10년(1115) 을미년
    十年 春正月 壬申朔 放朝賀. 癸酉 宴遼橫宣使于乾德殿. 乙亥 宴落起復使于乾德殿. 丙子 遼遣觀察使高慶順, 來賀生辰. 戊寅 宴遼生辰使于乾德殿. 戊子 冊弟偦, 檢校太保守太尉. 己丑 遣尙書李壽, 侍郞黃君裳如遼, 謝橫宣. 庚寅 冊弟僑檢校太保守太尉. 是月, 生女眞完顔阿骨打…
    #신년 하례행사 #건덕전 #횡선사 #낙기복사 #요나라 #관찰사 #고경순 #왕서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 #이수 #시랑 #황군상 #왕교 #생여진 #완안부 #아구타 #거란 #사금 #담비 가죽 #평주 #승려 #금준 #여진 #아지고촌 #금나라 #김행 #김극수 #고을태사 #활라태사 #핵리발 #영가 #우야소 #왕구 #주나라 #문왕 #왕계 #한나라 #혜제 #한고조 #연등회 #중광전 #중서령 #최사추 #내전 #신봉문 #구정 #초제 #연덕궁주 #묘통사 #상춘정 #양부 #재추 #송나라 #사신 #왕자지 #문공미 #중서문하성 #시신 #추밀원 #승제 #순천관 #낙빈정 #내시 #임경청 #보제사 #우박 #구산사 #조중장 #복시 #종친 #봉은사 #김정 #급제 #곡연 #중서시랑평장사 #이자겸 #일식 #명의태후 #개국사 #이부상서 #호부시랑 #진사 #김단 #견유저 #조석 #강취정 #권적 #태학 #대학 #호한 #토번 #당나라 #개보 #신종 #국자감 #문하시랑평장사 #허경 #선정전 #도병마판관 #장령전 #소연 #태백성 #외제석원 #평장사 #오수증 #서북면병마사 #박경작 #박경인 #어원 #처사 #곽여 #순복전 #청심대 #동지 #숙종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신기군 #김연 #동교 #시어사 #윤언순 #천흥절 #서경 #응건전 #낭중 #김인관 #팔관회 #합문 #어사대부 #최지 #잡단 #허재 #이주관내 관찰사 #야율의 #대리소경 #손양모 #포백 #북로병마사 #동경 #생신사 #동경유수 #회사지례사 #예빈부사 #고효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숙종(肅宗) 후비
    숙종肅宗 후비
    1. 명의태후(明懿太后) 유씨(柳氏) 명의태후 유씨는 정주(貞州)(지금의 개성직할시 개풍군) 사람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 유홍(柳洪) 유홍(?~1091)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한 정주 유씨(貞州柳氏) 유소(柳韶)의 아들로, 문종~…
    #명의태후 #정주 #문하시중 #유홍 #명복궁주 #연덕궁주 #은그릇 #포백 #안장 #책문 #은나라 #탕왕 #유신씨 #주나라 #왕계 #태임 #예종 #상당후 #원명국사 #대방공 #대원공 #제안공 #통의후 #대령궁주 #흥수궁주 #안수궁주 #복녕궁주 #천화전 #숭명부 #지원절 #진 #한나라 #춘추 #도산씨 #옥책 #금은 #신박사 #명의왕태후 #문종 #대릉 #시법 #숭릉 #요나라 #전례 #유가 #광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희종(熙宗) 후비
    희종熙宗 후비
    1. 성평왕후(成平王后) 임씨(任氏) 성평왕후 임씨는 종실인 영인후(寧仁侯) 왕진(王稹) 왕진(?~1220) 현종의 아들 왕기(王基)의 후손으로, 용모가 단정하여 명종의 딸 연희궁주(延禧宮主)에게 장가들어 영인후(寧仁侯)에 책봉되었다. 문학을 …
    #성평왕후 #영인후 #함평궁주 #책문 #주역 #시경 #도산씨 #우 #하나라 #태임 #왕계 #주나라 #원비 #작호 #창원공 #시령후 #경원공 #대선사 #충명국사 #안혜태후 #영창궁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 #소릉 #후궁 #정장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강종(康宗) 후비
    강종康宗 후비
    1. 사평왕후(思平王后) 이씨(李氏) 사평왕후 이씨는 이의방(李義方)의 딸이다. 강종이 태자로 있을 때 이의방이 그를 태자비로 들여서 수령궁주(壽寧宮主)를 낳았으나 이의방이 처형당하자 쫓겨났다. 2. 원덕태후(元德太后)…
    #사평왕후 #이의방 #강종 #수령궁주 #원덕태후 #신안후 #고종 #연덕궁주 #조서 #순 #요 #아황 #주나라 #문왕 #왕계 #태임[ #인수 #관복 #비단 #곡식 #노비 #위수 #태사 #하나라 #우왕 #도산씨 #휘호 #곤릉 #정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숙종(肅宗) 후비
    숙종肅宗 후비
    肅宗明懿太后柳氏, 貞州人, 門下侍中洪之女. 號明福宮主, 後改號延德宮主. 肅宗二年, 宮主生子, 王遣使下敎, 賜銀器․匹段 段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가(叚)’자이나 ‘단(段)’자가 옳다. 이하 동일.․布穀․鞍馬. 四年三月, 封爲王妃, 冊曰, “殷聘有莘而作配,…
    #명의태후 #정주 #문하시중 #유홍 #명복궁주 #연덕궁주 #은그릇 #포백 #안장 #책문 #은나라 #탕왕 #유신씨 #주나라 #왕계 #태임 #예종 #상당후 #원명국사 #대방공 #대원공 #제안공 #통의후 #대령궁주 #흥수궁주 #안수궁주 #복녕궁주 #천화전 #숭명부 #지원절 #진 #한나라 #춘추 #도산씨 #옥책 #금은 #신박사 #명의왕태후 #문종 #대릉 #시법 #숭릉 #요나라 #전례 #유가 #광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희종(熙宗) 후비
    희종熙宗 후비
    熙宗成平王后任氏, 宗室寧仁侯稹之女, 諱稱任氏. 熙宗七年, 封爲咸平宮主, 冊曰, “朕聞易贊坤元, 所以配乾剛之道, 詩稱后德, 所以明王化之基. 故塗山適而夏業興, 大任歸而周室盛, 盖賴內助之美, 以臻外理之功. 布在前書, 貽爲後範. 朕祇承景命, 纘守宏啚, 理國先家, 所重…
    #성평왕후 #영인후 #함평궁주 #책문 #주역 #시경 #도산씨 #우 #하나라 #태임 #왕계 #주나라 #원비 #작호 #창원공 #시령후 #경원공 #대선사 #충명국사 #안혜태후 #영창궁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 #소릉 #후궁 #정장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강종(康宗) 후비
    강종康宗 후비
    康宗思平王后李氏, 義方之女. 康宗爲太子, 義方納之, 生壽寧宮主, 義方誅, 見黜. 元德太后柳氏, 宗室信安侯珹之女, 生高宗. 康宗元年, 冊爲延德宮主, 詔曰, “爲君克艱, 理內尤劇. 大舜之化天下也, 盖賴娥皇之釐降, 王季之肇邦基也, 亦因摯仲之思齊. …
    #사평왕후 #이의방 #강종 #수령궁주 #원덕태후 #신안후 #고종 #연덕궁주 #조서 #순 #요 #아황 #주나라 #문왕 #왕계 #태임[ #인수 #관복 #비단 #곡식 #노비 #위수 #태사 #하나라 #우왕 #도산씨 #휘호 #곤릉 #정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