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종인종 4년(1126) 병오년인종 4년(1126) 병오년4년 봄 정월 갑오일.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2월 정사일. 회안백(淮安伯) 왕기(王沂)가 죽었다. 무오일. 순종(順宗)의 연복궁주(延福宮主) 김씨 연복궁주 김씨 경주 김씨 김양검(金良儉)의 딸로, 순종이 태자…#회안백 #왕기 #순종 #연복궁주 #연덕궁주 #내시지후 #김찬 #내시녹사 #안보린 #동지추밀원사 #지녹연 #상장군 #최탁 #오탁 #대장군 #권수 #장군 #고석 #이자겸 #척준경 #남궁 #좌복야 #홍관 #유배 #과거 #금나라 #요나라 #송나라 #이지미 #여진 #참형 #교수형 #안화사 #정응문 #이후 #문하시랑 #판병부사 #이수 #문하시랑평장사 #판예부사 #이자덕 #허재 #참지정사 #김부일 #정당문학 #판추밀원사 #김향 #김의원 #김부식 #어사대부 #추밀원부사 #연경궁 #승려 #군기소감 #최사전 #평장사 #박승중 #울진 #봉은사 #천복전 #소재도량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공수 #판이부사 #호부상서 #지문하성사 #병부상서 #전중내급사 #임원애 #이진복 #우복야 #고공현 #용호군 #임수 #전중감 #좌우위 #정유황 #합문지후 #후장 #귀중부 #도군태상황제 #곽약사 #연산 #신종 #요해 #거란 #숙왕 #사신 #객사 #요 #순 #하북 #영가 #백산 #오달 #혜노 #북요 #보제사 #불정도량 #형부시랑 #이주연 #선유사 #동첨서추밀원사 #고백숙 #홍여경 #오지충 #보주로 #보주 #경용절 #대명궁 #남경 #장의사 #연흥전 #인수사 #수창궁 #사면령 #중화전 #반야도량 #위위경 #김자류 #형부낭중 #유덕문 #보주성 #고구려 #요산 #평양 #압록강 #대요 #사을하 #김인존 #문하시중 #최유적 #한주 #지제고
-
고종고종 3년(1216) 병자년고종 3년(1216) 병자년3년 정월 신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정축일. 왕이 친히 수문전(修文殿)에서 제석도량 제석도량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승려 홍경(洪慶)이 대…#수문전 #제석도량 #창락 #재추 #상참관 #일본 #연등회 #봉은사 #건성사 #제석재 #선경전 #장경회 #보제사 #유석 #기우제 #사도 #주국 #왕선 #찰방사 #북계병마사 #금나라 #동경총관부 #달단족 #거란 #요해 #포선만노 #융안부행성 #이랄전 #달단 #선무사 #요동 #대진 #의주 #정주 #소재도량 #현화사 #금산 #금시 #아아 #걸노 #영삭진 #정융진 #상장군 #노원순 #중군병마사 #오응부 #우군병마사 #대장군 #김취려 #후군병마사 #북계 #영덕성 #안주 #귀주 #인주 #용주 #철주 #선주 #삭주분도장군 #노인수 #차덕위 #중랑장 #이희주 #김공석 #차장군 #요 #여진 #파속로 #이보 #서해도방호사 #최유공 #동계 겸 춘주도방호사 #조양진 #갑장별감 #동대비원녹사 #유성장 #부장 #이순로 #깃발 #징 #북 #사재주부 #대비원녹사 #내원성 #병마 #창주분도장군 #창주 #연주낭장 #현장 #운주부사 #설득유 #서경 #조양 #풍단역 #성주 #지구천 #대부영 #황주
-
인종인종 4년(1126) 병오년인종 4년(1126) 병오년四年 春正月 甲午 白虹貫日. 二月 丁巳 淮安伯沂卒. 戊午 順宗延福宮主金氏卒. 庚申 冊王妃李氏, 爲延德宮主. 辛酉 內侍祗候金粲, 內侍錄事安甫鱗, 與同知樞密院事智祿延, 上將軍崔卓․吳卓, 大將軍權秀, 將軍高碩等, 謀誅李資謙․拓俊京, 不克, 資謙․俊…#회안백 #왕기 #순종 #연복궁주 #연덕궁주 #내시지후 #김찬 #내시녹사 #안보린 #동지추밀원사 #지녹연 #상장군 #최탁 #오탁 #대장군 #권수 #장군 #고석 #이자겸 #척준경 #남궁 #좌복야 #홍관 #유배 #과거 #금나라 #요나라 #송나라 #이지미 #여진 #참형 #교수형 #안화사 #정응문 #이후 #문하시랑 #판병부사 #이수 #문하시랑평장사 #판예부사 #이자덕 #허재 #참지정사 #김부일 #정당문학 #판추밀원사 #김향 #김의원 #김부식 #어사대부 #추밀원부사 #연경궁 #승려 #군기소감 #최사전 #평장사 #박승중 #울진 #봉은사 #천복전 #소재도량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공수 #판이부사 #호부상서 #지문하성사 #병부상서 #전중내급사 #임원애 #이진복 #우복야 #고공현 #용호군 #임수 #전중감 #좌우위 #정유황 #합문지후 #후장 #귀중부 #도군태상황제 #곽약사 #연산 #신종 #요해 #거란 #숙왕 #사신 #객사 #요 #순 #하북 #영가 #백산 #오달 #혜노 #북요 #보제사 #불정도량 #형부시랑 #이주연 #선유사 #동첨서추밀원사 #고백숙 #홍여경 #오지충 #보주로 #보주 #경용절 #대명궁 #남경 #장의사 #연흥전 #인수사 #수창궁 #사면령 #중화전 #반야도량 #위위경 #김자류 #형부낭중 #유덕문 #보주성 #고구려 #요산 #평양 #압록강 #대요 #사을하 #김인존 #문하시중 #최유적 #한주 #지제고
-
고종고종 3년(1216) 병자년고종 3년(1216) 병자년三年 春正月 辛未 地震. 丁丑 親設帝釋道場于修文殿. 辛巳 昌樂公主卒. 壬午 諸王․宰樞․常叅官以上, 詣闕陳慰. 二月 甲申朔 日食. 己丑 日本國僧來求其法. 丁酉 燃燈, 王如奉恩寺. 三月 戊辰 始幸乾聖寺, 行帝釋齋. 又設藏經會於宣…#수문전 #제석도량 #창락 #재추 #상참관 #일본 #연등회 #봉은사 #건성사 #제석재 #선경전 #장경회 #보제사 #유석 #기우제 #사도 #주국 #왕선 #찰방사 #북계병마사 #금나라 #동경총관부 #달단족 #거란 #요해 #포선만노 #융안부행성 #이랄전 #달단 #선무사 #요동 #대진 #의주 #정주 #소재도량 #현화사 #금산 #금시 #아아 #걸노 #영삭진 #정융진 #상장군 #노원순 #중군병마사 #오응부 #우군병마사 #대장군 #김취려 #후군병마사 #북계 #영덕성 #안주 #귀주 #인주 #용주 #철주 #선주 #삭주분도장군 #노인수 #차덕위 #중랑장 #이희주 #김공석 #차장군 #요 #여진 #파속로 #이보 #서해도방호사 #최유공 #동계 겸 춘주도방호사 #조양진 #갑장별감 #동대비원녹사 #유성장 #부장 #이순로 #깃발 #징 #북 #사재주부 #대비원녹사 #내원성 #병마 #창주분도장군 #창주 #연주낭장 #현장 #운주부사 #설득유 #서경 #조양 #풍단역 #성주 #지구천 #대부영 #황주
-
제신(諸臣)박의중(朴宜中)박의중朴宜中박의중(朴宜中) 박의중(1337~1403) 박의중(朴宜中)의 증조는 예빈윤(禮賓尹) 박함(朴諴)이고 조부는 밀직부사(密直副使) 박화(朴華)이다. 박화는 김제 조씨(金堤趙氏) 문량공(文良公) 조간(趙簡)의 누이와 혼인하여 모두 5남 2녀를 두었다. 장남 박인간(…
-
제신(諸臣)박의중(朴宜中)박의중朴宜中朴宜中, 字子虛, 初名實, 密城人. 父仁杞, 版圖摠郞. 宜中, 恭愍朝擢魁科, 授典儀直長, 累轉獻納司藝. 辛禑時, 除門下舍人, 陞左司議大夫, 與鄭釐上䟽曰, “近日憲司所申數事, 允合公論, 而殿下未盡兪允, 玆竭愚衷, 輒冒言之. 書曰, ‘明王奉若天道, 樹后王群公, 承…
-
인종 4년(1126) 병오년4년 봄 정월 갑오일.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2월 정사일. 회안백(淮安伯) 왕기(王沂)가 죽었다. 무오일. 순종(順宗)의 연복궁주(延福宮主) 김씨 연복궁주 김씨 경주 김씨 김양검(金良儉)의 딸로, 순종이 태자…
-
고종 3년(1216) 병자년3년 정월 신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정축일. 왕이 친히 수문전(修文殿)에서 제석도량 제석도량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승려 홍경(洪慶)이 대…
-
인종 4년(1126) 병오년四年 春正月 甲午 白虹貫日. 二月 丁巳 淮安伯沂卒. 戊午 順宗延福宮主金氏卒. 庚申 冊王妃李氏, 爲延德宮主. 辛酉 內侍祗候金粲, 內侍錄事安甫鱗, 與同知樞密院事智祿延, 上將軍崔卓․吳卓, 大將軍權秀, 將軍高碩等, 謀誅李資謙․拓俊京, 不克, 資謙․俊…
-
고종 3년(1216) 병자년三年 春正月 辛未 地震. 丁丑 親設帝釋道場于修文殿. 辛巳 昌樂公主卒. 壬午 諸王․宰樞․常叅官以上, 詣闕陳慰. 二月 甲申朔 日食. 己丑 日本國僧來求其法. 丁酉 燃燈, 王如奉恩寺. 三月 戊辰 始幸乾聖寺, 行帝釋齋. 又設藏經會於宣…
-
박의중朴宜中박의중(朴宜中) 박의중(1337~1403) 박의중(朴宜中)의 증조는 예빈윤(禮賓尹) 박함(朴諴)이고 조부는 밀직부사(密直副使) 박화(朴華)이다. 박화는 김제 조씨(金堤趙氏) 문량공(文良公) 조간(趙簡)의 누이와 혼인하여 모두 5남 2녀를 두었다. 장남 박인간(…
-
박의중朴宜中朴宜中, 字子虛, 初名實, 密城人. 父仁杞, 版圖摠郞. 宜中, 恭愍朝擢魁科, 授典儀直長, 累轉獻納司藝. 辛禑時, 除門下舍人, 陞左司議大夫, 與鄭釐上䟽曰, “近日憲司所申數事, 允合公論, 而殿下未盡兪允, 玆竭愚衷, 輒冒言之. 書曰, ‘明王奉若天道, 樹后王群公, 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