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
2월
경인일. 강조(康兆)를 중대사(中臺使)로, 이현운(李鉉雲) 이현운(?~?) 목종~현종 때 중대부사․이부시랑(吏部侍郎)․행영도통부사(行營都統副事)를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94, 열전7, 양규전(楊規傳) 참조.을 중대부사(中…
-
현종 5년(1014) 갑인년
5년 봄 정월
갑오일. 궁궐이 완공되었다.
임자일. 혜성(彗星) 혜성 살별이라고도 하며, 태양의 인력을 받아 운동하는 천체이다. 혜성이 나타나는 현상을 천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흉조로 인식하였다. 국왕을 상징하는 태양 근처에 나타…
-
현종 6년(1015) 을묘년
6년 봄 정월
○ 거란이 압록강에 교량을 가설한 후 다리의 좌우에 동서로 성을 쌓으므로, 아군이 장수를 시켜 쳐부수고자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계묘일. 거란군이 흥화진(興化鎭)을 포위하자 장군 고적여(高積餘) 고적여 그는 이후 현종 6년 9월…
-
현종 즉위년(1009) 기유년
二月 庚寅 以康兆爲中臺使, 李鉉雲爲中臺副使, 蔡忠順爲直中臺, 尹餘爲尙書右丞兼直中臺. 是月, 遣司農卿王日卿如契丹, 告哀稱嗣. 罷敎坊, 放宮女一百餘人, 毁閬苑亭, 珍禽奇獸龜魚之類, 放之山澤.
三月 以柳允孚爲門下侍中, 柳邦憲爲門下侍郞平章事, 康兆爲吏…
-
현종 5년(1014) 갑인년
五年 春正月 甲午 宮闕成. 壬子 彗見于五車.
二月 庚申 彗入大陵. 甲子 御新闕. 鐵利國主那沙使女眞萬豆來, 獻馬及貂鼠․靑鼠皮. 丙子 敎, “民年七十以上無官者, 並加正位級.” 甲申 以光休․梁一․巨貞, 並爲郞將, 以賞戰功.
三月 …
-
현종 6년(1015) 을묘년
六年 春正月 契丹作橋於鴨綠江, 夾 夾 동아대본 원문이 ‘내(來)’자이나, 아세아문화사본 원문과 『고려사절요』의 원문이 ‘협(夾)’자이며, 뜻으로도 후자가 옳다.橋築東西城, 遣將攻破, 不克. 癸卯 契丹兵圍興化鎭, 將軍高積餘․趙弋等擊却之. 甲辰 又侵通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