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2년 봄 정월 ○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지어 삼성(三省) 삼성 문하성(門下省)․상서성(尙書省)․중서성(中書省)의 삼성을 말한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문하성과 중서성을 합쳐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中書門下省․都僉議府]라 하여, 이성이…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목종
    목종 5년(1002) 임인년
    목종 5년(1002) 임인년
    5년 여름 4월 임신일. 왕이 친히 태묘(太廟)에 제사지내고 선왕과 선후(先后)들의 휘호(徽號)를 덧붙였다. 5월 ○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내가 어린 나이에 외람…
    #태묘 #육위 #박원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년(919) 기묘년
    태조 2년(919) 기묘년
    二年 春正月 定都于松嶽之陽, 創宮闕, 置三省․六尙書․官九寺. 立市廛, 辨坊里, 分五部, 置六衛. 三月 創法王․王輪等十寺于都內, 兩京塔廟, 肖像之廢缺者, 並令修葺. 辛巳 追謚三代, 以曾祖考爲始祖元德大王, 妃爲貞和王后, 祖考爲懿祖景康大王, 妃爲元…
    #송악 #삼성 #육상서 #구시 #시전 #방리 #오부 #육위 #법왕사 #왕륜사 #양경 #시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경강대왕 #원창왕후 #세조위무대왕 #위숙왕후 #청주 #오월국 #문사 #추언규 #평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목종
    목종 5년(1002) 임인년
    목종 5년(1002) 임인년
    五年 夏四月 壬申 親享太廟, 加上先王․先后徽號. 五月 敎曰, “余以弱齡, 忝登寶位, 繼祖先之基業, 思邦國之興安. 功不百而不行, 利非千而不務, 必欲延洪社稷, 開濟生靈. 爰自前年, 迄于近日, 不揣心之所欲, 謂爲時之可行. 或不念居安思危, 臨深履薄, …
    #태묘 #육위 #박원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왕총지(?~1067) 고려 태조의 아들인 원보(元甫) 왕유(王裕)의 후손이다. 김주원(金周元)의 현손으로 대내마(大奈麻)를 지낸 김영길(金英吉)의 딸 옥경대주(玉慶大主)가 왕건의 후궁이 되어 대광(大匡) 왕술(王述), 정조(正朝) 왕춘(王春),…
    #왕총지 #과거에 급제 #기거사인 #우승선 #급사중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지주사 #예빈경 #동북로병마사 #참지정사 #김영기 #장주 #정주 #원흥진 #중추사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수사공 #상주국 #이부상서 #도병마사 #말갑옷 #어사대 #병부 #육위 #내사시랑 #문하시랑평장사 #개성감목직 #이계 #기두 #이인 #구사 #가달 #부군 #김조 #상서형부 #이자연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중서령 #경숙 #수태사 #문종의 묘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총지(王寵之)
    왕총지王寵之
    王寵之, 顯宗朝登第, 累遷起居舍人. 靖宗朝, 爲右承宣給事中, 與都兵馬副使朴成傑等奏, “東路靜邊鎭蕃賊窺覬之處, 百姓不得安居. 請俟農隙, 築設城池.” 從之. 轉知奏事禮賓卿, 十年, 與東北路兵馬使叅知政事金令器, 城長․定二州及元興鎭. 文宗初, 以中樞使, 爲西北面中軍使…
    #왕총지 #과거에 급제 #기거사인 #우승선 #급사중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지주사 #예빈경 #동북로병마사 #참지정사 #김영기 #장주 #정주 #원흥진 #중추사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수사공 #상주국 #이부상서 #도병마사 #말갑옷 #어사대 #병부 #육위 #내사시랑 #문하시랑평장사 #개성감목직 #이계 #기두 #이인 #구사 #가달 #부군 #김조 #상서형부 #이자연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중서령 #경숙 #수태사 #문종의 묘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백관지(百官志)서반(西班)
    9. 육위(六衛)
    六衛
    종6품 장사(長史)가 각 1명과【공민왕 이후 없앴다.】정8품 녹사(錄事) 각 2명을 두었다. 이들은 위(衛)의 여러 업무를 관장하였으며 이속(吏屬)으로는 사(史) 3명, 기관(記官) 2명이 있다.
    #육위 #장사 #녹사 #사 #기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백관지(百官志)서반(西班)
    9. 육위(六衛)
    六衛
    六衛 長史各一人從六品.【恭愍以後, 罷之.】 錄事各二人正八品. 掌衛中諸務, 吏屬, 有史三人, 記官二人.
    #육위 #장사 #녹사 #사 #기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