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 최충헌(1149~1219) 최충헌의 우봉 최씨(牛峯崔氏) 가문은 우봉(牛峯)(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지역의 토착세력 이었다가 최주행․최정현 때부터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였으며, 최원호가 정3품의 상장군을 역임하면서부터 중앙에서 성장 기반을 …#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崔忠獻, 初名鸞, 牛峯人. 父元浩上將軍, 忠獻蔭補良醞令. 明宗四年, 元帥奇卓誠擊趙位寵, 聞忠獻勇敢, 選補別抄都令, 以勞累遷攝將軍. 弟忠粹爲東部錄事, 性猜險勇悍. 二十六年, 李義旼子將軍至榮, 奪忠粹家鵓鴿, 忠粹請還, 言甚悖. 至榮怒, 令家僮縛之, 忠粹曰, “非將…#최충헌 #최란 #우봉 #최원호 #상장군 #음서 #양온령 #명종 #원수 #기탁성 #조위총 #별초도령 #섭장군 #최충수 #동부녹사 #이의민 #장군 #이지영 #보제사 #미타산 #대정 #박진재 #노석숭 #개경 #감행령 #백존유 #대장군 #이경유 #최문청 #인은관 #평장사 #권절평 #손석 #길인 #권준 #손홍윤 #권윤 #유삼백 #어사중승 #최혁윤 #수창궁 #유광 #박공습 #무기고 #금군 #환관 #사령 #낭장 #최윤광 #참지정사 #이인성 #강제 #문득여 #좌승선 #문적 #우승선 #최광유 #대사성 #이순우 #태복경 #반취정 #기거랑 #최형 #낭중 #문홍분 #주광미 #김유신 #권연 #왕륜사 #판위위사 #최광원 #소경 #권신 #권식 #두응룡 #최비 #태조 #삼한 #송악군 #양부 #공전 #사전 #전조 #양계 #5도 #안찰사 #역참 #내신 #도통사 #장계 #순리 #원당 #음양관 #내시 #호부시랑 #이상돈 #군기소감 #이분 #지후 #원준 #소군 #홍기 #홍추 #홍규 #홍균 #홍각 #홍이 #운미 #존도 #지어사대사 #충성좌리공신 #수충찬화공신 #봉의찬덕공신 #수태위 #문하시랑 #흥왕사 #승통 #요일 #중서령 #두경승 #왕숙 #사공 #왕진 #평량공 #왕민 #왕연 #금나라 #의종 #김약진 #중군 #좌군 #우군 #전군 #후군 #자연도 #추밀원부사 #유득의 #고안우 #백부공 #친종 장군 #주원적 #석성주 #시랑 #송위 #염극권 #어사 #신광한 #대선사 #연담 #창락궁 #중금지유 #정윤후 #강화도 #대관전 #추밀원 #민식 #광명사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주국 #수성제난공신 #삼한정광 #중대부 #응양군 #위위경 #지도성사 #형부시랑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 #추밀원사 #최련 #성주 #창화백 #왕우 #이의방 #오숙비 #준존심 #박정부 #십자가 #흥국사 #대각노 #임진강 #장단 #파평현 #지주사 #신종 #만적 #재상 #율학박사 #한충유 #순정 #합문지후 #병부상서 #지이부사 #병부 #이부 #김준거 #황주목사 #김준광 #상주목사 #신기지유 #이적중 #안변부사 #황주 #김순영 #김영존 #황려현 #강순의 #정공필 #안변부 #백령역 #기은별감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조준 #우간의대부 #도방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이부원외랑 #노관 #판사 #정당 #중방 #교위 #이부낭중 #안서도호부사 #금의 #충주판관 #최효기 #월부 #서대 #용호군 #중미 #봉주 #일흥창 #가구소 #임효명 #가조리 #채붕 #경주 #병부낭중 #송효성 #형부원외랑 #박인석 #김척후 #병마사 #최이 #수태부 #판어사대사 #중서시랑평장사 #이부상서 #태자소사 #춘주 #안양도호부 #어사대 #급사동정 #지구수 #지구영 #이광실 #희종 #벽상삼한 #수태사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어사대사 #태자태사 #양광도 #곽공의 #서리 #내장전 #특진 #우모일덕안사제세공신 #진강군개국후 #식읍 #남산리 #양제 #백광신 #정공분 #진강후 #예사 #도감 #흥녕부 #흥덕궁 #책사 #안장 딸린 말 #독책관 #부사 #역관 #내전숭반 #우광유 #권지합문지후 #성랑 #남반 #참직 #북조 #진강공 #백령진 #활동 #재추 #통천어대 #은반 #청교역 #역리 #귀법사 #교정별감 #영은관 #우복야 #한기 #김남보 #직장동정 #원서 #우승경 #유익겸 #은병 #노준 #노인우 #인주 #중관 #지주사방 #정숙첨 #지유 #신선주 #기윤위 #다봉 #노영의 #내전 #정방보 #사약 #정윤시 #내시낭중 #왕준명 #추밀 #사홍적 #왕익 #왕지 #왕서 #교동 #왕의 #백령도 #임유 #왕정 #강안전 #강종 #진강부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 #고종 #첨서추밀원사 #이광유 #백정동 #장군방 #거란 #삭주분도 장군 #흥화도 #운중도 #자운선 #후백제 #순천사 #상림홍 #좌경리 #우경리 #금패 #봉래산 #시어사 #김주정 #평주 #홍원사 #경복사 #안양사 #수리사 #김덕명 #지태사국사 #일관 #대간 #순검군 #신창관 #중군원수 #남계천 #대창 #오령군 #현종 #안종 #사천대 #최계량 #고란도 #최향 #박세통 #최준문 #도목정 #궤장 #대집성 #차장군 #조충 #영아례 #죽판궁 #서경 #손영 #기인보 #경성 #비기 #우보 #고취 #기상 #송청 #최성 #최구 #왕항 #보성백 #최부 #백관 #최해 #중서성 #수사공 #공부시랑 #송홍렬
-
선거지(選擧志)학교(學校)학교學校태조 13(930). 13년 『고려사』 권1, 태조 13년 12월 경인에는 “국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학교를 창설했다”고 하여, 그 월일이 12월 경인일로 기록되어있다. 국왕이 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에 행차해 학교를 창설 창설 『고려사절요』 권1…#서경 #학교 #정악 #서학박사 #학원 #6부 #생도 #태조 #의업 #복업 #학보 #개경 #주공 #공자 #요 #순 #과거 #학사 #학생 #복두 #통사사인 #고영암 #객성 #경학박사 #의학박사 #12목 #장리 #백성 #수령 #한 #대학 #조교 #송승연 #남해도 #나주목 #전보인 #국자박사 #문관 #서재 #전장 #국자감 #3경 #10도 #박사 #사장 #학관 #유생 #율생 #재상 #소태보 #국학 #8목 #통판 #지주사 #현령 #문과 #예종 #7재 #주역 #여택재 #상서 #대빙재 #모시 #경덕재 #주례 #구인재 #대례 #복응재 #춘추 #양정재 #무학 #강예재 #최민용 #한자순 #장자 #양현고 #문선왕묘 #선종 #유교 #식목도감 #국자학생 #훈관 #현공 #경관 #훈봉 #태학생 #봉작 #사문학생 #학교 학생 #잡로 #공장 #상인 #악공 #귀향 #천인 #향 #부곡 #율학 #서학 #산학 #서인 #국자 #태학 #사문 #율학박사 #율령 #8서 #산학박사 #산술 #예기 #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효경 #논어 #학생들 #효경』 #논어』 #상서』 #공양전』 #곡량전』 #주역』 #모시』 #주례』 #의례 #예기』 #좌씨전』 #시무책 #국어 #설문 #자림 #삼창 #이아 #명경업 #참상 #참외 #교도관 #어사대 #당 #한문공 #조주 #조덕 #삼한 #유학 #불교 사원 #중서문하성 #정안 #무학재 #문학 #문사 #문하성 #6재 #학유 #유신 #양계 #병마사 #안찰사 #중군 #재추 #동․서학당 #별감 #교학 #교도 #안향 #은 #섬학전 #내고 #강남 #6경 #제자서 #사서 #7관 #12도 #대성전 #원나라 #야율희일 #반궁 #예문관 #훈도 #이색 #향교 #학당 #성균관 #예부 #임박 #숭문관 #유관 #5경재 #4경재 #대사헌 #조준 #군역 #송 #하과 #교수관 #5도 #5부 #서북면 #유학교수관 #김첨
-
백관지(百官志)형조(刑曹)刑曹법률과 사송(詞訟)과 상언(詳讞)에 관련된 정사(政事)를 관장하였다. 관장하였다 여기에서 법률은 율령격식 제정과 개변 등의 업무를 뜻하며, 사송은 재판, 그리고 상언은 결단하여 처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은 『고려사』 권84, 형법지 서문에 ‘법’은 …
-
백관지(百官志)성균관(成均館)成均館유학을 가르치고 교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성종 때에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여 설치하여 종래에는 성종 11년(992)에 국자감이 설립된 것으로 보아왔으나, 국초에 신라의 제도인 국학을 이어받은 중앙 교육기관이 있었고, 국자감은 성종 5년(986)을 전후하여 설…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전시과 #역분전 #직관 #산관 #자삼 #전지 #시지 #단삼 #비삼 #녹삼 #전중 #사천 #연수 #상선원 #잡업 #잡리 #안일호장 #직전 #내사령 #시중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치사시중 #참지정사 #검교태사 #6부의 상서들 #어사대부 #좌․우산기상시 #태상경 #치사좌․우복야 #치사태자태보 #전중감 #소부감 #장작감 #개성윤 #상장군 #산좌․우복야 #좌․우승 #시랑 #간의대부 #대장군 #산육상서 #군기소경 #태상소경 #급사중승 #태자빈객 #태자첨사 #산경 #산감 #산시랑 #소경 #소감 #국자사업 #태복감 #산군기감 #산상장군 #태자서자 #낭중 #군기소감 #비서승 #전중승 #내상시 #국자박사 #중낭장 #절충도위 #태의감 #합문사 #선휘원 #선휘판사 #산소경 #산소감 #원외랑 #시어사 #기거랑사 #봉어 #내급사 #낭장 #과의 #태복소감 #태사령 #합문부사 #산낭중 #산대장군 #산합부사 #산태의감 #태자유덕 #태자가령 #태자솔경영 #태자복 #전중시어사 #좌․우보궐 #시의 승 #감의 승 #비서랑 #국자조교 #태학박사 #태의소감 #상약봉어 #통사사인 #태자중윤 #태자중사인 #산원외랑 #산태복소감 #산태사령 #산합문부사 #태상박사 #좌․우습유 #감찰어사 #내알자감 #육위의 장사 #육국의 직장 #군기승 #태자세마 #사관정 #산시승 #산감승 #산태의소감 #산상약봉어 #주서 #녹사 #도사 #내시백 #시주부 #감주부 #사문박사 #태학조교 #중상령 #경시령 #무고령 #대관령 #대창령 #전구령 #공어령 #전객령 #태악령 # #별장 #태복승 #태사승 #시어의 #상약직장 #내전숭반 #대리평사 #합문지후 #산직장 #산중낭장 #산절충도위 #산사관정 #약장랑 #전선랑 #궁문랑 #전설랑 #6위의 녹사들 #정팔품승 #정팔품령 #내알자 #동․서두공봉관 #산원 #지휘사 #협율랑 #태자감승 #산시주부 #산감주부 #산랑장 #산과의 #산내전숭반 #산합문지후 #산태복승 #산태사승 #산시어의 #산상약직장 #종8품승 #종8품령 #사문조교 #교위 #영대랑 #보장정 #설호정 #태의승 #태의박사 #율학박사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정팔품 #산별장 #산지휘 #산공봉관 #대축 #사름 #사고 #구품승 #구품주사 #구품록사 #비서정자 #제술등과장사랑 #명경등과장사랑 #서학박사 #산학박사 #사진 #사력 #복정 #복박사 #감후 #식의 #의정 #의좌 #율학조교 #전서박사 #판관 #대정 #전전승지 #중추별가 #선휘별가 #은대별가 #산교위 #산좌․우반전직 #산시금 #여러 업의 장사랑 #영사 #서사 #감사 #감작 #서령사 #해서내승지 #객성승지 #합문승지 #차전전승지 #친사 #마군 #산전전승지 #산대정 #산전전부승지 #대상사의 #대상재랑 #국자전학 #지반 #주약 #약동 #군장관 #통인 #청두 #직성 #전구관 #당인 #추장 #감선 #인알 #유외잡직 #보군 #잡색원리 #전시 #군인 #한인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 #문하시랑 #중서시랑 #좌․우복야 #좌․우상시 #7시의 경들 #비서감 #국자좨주 #상서좌․우승 #사천감 #태자소첨사 #장군 #우소첨사 #이부제조시랑 #군기감 #좌우서자 #좌우유덕 #중랑장들 #7시의 소경들 #비서소감 #전중소감 #장작소감 #소부소감 #사천소감 #급사중 #중서사인 #어사중승 #태자솔경령 #낭중들 #합문인진사 #태자좌우찬선대부 #낭장들 #원외랑들 #기거랑 #기거사인 #6국의 봉어들 #전중내급사 #능의 령 #태묘령 #태자약장랑 #7시의 승들 #3감의 승들 #사천승 #6위의 장사들 #내직랑 #궁문감 #별장들 #문하녹사 #중서주서 #6국의 직장들 #첨사부직장 #산원들 #대상 #좌승 #상서도사 #7시의 주부 #3감의 주부 #대악령 #대영령 #내원령 #공역령 #장야령 #여러 능의 승 #태묘승 #사천주부 #동서두공봉관 #교위들 #원보 #정조 #군기주부 #경서승 #중상승 #무고승 #대악승 #대영승 #태창승 #대관승 #전구승 #내원승 #공역승 #장야승 #비서교서랑 #양온승 #사의령 #수궁령 #전오령 #도염령 #잡직령 #도교령 #장생령 #육학박사 #대정들 #원윤 #도염승 #잡직승 #도교승 #장생승 #수궁승 #사의승 #전옥승 #태사사진 #태사사역 #태사감후 #상식식의 #사천박사 #태의의정 #사천복정 #주사들 #어사대녹사 #중추원별가 #문하대조 #문림랑 #장사랑 #도지 #선두 #사인 #영사들 #주사 #중서서예 #비서서예 #사관서예 #태사서예 #의계사 #사천복사 #사천복조교 #부전전승지 #예빈승지 #수의박사 #당직 #전식 #전설 #역보군 #여러 서영사들 #여러 사들 #상승내승지 #부내승지 #태사전사 #주금사 #공선 #주식 #공설 #장설 #당종 #계사 #시계사 #시서예 #감문군 #잡류 #무산계 #관동대장군 #운휘장군 #장무장군 #선위장군 #명위장군 #영원장군 #정원장군 #유기장군 #유격장군 #요무교위 #요무부위 #진위교위 #진위부위 #치과교위 #치과부위 #익휘교위 #익휘부위 #선절교위 #선절부위 #어모교위 #어모부위 #인용교위 #인용부위 #배융교위 #배융부위 #대장 #부장 #잡장인 #어전부악건 #어전부악인 #지리업승인 #별사전 #대덕 #대통 #부통 #지리사 #지리박사 #지리생 #지리정 #개성 #정주 #백주 #염주 #행주 #강음 #토산 #임강 #신은 #마전 #적성 #파평 #창화 #견주 #봉성 #임진 #장단 #교하 #동성 #고봉 #송림 #통진 #덕수 #안주 #동주 #봉주 #수주 #포주 #양주 #수안 #당성 #인주 #김포 #양골 #동음 #황평 #승지 #황선 #도척 #아등갑 #안협 #공암 #구분전 #향직 #대승 #정직 #전정 #향직 좌승 #문하성 #영업전 #이홍숙 #영남지방 #통주 #거란군 #감문위 #해군 #군장 #선군별감 #가전 #휴한지 #개경
-
文武班祿문종(文宗) 30년(1076). 문․무반의 녹봉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정했다 고려의 녹봉제는 관제의 정비와 더불어 체계화 되었다. 일반적으로 고려의 관제는 성종대 정비되기 시작하여 문종대 완성된다. 이러한 관제의 정비는 전시과와 녹봉제의 정비로 이어졌다. 문…#중서령 #문서시중 #중서시랑 #문하시랑 #제전태학사 #참지정사 #중추원사 #동지중추원사 #좌복야 #우복야 #6부의 상서 #좌상시 #우상시 #어사대부 #중추원부사 #첨서중추원사 #한림학사승지 #삼사사 #중추원직학사 #판합문사 #상장군 #육부의 상서 #시좌상시 #시우상시 #판예빈성사 #판위위시사 #판대부시사 #판사재시사 #판대복시사 #여섯 명의 경들 #비서감 #전중감 #상서좌승 #상서우승 #국자좨주 #판장감감사 #판소부감 #대장군 #경들 #시비서감 #시전중감 #시상서좌승 #시상서우승 #시국자좨주 #직문하 #판사천대사 #판태의감사 #이부제조시랑 #급사중 #중서사인 #어사중승 #장군 #시랑 #시급사중 #시중서사인 #시어사중승 #사천감 #좌간의 #우간의 #장작소부 #군기감 #인진사 #시간의 #시장작소부 #시군기감 #태의감 # #국자사업 #비서소감 #전중소감 #장작소감 #소부소감 #내상시 #합문사 #시인진사 #시태의감 #시육소경 #시국자사업 #시비서소감 #시전중소감 #시장작소감 #시소부소감 #사천소감 #군기소감 #좌사낭중 #우사낭중 #이부제조낭중 #어사잡단 #비서승 #전중승 #기거랑 #기거사인 #합문부사 #중낭장 #기거주 #시사천소감 #시군기소감 #시좌사낭중 #시우사낭중 #시이부제조낭중 #시어사잡단 #시비서승 #시전중승 #시어사 #좌사원외랑 #우사원외랑 #이부제조원외랑 #좌보궐 #우보궐 #전중시어사 #낭장 #태의소감 #시거랑 #시기거사인 #인진부사 #태사령 #시태의소감 #시좌사원외랑 #시우사원외랑 #시이부제조원외랑 #시직인 #6국의 봉어들 #사천사관정 #전중내급사 #좌습유 #유습유 #6위장사 #시어의 #시인진부사 #시태사령 #태초문시위 #춘덕문시위 #중광전시위 #합문지후 #릉의 령 #태묘령 #시사천사관정 #비서랑 #국자승 #대부승 #장장승 #내고사 #시태묘령 #문하녹사 #중서주서 #군기승 #별장 #시비서랑 #시국자승 #시대부승 #시장작승 #시내고사 #내전숭반 #사천승 #상서도사 #소부주부 #장작주부 #국자주부 #시군기승 #시문하녹사 #시중서주부 #시상서도사 #시소부주부 #시장작주부 #시국자주부 #액정내시백 #산원 #시사천승 #국자박사 #동서두공봉관 #태학박사 #시국자박사 #태사 #태부 #태보 #태위 #사공 #사도 #중상령 #대창령 #대관령 #대영령 #대악령 #장야령 #공역령 #내원령 #전구령 #태사승 #사천주부 #좌시금 #우시금 #시태학박사 #시액정내시백 #좌반전직 #우반전직 #교위 #시중상령 #시대창령 #시대관령 #시대영령 #시대악령 #시장야령 #시공역령 #시내원령 #시전구령 #릉의 승 #태묘승 #사문박사 #무학박사 #중상승 #경시승 #군기주부 #도염령 #잡직령 #양온령 #사의령 #전옥령 #수궁령 #내고부사 #영대랑 #보장정 #비서교서랑 #전전승지 #승 #시태묘승 #정양전시위 #제전학사 #대창승 #대관승 #대영승 #대악승 #장야승 #공역승 #내원승 #전구승 #도교령 #장생령 #전첨들 #내알자 #한림의관 #태의박사 #태의승 #율학박사 #태사설호정 #대정 #내알자감 #삼사부사 #국자학록 #도염승 #잡직승 #양온승 #사의승 #전사승 #수궁승 #도교승 #장생승 #태사사진 #태사사력 #태사감후 #상약의좌 #상식식의 #상승사고 #상승사름 #비서정자 #율학조교 #사천복정 #사천박사 #서박사 #산박사 #주금박사 #여러 왕부의 녹사들 #태의조교 #태의의정 #문하시중 #문하평장사 #중서평장사 #6부의 상서들 #판국자감사 #수태위 #5시의 판사들 #국자대사성 #대부경 #대복경 #예빈경 #위위경 #사재경 #판소부감사 #판장작감사 #육상서들 #시어사대부 #섭상장군 #시국자대사성 #조의 시랑 #시좌승 #시우승 #섭대장군 #소부감 #장작감 #판태묘사 #합문인진사 #5시의 소경 #시급사중승 #시소부감 #시장작감 #시사천감 #낭중들 #중랑장들 #시사복소경 #시합문인진사 #시합문사 #섭장군 #합문인진부사 #봉어 #합문통사사인 #원외랑들 #시기거랑 #기기거사인 #근장낭장 #제위낭장 #섭중낭장 #좌정언 #우정언 #감찰어사 #사관정 #시합문통사사인 #상약좌어의 #시전중내급사 #시근장별장 #시제위별장 #섭낭장 #액정내알자감 #시합문지후 #시상약시어의 #시칠시승 #시군지승 #근장산원 #제위산원 #섭별장 #경시령 #섭산원 #명경박사 #태사영대랑 #시사천주부 #시태사승 #액정내알자 #명경학유 #국자학유 #국자학정 #서산학박사 #육학조교 #전옥승
-
선거지(選擧志)학교(學校)학교學校太祖十三年 幸西京, 創置學校, 命秀才廷鶚爲書學博士. 別創學院, 聚六部生徒敎授, 後太祖聞其興學, 賜綵帛勸之. 兼置醫․卜二業, 又賜倉穀百石, 爲學寶. 成宗 詔, 令諸州郡縣選子弟, 詣京習業. 五年七月 敎曰, “朕素慚薄德, 尙切崇儒, 欲興周孔之風, 冀…#서경 #학교 #정악 #서학박사 #학원 #6부 #생도 #태조 #의업 #복업 #학보 #개경 #주공 #공자 #요 #순 #과거 #학사 #학생 #복두 #통사사인 #고영암 #객성 #경학박사 #의학박사 #12목 #장리 #백성 #수령 #한 #대학 #조교 #송승연 #남해도 #나주목 #전보인 #국자박사 #문관 #서재 #전장 #국자감 #3경 #10도 #박사 #사장 #학관 #유생 #율생 #재상 #소태보 #국학 #8목 #통판 #지주사 #현령 #문과 #예종 #7재 #주역 #여택재 #상서 #대빙재 #모시 #경덕재 #주례 #구인재 #대례 #복응재 #춘추 #양정재 #무학 #강예재 #최민용 #한자순 #장자 #양현고 #문선왕묘 #선종 #유교 #식목도감 #국자학생 #훈관 #현공 #경관 #훈봉 #태학생 #봉작 #사문학생 #학교 학생 #잡로 #공장 #상인 #악공 #귀향 #천인 #향 #부곡 #율학 #서학 #산학 #서인 #국자 #태학 #사문 #율학박사 #율령 #8서 #산학박사 #산술 #예기 #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효경 #논어 #학생들 #효경』 #논어』 #상서』 #공양전』 #곡량전』 #주역』 #모시』 #주례』 #의례 #예기』 #좌씨전』 #시무책 #국어 #설문 #자림 #삼창 #이아 #명경업 #참상 #참외 #교도관 #어사대 #당 #한문공 #조주 #조덕 #삼한 #유학 #불교 사원 #중서문하성 #정안 #무학재 #문학 #문사 #문하성 #6재 #학유 #유신 #양계 #병마사 #안찰사 #중군 #재추 #동․서학당 #별감 #교학 #교도 #안향 #은 #섬학전 #내고 #강남 #6경 #제자서 #사서 #7관 #12도 #대성전 #원나라 #야율희일 #반궁 #예문관 #훈도 #이색 #향교 #학당 #성균관 #예부 #임박 #숭문관 #유관 #5경재 #4경재 #대사헌 #조준 #군역 #송 #하과 #교수관 #5도 #5부 #서북면 #유학교수관 #김첨
-
백관지(百官志)형조(刑曹)刑曹掌法律詞訟詳讞之政. 太祖仍泰封之制, 置義刑臺, 後改刑官, 有御事․侍郞․郞中․員外郞. 成宗十四年, 改尙書刑部. 文宗定, 判事一人, 宰臣兼之, 尙書一人, 秩正三品, 知部事一人, 他官兼之, 侍郞二人正四品, 郞中二人正五品, 員外郞二人正六品. 又別置律學博士一人從八品, …
-
백관지(百官志)성균관(成均館)成均館掌儒學敎誨之任. 成宗置國子監, 有國子司業博士․助敎, 大學博士․助敎, 四門博士․助敎. 文宗定, 提擧․同提擧․管勾, 各二人, 判事一人, 皆兼官, 祭酒一人, 秩從三品, 司業一人從四品, 丞從六品, 國子博士二人正七品, 大學博士二人從七品, 注簿從七品, 四門博士正八品, 學…
-
최충헌崔忠獻최충헌(崔忠獻) 최충헌(1149~1219) 최충헌의 우봉 최씨(牛峯崔氏) 가문은 우봉(牛峯)(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지역의 토착세력 이었다가 최주행․최정현 때부터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였으며, 최원호가 정3품의 상장군을 역임하면서부터 중앙에서 성장 기반을 …
-
최충헌崔忠獻崔忠獻, 初名鸞, 牛峯人. 父元浩上將軍, 忠獻蔭補良醞令. 明宗四年, 元帥奇卓誠擊趙位寵, 聞忠獻勇敢, 選補別抄都令, 以勞累遷攝將軍. 弟忠粹爲東部錄事, 性猜險勇悍. 二十六年, 李義旼子將軍至榮, 奪忠粹家鵓鴿, 忠粹請還, 言甚悖. 至榮怒, 令家僮縛之, 忠粹曰, “非將…
-
학교學校태조 13(930). 13년 『고려사』 권1, 태조 13년 12월 경인에는 “국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학교를 창설했다”고 하여, 그 월일이 12월 경인일로 기록되어있다. 국왕이 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에 행차해 학교를 창설 창설 『고려사절요』 권1…
-
刑曹법률과 사송(詞訟)과 상언(詳讞)에 관련된 정사(政事)를 관장하였다. 관장하였다 여기에서 법률은 율령격식 제정과 개변 등의 업무를 뜻하며, 사송은 재판, 그리고 상언은 결단하여 처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은 『고려사』 권84, 형법지 서문에 ‘법’은 …
-
成均館유학을 가르치고 교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성종 때에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여 설치하여 종래에는 성종 11년(992)에 국자감이 설립된 것으로 보아왔으나, 국초에 신라의 제도인 국학을 이어받은 중앙 교육기관이 있었고, 국자감은 성종 5년(986)을 전후하여 설…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
-
文武班祿문종(文宗) 30년(1076). 문․무반의 녹봉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정했다 고려의 녹봉제는 관제의 정비와 더불어 체계화 되었다. 일반적으로 고려의 관제는 성종대 정비되기 시작하여 문종대 완성된다. 이러한 관제의 정비는 전시과와 녹봉제의 정비로 이어졌다. 문…
-
학교學校太祖十三年 幸西京, 創置學校, 命秀才廷鶚爲書學博士. 別創學院, 聚六部生徒敎授, 後太祖聞其興學, 賜綵帛勸之. 兼置醫․卜二業, 又賜倉穀百石, 爲學寶. 成宗 詔, 令諸州郡縣選子弟, 詣京習業. 五年七月 敎曰, “朕素慚薄德, 尙切崇儒, 欲興周孔之風, 冀…
-
刑曹掌法律詞訟詳讞之政. 太祖仍泰封之制, 置義刑臺, 後改刑官, 有御事․侍郞․郞中․員外郞. 成宗十四年, 改尙書刑部. 文宗定, 判事一人, 宰臣兼之, 尙書一人, 秩正三品, 知部事一人, 他官兼之, 侍郞二人正四品, 郞中二人正五品, 員外郞二人正六品. 又別置律學博士一人從八品, …
-
成均館掌儒學敎誨之任. 成宗置國子監, 有國子司業博士․助敎, 大學博士․助敎, 四門博士․助敎. 文宗定, 提擧․同提擧․管勾, 各二人, 判事一人, 皆兼官, 祭酒一人, 秩從三品, 司業一人從四品, 丞從六品, 國子博士二人正七品, 大學博士二人從七品, 注簿從七品, 四門博士正八品, 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