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종문종 10년(1056) 병신년문종 10년(1056) 병신년10년 봄 정월 신미일. 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에 운석(隕石)이 떨어졌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갑술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아가주(阿加主) 등 50명이 와서 준마 32필을 바쳤다. 2월 …#황주 #봉국장군 #아가주 #염가칭 #군기승 #염위 #삼한공신 #사도 #염형명 #환위공자군 #봉성현 #청녕 #덕수현 #흥왕사 #탐라국 #왕증 #국원후 #시중 #이자연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좌복야 #지맹 #수사공 #상서우복야 #고열 #건덕전 #이간방 #동로마병이사 #시어사 #김단 #정전 #서경유수 #비서각 #한서 #진서 #당서 #논어 #효경 #목사 #자사 #통판 #현령 #위 #장리 #목민관 #형부원외랑 #이유적 #충주 #경주 #상주 #삼도무문사 #어사잡단 #병부낭중 #김약진 #예부낭중 #최상 #진주 #나주 #전주 #청주 #광주 #공주 #홍주 #칠도무문사 #감찰어사 #시전중내급사 #안민보 #민창수 #동도무문사 #수춘궁 #태일성 #초제 #동지루 #최응 #이서 #왕충 #정상위권예 #등원 #조신 #뇌충 #금주 #태묘 #협제 #재궁 #신봉루 #황증 #내제석원 #해린 #왕사 #팔관회 #법왕사 #야사로 #영주자사 #소유신 #유원장군 #사복하 #삭주 #서강 #병악 #장원정
-
문종문종 10년(1056) 병신년문종 10년(1056) 병신년十年 春正月 辛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甲戌 東女眞奉國將軍阿加主等五十人來, 獻駿馬三十二匹. 二月 甲午 有司奏, “沒蕃人廉可偁, 軍器丞位之子, 三韓功臣司徒邢明之孫. 於庚戌年中, 充環衛公子軍役, 會丹兵闌入, 京城震騷, 奉二親, 避兵于故鄕峯城縣, 道…#황주 #봉국장군 #아가주 #염가칭 #군기승 #염위 #삼한공신 #사도 #염형명 #환위공자군 #봉성현 #청녕 #덕수현 #흥왕사 #탐라국 #왕증 #국원후 #시중 #이자연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좌복야 #지맹 #수사공 #상서우복야 #고열 #건덕전 #이간방 #동로마병이사 #시어사 #김단 #정전 #서경유수 #비서각 #한서 #진서 #당서 #논어 #효경 #목사 #자사 #통판 #현령 #위 #장리 #목민관 #형부원외랑 #이유적 #충주 #경주 #상주 #삼도무문사 #어사잡단 #병부낭중 #김약진 #예부낭중 #최상 #진주 #나주 #전주 #청주 #광주 #공주 #홍주 #칠도무문사 #감찰어사 #시전중내급사 #안민보 #민창수 #동도무문사 #수춘궁 #태일성 #초제 #동지루 #최응 #이서 #왕충 #정상위권예 #등원 #조신 #뇌충 #금주 #태묘 #협제 #재궁 #신봉루 #황증 #내제석원 #해린 #왕사 #팔관회 #법왕사 #야사로 #영주자사 #소유신 #유원장군 #사복하 #삭주 #서강 #병악 #장원정
-
제신(諸臣)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 이제현(1287~1367) 이지공(李之公)․이봉룡(李鳳龍)이라고도 하며, 본관은 경주이다. 충렬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권무봉선고판관(權務奉先庫判官)․연경궁녹사(延慶宮錄事)를 거쳐 공민왕 때까지 판삼사사(判三司事)․우정승(右政丞)․문하시중(門下…#이제현 #이지공 #검교정승 #이진 #충렬왕 #성균시 #병과 #예문춘추관 #충선왕 #규정 #성균악정 #제거풍저창사 #내부시부령 #원나라 #인종 #무종 #충숙왕 #연경 #요수 #염복 #원명선 #조맹부 #성균좨주 #서촉 #선부전서 #강남 #권한공 #거란 #송나라 #태조 #서도 #정악 #육부 #광종 #향교 #의종 #신준 #오생 #지밀직사사 #단성익찬공신 #연오 #왕부단사관 #유청신 #오잠 #도당 #중용 #제나라 #환공 #형후 #위후 #요나라 #금산왕자 #태조성무 #카치운 #차라 #충헌왕 #조충 #김취려 #세조황제 #충경왕 #양초 #카다안 #세조 #토번 #최성지 #낭중 #대승상 #이윤 #주공 #방현령 #두여회 #심왕 #제국대장공주 #승상 #바이주 #맹자 #직 #도스마 #밀직사사 #첨의평리 #정당문학 #김해군 #조적 #충혜왕 #철권 #역옹패설 #재상 #민천사 #정동성 #도치 #금나라 #거란장 #세조문무 #양양 #아릭부케 #막북 #변량 #임유무 #강화도 #개경 #일본 #김방경 #나얀대왕 #수달달 #여진 #이즈르부카왕 #쿠투르게리미쉬공주 #아라트나시리왕 #부다시리왕 #기씨 #주나라 #간 #한나라 #양왕 #양나라 #충목왕 #판삼사사 #부원군 #좨주 #전숙몽 #효경 #논어 #대학 #환관 #정방 #전리사 #군부사 #고공사 #도목 #양장 #조륜 #박인수 #고겸 #응방 #내승 #고용보 #덕녕창 #보흥창 #자사 #수령 #금어 #참직 #감무 #현령 #목사 #태수 #감찰사 #안렴사 #목민관 #식읍 #광흥창 #경기 #조업전 #구분전 #녹과전 #존무사 #안무사 #안축 #이곡 #안진 #이인복 #민지 #본조편년강목 #충렬왕실록』 #충선왕실록』 #충숙왕실록』 #공민왕 #정승 #덕경부 #도첨의정승 #정동행성 #이문 #배전 #박수명 #직성군 #노영서 #가덕도 #찬성사 #윤시우 #각산 #정천기 #제주목사 #지도첨의사사 #한대순 #기장감무 #조일신 #우정승 #이색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기철 #환시 #양부 #국사 #사관 #삼관 #소목 #하 #은 #주 #송경 #현종 #이가도 #서해도 #충청도 #사평진 #여고 #차라대 #황교 #상주 #홍언박 #문충 #측천기 #당나라 #주자강목 #최해 #익재 #평장사 #양제 #신돈 #좌주 #성리학 #익재난고 #백문보 #이달충 #숙종 #예종 #이서종 #이달존 #이창로 #이보림
-
효우(孝友)위초(尉貂)위초尉貂위초는 본래 거란 사람으로 명종대에 산원동정(散員同正)이 되었다. 부친 위영성(尉永成)이 난치병에 걸리자 의원이 자식의 살을 먹으면 나을 것이라고 일러주었다. 위초가 즉시 넓적다리 살을 베어 만두소를 만들어 먹이니 병이 차도를 보였다. 왕이 듣고서, …
-
제신(諸臣)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李齊賢, 字仲思, 初名之公, 檢校政丞瑱之子. 自幼嶷然如成人, 爲文已有作者氣. 忠烈二十七年, 年十五魁成均試, 又中丙科曰, “此小技耳.” 討論經籍益勤, 淹貫精硏, 瑱喜曰, “天其或者, 益大吾門乎!” 三十四年, 選入藝文春秋館. 忠宣元年, 擢糾正, 累遷成均樂正. 嘗任…#이제현 #이지공 #검교정승 #이진 #충렬왕 #성균시 #병과 #예문춘추관 #충선왕 #규정 #성균악정 #제거풍저창사 #내부시부령 #원나라 #인종 #무종 #충숙왕 #연경 #요수 #염복 #원명선 #조맹부 #성균좨주 #서촉 #선부전서 #강남 #권한공 #거란 #송나라 #태조 #서도 #정악 #육부 #광종 #향교 #의종 #신준 #오생 #지밀직사사 #단성익찬공신 #연오 #왕부단사관 #유청신 #오잠 #도당 #중용 #제나라 #환공 #형후 #위후 #요나라 #금산왕자 #태조성무 #카치운 #차라 #충헌왕 #조충 #김취려 #세조황제 #충경왕 #양초 #카다안 #세조 #토번 #최성지 #낭중 #대승상 #이윤 #주공 #방현령 #두여회 #심왕 #제국대장공주 #승상 #바이주 #맹자 #직 #도스마 #밀직사사 #첨의평리 #정당문학 #김해군 #조적 #충혜왕 #철권 #역옹패설 #재상 #민천사 #정동성 #도치 #금나라 #거란장 #세조문무 #양양 #아릭부케 #막북 #변량 #임유무 #강화도 #개경 #일본 #김방경 #나얀대왕 #수달달 #여진 #이즈르부카왕 #쿠투르게리미쉬공주 #아라트나시리왕 #부다시리왕 #기씨 #주나라 #간 #한나라 #양왕 #양나라 #충목왕 #판삼사사 #부원군 #좨주 #전숙몽 #효경 #논어 #대학 #환관 #정방 #전리사 #군부사 #고공사 #도목 #양장 #조륜 #박인수 #고겸 #응방 #내승 #고용보 #덕녕창 #보흥창 #자사 #수령 #금어 #참직 #감무 #현령 #목사 #태수 #감찰사 #안렴사 #목민관 #식읍 #광흥창 #경기 #조업전 #구분전 #녹과전 #존무사 #안무사 #안축 #이곡 #안진 #이인복 #민지 #본조편년강목 #충렬왕실록』 #충선왕실록』 #충숙왕실록』 #공민왕 #정승 #덕경부 #도첨의정승 #정동행성 #이문 #배전 #박수명 #직성군 #노영서 #가덕도 #찬성사 #윤시우 #각산 #정천기 #제주목사 #지도첨의사사 #한대순 #기장감무 #조일신 #우정승 #이색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기철 #환시 #양부 #국사 #사관 #삼관 #소목 #하 #은 #주 #송경 #현종 #이가도 #서해도 #충청도 #사평진 #여고 #차라대 #황교 #상주 #홍언박 #문충 #측천기 #당나라 #주자강목 #최해 #익재 #평장사 #양제 #신돈 #좌주 #성리학 #익재난고 #백문보 #이달충 #숙종 #예종 #이서종 #이달존 #이창로 #이보림
-
효우(孝友)위초(尉貂)위초尉貂尉貂, 本契丹人, 明宗朝, 爲散員同正. 父永成患惡疾, 醫云, “用子肉, 可治.” 貂卽割股肉, 雜置餛飩中饋之, 病稍閒. 王聞之詔曰, “貂之孝, 冠絶古今. 傳云, ‘孝者百行之源.’ 又曰, ‘求忠臣於孝子之門.’ 則貂之孝, 在所必賞.” 命宰相議加褒賞, 韓文俊․文克謙等…
-
原州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으로 신라의 문무왕 때 북원소경(北原小京)을 두었다. 태조 23년(940)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1018)에 지주사(知州事)로 하였다. 고종 46년(1259)에 본 주가 왕명을 거역했다 하여 일신현(一新縣)으로 강등시…#고구려 #평원군 #신라 #문무왕 #태조 #현종 #지주사 #고종 #일신현 #원종 #임유무 #정원도호부 #충렬왕 #거란군 #익흥도호부 #원주목 #충선왕 #성안부 #공민왕 #치악산 #평량경 #평량 #성종 #속군 #속현 #내생군 #경덕왕 #내성군 #고려 #옌 다르마시리 #원사 #명나라 #지군사 #내토군 #내제군 #자사 #목종 #예종 #감무 #의천 #의원 #욱오현 #우오현 #백오 #영현 #현령 #우왕 #환관 #이신 #노산 #적산현 #적성현 #충주 #카다안 #난 #충숙왕 #지단양군사 #죽령산 #을아단현 #자춘 #주연현 #학성 #골내근현 #황효 #소천군 #황리현 #영의 #순경왕후 #여흥군 #홍무 #황려부 #공양왕 #여강
-
淸州牧본래 백제의 상당현(上黨縣)으로,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685)에 처음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 경덕왕 때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켰다. 태조 23년(940)에 청주(淸州)로 고쳤다. 성종 2년(983)에 처음 12목을 설치했는데 청주도 그 중 하…#백제 #상당현 #신라 #신문왕 #서원소경 #경덕왕 #서원경 #태조 #청주 #성종 #12목 #12주 절도사 #전절군 #중원도 #현종 #안무사 #8목 #속군 #속현 #지사부 #지사군 #현령관 #일모산군 #명종 #고종 #위사공신 #박희실 #문의현 #충렬왕 #가림 #대목악군 #대록군 #감무 #신정 #고구려 #금물노군 #만노군 #수지 #신지 #흑양군 #고려 #강주 #자사 #목종 #임연 #창의현 #원종 #지의령군사 #상산 #태령산 #만노군태수 #김서현 #만명 #유신 #구지현 #금지 #영현 #살매현 #도서현 #도서 #청연현 #두잉지현 #연산군 #목천감무 #원수산 #한희유 #김흔 #카다안 #정좌산 #웅진 #웅천하 #미곡현 #매곡 #회덕감무 #우왕
-
天安府태조 13년(930)에 동․서두솔(東西兜率)을 합하여 천안부로 하고 도독(都督)을 두었다【속설에 전하기를, 술사(術師) 예방(藝方) 예방(?~?) 고려 초기의 풍수도참가로 태조에게 건의하여 천안부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현종 21년(1030) 『삼한회토기(三韓會…#태조 #천안부 #도독 #술사 #예방 #백제 #성종 #환주도단련사 #목종 #현종 #지부사 #고종 #선장도 #충선왕 #영주 #공민왕 #임환 #속군 #속현 #탕정군 #신라 #문무왕 #총관 #고려 #명종 #감무 #아술현 #경덕왕 #음봉 #영현 #인주 #자사 #영인 #굴직현 #기량 #공양왕 #장포 #개경 #만호 #도고산 #감매현 #순치 #대록군 #자천 #하팔현 #오산현 #고산 #임성군 #위례성 #온조왕 #고구려 #사산현 #백성군 #하양창 #경양현 #염장관 #내혜홀 #수주 #홍건적 #양광도 #안성현 #지군사 #수원 #양양 #감미탄 #마전 #신곡 #부곡 #김용
-
義州본래 고려의 용만현(龍灣縣)으로, 또 화의(和義)라고도 한다. 애초 거란이 압록강 동쪽 강언덕에 성을 쌓고 보주(保州)라고 칭했으며 문종조에 거란이 또 궁구문(弓口門) 궁구문 궁구(弓口)는 몸을 숨긴 채로 활을 쏘기 위하여 뚫어 놓은 구멍을 말하며, 문(門)은…
-
문종 10년(1056) 병신년10년 봄 정월 신미일. 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에 운석(隕石)이 떨어졌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갑술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아가주(阿加主) 등 50명이 와서 준마 32필을 바쳤다. 2월 …
-
문종 10년(1056) 병신년十年 春正月 辛未 隕石于黃州, 聲如雷. 甲戌 東女眞奉國將軍阿加主等五十人來, 獻駿馬三十二匹. 二月 甲午 有司奏, “沒蕃人廉可偁, 軍器丞位之子, 三韓功臣司徒邢明之孫. 於庚戌年中, 充環衛公子軍役, 會丹兵闌入, 京城震騷, 奉二親, 避兵于故鄕峯城縣, 道…
-
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 이제현(1287~1367) 이지공(李之公)․이봉룡(李鳳龍)이라고도 하며, 본관은 경주이다. 충렬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권무봉선고판관(權務奉先庫判官)․연경궁녹사(延慶宮錄事)를 거쳐 공민왕 때까지 판삼사사(判三司事)․우정승(右政丞)․문하시중(門下…
-
위초尉貂위초는 본래 거란 사람으로 명종대에 산원동정(散員同正)이 되었다. 부친 위영성(尉永成)이 난치병에 걸리자 의원이 자식의 살을 먹으면 나을 것이라고 일러주었다. 위초가 즉시 넓적다리 살을 베어 만두소를 만들어 먹이니 병이 차도를 보였다. 왕이 듣고서, …
-
이제현李齊賢李齊賢, 字仲思, 初名之公, 檢校政丞瑱之子. 自幼嶷然如成人, 爲文已有作者氣. 忠烈二十七年, 年十五魁成均試, 又中丙科曰, “此小技耳.” 討論經籍益勤, 淹貫精硏, 瑱喜曰, “天其或者, 益大吾門乎!” 三十四年, 選入藝文春秋館. 忠宣元年, 擢糾正, 累遷成均樂正. 嘗任…
-
위초尉貂尉貂, 本契丹人, 明宗朝, 爲散員同正. 父永成患惡疾, 醫云, “用子肉, 可治.” 貂卽割股肉, 雜置餛飩中饋之, 病稍閒. 王聞之詔曰, “貂之孝, 冠絶古今. 傳云, ‘孝者百行之源.’ 又曰, ‘求忠臣於孝子之門.’ 則貂之孝, 在所必賞.” 命宰相議加褒賞, 韓文俊․文克謙等…
-
原州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으로 신라의 문무왕 때 북원소경(北原小京)을 두었다. 태조 23년(940)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1018)에 지주사(知州事)로 하였다. 고종 46년(1259)에 본 주가 왕명을 거역했다 하여 일신현(一新縣)으로 강등시…
-
淸州牧본래 백제의 상당현(上黨縣)으로,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685)에 처음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 경덕왕 때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켰다. 태조 23년(940)에 청주(淸州)로 고쳤다. 성종 2년(983)에 처음 12목을 설치했는데 청주도 그 중 하…
-
天安府태조 13년(930)에 동․서두솔(東西兜率)을 합하여 천안부로 하고 도독(都督)을 두었다【속설에 전하기를, 술사(術師) 예방(藝方) 예방(?~?) 고려 초기의 풍수도참가로 태조에게 건의하여 천안부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현종 21년(1030) 『삼한회토기(三韓會…
-
義州본래 고려의 용만현(龍灣縣)으로, 또 화의(和義)라고도 한다. 애초 거란이 압록강 동쪽 강언덕에 성을 쌓고 보주(保州)라고 칭했으며 문종조에 거란이 또 궁구문(弓口門) 궁구문 궁구(弓口)는 몸을 숨긴 채로 활을 쏘기 위하여 뚫어 놓은 구멍을 말하며, 문(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