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11년(1324) 갑자년충숙왕 11년(1324) 갑자년봄 정월 ○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경인일. 연경궁(延慶宮)의 문에 화재가 발생했다. 갑인일. 황제가 왕에게 환국을 명령하고 다시 국왕의 인장(印章)을 하사했다. 병진일. 황제가 보라태자[孛刺太子]를 우리나라 대청도(大靑島)…#원나라 #인장 #보라태자 #대청도 #장공윤 #왕종 #대광 #정안군 #차칸테무르 #안산군 #왕관 #성안군 #왕리 #부평군 #왕주 #왕의 #정윤 #권한공 #예천군 #최유엄 #수첨의정승 #판선부사 #대령부원군 #김심 #판총부사 #권준 #김이 #첨의찬성사 #최성지 #윤신걸 #삼사사 #임중연 #추성양절공신 #첨의평리 #임자송 #직조언량익찬공신 #원충 #이제현 #밀직사사 #박인간 #진성병의익찬공신 #지밀직사사 #최천장 #추성좌명보절공신 #동지밀직사사 #김천보 #대사헌 #유인기 #조경 #원선지 #전언 #밀직부사 #환관 #이신 #수충보절동덕좌리공신 #영월부원군 #박원 #우부대언 #김원상 #조연수 #심왕 #순군 #연덕대군 #왕훈 #순군옥 #연복사 #찬성사 #한악 #베 #오위 #방연 #방원 #토번 #금주령 #지신사 #경사만 #이규 #우․좌대언 #밀직사 #장원지 #추충경절공신 #왕호 #중서성 #톡토테무르 #민종유 #태조성무황제 #충헌왕 #충경왕 #강화도 #충렬왕 #노심왕 #일본 #심종숙 #합포만호부녹사 #식목도감 #중군 #녹사 #직성사인 #뚤루부카 #전영보 #윤석 #평리 #판밀직사사 #김인연 #황서 #코코추 #영광군 #위왕 #에무게 #금동공주 #판삼사사 #박허중 #민천사 #대위왕 #도성 #문사관 #하정관 #최정승
-
충숙왕충숙왕 5년(1318) 무오년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연경궁 #요안도 #찬성사 #최성지 #권한공 #윤신걸 #원나라 #천추절 #김사원 #온천 #백원항 #아사 #의원 #정안군 #강안전 #태안군 #이공보 #첨의부 #제주 #사용 #김성 #송영 #목사 #흥천사 #초제 #대호군 #장공윤 #제주부사 #장윤화 #순군 #자연도 #영흥도 #탐라 #사심관 #배정지 #탐라존무사 #사헌집의 #김천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평 #장원조 #서북면 #존무사 #제찰사 #헌관 #재상 #김이 #상왕 #인월도 #기우제 #영안궁 #송분 #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예문검열 #안진 #제과 #예문응교 #총부직랑 #찰리변위도감 #이부상서 #바얀 #비칙치 #매려 #위왕 #손기 #변위도감 #홍신 #경천사 #내원당 #영보도량 #임강 #민적 #원윤 #왕순 #정윤 #왕희 #감문위 #호군
-
충숙왕충숙왕 11년(1324) 갑자년충숙왕 11년(1324) 갑자년十一年 春正月 王在元. 庚寅 延慶宮門火. 甲寅 帝勑王還國, 復賜國王印章. 丙辰 帝流孛剌太子于我大靑島. 二月 丁卯 大護軍張公允賚批目, 還自元. 琮爲大匡定安君, 察罕帖木兒爲大匡安山君, 琯爲成安君, 理爲富平君, 鑄․義並爲正尹, 權漢功爲醴泉君, 崔有渰…#원나라 #인장 #보라태자 #대청도 #장공윤 #왕종 #대광 #정안군 #차칸테무르 #안산군 #왕관 #성안군 #왕리 #부평군 #왕주 #왕의 #정윤 #권한공 #예천군 #최유엄 #수첨의정승 #판선부사 #대령부원군 #김심 #판총부사 #권준 #김이 #첨의찬성사 #최성지 #윤신걸 #삼사사 #임중연 #추성양절공신 #첨의평리 #임자송 #직조언량익찬공신 #원충 #이제현 #밀직사사 #박인간 #진성병의익찬공신 #지밀직사사 #최천장 #추성좌명보절공신 #동지밀직사사 #김천보 #대사헌 #유인기 #조경 #원선지 #전언 #밀직부사 #환관 #이신 #수충보절동덕좌리공신 #영월부원군 #박원 #우부대언 #김원상 #조연수 #심왕 #순군 #연덕대군 #왕훈 #순군옥 #연복사 #찬성사 #한악 #베 #오위 #방연 #방원 #토번 #금주령 #지신사 #경사만 #이규 #우․좌대언 #밀직사 #장원지 #추충경절공신 #왕호 #중서성 #톡토테무르 #민종유 #태조성무황제 #충헌왕 #충경왕 #강화도 #충렬왕 #노심왕 #일본 #심종숙 #합포만호부녹사 #식목도감 #중군 #녹사 #직성사인 #뚤루부카 #전영보 #윤석 #평리 #판밀직사사 #김인연 #황서 #코코추 #영광군 #위왕 #에무게 #금동공주 #판삼사사 #박허중 #민천사 #대위왕 #도성 #문사관 #하정관 #최정승
-
폐행(嬖幸)손기(孫琦)손기孫琦손기(孫琦) 손기(?~?) 본관은 평해(平海)로, 상인이면서도 공민왕 원년(1352) 8월에 서연(書筵)에 참여하여 시독하는 등 유교적 지식도 가졌던 관료이다.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299쪽.는 본래 장사꾼이었으나 충숙왕의 총애를 …
-
폐행(嬖幸)손기(孫琦)손기孫琦孫琦, 本商人, 爲忠肅倖臣, 累遷大護軍. 以侍從勞, 賜田及臧獲, 由摠部典書, 陞知密直司事, 賜推誠協輔功臣號. 王見讒留元, 奸臣附瀋王, 謀竊王位. 琦能忘身辨理, 王復位還國, 賜鐵券, 加推誠守義佐理功臣號, 拜僉議評理, 進贊成事. 後王還自元, 次平壤, 琦與萬戶曹碩,…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봄 정월 병인일. 왕과 공주가 연경궁(延慶宮)에서 잔치를 벌인 후 환궁하면서 왕이 말을 탄 채 요안도(姚安道)가 지은 「현종타구도시(玄宗打毬圖詩)」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한참이나 나직하게 읊조렸다. “구중궁궐 일천문 활짝 열린 대낮에 …
-
충숙왕 11년(1324) 갑자년봄 정월 ○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경인일. 연경궁(延慶宮)의 문에 화재가 발생했다. 갑인일. 황제가 왕에게 환국을 명령하고 다시 국왕의 인장(印章)을 하사했다. 병진일. 황제가 보라태자[孛刺太子]를 우리나라 대청도(大靑島)…
-
충숙왕 5년(1318) 무오년五年 春正月 丙寅 王及公主宴于延慶宮, 還宮, 王於馬上記姚安道所賦, 玄宗打毬圖詩, “金殿千門白晝開, 三郞沈醉打毬回. 九齡已老韓休死, 明日應無諫䟽來.” 沈吟久之. 翌日夜, 贊成事崔誠之享王, 王召權漢功․尹莘傑等, 賦詩懽甚, 又久吟打毬圖詩. 己巳 遣大提學崔誠之如元, …
-
충숙왕 11년(1324) 갑자년十一年 春正月 王在元. 庚寅 延慶宮門火. 甲寅 帝勑王還國, 復賜國王印章. 丙辰 帝流孛剌太子于我大靑島. 二月 丁卯 大護軍張公允賚批目, 還自元. 琮爲大匡定安君, 察罕帖木兒爲大匡安山君, 琯爲成安君, 理爲富平君, 鑄․義並爲正尹, 權漢功爲醴泉君, 崔有渰…
-
손기孫琦손기(孫琦) 손기(?~?) 본관은 평해(平海)로, 상인이면서도 공민왕 원년(1352) 8월에 서연(書筵)에 참여하여 시독하는 등 유교적 지식도 가졌던 관료이다.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299쪽.는 본래 장사꾼이었으나 충숙왕의 총애를 …
-
손기孫琦孫琦, 本商人, 爲忠肅倖臣, 累遷大護軍. 以侍從勞, 賜田及臧獲, 由摠部典書, 陞知密直司事, 賜推誠協輔功臣號. 王見讒留元, 奸臣附瀋王, 謀竊王位. 琦能忘身辨理, 王復位還國, 賜鐵券, 加推誠守義佐理功臣號, 拜僉議評理, 進贊成事. 後王還自元, 次平壤, 琦與萬戶曹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