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성종
    성종 8년(989) 기축년
    성종 8년(989) 기축년
    8년 봄 2월 경진일.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조정의 관리나 민간의 백성들로 병에 걸린 많은 사람들이 의원으로부터 치료를 받지 못하고 약품도 구하지 못해 치료를 제대로 못한다는 보고를 받았다. 짐이 이들 모두에게 의원과 약품을 …
    #시어의 #상약직장 #태의 #의정 #전장 #국학 #태학조교 #송승연 #나주목 #경학박사 #전보인 #공자 #태묘 #수시중 #최승로 #혜성 #태종 #태조 #대종 #선의왕후 #최득중 #시랑 #한인경 #병부낭중 #위덕유 #송나라 #광록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4년(1013) 계축년
    현종 4년(1013) 계축년
    4년 봄 정월 정유일. 예빈소경(禮賓少卿) 장계(張洎)를 거란으로 보냈다. 경술일. 송나라의 민(閩)(지금의 중국 푸젠성 일대)지역 사람인 대익(戴翼)이 투항해오자 유림랑(儒林郞)․수궁령(守宮令) 벼슬을 주고 옷가지와 전장(田莊)을 내려주었다…
    #장계 #거란 #민 #대익 #유림랑 #수궁령 #전장 #김작빈 #어사중승 #한창필 #우보궐 #황주량 #시어사 #경주 #중추원사 #채충순 #금주 #좌감문위 #대장군 #야율행평 #흥화진 #탈환 #우산기상시 #전보인 #공부상서 #참지정사 #장영 #서경유수 #통화 #개태 #압록강 #김승위 #경장태자 #차상서우승 #송악산 #의릉 #관인전 #임유간 #보국대장군 #송능 #표기대장군 #유손 #태조 #대광 #이부상서 #최항 #감수국사 #예부상서 #김심언 #수국사 #예부시랑 #주저 #내사사인 #윤징고 #우습유 #최충 #수찬관 #공신당 #지진 #일식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10년(1019) 기미년
    현종 10년(1019) 기미년
    10년 봄 정월 신유일. 소손녕(蕭遜寧)이 신은현(新恩縣)(지금의 황해북도 신계군)까지 진군했는데, 개경과는 불과 1백 리의 거리였다. 왕은 성 밖의 민가를 성안으로 몰아넣고 적이 사용하지 못하게 들판의 곡식을 다 거두게 한 다음 적을 기다리게 했다.…
    #소손녕 #신은현 #개경 #야율호덕 #통덕문 #금교역 #우나 #귀주 #강감찬 #상서우복야 #전보인 #명경과 #학관 #영파역 #명복전 #삼군 #일식 #상서좌복야 #문인위 #통주도부서 #유백부 #이응보 #강민첨 #응양군 #상장군 #주국 #유참 #예빈경 #김종현 #예부원외랑 #나사 #아로태 #신사 #진명선병도부서 #장위남 #공역령 #정자량 #태백성 #동경문적원소감 #오장공 #철리국 #나사불 #나민 #상서예부시랑 #우간의대부 #이원 #상서좌․우복야 #천주 #진문궤 #아라불 #복주 #우선 #우산국 #최원신 #이수화 #송나라 #동경사 #공부소경 #고응수 #고공원외랑 #이인택 #동경 #문하시중 #유진 #모일라 #태사 #수창궁 #탐라 #흑수 #유소 #사헌중승 #양절 #망난 #문하시랑 #내사문하평장사 #강남 #주현 #정호 #상산 #이천현 #수안현 #협계현 #우봉군 #태조 #현릉 #왕서 #연덕궁 #구돌라 #최사위 #청하현개국남 #우산기상시 #유방 #천승현개국남 #채충순 #제양현개국남 #혜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8년(989) 기축년
    성종 8년(989) 기축년
    八年 春二月 庚辰 敎曰, “聞朝野士庶之病者, 未能見醫, 亦無藥物, 不得瘳者多矣. 朕深欲遍賜醫藥, 然往古亦無博施之文. 自今, 內外文官五品, 武官四品以上疾病, 並令本司, 具錄以聞, 遣侍御醫․尙藥直長․太醫․醫正等, 齎藥往治之.” 群臣上表謝. 夏四月 …
    #시어의 #상약직장 #태의 #의정 #전장 #국학 #태학조교 #송승연 #나주목 #경학박사 #전보인 #공자 #태묘 #수시중 #최승로 #혜성 #태종 #태조 #대종 #선의왕후 #최득중 #시랑 #한인경 #병부낭중 #위덕유 #송나라 #광록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4년(1013) 계축년
    현종 4년(1013) 계축년
    四年 春正月 丁酉 遣禮賓少卿張洎如契丹. 庚戌 宋閩人戴翼來投, 授儒林郞守宮令, 賜衣物田莊. 辛酉 以金作賓爲御史中丞, 韓昌弼爲右補闕, 黃周亮爲侍御史. 壬午 慶州地震. 癸未 敎曰, “朕以眇躬, 忝爲元首, 愆違所積, 變異相仍. 祅不妄作, 是用憂懼, 宜令有司, 講求弭災…
    #장계 #거란 #민 #대익 #유림랑 #수궁령 #전장 #김작빈 #어사중승 #한창필 #우보궐 #황주량 #시어사 #경주 #중추원사 #채충순 #금주 #좌감문위 #대장군 #야율행평 #흥화진 #탈환 #우산기상시 #전보인 #공부상서 #참지정사 #장영 #서경유수 #통화 #개태 #압록강 #김승위 #경장태자 #차상서우승 #송악산 #의릉 #관인전 #임유간 #보국대장군 #송능 #표기대장군 #유손 #태조 #대광 #이부상서 #최항 #감수국사 #예부상서 #김심언 #수국사 #예부시랑 #주저 #내사사인 #윤징고 #우습유 #최충 #수찬관 #공신당 #지진 #일식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10년(1019) 기미년
    현종 10년(1019) 기미년
    十年 春正月 辛酉 蕭遜寧至新恩縣, 去京城百里. 王命收城外民戶入內, 淸野以待. 遜寧遣耶律好德賚書, 至通德門, 告以回軍. 潛遣候騎三百餘, 至金郊驛, 我遣兵一百, 乘夜掩殺之. 丙子 東女眞酋長于那等來朝. 二月 己丑朔 丹兵過龜州, 邯贊等邀戰, 大敗之, …
    #소손녕 #신은현 #개경 #야율호덕 #통덕문 #금교역 #우나 #귀주 #강감찬 #상서우복야 #전보인 #명경과 #학관 #영파역 #명복전 #삼군 #일식 #상서좌복야 #문인위 #통주도부서 #유백부 #이응보 #강민첨 #응양군 #상장군 #주국 #유참 #예빈경 #김종현 #예부원외랑 #나사 #아로태 #신사 #진명선병도부서 #장위남 #공역령 #정자량 #태백성 #동경문적원소감 #오장공 #철리국 #나사불 #나민 #상서예부시랑 #우간의대부 #이원 #상서좌․우복야 #천주 #진문궤 #아라불 #복주 #우선 #우산국 #최원신 #이수화 #송나라 #동경사 #공부소경 #고응수 #고공원외랑 #이인택 #동경 #문하시중 #유진 #모일라 #태사 #수창궁 #탐라 #흑수 #유소 #사헌중승 #양절 #망난 #문하시랑 #내사문하평장사 #강남 #주현 #정호 #상산 #이천현 #수안현 #협계현 #우봉군 #태조 #현릉 #왕서 #연덕궁 #구돌라 #최사위 #청하현개국남 #우산기상시 #유방 #천승현개국남 #채충순 #제양현개국남 #혜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선거지(選擧志)
    학교(學校)
    학교學校
    태조 13(930). 13년 『고려사』 권1, 태조 13년 12월 경인에는 “국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학교를 창설했다”고 하여, 그 월일이 12월 경인일로 기록되어있다. 국왕이 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에 행차해 학교를 창설 창설 『고려사절요』 권1…
    #서경 #학교 #정악 #서학박사 #학원 #6부 #생도 #태조 #의업 #복업 #학보 #개경 #주공 #공자 #요 #순 #과거 #학사 #학생 #복두 #통사사인 #고영암 #객성 #경학박사 #의학박사 #12목 #장리 #백성 #수령 #한 #대학 #조교 #송승연 #남해도 #나주목 #전보인 #국자박사 #문관 #서재 #전장 #국자감 #3경 #10도 #박사 #사장 #학관 #유생 #율생 #재상 #소태보 #국학 #8목 #통판 #지주사 #현령 #문과 #예종 #7재 #주역 #여택재 #상서 #대빙재 #모시 #경덕재 #주례 #구인재 #대례 #복응재 #춘추 #양정재 #무학 #강예재 #최민용 #한자순 #장자 #양현고 #문선왕묘 #선종 #유교 #식목도감 #국자학생 #훈관 #현공 #경관 #훈봉 #태학생 #봉작 #사문학생 #학교 학생 #잡로 #공장 #상인 #악공 #귀향 #천인 #향 #부곡 #율학 #서학 #산학 #서인 #국자 #태학 #사문 #율학박사 #율령 #8서 #산학박사 #산술 #예기 #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효경 #논어 #학생들 #효경』 #논어』 #상서』 #공양전』 #곡량전』 #주역』 #모시』 #주례』 #의례 #예기』 #좌씨전』 #시무책 #국어 #설문 #자림 #삼창 #이아 #명경업 #참상 #참외 #교도관 #어사대 #당 #한문공 #조주 #조덕 #삼한 #유학 #불교 사원 #중서문하성 #정안 #무학재 #문학 #문사 #문하성 #6재 #학유 #유신 #양계 #병마사 #안찰사 #중군 #재추 #동․서학당 #별감 #교학 #교도 #안향 #은 #섬학전 #내고 #강남 #6경 #제자서 #사서 #7관 #12도 #대성전 #원나라 #야율희일 #반궁 #예문관 #훈도 #이색 #향교 #학당 #성균관 #예부 #임박 #숭문관 #유관 #5경재 #4경재 #대사헌 #조준 #군역 #송 #하과 #교수관 #5도 #5부 #서북면 #유학교수관 #김첨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선거지(選擧志)
    학교(學校)
    학교學校
    太祖十三年 幸西京, 創置學校, 命秀才廷鶚爲書學博士. 別創學院, 聚六部生徒敎授, 後太祖聞其興學, 賜綵帛勸之. 兼置醫․卜二業, 又賜倉穀百石, 爲學寶. 成宗 詔, 令諸州郡縣選子弟, 詣京習業. 五年七月 敎曰, “朕素慚薄德, 尙切崇儒, 欲興周孔之風, 冀…
    #서경 #학교 #정악 #서학박사 #학원 #6부 #생도 #태조 #의업 #복업 #학보 #개경 #주공 #공자 #요 #순 #과거 #학사 #학생 #복두 #통사사인 #고영암 #객성 #경학박사 #의학박사 #12목 #장리 #백성 #수령 #한 #대학 #조교 #송승연 #남해도 #나주목 #전보인 #국자박사 #문관 #서재 #전장 #국자감 #3경 #10도 #박사 #사장 #학관 #유생 #율생 #재상 #소태보 #국학 #8목 #통판 #지주사 #현령 #문과 #예종 #7재 #주역 #여택재 #상서 #대빙재 #모시 #경덕재 #주례 #구인재 #대례 #복응재 #춘추 #양정재 #무학 #강예재 #최민용 #한자순 #장자 #양현고 #문선왕묘 #선종 #유교 #식목도감 #국자학생 #훈관 #현공 #경관 #훈봉 #태학생 #봉작 #사문학생 #학교 학생 #잡로 #공장 #상인 #악공 #귀향 #천인 #향 #부곡 #율학 #서학 #산학 #서인 #국자 #태학 #사문 #율학박사 #율령 #8서 #산학박사 #산술 #예기 #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효경 #논어 #학생들 #효경』 #논어』 #상서』 #공양전』 #곡량전』 #주역』 #모시』 #주례』 #의례 #예기』 #좌씨전』 #시무책 #국어 #설문 #자림 #삼창 #이아 #명경업 #참상 #참외 #교도관 #어사대 #당 #한문공 #조주 #조덕 #삼한 #유학 #불교 사원 #중서문하성 #정안 #무학재 #문학 #문사 #문하성 #6재 #학유 #유신 #양계 #병마사 #안찰사 #중군 #재추 #동․서학당 #별감 #교학 #교도 #안향 #은 #섬학전 #내고 #강남 #6경 #제자서 #사서 #7관 #12도 #대성전 #원나라 #야율희일 #반궁 #예문관 #훈도 #이색 #향교 #학당 #성균관 #예부 #임박 #숭문관 #유관 #5경재 #4경재 #대사헌 #조준 #군역 #송 #하과 #교수관 #5도 #5부 #서북면 #유학교수관 #김첨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