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종덕종 원년(1032) 임신년덕종 원년(1032) 임신년봄 정월 신사일. 어사대(御史臺)에서 대부경(大府卿) 왕희걸(王希傑)과 우사낭중(右司郞中) 유백인(柳伯仁), 예부낭중(禮部郞中) 최복규(崔復珪), 최복규(?~?) 덕종 때 예부낭중(禮部郞中)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한편 문종 원년(1047) 10월 진…#어사대 #대부경 #왕희걸 #우사낭중 #유백인 #예부낭중 #최복규 #원외랑 #이응년 #서경 #분사 #임유간 #우승선 #이부낭중 #금자 #거란 #내원성 #삭주 #영인진 #파천현 #외제석원 #자곤 #상서좌복야 #이응보 #사도 #김여탁 #사공 #참지정사 #중추원사 #사지 #명동 #통주 #진위부위 #호장 #김거 #별장 #수견 #내침 #대부 #마수 #낭장 #태백성 #사통 #철리국 #황보유의 #황주량 #연등회 #왕륜사 #백가이 #전직 #고선오 #전전 #고진성 #좌상도지휘사 #대광 #보주회화군사판관 #최운부 #향공진사 #이운형 #박유인 #한림학사 #어사잡단 #왕가도 #감수국사 #이단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수국사 #유징필 #나민 #예부상서 #묘통사 #반희악 #소부감 #김연경 #군기감 #전인영 #예빈소경 #유백부 #위위소경 #김양좌 #소부소감 #양백 #전중승 #봉은사 #중광사 #정전 #원윤 #고두로 #내을고 #구정 #초제 #살오덕 #휘신도량 #현화사 #회화장군 #이동 #우음약기 #귀덕장군 #야어포 #응건전 #소을사 #이예균 #대상 #야반 #정조 #가이로 #개로 #원보 #고도화 #고성 #김종현 #우산기상시 #주오 #유종 #좌산기상시 #황보영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진현석 #어사중승 #정보 #두어보 #평장사 #이부상서 #법경 #국사 #보윤 #대유 #야을한 #봉국대장군 #요을내 #압사관 #이남송 #상주 #주부 #유신사 #제을남 #우릉 #부어잉다랑 #대포고지문 #이작충 #좌간의대부 #노우 #박양명 #감찰어사 #나골
-
덕종덕종 원년(1032) 임신년덕종 원년(1032) 임신년元年 春正月 辛巳 御史臺劾, “大府卿王希傑, 右司郞中柳伯仁, 禮部郞中崔復珪, 員外郞李膺年, 分司西京, 求田殖貨, 請黜免.” 從之. 甲申 以林維幹爲右承宣吏部郞中, 賜金紫. 乙酉 契丹遣留使來, 至來遠城, 不納. 遂城朔州․寧仁鎭․派川等縣, 備之. 丁亥 幸外帝釋院. …#어사대 #대부경 #왕희걸 #우사낭중 #유백인 #예부낭중 #최복규 #원외랑 #이응년 #서경 #분사 #임유간 #우승선 #이부낭중 #금자 #거란 #내원성 #삭주 #영인진 #파천현 #외제석원 #자곤 #상서좌복야 #이응보 #사도 #김여탁 #사공 #참지정사 #중추원사 #사지 #명동 #통주 #진위부위 #호장 #김거 #별장 #수견 #내침 #대부 #마수 #낭장 #태백성 #사통 #철리국 #황보유의 #황주량 #연등회 #왕륜사 #백가이 #전직 #고선오 #전전 #고진성 #좌상도지휘사 #대광 #보주회화군사판관 #최운부 #향공진사 #이운형 #박유인 #한림학사 #어사잡단 #왕가도 #감수국사 #이단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수국사 #유징필 #나민 #예부상서 #묘통사 #반희악 #소부감 #김연경 #군기감 #전인영 #예빈소경 #유백부 #위위소경 #김양좌 #소부소감 #양백 #전중승 #봉은사 #중광사 #정전 #원윤 #고두로 #내을고 #구정 #초제 #살오덕 #휘신도량 #현화사 #회화장군 #이동 #우음약기 #귀덕장군 #야어포 #응건전 #소을사 #이예균 #대상 #야반 #정조 #가이로 #개로 #원보 #고도화 #고성 #김종현 #우산기상시 #주오 #유종 #좌산기상시 #황보영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진현석 #어사중승 #정보 #두어보 #평장사 #이부상서 #법경 #국사 #보윤 #대유 #야을한 #봉국대장군 #요을내 #압사관 #이남송 #상주 #주부 #유신사 #제을남 #우릉 #부어잉다랑 #대포고지문 #이작충 #좌간의대부 #노우 #박양명 #감찰어사 #나골
-
제신(諸臣)한안인(韓安仁)한안인韓安仁한안인(韓安仁)은 자가 자거(子居)이고, 처음 이름이 한교여(韓皦如)로 단주(端州) 사람이다. 부친 한규(韓圭) 한규(?~?) 본관은 장단(長湍)으로, 향공(鄕貢)으로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호부시랑(戶部侍郞)․형부시랑(刑部侍郞)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선…#한안인 #자거 #한교여 #단주 #한규 #향공 #호부시랑 #직한림원 #예종 #이영 #이여림 #시학 #우부승선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형부상서 #예부상서 #동지추밀원사 #김상제 #이유인 #판합문사 #대부경 #어사대 #팔관회 #추밀원 #대관 #별가 #추밀원사 #왕자지 #시어사 #진숙 #노원숭 #도관원외랑 #인종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송나라 #실록편수관 #문공미 #최홍재 #이자겸 #이자량 #추부 #승선 #한주 #태의 #최사전 #최유적 #급사중 #내급사 #장응추 #정극영 #지어사대사 #채석 #이영공 #승주 #감물도 #충주 #영광군 #송도 #상서우승 #한안중 #영륜 #예부낭중 #한충 #임존 #합문지후 #이중약 #이정 #지후 #문공유 #가관 #우정언 #최거린 #원외랑 #임원준 #한윤 #이원장 #형부 #좌정언 #이봉원 #사천감 #전간 #전직 #안천향 #문열
-
제신(諸臣)한안인(韓安仁)한안인韓安仁韓安仁, 字子居, 舊名皦如, 端州人. 父圭, 以鄕貢中第, 仕至戶部侍郞, 安仁登第, 直翰林院. 睿宗在潛邸, 安仁與李永․李汝霖等侍學, 及卽位, 以舊恩, 密近用事. 恩寵浸優, 兄弟親戚, 皆夤緣, 分據要路, 士大夫趨勢利者, 無不附. 初與汝霖, 交若不相負, 後擠之, 使…#한안인 #자거 #한교여 #단주 #한규 #향공 #호부시랑 #직한림원 #예종 #이영 #이여림 #시학 #우부승선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형부상서 #예부상서 #동지추밀원사 #김상제 #이유인 #판합문사 #대부경 #어사대 #팔관회 #추밀원 #대관 #별가 #추밀원사 #왕자지 #시어사 #진숙 #노원숭 #도관원외랑 #인종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송나라 #실록편수관 #문공미 #최홍재 #이자겸 #이자량 #추부 #승선 #한주 #태의 #최사전 #최유적 #급사중 #내급사 #장응추 #정극영 #지어사대사 #채석 #이영공 #승주 #감물도 #충주 #영광군 #송도 #상서우승 #한안중 #영륜 #예부낭중 #한충 #임존 #합문지후 #이중약 #이정 #지후 #문공유 #가관 #우정언 #최거린 #원외랑 #임원준 #한윤 #이원장 #형부 #좌정언 #이봉원 #사천감 #전간 #전직 #안천향 #문열
-
冊王太子儀태묘(太廟)․경령전(景靈殿) 및 여러 능과 사당에 고하는 것과 해당 관청에서 일을 거행하는 의례는 평상시에 고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정의 자리 배치[殿庭陳設] 전정(殿庭)의 자리 배치는 왕비를 …#태묘 #경령전 #전정 #제위 #재신 #추밀 #책사 #부사 #조복 #대관전 #전의 #찬자 #합문 #태악령 #협률랑 #휘 #섭시중 #선인전 #황포 #명편 #금위 #추밀관 #통사사인 #시중 #문하시랑 #부절 #중서시랑 #압책자 #좌춘방 #독책 #시신 #수궁서 #동궁문 #중명문 #우의 #여정전 #태위 #사도 #독책관 #압책관 #찬인 #좌서자 #우서자 #중사인 #중윤 #집사 #삼사 #삼소 #여정문 #동궁시위 #사어상장군 #춘방통사사인 #전직 #압물관 #상장군 #연반 #권화사 #굴장 #기거장 #집례관 #홀 #화주사 #선화주 #압화주사 #압화사 #인화담원 #집사관 #선화사 #영선악 #장의 #정전 #강사포 #왕후전 #보책 #왕후전의
-
王太子納妃儀납채(納采)․택일(擇日), 날짜 고지의 의례 납채․택일 및 날짜를 고지하는 의례, 그리고 국왕이 직접 명령을 내리고 사자를 파견하는 의례는 통상대로 행하며 태묘(太廟)에 고하는 의례도 평상시에 고하는 것과 동일하다. 초계(醮戒…
-
冊王太子儀告太廟․景靈殿․諸陵祠, 竝有司行事, 如常告之儀. 殿庭陳設 如冊王妃儀. 臨軒發冊 …#태묘 #경령전 #전정 #제위 #재신 #추밀 #책사 #부사 #조복 #대관전 #전의 #찬자 #합문 #태악령 #협률랑 #휘 #섭시중 #선인전 #황포 #명편 #금위 #추밀관 #통사사인 #시중 #문하시랑 #부절 #중서시랑 #압책자 #좌춘방 #독책 #시신 #수궁서 #동궁문 #중명문 #우의 #여정전 #태위 #사도 #독책관 #압책관 #찬인 #좌서자 #우서자 #중사인 #중윤 #집사 #삼사 #삼소 #여정문 #동궁시위 #사어상장군 #춘방통사사인 #전직 #압물관 #상장군 #연반 #권화사 #굴장 #기거장 #집례관 #홀 #화주사 #선화주 #압화주사 #압화사 #인화담원 #집사관 #선화사 #영선악 #장의 #정전 #강사포 #왕후전 #보책 #왕후전의
-
王太子納妃儀采擇告期, 竝內降指揮遣使, 如儀, 告大廟, 如常告之儀. 醮戒 所司鋪王座於正殿, 如臨軒之儀. 又設王太子褥位於殿西階上, 東向, 又設拜位於殿庭, 北向. 王服…
-
덕종 원년(1032) 임신년봄 정월 신사일. 어사대(御史臺)에서 대부경(大府卿) 왕희걸(王希傑)과 우사낭중(右司郞中) 유백인(柳伯仁), 예부낭중(禮部郞中) 최복규(崔復珪), 최복규(?~?) 덕종 때 예부낭중(禮部郞中)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한편 문종 원년(1047) 10월 진…
-
덕종 원년(1032) 임신년元年 春正月 辛巳 御史臺劾, “大府卿王希傑, 右司郞中柳伯仁, 禮部郞中崔復珪, 員外郞李膺年, 分司西京, 求田殖貨, 請黜免.” 從之. 甲申 以林維幹爲右承宣吏部郞中, 賜金紫. 乙酉 契丹遣留使來, 至來遠城, 不納. 遂城朔州․寧仁鎭․派川等縣, 備之. 丁亥 幸外帝釋院. …
-
한안인韓安仁한안인(韓安仁)은 자가 자거(子居)이고, 처음 이름이 한교여(韓皦如)로 단주(端州) 사람이다. 부친 한규(韓圭) 한규(?~?) 본관은 장단(長湍)으로, 향공(鄕貢)으로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호부시랑(戶部侍郞)․형부시랑(刑部侍郞)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선…
-
한안인韓安仁韓安仁, 字子居, 舊名皦如, 端州人. 父圭, 以鄕貢中第, 仕至戶部侍郞, 安仁登第, 直翰林院. 睿宗在潛邸, 安仁與李永․李汝霖等侍學, 及卽位, 以舊恩, 密近用事. 恩寵浸優, 兄弟親戚, 皆夤緣, 分據要路, 士大夫趨勢利者, 無不附. 初與汝霖, 交若不相負, 後擠之, 使…
-
冊王太子儀태묘(太廟)․경령전(景靈殿) 및 여러 능과 사당에 고하는 것과 해당 관청에서 일을 거행하는 의례는 평상시에 고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정의 자리 배치[殿庭陳設] 전정(殿庭)의 자리 배치는 왕비를 …
-
王太子納妃儀납채(納采)․택일(擇日), 날짜 고지의 의례 납채․택일 및 날짜를 고지하는 의례, 그리고 국왕이 직접 명령을 내리고 사자를 파견하는 의례는 통상대로 행하며 태묘(太廟)에 고하는 의례도 평상시에 고하는 것과 동일하다. 초계(醮戒…
-
冊王太子儀告太廟․景靈殿․諸陵祠, 竝有司行事, 如常告之儀. 殿庭陳設 如冊王妃儀. 臨軒發冊 …
-
王太子納妃儀采擇告期, 竝內降指揮遣使, 如儀, 告大廟, 如常告之儀. 醮戒 所司鋪王座於正殿, 如臨軒之儀. 又設王太子褥位於殿西階上, 東向, 又設拜位於殿庭, 北向. 王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