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종광종 26년(975) 을해년광종 26년(975) 을해년26년 여름 5월 ○ 왕이 병이 나서 갑오일에 정침(正寢)에서 죽으니 26년 동안 재위했으며 나이 51세였다. 왕이 즉위한 처음에는 신하를 예우하고 정치를 현명하게 처결했으며 가난하고 약한 자를 돌보아 주고 선비들을 존중했다. 밤낮으로 쉼 없이 정무에…
-
광종광종 26년(975) 을해년광종 26년(975) 을해년二十六年 夏五月 王不豫, 甲午薨于正寢. 在位二十六年, 壽五十一. 王卽位之初, 禮待臣下, 明於聽斷, 恤貧弱, 重儒雅. 夙夜孜孜, 庶幾治平. 中歲以後, 信讒好殺, 酷信佛法, 奢侈無節. 謚曰大成, 廟號光宗, 葬于松嶽北麓, 陵曰憲陵, 穆宗五年, 加謚宣烈, 顯宗五年, …
-
후비(后妃)충렬왕(忠烈王) 후비충렬왕忠烈王 후비1.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는 이름이 쿠투루칼리미쉬[忽都魯揭里迷失]이며 원나라 세조(世祖)의 딸로 그 모친은 예쉬진카둔[阿速眞可敦]이다. 원종 15년(1274), 세자이던 충렬왕이 원나라에 머물 때 공주에게 장가들…#제국대장공주 #쿠투루칼리미쉬 #원나라 #세조 #예쉬진카둔 #충렬왕 #추밀원부사 #기온 #서북면 #비빈 #궁주 #재추 #국청사 #연 #토쿠 #궁려 #불제 #원성공주 #경성궁 #원성전 #응선부 #안동 #경산부 #탕목읍 #이궁 #원자 #충선왕 #설비아 #정화궁주 #동상 #정침 #평상 #식트르 #서상 #대장군 #인공수 #안평공 #힌두 #경창궁주 #토번 #깃발 #일산 #향 #만다라도량 #황금 #비단 #안장 딸린 말 #인형 #동자상 #등탑 #화관 #금교역 #흥왕사 #금탑 #내궁 #쿠라다이 #셍게 #태부시 #낭장 #왕연 #광평공 #밀직 #김선 #백저포 #잣 #인삼 #강남 #환관 #입조 #연등회 #채붕 #봉은사 #첨의부 #우승지 #설공검 #만월연 #다루가치 #수루연 #매 #새매 #승지 #이존비 #천효사 #죽판궁 #문창유 #공장 #노인수 #일관 #이습 #가림현 #정화원 #장군방 #쿠치 #순군 #금소 #응방 #미라리 #이지저 #왕지별감 #궁지별감 #홍산 #영녕공 #금 #은그릇 #세저포 #원부 #이분희 #박항 #송분 #강윤소 #이즈르부카 #채단 #견룡군 #시복 #순검군 #백갑군 #지유 #도장교 #악관 #부사 #선의문 #국학 #칠관 #동서학당 #내부 #영관 #구치삼번 #퇴게 #아야치 #대청도 #신전 #일본 #여악 #잡희 #한악 #예쉬데르 #최인저 #상장군 #노영 #과렴 #의주 #충청도 #임진강 #안남 #윤수 #조인규 #개경 #내료상장군 #김자정 #동경부사 #동경 #남반 #영인 #김지서 #시랑 #곽번 #별장 #이덕수 #중랑장 #정윤기 #강화도 #백금 #서원후 #서경 #함평부 #김중경 #순마소 #송나라 #연덕신 #조양환 #오윤부 #카다안 #세토겐 #말 #필 #나이만다이대왕 #토군대왕 #아시부마 #하서국왕 #중경군왕 #토리티무르 #타추 #공억 #서해도 안렴사 #유서 #봉주 #봉양 #성종 #쿠두루칼리미쉬 #삼한 #주나라 #왕희 #당나라 #한양 #안평공주 #진왕 #수령궁 #현성사 #부지밀직사사 #원경 #코르쿠슨 #대장경 #인화전 #고릉 #장목인명왕후 #고당왕 #인명태후 #무종 #오대 #태조 #왕장 #순 #계비 #소명 #고공단보 #강녀 #탕목 #안평 #북궐 #동진 #황고 #정신부주 #시안공 #석말천구 #차고대 #나장 #유경 #강양공 #정령원비 #명순원비 #숙창원비 #위위윤 #김양감 #진사 #최문 #무비 #빈전 #김문연 #숙비 #팔관회 #고고 #은자원 #법회 #박연
-
후비(后妃)충렬왕(忠烈王) 후비충렬왕忠烈王 후비忠烈王齊國大長公主, 名忽都魯揭里迷失, 元世祖皇帝之女, 母曰阿速眞可敦. 元宗十五年, 忠烈以世子在元, 尙公主. 元宗薨, 王嗣位東還, 遣樞密院副使奇蘊, 迎公主于元. 王幸西北面迎之, 又令妃嬪諸宮主, 及宰樞夫人出迎, 宰樞百官, 迎于國淸寺門前. 王與公主同輦入京, 父老相慶…#제국대장공주 #쿠투루칼리미쉬 #원나라 #세조 #예쉬진카둔 #충렬왕 #추밀원부사 #기온 #서북면 #비빈 #궁주 #재추 #국청사 #연 #토쿠 #궁려 #불제 #원성공주 #경성궁 #원성전 #응선부 #안동 #경산부 #탕목읍 #이궁 #원자 #충선왕 #설비아 #정화궁주 #동상 #정침 #평상 #식트르 #서상 #대장군 #인공수 #안평공 #힌두 #경창궁주 #토번 #깃발 #일산 #향 #만다라도량 #황금 #비단 #안장 딸린 말 #인형 #동자상 #등탑 #화관 #금교역 #흥왕사 #금탑 #내궁 #쿠라다이 #셍게 #태부시 #낭장 #왕연 #광평공 #밀직 #김선 #백저포 #잣 #인삼 #강남 #환관 #입조 #연등회 #채붕 #봉은사 #첨의부 #우승지 #설공검 #만월연 #다루가치 #수루연 #매 #새매 #승지 #이존비 #천효사 #죽판궁 #문창유 #공장 #노인수 #일관 #이습 #가림현 #정화원 #장군방 #쿠치 #순군 #금소 #응방 #미라리 #이지저 #왕지별감 #궁지별감 #홍산 #영녕공 #금 #은그릇 #세저포 #원부 #이분희 #박항 #송분 #강윤소 #이즈르부카 #채단 #견룡군 #시복 #순검군 #백갑군 #지유 #도장교 #악관 #부사 #선의문 #국학 #칠관 #동서학당 #내부 #영관 #구치삼번 #퇴게 #아야치 #대청도 #신전 #일본 #여악 #잡희 #한악 #예쉬데르 #최인저 #상장군 #노영 #과렴 #의주 #충청도 #임진강 #안남 #윤수 #조인규 #개경 #내료상장군 #김자정 #동경부사 #동경 #남반 #영인 #김지서 #시랑 #곽번 #별장 #이덕수 #중랑장 #정윤기 #강화도 #백금 #서원후 #서경 #함평부 #김중경 #순마소 #송나라 #연덕신 #조양환 #오윤부 #카다안 #세토겐 #말 #필 #나이만다이대왕 #토군대왕 #아시부마 #하서국왕 #중경군왕 #토리티무르 #타추 #공억 #서해도 안렴사 #유서 #봉주 #봉양 #성종 #쿠두루칼리미쉬 #삼한 #주나라 #왕희 #당나라 #한양 #안평공주 #진왕 #수령궁 #현성사 #부지밀직사사 #원경 #코르쿠슨 #대장경 #인화전 #고릉 #장목인명왕후 #고당왕 #인명태후 #무종 #오대 #태조 #왕장 #순 #계비 #소명 #고공단보 #강녀 #탕목 #안평 #북궐 #동진 #황고 #정신부주 #시안공 #석말천구 #차고대 #나장 #유경 #강양공 #정령원비 #명순원비 #숙창원비 #위위윤 #김양감 #진사 #최문 #무비 #빈전 #김문연 #숙비 #팔관회 #고고 #은자원 #법회 #박연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太廟태묘의 사맹월(四孟月) 및 납향(臘享)의 친향 의례 ○ 재계(齋戒). 향사 이레 전에 행하는 집사관(執事官)의 서계(誓戒) 서계 고려시대 국가의 큰 제사를 3~7일 앞두고 제관으로 선발된 관료들이 삼사(三司) 등에 모여 가무(歌舞)․조상(弔喪)․문병(問…#집사관 #서계 #산재 #치재 #체향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행사관 #막차 #묘문 #찬만 #향사 #궁위령 #장생령 #향소 #태악령 #등가 #묘당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찬자 #향관 #칠사 #헌관 #집사자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태축 #축사 #태상경 #성생위 #어사 #태묘령 #변 #두 #보 #궤 #조 #등 #형 #옥작 #준 #이 #계이 #조이 #사준 #상준 #산뢰 #납향 #가이 #황이 #착준 #호준 #찬 #작 #찬반 #준소 #화로 #복주 #사명 #호 #중류 #문 #여 #행 #목작 #축판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수건 #부비 #섭사자 #묘소 #신악 #집례관 #알자 #찬인 #방위 #대축 #태관 #광록경 #명수 #명화 #찬구 #사공 #진찬자 #찬소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예제 #앙제 #현주 #청주 #법주 #태위 #재랑 #영사 #태조실 #감실 #혜종 #태조 #후비 #어가 #통사사인 #악공 #시중 #판주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시위 #축책 #서압 #태상박사 #상의봉어 #규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판위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황문시랑 #뇌수 #태계 #중서령 #준이소 #협종궁 #순안지곡 #창주 #사도 #풍안지곡 #태관승 #작비 #신관 #대정지곡 #부작 #친체 #희안지곡 #좨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배향공신 #주준소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섭사 #잔 #울창 #친향 #사제 #풍안지곡」 #숭안지곡」 #행사집사관 #정침 #청재 #본사 #삭제 #소뢰 #기도 #보사 #망제 #천신 #중기 #신좌 #향주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文宣王廟문선왕 문선왕 공자(孔子)의 존호이다.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이 개원(開元) 27년(739)에 공자를 추증하여 봉한 칭호이다.의 묘 제물 묻는 구덩이는 전각 북쪽에 두고, 그 너비와 깊이는 제물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히 한다. 석전(釋奠) 석전 …#석전 #문선왕 #신위 #연국공 #안회 #낭야공 #민손 #동평공 #염경 #하비공 #염옹 #임치공 #재여 #성백 #증삼 #여양공 #단목사 #팽성공 #염구 #하내공 #중유 #단양공 #언언 #하동공 #복상 #추국공 #맹가 #문창후 #최치원 #홍유후 #설총 #영창후 #전손사 #금향후 #담대멸명 #단보후 #복불제 #임성후 #원헌 #고밀후 #공야장 #문양후 #남궁도 #북해후 #공석애 #내무후 #증점 #곡부후 #안뮤요 #수상후 #상구 #공성후 #고시 #평여후 #칠조개 #수장후 #공백료 #수양후 #사마경 #익도후 #번수 #거야후 #공서적 #평음후 #유약 #동아후 #무마시 #남돈후 #진항 #천승후 #양전 #양곡후 #안신 #임기후 #염유 #제성후 #염계 #목양후 #백건 #지강후 #공손룡 #신식후 #진녕 #진성후 #진상 #복양후 #칠조치 #뇌택후 #안교 #고원후 #칠도보 #상규후 #양사적 #장산후 #임방 #추평후 #상택 #성기후 #석작촉 #당양후 #임불제 #모평후 #공양유 #문등후 #신정 #상채후 #조휼 #제양후 #해용잠 #부양후 #구정강 #치천후 #신당 #동무 #즉묵후 #공단구자 #염차후 #영기 #성무후 #현성 #남화후 #좌인영 #견원후 #연급 #구산후 #정국 #화정후 #진비 #임한후 #시상 #박창후 #보숙승 #원구후 #안지복 #내황후 #거원 #박평후 #숙중회 #당읍후 #안하 #임려후 #적묵 #고당후 #규손 #운성후 #공환 #임구후 #공서거여 #서성후 #공서잠 #양평후 #금장 #중도백 #좌구명 #난릉백 #순황 #임치백 #공양고 #수릉백 #곡량적 #승씨백 #복승 #내무백 #고당생 #고성백 #대승 #낙수백 #모장 #곡부백 #공안국 #팽성백 #유향 #중모백 #정중 #성도백 #양웅 #유시백 #두자춘 #부풍백 #마융 #양향백 #노식 #고밀백 #정현 #영양백 #복건 #기양백 #가규 #임성백 #하휴 #사공 #왕숙 #언사백 #왕필 #사도 #두예 #신야백 #범녕 #서무 #축판 #천신 #폐백 #정위 #배위 #종향위 #헌관 #초헌관 #석전좨주 #아헌관 #사업 #종헌관 #박사 #시학 #묘전 #학당 #상사국 #수궁서 #재신 #추밀 #국자감 #각문 #반렬 #신좌 #변 #두 #작 #사준 #국자 #청주 #향로 #배향 #종향 #잔대 #돈화당 #강서관 #시신 #곤룡포 #어련 #집례관 #본감 #학관 #거가 #태상박사 #태상경 #감장 #부장 #헌작 #가죽신 #통사사인 #공자 #감관 #배향위 #무 #재추 #감과 학관 #내시관 #책상 #아첨 #무도 #각문사 #사인 #제향 #정침 #산재 #치재 #제향소 #상서성 #학생 #악공 #태상사 #향관 #제위 #태악령 #등가 #제기 #방석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대갱 #형 #채소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밤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돼지갈비살 #사슴고기육장 #담해 #명수 #예제 #상준 #앙제 #산뢰 #현주 #보자기 #대광주리 #준소 #선사 #배좌 #돼지 #물항아리 #수건 #준 #봉례 #분헌관 #집사 #어사 #영사 #배종 #악현 #찬자 #협률랑 #집례 #알자 #감찰어사 #찬인 #태관령 #제향일 #재인 #찬소 #정좌 #교사령 #양온령 #축사 #소제 #문무 #무무 #좨주 #축 #헌가 #고선궁 #어 #협종궁 #명안지곡 #남려궁 #명안지곡」 #재랑 #동문 #무역궁 #풍안지곡 #축문 #성안지곡」 #아헌 #종헌 #항아리 #복주 #제육 #찰기장밥 #메기장밥 #숭안지곡 #무대 #손 #무안지곡 #향악 #음복 #감 #재방 #위차 #송나라 #십철 #사당 #종사 #한림학사 #박승중 #대사성 #열명 #백관 #생원 #가송 #신라 #집사성시랑 #내사령 #초헌 #임거 #성균관 #소 #양 #명경 #학유 #소상 #삼사우사 #이색 #삭망제 #일식
-
風師雨師雷神靈星【久雨則禜祭國門】풍사단(風師壇) 풍사단(風師壇) 풍사단 풍백(風伯)이라고도 하는 바람의 신인 풍사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제단을 말한다. 은 높이가 3척, 너비가 23보이며 사방으로 계단이 나 있다. 요단(爎壇)은 안담의 바깥쪽에서 20보 떨어진 남쪽 땅에 있으…#국문 #영제 #풍사단 #요단 #영창문 #축판 #우사 #뇌신 #영성단 #안담 #돼지 #제사 #집사관 #정침 #본사 #산재 #치재 #교사령 #태관령 #찬구 #수궁서 #사관 #집사 #봉례 #신위판 #왕골자리 #신좌 #폐백 #대광주리 #준소 #준 #뇌 #손 #작 #물항아리 #재인 #변 #소금 #개암열매 #사슴육포 #마름씨 #가시연씨 #두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무절임 #부추절임 #아욱절임 #토끼육장 #생선육장 #사슴육장 #조 #보 #벼 #궤 #찰기장 #메기장 #양온령 #술 #태준 #착준 #산뢰 #명수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찬자 #축사 #재랑 #찬인 #알자 #헌관 #보자기 #축문 #아헌 #종헌 #초헌 #복주 #제육 #기장밥 #잔술 #제관 #제소 #태관승 #육포 #육장 #교사승 #수건 #양온서 #항아리 #삼헌 #재소 #소뢰 #보사
-
광종 26년(975) 을해년26년 여름 5월 ○ 왕이 병이 나서 갑오일에 정침(正寢)에서 죽으니 26년 동안 재위했으며 나이 51세였다. 왕이 즉위한 처음에는 신하를 예우하고 정치를 현명하게 처결했으며 가난하고 약한 자를 돌보아 주고 선비들을 존중했다. 밤낮으로 쉼 없이 정무에…
-
광종 26년(975) 을해년二十六年 夏五月 王不豫, 甲午薨于正寢. 在位二十六年, 壽五十一. 王卽位之初, 禮待臣下, 明於聽斷, 恤貧弱, 重儒雅. 夙夜孜孜, 庶幾治平. 中歲以後, 信讒好殺, 酷信佛法, 奢侈無節. 謚曰大成, 廟號光宗, 葬于松嶽北麓, 陵曰憲陵, 穆宗五年, 加謚宣烈, 顯宗五年, …
-
충렬왕忠烈王 후비1.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는 이름이 쿠투루칼리미쉬[忽都魯揭里迷失]이며 원나라 세조(世祖)의 딸로 그 모친은 예쉬진카둔[阿速眞可敦]이다. 원종 15년(1274), 세자이던 충렬왕이 원나라에 머물 때 공주에게 장가들…
-
충렬왕忠烈王 후비忠烈王齊國大長公主, 名忽都魯揭里迷失, 元世祖皇帝之女, 母曰阿速眞可敦. 元宗十五年, 忠烈以世子在元, 尙公主. 元宗薨, 王嗣位東還, 遣樞密院副使奇蘊, 迎公主于元. 王幸西北面迎之, 又令妃嬪諸宮主, 及宰樞夫人出迎, 宰樞百官, 迎于國淸寺門前. 王與公主同輦入京, 父老相慶…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
-
太廟태묘의 사맹월(四孟月) 및 납향(臘享)의 친향 의례 ○ 재계(齋戒). 향사 이레 전에 행하는 집사관(執事官)의 서계(誓戒) 서계 고려시대 국가의 큰 제사를 3~7일 앞두고 제관으로 선발된 관료들이 삼사(三司) 등에 모여 가무(歌舞)․조상(弔喪)․문병(問…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
-
文宣王廟문선왕 문선왕 공자(孔子)의 존호이다.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이 개원(開元) 27년(739)에 공자를 추증하여 봉한 칭호이다.의 묘 제물 묻는 구덩이는 전각 북쪽에 두고, 그 너비와 깊이는 제물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히 한다. 석전(釋奠) 석전 …
-
風師雨師雷神靈星【久雨則禜祭國門】풍사단(風師壇) 풍사단(風師壇) 풍사단 풍백(風伯)이라고도 하는 바람의 신인 풍사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제단을 말한다. 은 높이가 3척, 너비가 23보이며 사방으로 계단이 나 있다. 요단(爎壇)은 안담의 바깥쪽에서 20보 떨어진 남쪽 땅에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