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정종
    정종 9년(1043) 계미년
    정종 9년(1043) 계미년
    9년 봄 정월 초하루 경오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경진일. 황주량(黃周亮)을 수태보(守太保) 겸 문하시중(門下侍中)․판상서이부사(判尙書吏部事) ․상주국(上柱國)으로 임명했다. 갑신일. 서여진의 귀덕장군(歸德將軍) 골개(骨盖) 등…
    #황주량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상주국 #귀덕장군 #골개 #최제안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호부사 #최충 #수사도 #수국사 #황보영 #내사시랑 #이작충 #판상서예부사 #김정준 #고숙성 #좌․우승선 #연등회 #봉은사 #고두로 #회경전 #백좌도량 #장군 #개로 #동북로병마사 #유원장군 #사이라 #나불 #화주관 #병마사 #이다불 #일식 #상식국 #사면령 #정전 #비 #건덕전 #김영기 #병부상서 #추장 #유불달 #연해분도판관 #황보경 #시어사 #요거선 #아두간 #구정 #초제 #중광사 #조성도감사 #정장 #이서 #승적 #장형 #어사대 #영새장군 #동불로 #야사개 #검교좌복야 #장창령 #동경회례사 #책봉사 #소신미 #부사 #한소문 #도부서 #이천관내관찰유후 #유일행 #압책사 #전중감 #마지유 #독책사 #장작소감 #서화흡 #전선사 #검교좌산기상시 #한이손 #정사 #좌감문위 상장군 #상서예부시랑 #수충보의봉국공신 #개부의동삼사 #시중 #고려국왕 #왕형 #순 #주공 #중서령 #태사 #태공 #승상 #장량 #서곡현 #탁라국 #성주 #유격장군 #가리 #왕자 #두라 #호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35년(1081) 신유년
    문종 35년(1081) 신유년
    35년 봄 정월 을미일. 염한(廉漢)을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임명했다. 정유일. 문정(文正)을 장연현개국백(長淵縣開國伯)으로, 최석(崔奭)을 이부상서(吏部尙書)․참지정사(叅知政事)로, 김양감(金良鑑)을 참지정사(叅知政事)․판상서병부사(判尙書兵部…
    #염한 #병부상서 #문정 #장연현개국백 #최석 #이부상서 #참지정사 #김양감 #판상서병부사 #왕석 #호부상서 #지이부사 #지서북면병마사 #왕저 #아부환 #유원장군 #산두 #회화장군 #차단 #김제 #태자태보 #유홍 #이의 #태자빈객 #이일정 #예부낭중 #어사잡단 #임경 #장원정 #권판중추원사 #마세안 #기우제 #예부상서 #최사제 #이부시랑 #이자위 #송나라 #예빈성 #양진 #진순 #박인량 #오영숙 #좌․우승선 #최사현 #우부승선 #합문인진사 #고몽신 #요나라 #우보궐 #위강 #호부낭중 #하충제 #합문지후 #최주지 #이징망 #광정 #만두 #노단 #이원적 #귀덕장군 #호간 #아해 #서해 #평주 #이정공 #수국사 #이주관내관찰사 #야율덕양 #횡선사 #숭록경 #지태사국사 #양관공 #영주 #영화사 #천왕소상 #공부상서 #홍덕성 #중추원사 #좌산기상시 #지중추원사 #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우산기상시 #최사훈 #중추원지주사 #임개 #위위경 #지어사대사 #이부낭중 #이자인 #시어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26년(1196) 병진년
    명종 26년(1196) 병진년
    26년 봄 정월 정유일. 금나라에서 가익(賈益)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대관전(大觀殿)에서 금나라 사신을 위해 잔치를 열었다. 2월 정묘일. 개경에 지진이 발생했다. 임신일. 추밀원사(樞密院事) 이준창(李俊昌…
    #금나라 #가익 #대관전 #개경 #지진 #추밀원사 #이준창 #선효사 #의종 #신위 #불주사 #장군 #최충헌 #이의민 #조영인 #권판이부사 #유득의 #권지이부상서 #백존유 #대장군 #최충수 #최광윤 #박진재 #별장 #우승경 #좌․우승선 #지어사대사 #조정규 #정당문학 #유공권 #수사공 #좌복야 #신보지 #중화전 #연강전 #운룡문 #천우문 #수창궁 #연경궁 #사신 #강안전 #병조 #광화문 #의장 #어가 #시중 #두경승 #의봉문 #사면령 #팔관회 #북계 #인주 #중랑장 #자충 #판합문사 #왕규 #문하시중 #중서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신종
    신종 5년(1202) 임술년
    신종 5년(1202) 임술년
    5년 봄 정월 초하루 정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신사일. 전국의 경죄수들을 석방했다. 3월 정사일. 총재(冢宰) 최선(崔詵)과 승선(承宣) 우승경(于承慶)이 예빈성(禮賓省)에서 통역관을 …
    #총재 #최선 #승선 #우승경 #예빈성 #통역관 #우박 #황극중 #급제 #기우제 #장군 #한저 #금나라 #사우 #천수절 #문하시중 #조영인 #탐라 #소부소감 #장윤문 #중랑장 #이당적 #안무사 #경주 #별초군 #영주 #운문 #부인사 #동화사 #승려 #이극인 #견수 #최충헌 #대관전 #팔관회 #법왕사 #창락궁 #호부시랑 #이중원 #도적 괴수 #번석 #번수 #반적 #패좌 #김척후 #최광의 #강순의 #명종 #지릉 #태백성 #수태부 #참지정사 #이․병부상서 #판어사대사 #왕규 #어사대부 #백존유 #동지추밀원사 #김평 #이자정 #추밀원부사 #추밀원지주사 #안유부 #이항 #좌․우승선 #지어사대사 #최혁 #전중소감 #어사잡단 #정덕우 #우사간 #박득문 #박인석 #전중시어사 #임효명 #전중내급사 #이승백 #이득소 #좌․우정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원종
    원종 11년(1270) 경오년
    원종 11년(1270) 경오년
    11년 봄 정월 초하루 신축일. 왕이 박주(博州)(지금의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에 머물면서 먼저 최동수(崔東秀) 편에 몽고의 도당(都堂)에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지금 듣자니 저희나라의 반역민 최탄(崔坦) 등이 상국 조정에다가…
    #박주 #최동수 #몽고 #도당 #최탄 #행성 #이장용 #김방경 #곽여필 #동경 #두련가국왕 #조평장 #임연 #연경 #강화경 #영녕공 #강화상 #홍다구 #중서성 #달단 #서경 #이연령 #금패 #현효철 #한신 #은패 #동녕부 #자비령 #뭉게투 #다루가치 #금선주사 #채색 비단 #동경행성 #석도 #지진 #순안후 #임유무 #교정별감 #일식 #낭장 #김지서 #지유 #유주 #오부 #순명 #약원 #김윤기 #동계안집사 #동여진 #대부성 #임유간 #톡토르 #몽고 중서성 #제지두 #상장군 #정자여 #대장군 #이분희 #신흥창 #사직 #수로방호사 #산성별감 #어사중승 #홍문계 #직문하성사 #송송례 #사공 #이응렬 #추밀원부사 #송군비 #유배 #서방삼번 #조성색 #용천역 #중령역 #승천부 #은술잔 #장군 #송분 #내원령 #곽예 #표문 #정당문학 #유천우 #동지추밀원사 #박홍 #우승선 #채인규 #어가 #가신 #이공열 #가노 #재추 #삼별초 #부고 #평장사 #유경 #김전 #원외랑 #이인성 #태조 #사판궁 #김지저 #배중손 #노영희 #반란 #승화후 #관부 #유존혁 #상서성좌승 #이신손 #좌․우승선 #중서사인 #이숙진 #윤길보 #구포 #부락산 #도라다이 #강화도 #역적추토사 #서균한 #비서승 #반부 #어사 #김광취 #강화창 #총관 #전라도 #경상도 #동계의 3도 #백주 #왕심 #원부 #중승 #서북면총관 #분대어사 #감창사 #유수관 #노 #춘추 #송의 #윤수 #강화성 #진도 #전라도 안찰사 #전라도 토적사 #참지정사 #신사전 #나주 #개경 #전주부사 #이빈 #양동무 #고여림 #장흥부 #도령 #윤만장 #전라도 추토사 #몽고 원수 #아카이 #장경도량 #악관 #백좌도량 #참형 #교수형 #사면 #제주 #만호 #고을마 #박항 #최유엄 #인물도 #단사관 #부카 #맹기 #서역 비단 #조서 #행성관 #남송 #일본 #송나라 #박천주 #이판동 #세조 #재궁 #봉은사 #소상 #구묘 #신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정종
    정종 9년(1043) 계미년
    정종 9년(1043) 계미년
    九年 春正月 庚午朔 放朝賀. 庚辰 以黃周亮爲守太保兼門下侍中判尙書吏部事上柱國. 甲申 西女眞歸德將軍骨盖等三十六人來, 獻土物. 二月 壬寅 以崔齊顔爲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判尙書戶部事, 崔冲守司徒修國史上柱國, 皇甫穎爲內史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上柱國, 李作忠…
    #황주량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상주국 #귀덕장군 #골개 #최제안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호부사 #최충 #수사도 #수국사 #황보영 #내사시랑 #이작충 #판상서예부사 #김정준 #고숙성 #좌․우승선 #연등회 #봉은사 #고두로 #회경전 #백좌도량 #장군 #개로 #동북로병마사 #유원장군 #사이라 #나불 #화주관 #병마사 #이다불 #일식 #상식국 #사면령 #정전 #비 #건덕전 #김영기 #병부상서 #추장 #유불달 #연해분도판관 #황보경 #시어사 #요거선 #아두간 #구정 #초제 #중광사 #조성도감사 #정장 #이서 #승적 #장형 #어사대 #영새장군 #동불로 #야사개 #검교좌복야 #장창령 #동경회례사 #책봉사 #소신미 #부사 #한소문 #도부서 #이천관내관찰유후 #유일행 #압책사 #전중감 #마지유 #독책사 #장작소감 #서화흡 #전선사 #검교좌산기상시 #한이손 #정사 #좌감문위 상장군 #상서예부시랑 #수충보의봉국공신 #개부의동삼사 #시중 #고려국왕 #왕형 #순 #주공 #중서령 #태사 #태공 #승상 #장량 #서곡현 #탁라국 #성주 #유격장군 #가리 #왕자 #두라 #호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35년(1081) 신유년
    문종 35년(1081) 신유년
    三十五年 春正月 乙未 以廉漢爲兵部尙書. 丁酉 以文正爲長淵縣開國伯, 崔奭爲吏部尙書叅知政事, 金良鑑叅知政事判尙書兵部事, 王錫爲戶部尙書知吏部事. 丁未 知西北面兵馬事王佇奏, “西蕃酋長阿夫渙等九人, 專心保塞, 宜加爵賞.”, 命以阿夫渙等三人爲柔遠將軍, 山豆等六人爲懷化將軍…
    #염한 #병부상서 #문정 #장연현개국백 #최석 #이부상서 #참지정사 #김양감 #판상서병부사 #왕석 #호부상서 #지이부사 #지서북면병마사 #왕저 #아부환 #유원장군 #산두 #회화장군 #차단 #김제 #태자태보 #유홍 #이의 #태자빈객 #이일정 #예부낭중 #어사잡단 #임경 #장원정 #권판중추원사 #마세안 #기우제 #예부상서 #최사제 #이부시랑 #이자위 #송나라 #예빈성 #양진 #진순 #박인량 #오영숙 #좌․우승선 #최사현 #우부승선 #합문인진사 #고몽신 #요나라 #우보궐 #위강 #호부낭중 #하충제 #합문지후 #최주지 #이징망 #광정 #만두 #노단 #이원적 #귀덕장군 #호간 #아해 #서해 #평주 #이정공 #수국사 #이주관내관찰사 #야율덕양 #횡선사 #숭록경 #지태사국사 #양관공 #영주 #영화사 #천왕소상 #공부상서 #홍덕성 #중추원사 #좌산기상시 #지중추원사 #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우산기상시 #최사훈 #중추원지주사 #임개 #위위경 #지어사대사 #이부낭중 #이자인 #시어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26년(1196) 병진년
    명종 26년(1196) 병진년
    二十六年 春正月 丁酉 金遣賈益來, 賀生辰. 宴于大觀殿. 二月 丁卯 京城地震. 壬申 遣樞密院事李俊昌, 奉宣孝寺毅宗神御, 移安于佛住寺. 三月 己丑 詔曰, “盖聞, 君道得則風雨時, 否則反是. 近者, 歲不登稔, 飢饉荐臻, 今又久旱,…
    #금나라 #가익 #대관전 #개경 #지진 #추밀원사 #이준창 #선효사 #의종 #신위 #불주사 #장군 #최충헌 #이의민 #조영인 #권판이부사 #유득의 #권지이부상서 #백존유 #대장군 #최충수 #최광윤 #박진재 #별장 #우승경 #좌․우승선 #지어사대사 #조정규 #정당문학 #유공권 #수사공 #좌복야 #신보지 #중화전 #연강전 #운룡문 #천우문 #수창궁 #연경궁 #사신 #강안전 #병조 #광화문 #의장 #어가 #시중 #두경승 #의봉문 #사면령 #팔관회 #북계 #인주 #중랑장 #자충 #판합문사 #왕규 #문하시중 #중서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신종
    신종 5년(1202) 임술년
    신종 5년(1202) 임술년
    五年 春正月 丁未朔 放朝賀. 二月 辛巳 放中外輕繫. 三月 丁巳 冢宰崔詵․承宣于承慶, 坐禮賓省, 試取譯語. 壬申 慮囚. 夏四月 壬午 雨雪. 五月 丁未 雨雹. 乙丑 賜黃克中等及第. 丁亥 再雩. …
    #총재 #최선 #승선 #우승경 #예빈성 #통역관 #우박 #황극중 #급제 #기우제 #장군 #한저 #금나라 #사우 #천수절 #문하시중 #조영인 #탐라 #소부소감 #장윤문 #중랑장 #이당적 #안무사 #경주 #별초군 #영주 #운문 #부인사 #동화사 #승려 #이극인 #견수 #최충헌 #대관전 #팔관회 #법왕사 #창락궁 #호부시랑 #이중원 #도적 괴수 #번석 #번수 #반적 #패좌 #김척후 #최광의 #강순의 #명종 #지릉 #태백성 #수태부 #참지정사 #이․병부상서 #판어사대사 #왕규 #어사대부 #백존유 #동지추밀원사 #김평 #이자정 #추밀원부사 #추밀원지주사 #안유부 #이항 #좌․우승선 #지어사대사 #최혁 #전중소감 #어사잡단 #정덕우 #우사간 #박득문 #박인석 #전중시어사 #임효명 #전중내급사 #이승백 #이득소 #좌․우정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원종
    원종 11년(1270) 경오년
    원종 11년(1270) 경오년
    十一年 春正月 辛丑朔 王次博州, 先遣崔東秀, 寄書蒙古都堂曰, “今聞, 小邦叛民崔坦等, 馳告上朝, 托以京兵欲侵, 請送天兵二千許遮護, 而帝決已到行省矣. 是事不難別白, 予早知其叛, 而不一問罪者, 以其投附上朝也. 今旣上途空國, 而誰肯以兵來侵? 待臣近覿龍顔, 仰奏一言然…
    #박주 #최동수 #몽고 #도당 #최탄 #행성 #이장용 #김방경 #곽여필 #동경 #두련가국왕 #조평장 #임연 #연경 #강화경 #영녕공 #강화상 #홍다구 #중서성 #달단 #서경 #이연령 #금패 #현효철 #한신 #은패 #동녕부 #자비령 #뭉게투 #다루가치 #금선주사 #채색 비단 #동경행성 #석도 #지진 #순안후 #임유무 #교정별감 #일식 #낭장 #김지서 #지유 #유주 #오부 #순명 #약원 #김윤기 #동계안집사 #동여진 #대부성 #임유간 #톡토르 #몽고 중서성 #제지두 #상장군 #정자여 #대장군 #이분희 #신흥창 #사직 #수로방호사 #산성별감 #어사중승 #홍문계 #직문하성사 #송송례 #사공 #이응렬 #추밀원부사 #송군비 #유배 #서방삼번 #조성색 #용천역 #중령역 #승천부 #은술잔 #장군 #송분 #내원령 #곽예 #표문 #정당문학 #유천우 #동지추밀원사 #박홍 #우승선 #채인규 #어가 #가신 #이공열 #가노 #재추 #삼별초 #부고 #평장사 #유경 #김전 #원외랑 #이인성 #태조 #사판궁 #김지저 #배중손 #노영희 #반란 #승화후 #관부 #유존혁 #상서성좌승 #이신손 #좌․우승선 #중서사인 #이숙진 #윤길보 #구포 #부락산 #도라다이 #강화도 #역적추토사 #서균한 #비서승 #반부 #어사 #김광취 #강화창 #총관 #전라도 #경상도 #동계의 3도 #백주 #왕심 #원부 #중승 #서북면총관 #분대어사 #감창사 #유수관 #노 #춘추 #송의 #윤수 #강화성 #진도 #전라도 안찰사 #전라도 토적사 #참지정사 #신사전 #나주 #개경 #전주부사 #이빈 #양동무 #고여림 #장흥부 #도령 #윤만장 #전라도 추토사 #몽고 원수 #아카이 #장경도량 #악관 #백좌도량 #참형 #교수형 #사면 #제주 #만호 #고을마 #박항 #최유엄 #인물도 #단사관 #부카 #맹기 #서역 비단 #조서 #행성관 #남송 #일본 #송나라 #박천주 #이판동 #세조 #재궁 #봉은사 #소상 #구묘 #신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