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신(諸臣)유경(柳璥)유경柳璥유경(柳璥) 유경(1211~1289)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선조인 유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대 공신이었다. 부친은 상서우복야․한림학사 유택(柳澤)이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찬성사․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를 거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유경 #천년 #장지 #정당문학 #유공권 #국자대사성 #정방 #유천우 #최항 #침략 #삼척 #은병 #최의 #김준 #추밀원우부승선 #지주사 #좌우위 #상장군 #우부승선 #유주 #감무 #문화현령 #편전 #김승준 #대정 #중랑장 #낭장 #임연 #승선 #파직 #첨서추밀원사 #우득규 #양화 #지유 #김득룡 #경원록 #수태부 #참지정사 #태자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대사성 #김구 #예부시랑 #주열 #장군 #김정 #환관 #김경 #흑산도 #행수 #유승 #금강원 #삼별초 #강화경 #평장사 #판병부사 #다루가치 #재추 #애도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원부 #판군부사 #수국사 #이재 #삼재 #허공 #석말천구 #정화궁주 #제안공 #왕숙 #중찬 #김방경 #이창경 #이분희 #박항 #이분성 #강화도 #영춘시 #내인 #위득유 #노진의 #힌두 #판전리사사 #원나라 #오윤부 #조성도감 #광정대부 #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세자사 #홍탄 #한희유 #양공적 #임비 #순마소 #국자감시 #예위 #이존비 #안향 #안전 #이혼 #정문 #좌주 #임경숙
-
제신(諸臣)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원송수(元松壽)는 과거에 급제 급제 충숙왕 후8년(1339) 정월 윤택(尹澤)이 주관한 국자시(國子試)에 원송수(元松壽)가 안원룡(安元龍) 등과 함께 급제한 후 충혜왕 때 시행한 과거에 급제한 사실을 말한다. 한편 원송수는 공민왕 11년(1362) 9월에 국자…
-
제신(諸臣)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 이제현(1287~1367) 이지공(李之公)․이봉룡(李鳳龍)이라고도 하며, 본관은 경주이다. 충렬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권무봉선고판관(權務奉先庫判官)․연경궁녹사(延慶宮錄事)를 거쳐 공민왕 때까지 판삼사사(判三司事)․우정승(右政丞)․문하시중(門下…#이제현 #이지공 #검교정승 #이진 #충렬왕 #성균시 #병과 #예문춘추관 #충선왕 #규정 #성균악정 #제거풍저창사 #내부시부령 #원나라 #인종 #무종 #충숙왕 #연경 #요수 #염복 #원명선 #조맹부 #성균좨주 #서촉 #선부전서 #강남 #권한공 #거란 #송나라 #태조 #서도 #정악 #육부 #광종 #향교 #의종 #신준 #오생 #지밀직사사 #단성익찬공신 #연오 #왕부단사관 #유청신 #오잠 #도당 #중용 #제나라 #환공 #형후 #위후 #요나라 #금산왕자 #태조성무 #카치운 #차라 #충헌왕 #조충 #김취려 #세조황제 #충경왕 #양초 #카다안 #세조 #토번 #최성지 #낭중 #대승상 #이윤 #주공 #방현령 #두여회 #심왕 #제국대장공주 #승상 #바이주 #맹자 #직 #도스마 #밀직사사 #첨의평리 #정당문학 #김해군 #조적 #충혜왕 #철권 #역옹패설 #재상 #민천사 #정동성 #도치 #금나라 #거란장 #세조문무 #양양 #아릭부케 #막북 #변량 #임유무 #강화도 #개경 #일본 #김방경 #나얀대왕 #수달달 #여진 #이즈르부카왕 #쿠투르게리미쉬공주 #아라트나시리왕 #부다시리왕 #기씨 #주나라 #간 #한나라 #양왕 #양나라 #충목왕 #판삼사사 #부원군 #좨주 #전숙몽 #효경 #논어 #대학 #환관 #정방 #전리사 #군부사 #고공사 #도목 #양장 #조륜 #박인수 #고겸 #응방 #내승 #고용보 #덕녕창 #보흥창 #자사 #수령 #금어 #참직 #감무 #현령 #목사 #태수 #감찰사 #안렴사 #목민관 #식읍 #광흥창 #경기 #조업전 #구분전 #녹과전 #존무사 #안무사 #안축 #이곡 #안진 #이인복 #민지 #본조편년강목 #충렬왕실록』 #충선왕실록』 #충숙왕실록』 #공민왕 #정승 #덕경부 #도첨의정승 #정동행성 #이문 #배전 #박수명 #직성군 #노영서 #가덕도 #찬성사 #윤시우 #각산 #정천기 #제주목사 #지도첨의사사 #한대순 #기장감무 #조일신 #우정승 #이색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기철 #환시 #양부 #국사 #사관 #삼관 #소목 #하 #은 #주 #송경 #현종 #이가도 #서해도 #충청도 #사평진 #여고 #차라대 #황교 #상주 #홍언박 #문충 #측천기 #당나라 #주자강목 #최해 #익재 #평장사 #양제 #신돈 #좌주 #성리학 #익재난고 #백문보 #이달충 #숙종 #예종 #이서종 #이달존 #이창로 #이보림
-
제신(諸臣)이색(李穡)이색李穡이색(李穡) 이색(1328~1396)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이곡(李穀)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공양왕 때까지 정당문학(政堂文學)․판삼사사(判三司事)․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가계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109, 열전22…#이색 #영숙 #찬성사 #이곡 #성균시 #원나라 #중서사전부 #국자감 #생원 #정전 #초나라 #시경 #갑인주안 #왜구 #호 #맥 #양 #월 #봉수체계 #안렴사 #군수 #도순문사 #수령 #왜적 #추포사 #순임금 #하 #은 #주 #양한 #한나라 #고조 #소하 #한신 #광무제 #후한 #만호 #부 #제위 #중원 #일본 #여진 #강소성 #절강성 #중국 #연산 #무과 #가의 #문제 #공자 #문묘 #학교 #성균 #12도 #동서학당 #향교 #학당 #생도 #예부 #과거 #불교 #부처 #태조 #오교 양종 #승려 #도첩 #속백 #정료 #주역 #숙옹부승 #정동행성 #향시 #서장관 #제과 #정시 #독권관 #참지정사 #두병이 #한림승지 #구양현 #응봉한림문자 #승사랑동지제고 #국사원편수관 #전리정랑 #예문응교 #내서사인 #한림원권경력 #정방 #이부 #병부 #이부시랑 #병부낭중 #시국자좨주 #우간의대부 #간관 #상주 #추밀원우부승선 #한림학사 #홍건적 #개경 #불호사 #어보인 #환관 #승패 #지도첨의사 #유숙 #정동행중서성 #유학제거 #밀직제학 #동지춘추관사 #단성보리공신 #첨서밀직사사 #성균관 #판개성부사 #성균대사성 #김구용 #정몽주 #박상충 #박의중 #이숭인 #교관 #명륜당 #정주 #성리학 #좌우사낭중 #시중 #유탁 #마암 #영전 #연복사 #영화공주 #영도첨의사사 #신돈 #이춘부 #정비궁 #이인임 #유연 #문사관 #옥관 #삼사우사 #정당문학 #문충보절찬화공신 #우리 태조 #지문하부사 #이인복 #신조 #한산군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 #대장경 #지신사 #노숭 #판삼사사 #한산부원군 #명나라 #장보 #주탁 #우왕 #검교문하시중 #지공거 #판문하부사 #조민수 #동지공거 #염흥방 #서보통탑 #주나라 #문왕 #이성림 #전민 #좌사 #위화도 #회군 #창왕 #문하시중 #추충보절동덕찬화보리공신 #주과 #공민왕 #김사안 #하정사 #우리 태종 #최영 #한림 #예부관 #나하추 #발해 #반양산 #대사헌 #조준 #사전 #도평의사사 #황려부 #이림 #홍영통 #이무방 #남신사 #백련회 #이종학 #사림 #요동 #도당 #이림과 #채단 #말 #부사 #유배 #중관 #술 #우인열 #장단현 #별업 #중사 #이광 #이행 #공양왕 #태묘 #관제 #신주 #좌사의 #오사충 #문하사인 #조박 #현릉 #유학 #요동 정벌 #대장 #신우 #여흥부 #삼한 #변안열 #김저 #정득후 #신창 #왕망 #장우 #주운 #임견미 #송사 #유가 #순천 #규정 #전시 #창녕 #헌사 #사헌 #좌상시 #윤소종 #대간 #집의 #이고 #장단 #옥졸 #창녕옥 #위화도회군 #상서 #이원명 #요양 #이성계 #의주 #강화 #여흥 #진 #원제 #동진 #갈 #함창 #좌주 #우대언 #조인옥 #성석린 #우홍수 #부마 #우성범 #평리 #배극렴 #대제학 #안종원 #권중화 #청주 #왕방 #조반 #파평군 #윤이 #중랑장 #이초 #고려 #왕요 #장하 #권근 #이귀생 #우현보 #정지 #김종연 #윤유린 #홍인계 #진을서 #경보 #이인민 #순군 #대성 #형조 #최공철 #최칠석 #조언 #조경 #공의 #한성 #김충 #안주 #곽선 #정단봉 #박의룡 #윤사강 #가신 #정부개 #청주옥 #문하평리 #윤호 #밀직부사 #박경 #우사의 #형조좌랑 #신효창 #양광도 #도관찰사 #유구 #관사 #헌부 #충주 #여주 #역마 #편전 #영예문춘추관사 #수창궁 #대호군 #김정경 #유만수 #이념 #김진양 #이종선 #양강 #금천 #한산백 #문정 #목은집 #이종덕 #동지밀직사사
-
제신(諸臣)유경(柳璥)유경柳璥柳璥, 字天年, 一字藏之, 政堂文學公權之孫. 高宗朝登第, 累遷至國子大司成. 璥久在政房, 與兪千遇, 俱爲崔沆所厚. 蒙兵之侵, 沆欲徙三陟山城, 郡人不欲, 遺璥銀甁三十, 請勿徙. 璥却不受, 乃遺千遇, 千遇受之, 言於沆, 得不徙. 璥謂沆曰, “三陟之徙, 實關利害, 郡…#유경 #천년 #장지 #정당문학 #유공권 #국자대사성 #정방 #유천우 #최항 #침략 #삼척 #은병 #최의 #김준 #추밀원우부승선 #지주사 #좌우위 #상장군 #우부승선 #유주 #감무 #문화현령 #편전 #김승준 #대정 #중랑장 #낭장 #임연 #승선 #파직 #첨서추밀원사 #우득규 #양화 #지유 #김득룡 #경원록 #수태부 #참지정사 #태자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대사성 #김구 #예부시랑 #주열 #장군 #김정 #환관 #김경 #흑산도 #행수 #유승 #금강원 #삼별초 #강화경 #평장사 #판병부사 #다루가치 #재추 #애도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원부 #판군부사 #수국사 #이재 #삼재 #허공 #석말천구 #정화궁주 #제안공 #왕숙 #중찬 #김방경 #이창경 #이분희 #박항 #이분성 #강화도 #영춘시 #내인 #위득유 #노진의 #힌두 #판전리사사 #원나라 #오윤부 #조성도감 #광정대부 #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세자사 #홍탄 #한희유 #양공적 #임비 #순마소 #국자감시 #예위 #이존비 #안향 #안전 #이혼 #정문 #좌주 #임경숙
-
제신(諸臣)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松壽, 登第補春秋脩撰. 忠惠王御書筵, 安震言, “臣等備員兩府, 未可竟日侍講, 宜擇端士, 以備顧問.” 遂薦松壽及閔湜, 判三司李齊賢等. 又進言, “玉之有瑕者, 必待良工, 雕琢然後, 成其寶器, 人君豈皆無失? 必待良臣, 啓沃然後, 能成其聖德.” 因曰, “元松壽, 中贊…
-
제신(諸臣)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李齊賢, 字仲思, 初名之公, 檢校政丞瑱之子. 自幼嶷然如成人, 爲文已有作者氣. 忠烈二十七年, 年十五魁成均試, 又中丙科曰, “此小技耳.” 討論經籍益勤, 淹貫精硏, 瑱喜曰, “天其或者, 益大吾門乎!” 三十四年, 選入藝文春秋館. 忠宣元年, 擢糾正, 累遷成均樂正. 嘗任…#이제현 #이지공 #검교정승 #이진 #충렬왕 #성균시 #병과 #예문춘추관 #충선왕 #규정 #성균악정 #제거풍저창사 #내부시부령 #원나라 #인종 #무종 #충숙왕 #연경 #요수 #염복 #원명선 #조맹부 #성균좨주 #서촉 #선부전서 #강남 #권한공 #거란 #송나라 #태조 #서도 #정악 #육부 #광종 #향교 #의종 #신준 #오생 #지밀직사사 #단성익찬공신 #연오 #왕부단사관 #유청신 #오잠 #도당 #중용 #제나라 #환공 #형후 #위후 #요나라 #금산왕자 #태조성무 #카치운 #차라 #충헌왕 #조충 #김취려 #세조황제 #충경왕 #양초 #카다안 #세조 #토번 #최성지 #낭중 #대승상 #이윤 #주공 #방현령 #두여회 #심왕 #제국대장공주 #승상 #바이주 #맹자 #직 #도스마 #밀직사사 #첨의평리 #정당문학 #김해군 #조적 #충혜왕 #철권 #역옹패설 #재상 #민천사 #정동성 #도치 #금나라 #거란장 #세조문무 #양양 #아릭부케 #막북 #변량 #임유무 #강화도 #개경 #일본 #김방경 #나얀대왕 #수달달 #여진 #이즈르부카왕 #쿠투르게리미쉬공주 #아라트나시리왕 #부다시리왕 #기씨 #주나라 #간 #한나라 #양왕 #양나라 #충목왕 #판삼사사 #부원군 #좨주 #전숙몽 #효경 #논어 #대학 #환관 #정방 #전리사 #군부사 #고공사 #도목 #양장 #조륜 #박인수 #고겸 #응방 #내승 #고용보 #덕녕창 #보흥창 #자사 #수령 #금어 #참직 #감무 #현령 #목사 #태수 #감찰사 #안렴사 #목민관 #식읍 #광흥창 #경기 #조업전 #구분전 #녹과전 #존무사 #안무사 #안축 #이곡 #안진 #이인복 #민지 #본조편년강목 #충렬왕실록』 #충선왕실록』 #충숙왕실록』 #공민왕 #정승 #덕경부 #도첨의정승 #정동행성 #이문 #배전 #박수명 #직성군 #노영서 #가덕도 #찬성사 #윤시우 #각산 #정천기 #제주목사 #지도첨의사사 #한대순 #기장감무 #조일신 #우정승 #이색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기철 #환시 #양부 #국사 #사관 #삼관 #소목 #하 #은 #주 #송경 #현종 #이가도 #서해도 #충청도 #사평진 #여고 #차라대 #황교 #상주 #홍언박 #문충 #측천기 #당나라 #주자강목 #최해 #익재 #평장사 #양제 #신돈 #좌주 #성리학 #익재난고 #백문보 #이달충 #숙종 #예종 #이서종 #이달존 #이창로 #이보림
-
제신(諸臣)이색(李穡)이색李穡李穡, 字穎叔, 贊成事穀之子. 生而聰慧異常, 讀書輒誦. 年十四, 中成均試, 已有聲. 穀仕元, 爲中瑞司典簿, 穡以朝官子, 補國子監生員. 在學三年, 穀在本國卒, 自元奔喪. 恭愍元年, 穡服中上書曰, “草土臣穡言. 臣聞, ‘當國家無事之時, 公卿之言, 輕於鴻毛, 及國家…#이색 #영숙 #찬성사 #이곡 #성균시 #원나라 #중서사전부 #국자감 #생원 #정전 #초나라 #시경 #갑인주안 #왜구 #호 #맥 #양 #월 #봉수체계 #안렴사 #군수 #도순문사 #수령 #왜적 #추포사 #순임금 #하 #은 #주 #양한 #한나라 #고조 #소하 #한신 #광무제 #후한 #만호 #부 #제위 #중원 #일본 #여진 #강소성 #절강성 #중국 #연산 #무과 #가의 #문제 #공자 #문묘 #학교 #성균 #12도 #동서학당 #향교 #학당 #생도 #예부 #과거 #불교 #부처 #태조 #오교 양종 #승려 #도첩 #속백 #정료 #주역 #숙옹부승 #정동행성 #향시 #서장관 #제과 #정시 #독권관 #참지정사 #두병이 #한림승지 #구양현 #응봉한림문자 #승사랑동지제고 #국사원편수관 #전리정랑 #예문응교 #내서사인 #한림원권경력 #정방 #이부 #병부 #이부시랑 #병부낭중 #시국자좨주 #우간의대부 #간관 #상주 #추밀원우부승선 #한림학사 #홍건적 #개경 #불호사 #어보인 #환관 #승패 #지도첨의사 #유숙 #정동행중서성 #유학제거 #밀직제학 #동지춘추관사 #단성보리공신 #첨서밀직사사 #성균관 #판개성부사 #성균대사성 #김구용 #정몽주 #박상충 #박의중 #이숭인 #교관 #명륜당 #정주 #성리학 #좌우사낭중 #시중 #유탁 #마암 #영전 #연복사 #영화공주 #영도첨의사사 #신돈 #이춘부 #정비궁 #이인임 #유연 #문사관 #옥관 #삼사우사 #정당문학 #문충보절찬화공신 #우리 태조 #지문하부사 #이인복 #신조 #한산군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 #대장경 #지신사 #노숭 #판삼사사 #한산부원군 #명나라 #장보 #주탁 #우왕 #검교문하시중 #지공거 #판문하부사 #조민수 #동지공거 #염흥방 #서보통탑 #주나라 #문왕 #이성림 #전민 #좌사 #위화도 #회군 #창왕 #문하시중 #추충보절동덕찬화보리공신 #주과 #공민왕 #김사안 #하정사 #우리 태종 #최영 #한림 #예부관 #나하추 #발해 #반양산 #대사헌 #조준 #사전 #도평의사사 #황려부 #이림 #홍영통 #이무방 #남신사 #백련회 #이종학 #사림 #요동 #도당 #이림과 #채단 #말 #부사 #유배 #중관 #술 #우인열 #장단현 #별업 #중사 #이광 #이행 #공양왕 #태묘 #관제 #신주 #좌사의 #오사충 #문하사인 #조박 #현릉 #유학 #요동 정벌 #대장 #신우 #여흥부 #삼한 #변안열 #김저 #정득후 #신창 #왕망 #장우 #주운 #임견미 #송사 #유가 #순천 #규정 #전시 #창녕 #헌사 #사헌 #좌상시 #윤소종 #대간 #집의 #이고 #장단 #옥졸 #창녕옥 #위화도회군 #상서 #이원명 #요양 #이성계 #의주 #강화 #여흥 #진 #원제 #동진 #갈 #함창 #좌주 #우대언 #조인옥 #성석린 #우홍수 #부마 #우성범 #평리 #배극렴 #대제학 #안종원 #권중화 #청주 #왕방 #조반 #파평군 #윤이 #중랑장 #이초 #고려 #왕요 #장하 #권근 #이귀생 #우현보 #정지 #김종연 #윤유린 #홍인계 #진을서 #경보 #이인민 #순군 #대성 #형조 #최공철 #최칠석 #조언 #조경 #공의 #한성 #김충 #안주 #곽선 #정단봉 #박의룡 #윤사강 #가신 #정부개 #청주옥 #문하평리 #윤호 #밀직부사 #박경 #우사의 #형조좌랑 #신효창 #양광도 #도관찰사 #유구 #관사 #헌부 #충주 #여주 #역마 #편전 #영예문춘추관사 #수창궁 #대호군 #김정경 #유만수 #이념 #김진양 #이종선 #양강 #금천 #한산백 #문정 #목은집 #이종덕 #동지밀직사사
-
凡試官광종. 처음 쌍기(雙冀)를 지공거(知貢擧) 지공거 고려시대 과거의 본시험인 예부시(禮部試)를 주관하던 책임고시관이다. 중국 당나라․송나라 때 사용되었으며, 고려사회에서는 광종 9년(958) 과거 시행 때부터 사용되다가 독권관(讀卷官)․도고시관(都考試官)․고시관…
-
凡試官光宗始命雙冀, 爲知貢擧. 自後, 命文臣一人, 爲知貢擧. 二十三年 增置同知貢擧, 尋罷之. 景宗二年 以王融爲讀卷官, 親試, 則稱讀卷官. 成宗十五年 改知貢擧, 爲都考試官, 明年, 復稱知貢擧. 文宗三十七年 復增置同知貢擧…
-
유경柳璥유경(柳璥) 유경(1211~1289)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선조인 유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대 공신이었다. 부친은 상서우복야․한림학사 유택(柳澤)이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찬성사․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를 거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
-
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원송수(元松壽)는 과거에 급제 급제 충숙왕 후8년(1339) 정월 윤택(尹澤)이 주관한 국자시(國子試)에 원송수(元松壽)가 안원룡(安元龍) 등과 함께 급제한 후 충혜왕 때 시행한 과거에 급제한 사실을 말한다. 한편 원송수는 공민왕 11년(1362) 9월에 국자…
-
이제현李齊賢이제현(李齊賢) 이제현(1287~1367) 이지공(李之公)․이봉룡(李鳳龍)이라고도 하며, 본관은 경주이다. 충렬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권무봉선고판관(權務奉先庫判官)․연경궁녹사(延慶宮錄事)를 거쳐 공민왕 때까지 판삼사사(判三司事)․우정승(右政丞)․문하시중(門下…
-
이색李穡이색(李穡) 이색(1328~1396)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이곡(李穀)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한 후 공양왕 때까지 정당문학(政堂文學)․판삼사사(判三司事)․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가계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109, 열전22…
-
유경柳璥柳璥, 字天年, 一字藏之, 政堂文學公權之孫. 高宗朝登第, 累遷至國子大司成. 璥久在政房, 與兪千遇, 俱爲崔沆所厚. 蒙兵之侵, 沆欲徙三陟山城, 郡人不欲, 遺璥銀甁三十, 請勿徙. 璥却不受, 乃遺千遇, 千遇受之, 言於沆, 得不徙. 璥謂沆曰, “三陟之徙, 實關利害, 郡…
-
원부元傅 부 원송수元松壽松壽, 登第補春秋脩撰. 忠惠王御書筵, 安震言, “臣等備員兩府, 未可竟日侍講, 宜擇端士, 以備顧問.” 遂薦松壽及閔湜, 判三司李齊賢等. 又進言, “玉之有瑕者, 必待良工, 雕琢然後, 成其寶器, 人君豈皆無失? 必待良臣, 啓沃然後, 能成其聖德.” 因曰, “元松壽, 中贊…
-
이제현李齊賢李齊賢, 字仲思, 初名之公, 檢校政丞瑱之子. 自幼嶷然如成人, 爲文已有作者氣. 忠烈二十七年, 年十五魁成均試, 又中丙科曰, “此小技耳.” 討論經籍益勤, 淹貫精硏, 瑱喜曰, “天其或者, 益大吾門乎!” 三十四年, 選入藝文春秋館. 忠宣元年, 擢糾正, 累遷成均樂正. 嘗任…
-
이색李穡李穡, 字穎叔, 贊成事穀之子. 生而聰慧異常, 讀書輒誦. 年十四, 中成均試, 已有聲. 穀仕元, 爲中瑞司典簿, 穡以朝官子, 補國子監生員. 在學三年, 穀在本國卒, 自元奔喪. 恭愍元年, 穡服中上書曰, “草土臣穡言. 臣聞, ‘當國家無事之時, 公卿之言, 輕於鴻毛, 及國家…
-
凡試官광종. 처음 쌍기(雙冀)를 지공거(知貢擧) 지공거 고려시대 과거의 본시험인 예부시(禮部試)를 주관하던 책임고시관이다. 중국 당나라․송나라 때 사용되었으며, 고려사회에서는 광종 9년(958) 과거 시행 때부터 사용되다가 독권관(讀卷官)․도고시관(都考試官)․고시관…
-
凡試官光宗始命雙冀, 爲知貢擧. 自後, 命文臣一人, 爲知貢擧. 二十三年 增置同知貢擧, 尋罷之. 景宗二年 以王融爲讀卷官, 親試, 則稱讀卷官. 成宗十五年 改知貢擧, 爲都考試官, 明年, 復稱知貢擧. 文宗三十七年 復增置同知貢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