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고종 37년(1250) 경술년고종 37년(1250) 경술년봄 정월 계사일. 낭중(郞中) 최장저(崔章著)를 몽고에 보냈다. ○ 대장군 이세재(李世材)와 장군 신집평(愼執平) 신집평(?~1258) 본관은 거창이며 조부는 태자태보(太子太保) 신익(愼翼)이고 아버지는 신세공(愼世功)이다. 신세공의 처음 이…#낭중 #최장저 #몽고 #대장군 #이세재 #장군 #신집평 #승천부 #임해원 #동계병마사 #동진 #연등회 #봉은사 #추밀원부사 #최자 #중서사인 #홍진 #소재도량 #홍복원 #북계 #창주 #안악현 #위주 #은율현 #서경 #서해도 #화엄신중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왕륜사 #가마 #어련 #의장 #외원 #구요당 #김응문 #공덕천도량 #기우제 #수창궁 #사신 #다가 #무로손 #승천부관 #강화도 #신안공 #왕전 #서궁 #천병신중도량 #권수평 #좌사간 #정란 #낭장 #위공취 #조계순 #우부승선 #북쪽 오랑캐군사 #고주 #화주 #최춘명 #유배 #경찬법석 #강도 #중성 #현성사 #최항 #문하시중 #홍고이 #승천관 #제포궁 #휘장
-
고종고종 37년(1250) 경술년고종 37년(1250) 경술년三十七年 春正月 癸巳 遣郞中崔章著如蒙古. 遣大將軍李世材, 將軍愼執平等, 始營宮闕于昇天府臨海院舊基. 二月 甲辰 東界兵馬使報東眞兵二百騎入境. 辛亥 燃燈, 王如奉恩寺. 己未 遣樞密院副使崔滋, 中書舍人洪縉如蒙古. 庚申 親設消災道場. …#낭중 #최장저 #몽고 #대장군 #이세재 #장군 #신집평 #승천부 #임해원 #동계병마사 #동진 #연등회 #봉은사 #추밀원부사 #최자 #중서사인 #홍진 #소재도량 #홍복원 #북계 #창주 #안악현 #위주 #은율현 #서경 #서해도 #화엄신중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왕륜사 #가마 #어련 #의장 #외원 #구요당 #김응문 #공덕천도량 #기우제 #수창궁 #사신 #다가 #무로손 #승천부관 #강화도 #신안공 #왕전 #서궁 #천병신중도량 #권수평 #좌사간 #정란 #낭장 #위공취 #조계순 #우부승선 #북쪽 오랑캐군사 #고주 #화주 #최춘명 #유배 #경찬법석 #강도 #중성 #현성사 #최항 #문하시중 #홍고이 #승천관 #제포궁 #휘장
-
步五星 第七1. 역도(曆度) 역도 365도 25분 75초 천구상에서 대원주의 중심각 크기, 곧 1 주천도 365도 25분 75초. 365도 25분 75초 2. 역중(曆中) 역중 182도 62분 87초 50 역도의 2분의 1, 곧 반주천도에 해당. 182도 62분 …#역도 #역중 #역책 #목성 #주율 #주일 #역률 #도율 #합응 #역응 #영축 #평차 #정차 #복현 #단목 #단일 #평도 #한도 #초행율 #합복 #신질초 #신질말 #신지초 #신지말 #신류 #신퇴 #석퇴 #석류 #석지초 #석지말 #석질초 #석질말 #석복 #화성 #영초축말입차 #축초영말입차 #신차질초 #신차질말 #석차질초 #석차질말 #토성 #영입차 #축입차 #초행률 #신질 #신차질 #신지 #석지 #석차질 #석질 #금성 #영축입차 #석퇴복 #합퇴복 #신복 #수성 #신복석현 #석복신현 #적지 #신유 #중적 #전합 #후합 #일주 #평합 #중성 #후합분 #입력도 #영력 #축력 #영축력 #초한 #말한 #입차 #초말한 #영축차 #책수 #책여 #영축적 #정적일 #기법 #일진 #정적 #삭책 #경삭 #경삭일 #상거 #정성 #황도일도 #수도 #가시분 #일율 #평행도 #범차 #증감차 #총차 #일차 #전복 #후복 #평행분 #전지 #후지 #지단 #퇴단 #퇴복단 #퇴행단 #반세주 #입영력일 #입축력일 #현 #복 #행차 #정합 #정현 #정복 #범적일 #거합차일 #거합차도 #태양 영축적 #퇴정합 #범적 #순주 #분초 #현복도 #복현일 #석현 #상적 #동지 #하지 #신현
-
지리지(地理志)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
江華縣본래 고구려의 혈구군(穴口郡)【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도 한다.】으로, 바다 가운데 있으며 정주(貞州)의 바로 서남쪽이자, 통진현(通津縣)의 서쪽에 위치한다. 신라 경덕왕 때 해구군(海口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1018)에 …
-
登歌樂器편종(編鐘)은 정성(正聲) 정성 십이율(十二律), 즉 육률(六律)과 육려(六呂)를 가리킨다. 육률은 양성(陽聲)인 여섯 소리로 황종(黃鐘)․태주(太簇)․고선(姑洗)․유빈(蕤賓)․이칙(夷則)․무역(無射)이고, 육려는 음성(陰聲)인 여섯 소리로 대려(大呂)․협종(…
-
軒架樂器편종(編鍾)은 9가인데, 가마다 정성 16개와 중성 12개가 각각 홍선도결이 완전하고 담상이 완전하다. 악가의 기물은 가마다 다음과 같다. 탑뇌가 1조이고, 협주가 2조이고, 중성과 정성의 천이 각각 2조이고, 각광이 2조이고, 각부가 2척이고, 요엽판이 5단…#편종 #담상 #각광 #각부 #요엽판 #오주유소 #구리 #화월 #유주 #반자 #패 #각퇴 #철정궐 #흑칠교상 #청도결 #편경 #정성 #중성 #홍선도결 #악가 #탑뇌 #협주 #자주도 #금 #일현금 #삼현금 #오현금 #칠현금 #구현금 #슬 #탁자 #현안주용 #홍선츤현 #지 #홍현찰전 #적 #홍사찰전 #소 #홍선결자 #환 #소생 #우생 #훈 #진고 #고좌 #홍견욕 #고간 #퇴 #입고 #십자사자좌 #비고 #응고 #고승 #고곡 #방륜 #원륜 #액 #백로자 #조목연화좌 #목퇴 #칠주유소 #결주 #간자도삭 #축 #어 #알자 #휘번 #간자 #말록제 #말록고각 #철퇴 #자견연등심석 #문무 #색장 #은두장자 #무무 #정 #대 #약 #독 #도고 #요령 #쌍두탁 #금순 #좌대 #매홍도 #상고 #금정 #권도추 #아고 #간과 #무색장 #말액 #자시수란포 #무변관 #비시수란삼 #금비구 #백견말대 #동혁대 #오피리 #정독 #평면관 #조시수란삼 #흑칠표간
-
太廟樂章예종(睿宗) 11년(1116) 10월. 구실(九室) 구실 고려시대에 태묘(太廟)에 둔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까지 구대(九代)의 임금의 신주(神主)를 모셨던 방이다.의 등가 악장을 새로 제작하였다. 태조(太祖) 제1실(室) …#태묘 #악장 #구실 #태조 #정성 #중성 #혜종 #정성 소성지곡 #삼한 #정성 흥경지곡 #용산 #사수 #덕종 #정성 엄안지곡 #요 #정종 #정성 원화지곡 #문종 #정성 대명지곡 #문왕 #숭아 #수우 #순종 #정성 익선지곡 #선종 #정성 청녕지곡 #순 #종묘 #숙종 #정성 중광지곡 #신주 #현종 #원종 #충렬왕 #원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휘의공주 #혼전 #대향 #교방 #초헌 #승의공주 #아헌 #제향 #삼헌 #사헌 #오헌 #종헌 #청묘 #관세 #소차 #아악 #사도 #조두 #변두 #대방 #무왕 #음복 #이성지곡 #문무 #무무 #숙녕지곡
-
병지(兵志)성보(城堡)성보城堡태조 2년(919). 용강현(龍岡縣)(지금의 평안남도 용강군)에 1,807간(閒)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6개, 수구가 1개였다. 평양에 성을 쌓았다. 3년. 함종현(咸從縣)(지금의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에 236간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4…#용강현 #평양 #함종현 #성두 #차성 #운남현 #서경 #성주 #운주옥산 #유금필 #탕정군 #북계 #진국성 #안정진 #영청 #안수 #흥덕 #안북부 #조양진 #청주 #나성 #연주성 #통해현 #이물 #숙주 #순주 #영청현 #양암진 #용강 #평원 #대안주 #은주 #덕창진 #왕성 #철옹 #삼척 #통덕 #덕성진 #박주 #장청진 #위화진 #무주 #안삭진 #습홀 #송성 #낙릉군 #장평진 #영삭진 #태주 #운주 #화주 #고주 #박평 #가주 #안융진 #청새진 #수덕진 #문주 #평장사 #서희 #여진 #장흥 #귀화 #곽주 #귀주 #안의 #흥화 #영주 #맹주 #선주 #덕주 #영풍 #평로 #위화 #광화 #진명현 #금양현 #용진진 #중성 #흥화진 #울진 #익령현 #통주 #등주 #송악성 #황성 #청하 #흥해 #영일 #울주 #장기 #경주 #장주 #금양 #궁올산 #용주 #운림진 #의주 #철주성 #안의진 #영평진 #동래군 #요덕진 #상음현 #순덕 #동북계 #현덕진 #봉화산 #유소 #석성 #위원진 #정융진 #인주 #영덕 #삭주 #국내성 #압록강 #위원 #정주 #영해 #영삭 #청새 #영원 #정융 #요덕 #정변 #간성현 #정주진 #명주성 #서북로 #송령 #장성 #재전 #도병마부사 #박성걸 #동로 #정변진 #김해부 #최충 #금강수 #선위수 #선덕수 #장평수 #정잠수 #진하수 #철용수 #정안수 #보자 #도융수 #진흉수 #직잠수 #항마수 #절충수 #정융수 #환가현 #수덕 #김영기 #왕총지 #원흥진 #장주성 #정북 #고령 #소흉 #소번 #염천 #정원 #정주성 #방수 #압호 #홍화 #대화 #안륙 #내항 #압로 #해문 #도안 #선덕진 #영흥진 #병부낭중 #김경 #성보 #위주성 #진자농장 #위주 #병마사 #안변도호부 #성루 #윤관 #몽라골 #성랑 #화곶산 #웅주 #오림금촌 #복주 #궁한이촌 #길주 #함주 #공험진 #진동군 #안령군 #영해군 #통태 #평융 #동계 #숭녕 #진양 #선화 #예주 #금 #연주 #철관 #강화 #외성 #강도 #전주 #승천부 #개성부 #태조 #현종 #산성 #당감 #고구려 #봉수 #목 #부 #군 #현 #동․서강 #헌사 #군정 #기장군 #해주 #옹진
-
步五星 第七曆度, 三百六十五度二十五分七十五秒. 曆中, 一百八十二度六十二分八十七秒【半.】 曆策, 一十五度二十一分九十○秒【六十二微半.】 (1) 木星 …#역도 #역중 #역책 #목성 #주율 #주일 #역률 #도율 #합응 #역응 #영축 #평차 #정차 #복현 #단목 #단일 #평도 #한도 #초행율 #합복 #신질초 #신질말 #신지초 #신지말 #신류 #신퇴 #석퇴 #석류 #석지초 #석지말 #석질초 #석질말 #석복 #화성 #영초축말입차 #축초영말입차 #신차질초 #신차질말 #석차질초 #석차질말 #토성 #영입차 #축입차 #초행률 #신질 #신차질 #신지 #석지 #석차질 #석질 #금성 #영축입차 #석퇴복 #합퇴복 #신복 #수성 #신복석현 #석복신현 #적지 #신유 #중적 #전합 #후합 #일주 #평합 #중성 #후합분 #입력도 #영력 #축력 #영축력 #초한 #말한 #입차 #초말한 #영축차 #책수 #책여 #영축적 #정적일 #기법 #일진 #정적 #삭책 #경삭 #경삭일 #상거 #정성 #황도일도 #수도 #가시분 #일율 #평행도 #범차 #증감차 #총차 #일차 #전복 #후복 #평행분 #전지 #후지 #지단 #퇴단 #퇴복단 #퇴행단 #반세주 #입영력일 #입축력일 #현 #복 #행차 #정합 #정현 #정복 #범적일 #거합차일 #거합차도 #태양 영축적 #퇴정합 #범적 #순주 #분초 #현복도 #복현일 #석현 #상적 #동지 #하지 #신현
-
고종 37년(1250) 경술년봄 정월 계사일. 낭중(郞中) 최장저(崔章著)를 몽고에 보냈다. ○ 대장군 이세재(李世材)와 장군 신집평(愼執平) 신집평(?~1258) 본관은 거창이며 조부는 태자태보(太子太保) 신익(愼翼)이고 아버지는 신세공(愼世功)이다. 신세공의 처음 이…
-
고종 37년(1250) 경술년三十七年 春正月 癸巳 遣郞中崔章著如蒙古. 遣大將軍李世材, 將軍愼執平等, 始營宮闕于昇天府臨海院舊基. 二月 甲辰 東界兵馬使報東眞兵二百騎入境. 辛亥 燃燈, 王如奉恩寺. 己未 遣樞密院副使崔滋, 中書舍人洪縉如蒙古. 庚申 親設消災道場. …
-
步五星 第七1. 역도(曆度) 역도 365도 25분 75초 천구상에서 대원주의 중심각 크기, 곧 1 주천도 365도 25분 75초. 365도 25분 75초 2. 역중(曆中) 역중 182도 62분 87초 50 역도의 2분의 1, 곧 반주천도에 해당. 182도 62분 …
-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
江華縣본래 고구려의 혈구군(穴口郡)【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도 한다.】으로, 바다 가운데 있으며 정주(貞州)의 바로 서남쪽이자, 통진현(通津縣)의 서쪽에 위치한다. 신라 경덕왕 때 해구군(海口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1018)에 …
-
登歌樂器편종(編鐘)은 정성(正聲) 정성 십이율(十二律), 즉 육률(六律)과 육려(六呂)를 가리킨다. 육률은 양성(陽聲)인 여섯 소리로 황종(黃鐘)․태주(太簇)․고선(姑洗)․유빈(蕤賓)․이칙(夷則)․무역(無射)이고, 육려는 음성(陰聲)인 여섯 소리로 대려(大呂)․협종(…
-
軒架樂器편종(編鍾)은 9가인데, 가마다 정성 16개와 중성 12개가 각각 홍선도결이 완전하고 담상이 완전하다. 악가의 기물은 가마다 다음과 같다. 탑뇌가 1조이고, 협주가 2조이고, 중성과 정성의 천이 각각 2조이고, 각광이 2조이고, 각부가 2척이고, 요엽판이 5단…
-
太廟樂章예종(睿宗) 11년(1116) 10월. 구실(九室) 구실 고려시대에 태묘(太廟)에 둔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까지 구대(九代)의 임금의 신주(神主)를 모셨던 방이다.의 등가 악장을 새로 제작하였다. 태조(太祖) 제1실(室) …
-
성보城堡태조 2년(919). 용강현(龍岡縣)(지금의 평안남도 용강군)에 1,807간(閒)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6개, 수구가 1개였다. 평양에 성을 쌓았다. 3년. 함종현(咸從縣)(지금의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에 236간 규모의 성을 쌓았는데 문이 4…
-
步五星 第七曆度, 三百六十五度二十五分七十五秒. 曆中, 一百八十二度六十二分八十七秒【半.】 曆策, 一十五度二十一分九十○秒【六十二微半.】 (1) 木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