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정종
    정종 2년(1036) 병자년
    정종 2년(1036) 병자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유일. 동번(東蕃)의 회화장군(懷化將軍) 사라(沙羅) 등 83명이 입조해왔다. 갑오일. 도형(徒刑) 이하의 형을 받은 관리들과 장형(杖刑) 이하의 형을 받은 개인 및 벌금을 …
    #회화장군 #사라 #지신 #정전 #녹패 #유소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최제안 #상서좌복야 #중추원사 #이작충 #이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태위 #이응보 #수령 #대신 #영새장군 #아골 #장군 #개로 #이주좌 #우산기상시 #진현석 #위위경 #좌간의대부 #원태진 #기거랑 #한연조 #시어사 #삼척현 #동진 #문사명 #어사중승 #황보유의 #유징필 #참지정사 #서경유수사 #삼각산 #귀정 #북육 #서육 #우박 #오부하 #서리 #태사 #아도간 #정보 #문하시랑평장사 #채충순 #기우제 #이공 #문한직 #영통사 #숭법사 #보원사 #동화사 #문덕전 #도량 #초제 #개경 #동경 #상주 #광주 #안변부 #지진 #문하시중 #유방 #중추원 #문하성 #진량 #지중추사 #병부상서 #김충찬 #공정 #태사승 #강승영 #군기소감 #강화 #일본 #겸준 #혜비 #진봉 #고주사 #상서우승 #김원충 #송나라 #옹진 #황보영 #곽신 #어사대부 #구정 #형부 #직문하성 #김영기 #임유간 #좌․우간의 #박양명 #서유걸 #상서좌사낭중 #우승선 #금주 #밀성 #봉국장군 #요야 #팔관회 #동여진 #탐라 #오을야 #봉국대장군 #요을도 #태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9년(1055) 을미년
    문종 9년(1055) 을미년
    9년 봄 2월 을사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이다불(尼多弗) 등 27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무신일. 한식(寒食)날을 맞아 송나라 상인 섭덕총(葉德寵) 등 87명은 오빈관(娛賓館) 오빈관 고려시대 개경(開京)의 오정문(午正門) 밖에…
    #봉국장군 #이다불 #섭덕총 #오빈관 #황증 #영빈관 #황조 #청하관 #고한 #조종관 #우박 #눈 #야율혁 #진의 #광의군절도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중서령 #상주국 #왕휘 #환공 #문공 #진한 #변한 #태사 #정사 #요주자사 #어사대부 #부사 #숭록경 #호군 #수태사 #이주자사 #소록 #수태부 #왕훈 #백제 #삼한국공 #합문 #도병마사 #압록강 #춘추』 #동경유수 #내원성 #최충 #내사령 #이자연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김정준 #내사시랑평장사 #박성걸 #김원정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태자소보 #강경준 #지맹 #수사공 #구승 #형부상서 #김소보 #호부상서 #황보연 #공부상서 #야시로 #중추원 #상서이부 #검교장작소감 #유공의 #대광 #유금필 #숙주방어사 #문하성 #목민관 #흥종 #홍려소경 #장사복 #고애사 #예빈성 #도강 #황흔 #황포안 #황세안 #월나라 #지중추원사 #최유선 #공부시랑 #이득로 #거란 #생신회사사 #호부시랑 #최종필 #예부 #종진 #달마 #무제 #태조 #동지 #검교위위소경 #최성절 #검교공부상서 #야율도 #동경회례사 #금주자사 #야율장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정종
    정종 2년(1036) 병자년
    정종 2년(1036) 병자년
    二年 春正月 庚辰朔 放朝賀. 乙酉 東蕃懷化將軍沙羅等八十三人來朝. 甲午 犯公徒私杖以下, 及諸徵贖者, 悉令原免. 二月 庚戌朔 有事于方澤. 壬子 御殿視朝, 賜百官祿牌. 以柳韶爲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 崔齊顔爲尙書左僕射中樞使, 李作忠爲吏部尙書翰林學士承…
    #회화장군 #사라 #지신 #정전 #녹패 #유소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최제안 #상서좌복야 #중추원사 #이작충 #이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태위 #이응보 #수령 #대신 #영새장군 #아골 #장군 #개로 #이주좌 #우산기상시 #진현석 #위위경 #좌간의대부 #원태진 #기거랑 #한연조 #시어사 #삼척현 #동진 #문사명 #어사중승 #황보유의 #유징필 #참지정사 #서경유수사 #삼각산 #귀정 #북육 #서육 #우박 #오부하 #서리 #태사 #아도간 #정보 #문하시랑평장사 #채충순 #기우제 #이공 #문한직 #영통사 #숭법사 #보원사 #동화사 #문덕전 #도량 #초제 #개경 #동경 #상주 #광주 #안변부 #지진 #문하시중 #유방 #중추원 #문하성 #진량 #지중추사 #병부상서 #김충찬 #공정 #태사승 #강승영 #군기소감 #강화 #일본 #겸준 #혜비 #진봉 #고주사 #상서우승 #김원충 #송나라 #옹진 #황보영 #곽신 #어사대부 #구정 #형부 #직문하성 #김영기 #임유간 #좌․우간의 #박양명 #서유걸 #상서좌사낭중 #우승선 #금주 #밀성 #봉국장군 #요야 #팔관회 #동여진 #탐라 #오을야 #봉국대장군 #요을도 #태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9년(1055) 을미년
    문종 9년(1055) 을미년
    九年 春二月 乙巳 東女眞奉國將軍尼多弗等二十七人來, 獻土物. 戊申 寒食, 饗宋商葉德寵等八十七人於娛賓館, 黃拯等一百五人於迎賓館, 黃助等四十八人於淸河館, 耽羅國首領高漢等一百五十八人於朝宗館. 夏四月 辛丑 雨雹․雪. 五月 辛酉 契丹遣耶律…
    #봉국장군 #이다불 #섭덕총 #오빈관 #황증 #영빈관 #황조 #청하관 #고한 #조종관 #우박 #눈 #야율혁 #진의 #광의군절도사 #광시치리갈절자충봉상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중서령 #상주국 #왕휘 #환공 #문공 #진한 #변한 #태사 #정사 #요주자사 #어사대부 #부사 #숭록경 #호군 #수태사 #이주자사 #소록 #수태부 #왕훈 #백제 #삼한국공 #합문 #도병마사 #압록강 #춘추』 #동경유수 #내원성 #최충 #내사령 #이자연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김정준 #내사시랑평장사 #박성걸 #김원정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태자소보 #강경준 #지맹 #수사공 #구승 #형부상서 #김소보 #호부상서 #황보연 #공부상서 #야시로 #중추원 #상서이부 #검교장작소감 #유공의 #대광 #유금필 #숙주방어사 #문하성 #목민관 #흥종 #홍려소경 #장사복 #고애사 #예빈성 #도강 #황흔 #황포안 #황세안 #월나라 #지중추원사 #최유선 #공부시랑 #이득로 #거란 #생신회사사 #호부시랑 #최종필 #예부 #종진 #달마 #무제 #태조 #동지 #검교위위소경 #최성절 #검교공부상서 #야율도 #동경회례사 #금주자사 #야율장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한언공(韓彦恭)
    한언공韓彦恭
    한언공(韓彦恭) 한언공(940~1004) 광록소경(光祿小卿)을 지낸 장단 한씨[長湍韓氏․湍州韓氏] 한총례(韓聰禮)의 아들로, 광종 때 광문원서생(光文院書生)이 되었다가 목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현종 때 목종의 묘정에 배향된 문신관료이자 공신이다.…
    #한언공 #단주 #한총례 #광록소경 #광문원의 승사랑 #내승지 #진사과 #내의승지사인 #형부시랑 #병부시랑 #송나라 #사은사 #금자광록대부 #검교병부상서 #어사대부 #대장경 #어제비장전 #소요 #연화심륜 #어사예관시랑 #판예빈성사 #추밀원 #중추원 #사전중감 #지예관사 #참지정사 #상주국 #목종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중 #장단현 #특진 #개국후 #감수국사 #내사령 #평주 #의약 #수레 두 대 #어구의 말 #쌀 #보리 #베 #차 #정신 #태부 #한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황보유의(皇甫兪義)
    황보유의皇甫兪義
    황보유의(皇甫兪義) 황보유의(?~1042) 영천 황보씨(永川皇甫氏)라 기록된 후대의 족보와 달리, 고려 태조 이래 왕실의 처가와 외척이 된 황보제공(皇甫悌恭)과 같은 황주 황보씨(黃州皇甫氏) 집안출신의 문신관료이다. 문연(文演)과 함께 서경세력으로 활동하였다.…
    #황보유의 #선휘판관 #김치양 #군교 #현종 #채충순 #최항 #종묘 사직 #낭장 #문연 #별장 #이성언 #고적 #삼각산 #신혈사 #개성부참군 #김연경 #전중시어사 #이부시랑 #내사사인 #중추원 #일직원 #용병 #장연우 #경군 #영업전 #상장군 #최질 #김훈 #박성 #이협 #이상 #이섬 #석방현 #최가정 #공문 #임맹 #급사중 #어사대부 #참지정사 #왕가도 #개경 #나성 #중추사 #이부상서 #판호부사 #문하시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정극온(鄭克溫)
    정극온鄭克溫
    정극온(鄭克溫) 정극온(?~1215) 신호위(神虎衛) 대장군(大將軍) 겸 대복경(大僕卿)를 지낸 상질 정씨(尙質鄭氏) 정원령(鄭元寧)의 아들로, 처음에 문신에 적을 올려 양온령동정(良醞令同正)․내시(內侍)를 지내다가 금오위(金吾衛) 산원(散員)․흥위위장군(興威…
    #정극온 #전주 #상질현 #정원령 #대장군 #양온령동정 #내시 #서경 #금오위산원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익렬 #한신 #장량 #중추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한언공(韓彦恭)
    한언공韓彦恭
    韓彦恭, 湍州人, 父聰禮, 光祿少卿. 彦恭, 性敏好學. 光宗朝, 年十五, 屬光文院書生, 未幾, 爲本院承事郞, 轉內承旨. 請赴進士擧不第. 進累內議承旨舍人. 成宗時, 再轉刑․兵二官侍郞. 如宋謝恩, 宋以彦恭儀容中度, 授金紫光祿大夫檢校兵部尙書兼御史大夫. 彦恭奏請大藏經…
    #한언공 #단주 #한총례 #광록소경 #광문원의 승사랑 #내승지 #진사과 #내의승지사인 #형부시랑 #병부시랑 #송나라 #사은사 #금자광록대부 #검교병부상서 #어사대부 #대장경 #어제비장전 #소요 #연화심륜 #어사예관시랑 #판예빈성사 #추밀원 #중추원 #사전중감 #지예관사 #참지정사 #상주국 #목종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중 #장단현 #특진 #개국후 #감수국사 #내사령 #평주 #의약 #수레 두 대 #어구의 말 #쌀 #보리 #베 #차 #정신 #태부 #한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황보유의(皇甫兪義)
    황보유의皇甫兪義
    皇甫兪義, 史失其世系. 穆宗朝, 歷官至宣徽判官. 王寢疾, 金致陽謀變, 王知之, 命選文武各一人, 率軍校, 往迎顯宗. 於是, 蔡忠順․崔沆等議曰, “皇甫兪義, 志存宗社, 且其父祖, 有勳勞於國, 當不墜家業, 以盡心力, 盍遣此人?” 幷擧武班郞將文演, 以聞. 乃命忠順, …
    #황보유의 #선휘판관 #김치양 #군교 #현종 #채충순 #최항 #종묘 사직 #낭장 #문연 #별장 #이성언 #고적 #삼각산 #신혈사 #개성부참군 #김연경 #전중시어사 #이부시랑 #내사사인 #중추원 #일직원 #용병 #장연우 #경군 #영업전 #상장군 #최질 #김훈 #박성 #이협 #이상 #이섬 #석방현 #최가정 #공문 #임맹 #급사중 #어사대부 #참지정사 #왕가도 #개경 #나성 #중추사 #이부상서 #판호부사 #문하시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정극온(鄭克溫)
    정극온鄭克溫
    鄭克溫, 全州尙質縣人, 父元寧, 大將軍. 克溫初調良醞令同正, 召入內侍, 以征西功, 授金吾衛散員. 累轉將軍, 得士卒心. 時國家討南賊, 克溫以所領軍赴之. 益訓鍊, 遇賊輒擊敗之, 俘獲居多. 入爲大將軍, 歷御史大夫知門下省事, 進叅知政事. 高宗二年卒, 輟朝三日, 謚翼烈…
    #정극온 #전주 #상질현 #정원령 #대장군 #양온령동정 #내시 #서경 #금오위산원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익렬 #한신 #장량 #중추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