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종명종 14년(1184) 갑진년명종 14년(1184) 갑진년14년 봄 정월 초하루 신묘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갑오일. 태백성이 하늘을 가로질렀다. 을사일. 원외랑(員外郞) 문의혁(文義赫)을 금나라에 보내 특산물을 바치게 하고, 장군 한정수(韓正修)는 만춘절(萬春節)을 축하하게 했으나,…#태백성 #원외랑 #문의혁 #금나라 #장군 #한정수 #만춘절 #의주 #외제석원 #개경 #지진 #일식 #연등회 #봉은사 #연경궁 #국상 #묘통사 #가뭄 #제전사 #대부감 #완안필 #조위사 #대장군 #대중윤 #기복사 #완안삼승 #대관전 #상례 #왕호 #상복 #사신 #오색 비단의 가설무대 #꽃 #추밀원사 #최우청 #간의대부 #송저 #우사간 #최기후 #직사관 #왕허소 #금극의 #급제 #백좌인왕회 #구정 #승려 #동경 #정의황후 #우제 #팔관회 #영통사 #인종 #진전 #영정 #열병식 #한문준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최세보 #판병부사 #문극겸 #태자태보 #문장필 #참지정사 #김광식 #임민비 #추밀원부사 #이의민 #수사공 #좌복야 #정방우 #지어사대사 #이지명 #한림학사승지 #정윤당 #이부원외랑 #이거정 #좌정언 #환관 #참관 #정조 #하비 #광정왕후
-
명종명종 16년(1186) 병오년명종 16년(1186) 병오년16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계미일. 영동정(令同正) 박원실(朴元實)이 중방(重房)에다가, 교위(校尉) 장언부(張彦夫) 등 여덟 명이 반란을 모의했다는 유언비어를 고자질하기에 중방에서 장언부를 체포해 신문했더니 …#영동정 #박원실 #중방 #교위 #장언부 #처형 #산원 #시랑 #문의혁 #금나라 #예빈경 #유공권 #만춘절 #연등회 #봉은사 #소의대장군 #야율리 #경령전 #상기 #태묘 #공예태후 #신위 #대부감 #야율규 #낙기복사 #대관전 #사신 #정당문학 #최여해 #여경문 #향성문 #외제석원 #송돈광 #급제 #우박 #왕륜사 #송나라 #태풍 #이한 #횡선사 #대리경 #이반 #관사 #비단으로 만든 휘장 #이부자리 #참관 #양 #탐라 #양부 #합문지후 #독고충 #낭장 #지자심 #안무사 #식목녹사 #장윤문 #대부주부 #행탐라현령 #능견 #내시원 #베 #비단 #장릉 #순릉 #천효사 #김광윤 #이광실 #유배 #보제사 #박돈부 #금군 #공화후 #왕영 #협제 #사면령 #형부시랑 #우술유 #예부시랑 #임유 #중랑장 #노효돈 #최광보 #수창궁 #영통사 #상장군 #최세보 #동수국사 #장군 #최련 #김부
-
명종명종 14년(1184) 갑진년명종 14년(1184) 갑진년十四年 春正月 辛卯朔 放朝賀. 甲午 太白經天. 乙巳 遣員外郞文義赫如金, 進方物, 將軍韓正修賀萬春節, 皆至義州而還. 以金恤我有喪也. 二月 辛未 太白, 自去年十月, 常晝見. 乙亥 幸外帝釋院. 三月 辛丑 京城地震. …#태백성 #원외랑 #문의혁 #금나라 #장군 #한정수 #만춘절 #의주 #외제석원 #개경 #지진 #일식 #연등회 #봉은사 #연경궁 #국상 #묘통사 #가뭄 #제전사 #대부감 #완안필 #조위사 #대장군 #대중윤 #기복사 #완안삼승 #대관전 #상례 #왕호 #상복 #사신 #오색 비단의 가설무대 #꽃 #추밀원사 #최우청 #간의대부 #송저 #우사간 #최기후 #직사관 #왕허소 #금극의 #급제 #백좌인왕회 #구정 #승려 #동경 #정의황후 #우제 #팔관회 #영통사 #인종 #진전 #영정 #열병식 #한문준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최세보 #판병부사 #문극겸 #태자태보 #문장필 #참지정사 #김광식 #임민비 #추밀원부사 #이의민 #수사공 #좌복야 #정방우 #지어사대사 #이지명 #한림학사승지 #정윤당 #이부원외랑 #이거정 #좌정언 #환관 #참관 #정조 #하비 #광정왕후
-
명종명종 16년(1186) 병오년명종 16년(1186) 병오년十六年 春正月 庚辰朔 放朝賀. 癸未 令同正朴元實, 以飛語告重房曰, “校尉張彦夫等八人謀亂.” 重房捕詰彦夫, 對曰, “方今執政用事者, 貪鄙, 酷愛白銀, 賣官鬻爵, 多行不法. 擬斷如此人頭, 啣其口以銀, 廣示朝野, 使人人, 知貪銀以死也.” 彦夫竟見殺, 元實超拜散員. …#영동정 #박원실 #중방 #교위 #장언부 #처형 #산원 #시랑 #문의혁 #금나라 #예빈경 #유공권 #만춘절 #연등회 #봉은사 #소의대장군 #야율리 #경령전 #상기 #태묘 #공예태후 #신위 #대부감 #야율규 #낙기복사 #대관전 #사신 #정당문학 #최여해 #여경문 #향성문 #외제석원 #송돈광 #급제 #우박 #왕륜사 #송나라 #태풍 #이한 #횡선사 #대리경 #이반 #관사 #비단으로 만든 휘장 #이부자리 #참관 #양 #탐라 #양부 #합문지후 #독고충 #낭장 #지자심 #안무사 #식목녹사 #장윤문 #대부주부 #행탐라현령 #능견 #내시원 #베 #비단 #장릉 #순릉 #천효사 #김광윤 #이광실 #유배 #보제사 #박돈부 #금군 #공화후 #왕영 #협제 #사면령 #형부시랑 #우술유 #예부시랑 #임유 #중랑장 #노효돈 #최광보 #수창궁 #영통사 #상장군 #최세보 #동수국사 #장군 #최련 #김부
-
제신(諸臣)유응규(庾應圭)유응규庾應圭유응규(庾應圭)는 자가 빈왕(賓王)으로 처음 이름이 유원규(庾元規)이며 무송현(茂松縣)(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송읍) 사람이다. 그의 부친 유필(庾弼) 유필(?~1155)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를 역임한 무송 유씨(茂松庾氏) 유언경(庾彦卿)의 아들로, 인…
-
제신(諸臣)이규보(李奎報)이규보李奎報이규보(李奎報)는 자가 춘경(春卿)이며 처음 이름이 이인저(李仁氐)로 황려현(黃驪縣)(지금의 경기도 여주군) 사람이다. 아버지 이윤수(李允綏) 이윤수(?~?) 교위(校尉)를 지낸 황려 이씨(黃驪李氏) 이화(李和)의 아들로, 호부낭중(戶部郎中)을 역임한 문신관료…#이규보 #춘경 #이인저 #황려현 #이윤수 #호부낭중 #경전 #사서 #백가 #불경 #노자 #감시 #진사시 #문생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 #함순 #이담지 #혜강 #완적 #조영인 #임유 #최선 #최당 #전주사록 #동도 #반란 #수제관 #병마녹사 #금성 #권직 #직한림원 #최충헌 #모정기 #진직 #사재승 #참직 #송순 #참관 #우정언 #지제고 #좌․우사간 #팔관회 #금의 #계양부사 #예부낭중 #기거주 #좌간의대부 #한림학사 #판위위시사 #위도 #판비서성사 #양제 #진정표 #추밀원부사 #우산기상시 #지문하성사 #호부상서 #집현전대학사 #정당문학 #수태위 #참지정사 #수태보 #문하시랑평장사 #문순 #예부시 #이관 #이함 #이징 #이제 #사재소감 #이익배
-
제신(諸臣)안전(安戩)안전安戩안전(安戩) 안전(?~1298) 본관이 죽산(竹山)이며,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시랑(侍郞)․대부소윤(大府少尹)․전라도 안찰사․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충렬왕 11년(1285) 4월에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하여 윤신걸…
-
제신(諸臣)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
제신(諸臣)조준(趙浚)조준趙浚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조준 #명중 #시중 #조인규 #공민왕 #수덕궁 #보마배지유 #홍륜 #과거 #통례문부사 #강원도 #안찰사 #정선군 #명주 #사헌장령 #감문위 #대호군 #지제교 #지신사 #김도 #대언 #박진록 #김주 #우왕 #고원 #재신 #전법판서 #왜놈 #경상도 #도통사 #최영 #체복사 #도순문사 #이거인 #병마사 #유익환 #도당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양광도 #원수 #왜적 #강릉교주도 #도검찰사 #선위좌명공신 #임견미 #염흥방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허금 #조인옥 #유원정 #정지 #백군녕 #우리 태조 #지밀직사사 #대사헌 #정도전 #사전 #이색 #이림 #우현보 #변안열 #권근 #유백유 #정몽주 #태조 #간관 #오사충 #이서 #이준 #주례 #천관 #총재 #6경 #육전 #사도 #예속 #6부 #감 #시 #창 #고 #유품 #판도사 #전법사 #예의사 #예관 #전공사 #공관 #6전 #사 #판사사 #밀직 #판서 #봉익 #낭관 #6색장 #주공 #소공 #태공 #문왕 #무왕 #성왕 #강왕 #소하 #조참 #방현령 #두여회 #한고조 #당태종 #중서성 #영 #평장 #참정 #정당 #추밀 #원나라 #삼군 #양부 #후한 #광무제 #6시 #7감 #통헌 #춘추 #공자 #주나라 #문종 #공경 #사대부 #동반 #규정 #정언 #수령 #사림 #감무 #현령 #부사 #서리 #대간 #6조 #안집 #공사 #주리 #역리 #장인 #상인 #헌사 #공역서 #8도 #군부사 #사복시 #백경 #내승 #내수 #경기 #공호 #구사 #호적 #농장 #상승 #수의 #부병 #도감 #조성도감 #선공 #선공시 #방어․화통도감 #군기시 #임진강 #예성강 #도성 #도총도감 #5부 #개성부 #사장 #학교 #부형 #도관 #궁사 #창고 #노비 #변정도감 #방리 #이인임 #시호 #뇌사 #정렬공 #이자송 #당나라 #현릉 #중국 #명나라 #호복 #품제 #전교 #당후관 #상장군 #전리사 #도평의사 #녹사 #왕패 #성중애마 #외관 #정 #노 #안렴 #호부 #조정 #향리 #양전 #양호 #천호 #판도 #신라 #백제 #금성 #삼한 #압록강 #한왕조 #흉노 #수군만호부 #봉화 #합포 #의주 #조운 #수군만호 #둔전 #전라 #경상 #양광 #만호 #상만호 #부만호 #초피 #송자 #인삼 #봉밀 #황랍 #미두 #매 #새매 #화척 #재인 #창왕 #상신 #헌신 #편작 #침원서 #산재 #상서성 #치재 #정순 #당악 #향악 #창기 #절제사 #관찰사 #기인 #경저주인 #막사 #주선 #지문하부사 #추충여절좌명공신 #공양왕 #삼국 #수시중 #이성계 #진평 #주발 #한나라 #적인걸 #장간지 #당 #노국대장공주 #종묘 #의릉 #면성 #황려 #고성 #예안 #근비 #의비 #숙비 #헌비 #안비 #영비 #정비 #현비 #선비 #내탕 #인장 #내부 #추밀원 #부원군 #국대부인 #옹주 #택주 #작첩 #유배 #조선 #양한 #육조 #수 #오대 #우 #수문제 #요순 #걸 #주 #이제 #삼왕 #탕왕 #사관 #좌사 #우사 #서연 #8위 #군부 #42도부 #대 #오 #위 #상장 #근시 #충용위 #호군 #우다치 #쉬구치 #별보 #애마 #5원 #10장 #공장 #노예 #좌우위 #사문 #사순 #비순위 #신호위 #위정 #사막 #상사 #사설 #사옹 #상식 #사선 #6국 #김부식 #서도 #낙랑후 #정승 #김방경 #탐라 #상락공 #환관 #경릉 #대장군 #낭장 #별장 #판사 #주부 #향원 #교수관 #향교 #유학 #맹자 #가묘 #신사 #주자가례 #대부 #서인 #삼령절 #한식 #경기 8현 #동북면 #서북면 #5군 #한 #남북군 #부위병 #요나라 #금나라 #양계 #진제 #송나라 #한산 #장좌 #부위 #중방 #첨설 #상호군 #중랑장 #산원 #진차 #역호 #관리 #정역별감 #승 #반인 #경관 #역승 #상평창 #의창 #경수창 #장손평 #사창 #위인 #금살도감 #달단 #삭선 #객사 #전구서 #사재시 #군관 #민관 #재상 #문제 #가의 #서경 #순임금 #곤 #무경 #전법 도관 #공판도감 #삼사 #순군 #대성 #정조 #권지행사 #잡과 #향역 #성균 #전법 #전의 #첨설봉익 #명경 #전원 #평리 #판상서시사 #중흥공신 #녹권 #조선군충의군 #정숙공 #충렬왕 #신우 #조민수 #신창 #강후 #양공 #대리 #화장 #규전 #3과 #어사 #관 #역 #복시 #군리 #수군 #참관 #예부 #찬성사 #판예조사 #판상서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 #삼사좌사 #김진양 #수원옥 #판삼사사
-
제신(諸臣)유응규(庾應圭)유응규庾應圭庾應圭, 字賓王, 初名元規, 茂松人. 父弼, 以文行顯, 質直不阿. 毅宗朝, 累官至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大學士判吏部事. 王嘗拜宦官鄭諴爲祗候, 弼論執不署告身, 王再三諭之, 竟不從, 故終弼之身, 諴不得拜, 其剛正類此. 謚恭肅, 配享毅宗廟庭. 有子五人, 應圭其長也, 性潁…
-
명종 14년(1184) 갑진년14년 봄 정월 초하루 신묘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갑오일. 태백성이 하늘을 가로질렀다. 을사일. 원외랑(員外郞) 문의혁(文義赫)을 금나라에 보내 특산물을 바치게 하고, 장군 한정수(韓正修)는 만춘절(萬春節)을 축하하게 했으나,…
-
명종 16년(1186) 병오년16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계미일. 영동정(令同正) 박원실(朴元實)이 중방(重房)에다가, 교위(校尉) 장언부(張彦夫) 등 여덟 명이 반란을 모의했다는 유언비어를 고자질하기에 중방에서 장언부를 체포해 신문했더니 …
-
명종 14년(1184) 갑진년十四年 春正月 辛卯朔 放朝賀. 甲午 太白經天. 乙巳 遣員外郞文義赫如金, 進方物, 將軍韓正修賀萬春節, 皆至義州而還. 以金恤我有喪也. 二月 辛未 太白, 自去年十月, 常晝見. 乙亥 幸外帝釋院. 三月 辛丑 京城地震. …
-
명종 16년(1186) 병오년十六年 春正月 庚辰朔 放朝賀. 癸未 令同正朴元實, 以飛語告重房曰, “校尉張彦夫等八人謀亂.” 重房捕詰彦夫, 對曰, “方今執政用事者, 貪鄙, 酷愛白銀, 賣官鬻爵, 多行不法. 擬斷如此人頭, 啣其口以銀, 廣示朝野, 使人人, 知貪銀以死也.” 彦夫竟見殺, 元實超拜散員. …
-
유응규庾應圭유응규(庾應圭)는 자가 빈왕(賓王)으로 처음 이름이 유원규(庾元規)이며 무송현(茂松縣)(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송읍) 사람이다. 그의 부친 유필(庾弼) 유필(?~1155)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를 역임한 무송 유씨(茂松庾氏) 유언경(庾彦卿)의 아들로, 인…
-
이규보李奎報이규보(李奎報)는 자가 춘경(春卿)이며 처음 이름이 이인저(李仁氐)로 황려현(黃驪縣)(지금의 경기도 여주군) 사람이다. 아버지 이윤수(李允綏) 이윤수(?~?) 교위(校尉)를 지낸 황려 이씨(黃驪李氏) 이화(李和)의 아들로, 호부낭중(戶部郎中)을 역임한 문신관료…
-
안전安戩안전(安戩) 안전(?~1298) 본관이 죽산(竹山)이며,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시랑(侍郞)․대부소윤(大府少尹)․전라도 안찰사․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충렬왕 11년(1285) 4월에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하여 윤신걸…
-
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
-
조준趙浚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
-
유응규庾應圭庾應圭, 字賓王, 初名元規, 茂松人. 父弼, 以文行顯, 質直不阿. 毅宗朝, 累官至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大學士判吏部事. 王嘗拜宦官鄭諴爲祗候, 弼論執不署告身, 王再三諭之, 竟不從, 故終弼之身, 諴不得拜, 其剛正類此. 謚恭肅, 配享毅宗廟庭. 有子五人, 應圭其長也, 性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