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종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년 봄 정월 무인일. 태손이 조순(趙珣) 조순(?~?) 고종~원종 때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을 참지정사로, 최온(崔昷)을 추밀원사(樞密院使)로, 김전(金佺) 김전(?~1271) 김전[金⿰氵⿱人王]이라고도 하며, 원…#조순 #참지정사 #최온 #추밀원사 #김전 #박성재 #추밀원 부사 #성대 #태학박사 #시의 #백주 #소복별감 #김수제 #별장 #우정 #예수데르 #재추 #급사중승 #전 #석도 #가도 #서북면병마사 #이교 #도령 #위득유 #내동 #우부승선 #김인준 #별궁전 #방성좌 #서경부유수 #김식 #야별초 #서해도 안찰사 #안북도령 #원진 #부사 #문수 #자주부사 #김맥 #옹진현령 #정숭 #몽고 #제주부사 #판예빈성사 #나득황 #방호사 #제주 #송나라 #일본 #안찰사 #연등회 #봉은사 #예부 #경조부 #쿠빌라이 #도병마녹사 #육자양 #장군 #김승준 #시랑 #이응 #산원 #민홍제 #몽고 사신 #가물 #승천관 #서경 #승려 #도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채정 #쉬리다이 #강화상 #다루가치 #진주 #강수형 #일식 #대장군 #김방경 #급사중 #조문주 #중승 #김홍취 #출배별감 #지형부사 #삼별초 #제포 #개경 #승천부 #승천궐 #오산 #강화도 #어사중승 #백영정 #앵무잔 #백은 #승평문 #경령전 #헌종 #조어산 #연경 #경조 #동관 #화청궁 #당 현종 #육반산 #헌종 황제 #아릭부케 #양주 #초주 #양양 #연각오사복두 #물소 띠 #상아 홀 #당 태종 #개평부 #고종 #강회선무사 #조양필 #왕전 #섬서선무사 #염희헌 #왕만호 #가뭄 #문․무 양반 #영부 #천도 #상장군 #신사전 #16영 #몰번 #손정렬 #형절 #태조황제 #장강 #상서 #공신 #관반 #이송진 #대부소경 #장계열 #강안전 #경녕전 #보살계 #파투 #공 #후 #백 #참상 #참외 #복야 #김보정 #김대재 #기다대 #조서 #영안공 #간무 #우무 #진정표 #사신 #패리대 #공덕천도량 #경기 #누리 #사면령 #위사공신 #유경 #일산 #소재도량 #추밀원부사 #형부시랑 #유배 #영녕공 #지진 #혼전 #천수사 #화림 #태백성 #문하시랑평장사 #최자 #왕비 유씨 #왕심 #태부소경 #신윤화 #중서성 #한무제 #연호 #중통 #보르카발 #바투르 #호부 #인장 #왕사 #혼원 #위문경 #우정언 #전문윤 #왕륜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필천호 #김천호 #상인 #진문광 #대부시 #내시원 #능라 #사견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수사공 #좌복야 #장공주 #경안궁주 #조책사 #집사관 #팔관회 #법왕사 #환궁악 #사도 #왕인 #제안백 #책봉 #가례 #김기손 #문하평장사 #판이부사 #중서평장사 #김지대 #정당문학 #어사대부 #수방
-
우왕창왕 원년(1389) 기사년창왕 원년(1389) 기사년정월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과 전교시(典校寺)에서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예문관은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고 춘추관은 사안을 기록하는 일을 맡으며 전교시는 제사의 의례와 축문(祝文)의 작성을 맡고 있으니, 이 세 가지는 모두가 중…#예문춘추관 #전교시 #사한 #전교 #정자 #동지밀직사사 #윤사덕 #최영 #경상도원수 #박위 #대마도 #헌부 #민중리 #진주목사 #이색 #판도판서 #기복 #유배 #지평 #김첨 #규정 #이인임 #이양중 #전자충 #강회백 #명나라 #예부 #사관 #최견 #묘당 #사초 #수찬 #서리 #전주원수 #진을서 #창왕 #가뭄 #사면령 #판사 #표영 #우박 #문하평리 #윤승순 #첨서밀직사사 #권근 #심덕부 #예문관대제학 #정영손 #이서원 #밀직부사 #밀직사 #황보림 #천추절 #교수형 #참형 #경기연해절제사 #박자안 #판자혜부사 #안경 #우왕 #태조 #판삼사사 #판개성부사 #배극렴 #정지 #황려부 #김일귀 #전옥서 #쇄장 #김도적 #지영주사 #이사방 #임견미 #순천 #왜적 #함양현 #진주 #절제사 #김상 #체복별감 #이옹 #부진무 #하치동 #배리 #파두 #이빈 #도진무 #하취동 #김종연 #판문하부사 #이림 #문하시중 #홍영통 #영삼사사 #전농부정 #김지 #유구국 #옥지 #유황 #소목 #호초 #유구국왕 #순천부 #도당 #진의귀 #영접사 #사면 #의창 #판내부시사 #충숙왕 #경상도 도절제체찰사 #전객령 #김윤후 #부령 #김인용 #고려권서국사 #왕창 #중산왕 #안장 #은주발 #은잔 #은배 #호피 #만화석 #사재부령 #문윤경 #법사 #입조 #설장수 #후덕부윤 #이종학 #종행관 #계림병마절도사 #박가실 #급전도감 #종부사 #전리사 #군부사 #개성부 #과전 #정몽주 #시중 #정숙공 #조인규 #제과 #공민왕 #좌규 #총재 #수문하시중 #이성계 #정현 #관적 #나하추 #고주 #덕흥군 #해주 #진포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 #원수 #배언 #박수경 #인월역 #서연 #전법 #장하 #성석린 #조운흘 #김사형 #최유경 #권주 #밀직제학 #민제 #개성윤 #이행 #지신사 #이근 #좌부대언 #오사충 #남재 #좌․우사의 #조박 #문하사인 #권담 #사헌장령 #김이음 #최사위 #김여지 #도평의사사 #상서 #이원명 #봉천문 #삼한 #지춘주사 #서언 #전법사 #판밀직사사 #오중화 #관마색제조 #법관 #간관 #환관 #문하찬성사 #박경 #과거 #급제 #참상 #삼관 #문경 #내시 #참상원 #안순 #안윤의 #김후 #유한 #강회계 #지진 #대호군 #김저 #정득후 #이시중 #예의판서 #곽충보 #팔관일 #팔관소회 #순군옥 #대간 #판서 #조방흥 #변안열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 #여흥왕 #강릉부 #강화부 #서인 #공양왕 #정당문학 #서균형 #유구
-
원종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종 원년(1260) 경신년元年 春正月 戊寅 太孫, 以趙珣參知政事, 崔昷爲樞密院使, 金佺․朴成梓爲樞密院副使. 珣以連姻國戚, 不得入省臺, 至是除之. 又有知天文而拜大學博士者, 能暴虎而爲侍御醫者, 銓注之顚倒, 如此, 人嘲之曰, ‘占星大學博’, ‘捉虎侍御醫.’ 白州蘇復別監金守磾, 與別將于琔, …#조순 #참지정사 #최온 #추밀원사 #김전 #박성재 #추밀원 부사 #성대 #태학박사 #시의 #백주 #소복별감 #김수제 #별장 #우정 #예수데르 #재추 #급사중승 #전 #석도 #가도 #서북면병마사 #이교 #도령 #위득유 #내동 #우부승선 #김인준 #별궁전 #방성좌 #서경부유수 #김식 #야별초 #서해도 안찰사 #안북도령 #원진 #부사 #문수 #자주부사 #김맥 #옹진현령 #정숭 #몽고 #제주부사 #판예빈성사 #나득황 #방호사 #제주 #송나라 #일본 #안찰사 #연등회 #봉은사 #예부 #경조부 #쿠빌라이 #도병마녹사 #육자양 #장군 #김승준 #시랑 #이응 #산원 #민홍제 #몽고 사신 #가물 #승천관 #서경 #승려 #도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채정 #쉬리다이 #강화상 #다루가치 #진주 #강수형 #일식 #대장군 #김방경 #급사중 #조문주 #중승 #김홍취 #출배별감 #지형부사 #삼별초 #제포 #개경 #승천부 #승천궐 #오산 #강화도 #어사중승 #백영정 #앵무잔 #백은 #승평문 #경령전 #헌종 #조어산 #연경 #경조 #동관 #화청궁 #당 현종 #육반산 #헌종 황제 #아릭부케 #양주 #초주 #양양 #연각오사복두 #물소 띠 #상아 홀 #당 태종 #개평부 #고종 #강회선무사 #조양필 #왕전 #섬서선무사 #염희헌 #왕만호 #가뭄 #문․무 양반 #영부 #천도 #상장군 #신사전 #16영 #몰번 #손정렬 #형절 #태조황제 #장강 #상서 #공신 #관반 #이송진 #대부소경 #장계열 #강안전 #경녕전 #보살계 #파투 #공 #후 #백 #참상 #참외 #복야 #김보정 #김대재 #기다대 #조서 #영안공 #간무 #우무 #진정표 #사신 #패리대 #공덕천도량 #경기 #누리 #사면령 #위사공신 #유경 #일산 #소재도량 #추밀원부사 #형부시랑 #유배 #영녕공 #지진 #혼전 #천수사 #화림 #태백성 #문하시랑평장사 #최자 #왕비 유씨 #왕심 #태부소경 #신윤화 #중서성 #한무제 #연호 #중통 #보르카발 #바투르 #호부 #인장 #왕사 #혼원 #위문경 #우정언 #전문윤 #왕륜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필천호 #김천호 #상인 #진문광 #대부시 #내시원 #능라 #사견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수사공 #좌복야 #장공주 #경안궁주 #조책사 #집사관 #팔관회 #법왕사 #환궁악 #사도 #왕인 #제안백 #책봉 #가례 #김기손 #문하평장사 #판이부사 #중서평장사 #김지대 #정당문학 #어사대부 #수방
-
우왕창왕 원년(1389) 기사년창왕 원년(1389) 기사년元年 正月 藝文春秋館․典校寺上言, “藝文掌詞命, 春秋掌記事, 典校掌祀典而修祝文, 此三者, 皆重事也. 是以, 先王置官禁中, 仍號禁內, 而今館寺在外, 非先王設官之意也. 願自今, 以史翰二人, 典校一人, 正字一人, 入直于內, 以復舊制.” 從之. 二月 …#예문춘추관 #전교시 #사한 #전교 #정자 #동지밀직사사 #윤사덕 #최영 #경상도원수 #박위 #대마도 #헌부 #민중리 #진주목사 #이색 #판도판서 #기복 #유배 #지평 #김첨 #규정 #이인임 #이양중 #전자충 #강회백 #명나라 #예부 #사관 #최견 #묘당 #사초 #수찬 #서리 #전주원수 #진을서 #창왕 #가뭄 #사면령 #판사 #표영 #우박 #문하평리 #윤승순 #첨서밀직사사 #권근 #심덕부 #예문관대제학 #정영손 #이서원 #밀직부사 #밀직사 #황보림 #천추절 #교수형 #참형 #경기연해절제사 #박자안 #판자혜부사 #안경 #우왕 #태조 #판삼사사 #판개성부사 #배극렴 #정지 #황려부 #김일귀 #전옥서 #쇄장 #김도적 #지영주사 #이사방 #임견미 #순천 #왜적 #함양현 #진주 #절제사 #김상 #체복별감 #이옹 #부진무 #하치동 #배리 #파두 #이빈 #도진무 #하취동 #김종연 #판문하부사 #이림 #문하시중 #홍영통 #영삼사사 #전농부정 #김지 #유구국 #옥지 #유황 #소목 #호초 #유구국왕 #순천부 #도당 #진의귀 #영접사 #사면 #의창 #판내부시사 #충숙왕 #경상도 도절제체찰사 #전객령 #김윤후 #부령 #김인용 #고려권서국사 #왕창 #중산왕 #안장 #은주발 #은잔 #은배 #호피 #만화석 #사재부령 #문윤경 #법사 #입조 #설장수 #후덕부윤 #이종학 #종행관 #계림병마절도사 #박가실 #급전도감 #종부사 #전리사 #군부사 #개성부 #과전 #정몽주 #시중 #정숙공 #조인규 #제과 #공민왕 #좌규 #총재 #수문하시중 #이성계 #정현 #관적 #나하추 #고주 #덕흥군 #해주 #진포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 #원수 #배언 #박수경 #인월역 #서연 #전법 #장하 #성석린 #조운흘 #김사형 #최유경 #권주 #밀직제학 #민제 #개성윤 #이행 #지신사 #이근 #좌부대언 #오사충 #남재 #좌․우사의 #조박 #문하사인 #권담 #사헌장령 #김이음 #최사위 #김여지 #도평의사사 #상서 #이원명 #봉천문 #삼한 #지춘주사 #서언 #전법사 #판밀직사사 #오중화 #관마색제조 #법관 #간관 #환관 #문하찬성사 #박경 #과거 #급제 #참상 #삼관 #문경 #내시 #참상원 #안순 #안윤의 #김후 #유한 #강회계 #지진 #대호군 #김저 #정득후 #이시중 #예의판서 #곽충보 #팔관일 #팔관소회 #순군옥 #대간 #판서 #조방흥 #변안열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 #여흥왕 #강릉부 #강화부 #서인 #공양왕 #정당문학 #서균형 #유구
-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최항(崔沆)이 좌우위(左右衛) 상호군(上護軍)․호부상서(戶部尙書)로 임명되자, 종실과 재추들이 모두 그의 집을 찾아가 축하하였다. 최이가 대제(待制) 대제 고려시대 사명(詞命)(왕명)을 지은 한림원(翰林院)과 경서(經書)를 강론한 보문각(寶文閣)의 정4품, 또…#최항 #좌우위 #상호군 #호부상서 #재추 #대제 #임익 #시랑 #권위 #추밀원지주사 #최이 #지이부사 #상장군 #주숙 #야별초 #도방 #전전 #이공주 #최양백 #김준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태자빈객 #동서북면병마사 #교정별감 #지추밀원사 #민희 #김경손 #좌승선 #최환 #장군 #김안 #지유 #정홍유 #진양공 #청주 #설면자 #안동 #견사 #경산 #황마포 #해양 #백저포 #금주 #홍주 #어량세 #선세 #교정수획원 #안찰사 #나득황 #하공서 #이경 #최보후 #선지사용별감 #식읍 #진주 #녹전 #세포 #요공 #장봉 #견자산 #진양부 #대경 #최온 #조계순 #견룡군 #중금 #도지 #순검군 #백갑 #내시 #다방 #견여 #등촉 #최충헌 #창복사 #선원사 #참상 #참외 #별감 #태조 #보주부사 #조염우 #도강감무 #박장원 #시어사 #이선 #경상도 #고성 #현령 #권신유 #문하시중 #사천대 #몽고 #제포궁 #어사대 #판사천대사 #최윤단 #태사승 #오안구 #김약선 #김미 #황보준창 #오승적 #개골산 #밀성 #부사 #이서 #군기감 #송길유 #남도 #주영뢰 #교위 #낭장 #임경 #웅천 #김효정 #최종필 #나주부사 #이윤 #고종 #이현 #동경관인 #아무간 #통사 #홍복원 #원나라 #승천부 #백마산 #다가 #아토 #서장관 #장일 #강화경 #신안공 #왕전 #제포관 #승천관 #판이부사 #어사대사 #삼한 #구요당 #구사 #진배파령 #박성재 #영녕군 #왕준 #예구 #여진 #안경공 #동궁 #마별초 #장니 #승선 #주공 #소공 #주나라 #소하 #조참 #한나라 #진병대장경판 #도감 #시중 #대장경판 #경찬회 #강도 #중서령 #감수국사 #곽왕부 #제중강민공신 #서해도 소복별감 #송극현 #어사 #낭실어사 #학록 #정성 #하동감무 #노성 #이규 #이창 #합주부사 #설인검 #남해현령 #정고 #급제 #유여해 #명취 #최의
-
반역(叛逆)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沆, 初拜左右衛上護軍戶部尙書, 諸王․宰樞, 皆詣門賀. 怡使待制任翊授書, 侍郞權韙習禮, 遷樞密院知奏事, 怡分與家兵五百餘人. 及怡病, 沆領兵入府, 聞病殆, 卽還其家. 怡死, 知吏部事上將軍周肅, 領夜別抄及內外都房, 欲復政于王, 猶豫未決. 殿前李公柱․崔良伯․金俊等七十…#최항 #좌우위 #상호군 #호부상서 #재추 #대제 #임익 #시랑 #권위 #추밀원지주사 #최이 #지이부사 #상장군 #주숙 #야별초 #도방 #전전 #이공주 #최양백 #김준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 #이병부상서 #어사대부 #태자빈객 #동서북면병마사 #교정별감 #지추밀원사 #민희 #김경손 #좌승선 #최환 #장군 #김안 #지유 #정홍유 #진양공 #청주 #설면자 #안동 #견사 #경산 #황마포 #해양 #백저포 #금주 #홍주 #어량세 #선세 #교정수획원 #안찰사 #나득황 #하공서 #이경 #최보후 #선지사용별감 #식읍 #진주 #녹전 #세포 #요공 #장봉 #견자산 #진양부 #대경 #최온 #조계순 #견룡군 #중금 #도지 #순검군 #백갑 #내시 #다방 #견여 #등촉 #최충헌 #창복사 #선원사 #참상 #참외 #별감 #태조 #보주부사 #조염우 #도강감무 #박장원 #시어사 #이선 #경상도 #고성 #현령 #권신유 #문하시중 #사천대 #몽고 #제포궁 #어사대 #판사천대사 #최윤단 #태사승 #오안구 #김약선 #김미 #황보준창 #오승적 #개골산 #밀성 #부사 #이서 #군기감 #송길유 #남도 #주영뢰 #교위 #낭장 #임경 #웅천 #김효정 #최종필 #나주부사 #이윤 #고종 #이현 #동경관인 #아무간 #통사 #홍복원 #원나라 #승천부 #백마산 #다가 #아토 #서장관 #장일 #강화경 #신안공 #왕전 #제포관 #승천관 #판이부사 #어사대사 #삼한 #구요당 #구사 #진배파령 #박성재 #영녕군 #왕준 #예구 #여진 #안경공 #동궁 #마별초 #장니 #승선 #주공 #소공 #주나라 #소하 #조참 #한나라 #진병대장경판 #도감 #시중 #대장경판 #경찬회 #강도 #중서령 #감수국사 #곽왕부 #제중강민공신 #서해도 소복별감 #송극현 #어사 #낭실어사 #학록 #정성 #하동감무 #노성 #이규 #이창 #합주부사 #설인검 #남해현령 #정고 #급제 #유여해 #명취 #최의
-
祔太廟儀부제하는 날 당일 승선(承宣)이 전(殿)을 열면, 실혼전도감(實魂殿都監)의 판관(判官)이 촛불을 잡고 먼저 올라가 궤연(匱筵) 궤연 죽은 사람의 혼백을 모셔놓은 함이다.․부궤(趺几) 부궤 신주를 받쳐놓는 받침대이다.․답대(踏臺) 답대 답두(踏斗)를 말하는 듯하…
-
東堂監試放牓儀행사 당일 전각 위의 배치는 통상의 의례와 같다. 국왕이 은막(隱幕)에 도착하면 승선(承宣) 승선 고려시대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정3품의 관료로, 왕명의 출납을 맡았으며, 좌․우 승선이 각각 1명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6, 백관지, 밀직사(密…
-
北界營主副使及幕下員相會儀영주(營主) 영주 도통(都統)․번진(藩鎭)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양계지역의 지방장관으로 파견되어 관내 주진(州鎭)의 수령을 통괄하면서 중앙정부와 주진 사이에 중간 역할을 수행한 병마사(兵馬使) 또는 지병마사(知兵馬事)를 말한다. 이들은 주로 양계지역의 군사적…
-
仲冬八關會儀소회(小會) 행사에 앞서 도교서(都校署)에서는 3단으로 된 부계(浮階)를 의봉문(儀鳳門)의 동쪽 궁전 계단 아래에 설치한다.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그 속료들을 데리고 악차(幄次)를 궁전 위 중앙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평상시의 격식대로 어좌를 준비하며 편차…#도교서 #의봉문 #상사국 #상의국 #다방 #추밀 #협률랑 #내고사 #대준 #대뢰 #예부 #합문 #공 #후 #백 #재신 #좌추밀 #좌봉례 #찬자 #합문부사 #통사사인 #대관전 #노부 #의장대 #구정 #인가관 #천우위 #상장군 #대장군 #비신장군 #자황포 #선인전 #금위군 #승제 #근시관 #황문시랑 #교방 #의봉루 #집례관 #악전 #내시 #어주 #수정장 #월부장 #은알작자 #부절 #정 #견룡 #정편승지 #장선승지 #중금반 #반룡선 #공작선 #견룡관 #남헌 #중금 #휘 #태사국 #합문원 #팔관회 #좌집례관 #전중감 #악관 #사재경 #우집례 #좌집례 #시신 #급사중승 #지제고 #대제 #동락정 #삼경유수 #소경 #지합문사 #부사 #전중성 #육상국 #후전관 #양부 #도지반 #백갑장 #태악령 #아악 #합관 #시봉군인 #참상 #집례 #소회 #강수 #도강 #인덕문 #의창문 #양부악관 #근장군인 #인리 #교방악관 #상식국 #대부 #좌동락정 #태정문 #사선악부 #위봉루 #서경 #신봉루 #대회 #동경 #4도호 #8목 #동번 #서번 #탐라국 #초회 #팔관대회 #사천대
-
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년 봄 정월 무인일. 태손이 조순(趙珣) 조순(?~?) 고종~원종 때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을 참지정사로, 최온(崔昷)을 추밀원사(樞密院使)로, 김전(金佺) 김전(?~1271) 김전[金⿰氵⿱人王]이라고도 하며, 원…
-
창왕 원년(1389) 기사년정월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과 전교시(典校寺)에서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예문관은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고 춘추관은 사안을 기록하는 일을 맡으며 전교시는 제사의 의례와 축문(祝文)의 작성을 맡고 있으니, 이 세 가지는 모두가 중…
-
원종 원년(1260) 경신년元年 春正月 戊寅 太孫, 以趙珣參知政事, 崔昷爲樞密院使, 金佺․朴成梓爲樞密院副使. 珣以連姻國戚, 不得入省臺, 至是除之. 又有知天文而拜大學博士者, 能暴虎而爲侍御醫者, 銓注之顚倒, 如此, 人嘲之曰, ‘占星大學博’, ‘捉虎侍御醫.’ 白州蘇復別監金守磾, 與別將于琔, …
-
창왕 원년(1389) 기사년元年 正月 藝文春秋館․典校寺上言, “藝文掌詞命, 春秋掌記事, 典校掌祀典而修祝文, 此三者, 皆重事也. 是以, 先王置官禁中, 仍號禁內, 而今館寺在外, 非先王設官之意也. 願自今, 以史翰二人, 典校一人, 正字一人, 入直于內, 以復舊制.” 從之. 二月 …
-
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최항(崔沆)이 좌우위(左右衛) 상호군(上護軍)․호부상서(戶部尙書)로 임명되자, 종실과 재추들이 모두 그의 집을 찾아가 축하하였다. 최이가 대제(待制) 대제 고려시대 사명(詞命)(왕명)을 지은 한림원(翰林院)과 경서(經書)를 강론한 보문각(寶文閣)의 정4품, 또…
-
최충헌崔忠獻 부 최항崔沆沆, 初拜左右衛上護軍戶部尙書, 諸王․宰樞, 皆詣門賀. 怡使待制任翊授書, 侍郞權韙習禮, 遷樞密院知奏事, 怡分與家兵五百餘人. 及怡病, 沆領兵入府, 聞病殆, 卽還其家. 怡死, 知吏部事上將軍周肅, 領夜別抄及內外都房, 欲復政于王, 猶豫未決. 殿前李公柱․崔良伯․金俊等七十…
-
祔太廟儀부제하는 날 당일 승선(承宣)이 전(殿)을 열면, 실혼전도감(實魂殿都監)의 판관(判官)이 촛불을 잡고 먼저 올라가 궤연(匱筵) 궤연 죽은 사람의 혼백을 모셔놓은 함이다.․부궤(趺几) 부궤 신주를 받쳐놓는 받침대이다.․답대(踏臺) 답대 답두(踏斗)를 말하는 듯하…
-
東堂監試放牓儀행사 당일 전각 위의 배치는 통상의 의례와 같다. 국왕이 은막(隱幕)에 도착하면 승선(承宣) 승선 고려시대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정3품의 관료로, 왕명의 출납을 맡았으며, 좌․우 승선이 각각 1명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6, 백관지, 밀직사(密…
-
北界營主副使及幕下員相會儀영주(營主) 영주 도통(都統)․번진(藩鎭)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양계지역의 지방장관으로 파견되어 관내 주진(州鎭)의 수령을 통괄하면서 중앙정부와 주진 사이에 중간 역할을 수행한 병마사(兵馬使) 또는 지병마사(知兵馬事)를 말한다. 이들은 주로 양계지역의 군사적…
-
仲冬八關會儀소회(小會) 행사에 앞서 도교서(都校署)에서는 3단으로 된 부계(浮階)를 의봉문(儀鳳門)의 동쪽 궁전 계단 아래에 설치한다.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그 속료들을 데리고 악차(幄次)를 궁전 위 중앙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평상시의 격식대로 어좌를 준비하며 편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