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렬왕충렬왕 2년(1276) 병자년충렬왕 2년(1276) 병자년2년 봄 정월 초하루 정묘일. 신하들이 왕에게 신년을 하례했다. 이 행사에 드는 경비는 내탕(內帑)의 은(銀)과 모시를 하사하여 충당했으며, 이것이 매년 상례로 되었다. 원수(元帥) 힌두[忻都]와 다루가치 석말천구(石抹天衢)도 각자 말을 바쳤다. …#내탕 #은 #모시 #원수 #힌두 #다루가치 #석말천구 #보제사 #법석 #을해법석 #원나라 #베쿠리 #역서 #조서 #농관 #사신 #소윤 #박서 #안서도호부 #재상 #안서 #생권군 #김감 #김방경 #한족 군대 #청주 #판관 #묘곶 #내전 #유천우 #최전 #최지수 #연등회 #봉은사 #사대부 #구정 #중랑장 #장득정 #현성사 #낭장 #이인 #입조 #교초 #진눈깨비 #사면령 #참형 #교수형 #승천부 #응방 #원경 #첨의중찬 #좌승선 #박항 #선지 #왕지 #강안전 #장경도량 #임유간 #회회인 #아시미리 #탐라 #진주 #삼계대초 #천수사 #뚤루게 #영월현 #우박 #종묘 #양중신 #귀부군 #과부처녀추고별감 #정랑 #김응문 #경상도 #두목 #중서성 #역마 #차자색 #포마차자 #귀화부곡소복별감 #기우제 #도라산 #성주 #지첨의부사 #장일 #인왕도량 #장군 #고천백 #흥왕사 #대장군 #윤수 #박의 #새매 #죽판궁 #합포 #반오 #경령전 #인종 #영통사 #원종 #밀직부사 #최문본 #참문학사 #평장사 #이세재 #채정 #유경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이분희 #지밀직사사 #차신 #중금 #왕연생 #사도 #왕정 #삼별초 #진도 #도병마사 #금 #인공수 #홍주 #중찬 #직사관 #문련 #경력 #장국강 #원나라 사신 #박구 #상주 #해양 #최유엄 #인물추고별감 #내시좌랑 #곽예 #시학공자 #이익방 #덕수현 #마제산 #쿠치 #매 #창락원 #좌사의대부 #이인성 #선군별감 #미라리 #승려 #종오 #은병 #다라치 #동녕부천호 #한신 #왕륜사 #세조 #재궁 #창릉 #태조 #현릉 #순무사 #강회 #부카 #급제 #초제 #쿠라다이 #나주 #합포진변소 #초공 #선원 #서해도 #태백성 #호두금패 #소릉 #태묘 #협제 #시책 #정복균 #적전 #일본 밤 #조양필 #의안현 #팔관회 #의봉루 #반야도량 #지진 #강지소 #중금지유 #김부윤 #황칠 #남경사록 #전 #내수 #나장 #정자여 #판비서시사 #주열 #유홍신 #재추 #정화궁주 #제안공 #표문 #강화 #교주도 #개경
-
충렬왕충렬왕 4년(1278) 무인년충렬왕 4년(1278) 무인년봄 정월 기해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으나 가무잡희는 중지시켰다. 임인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행차하여 힌두[忻都] 및 홍다구(洪茶丘)와 함께 김방경과 그 아들 김흔(金忻)을 국문했다. 국문했다 『원사』에는 김방…#연등회 #봉은사 #힌두 #홍다구 #김방경 #김흔 #참지정사 #박송비 #낭장 #이인 #역서 #조서 #원나라 #흥국사 #대청도 #백령도 #유배 #초제 #장군 #인후 #유경 #판전리사사 #김구 #참문학사 #강수형 #지첨의부사 #허공 #판밀직사사 #이분희 #밀직사사 #한강 #홍자번 #지밀직사사 #박항 #동지밀직사사 #기홍석 #장위 #밀직부사 #위득유 #상장군 #노진의 #탐라 #다루가치 #다라치 #해동청 #대부소윤 #조유 #동녕부 #경상도 군료별감 #유현 #충청도 왕지사용별감 #황수명 #전라도 안렴사 #이홍의 #권농별감 #코코다이 #제왕 #권무 #환철장 #쿠노 #환도 #태백성 #강화도 #입조 #안동 #경산부 #공부 #대부 #영송 #소부 #원성전 #청주판관 #당성감무 #담선법회 #중서성 #장순룡 #중랑장 #백거 #사신 #술사 #사심관 #원부 #송빈 #강윤소 #낭사 #고신 #서명 #쿠치 #최숭 #사의대부 #백문절 #행종도감 #은 #봉주둔전천호 #박뭉구다이 #낙타 #은폐 #모시 #압록강 #전라도 #토토카순 #서경 #성용전 #어가 #의주 #서북 #정주 #인주 #요양총관 #합포총관 #유뭉구다이 #원수 #예쉬데르 #북경동지 #영녕공 #사공 #왕희 #왕옹 #애두참 #요양 #대장군 #윤수 #북경 #강희민 #과요관 #행성우승 #보로칸 #장언택 #첨성 #아루딘 #총관안찰 #치중 #케타 #개평부 #장로 #향아 #토곤 #뭉케타이 #아이케치 #궁려 #영부 #도당 #탑자포 #김련 #일본 #몽고군 #한족군대 #요 #순 #우 #탕 #송나라 #도종 #가사도 #임연 #장형 #총재 #몽고[ #평장정사 #카베 #개경 #낭기아다이 #복식 제도 #몽고 #조인규 #재추 #처간 #전호 #내오르도 #국사원 #외오르도 #관군관 #종전군 #동정원수부 #역마 #조세 #나주 #해남 #자무치 #최탄 #동경로 #진도 #부마 #서해도 #곡주 #수안 #타차르 #기리다이 #투하 #은율현 #대정 #순마소 #주장남 #정교 #달달다화 #사미채 #고루사 #양탁 #야오나 #왕삼 #곽상 #고을마 #동경총관부 #추밀부사 #보라 #금탑자 #주사 #합포진수군 #징기스 #몽고인 #부마금인 #동궁 #케식텐 #안독구 #톡토르 #토군 #김주정 #경상도 #김천고 #내시 #별장 #이봉 #승지 #지신사 #이습 #시무 #가주채 #은쟁반 #동경 #쿠르간[ #박의 #영암군 #피면도 #보성군 #내로도 #상도 #오숙부 #동계 #경력 #장국강 #제안공 #대방공 #한양공 #공유 #석말천구 #계권 #해유 #교위 #최기 #지진 #광평공 #좌승지 #설공검 #일관 #문창유 #오윤부 #찬성사 #동명묘 #왕륜사 #첨의중찬 #판감찰사사 #유민 #호적 #밀직사 #조홀도 #소윤 #수안군 #상인 #마엽 #내정 #청주목사 #손세정 #산원 #장기 #녹사 #지득룡 #유종 #중찬 #송분 #밀직사지신사 #박구 #우승지 #좌부승지 #참형 #교수형 #사면 #내료 #김흥예 #응방심검별감 #비칙치 #신문색 #마제산 #은율 #김진 #이궁 #수강궁 #제주 #삼사사 #주열 #국자좨주 #권단 #판소부사 #최유 #충청도 #전중 #최유후 #교주 #판사 #우준충 #계점사 #이정 #태묘 #노영 #표문 #김준 #좌복야 #이주 #차신 #태 #안동부 #국학대사성 #곽여필 #유홍진 #쉬루게 #진수군 #우부승지
-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충렬왕충렬왕 13년(1287) 정해년충렬왕 13년(1287) 정해년봄 정월 갑자일.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염승익(廉承益)이 왕을 위해 잔치를 열었다. 무진일. 동판밀직사사(同判密直司事) 이존비(李尊庇)가 죽었다. 신미일. 박지량(朴之亮)을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로, 김혼(金琿)을 삼사사(三司使…#부지밀직사사 #염승익 #동판밀직사사 #이존비 #박지량 #김혼 #삼사사 #첨의중찬 #원부 #연등회 #강안전 #송분 #지도첨의사사 #조인규 #공유 #안전 #유승 #임정기 #좌․우부승지 #가뭄 #금주령 #마제산 #대전 #소재도량 #초제 #묘련사 #장군 #장순룡 #이인춘 #진주 #형부시랑 #육십 #동녕부 #노비 #전지 #내료 #합포 #복령사 #서해도 #어사 #순마소 #서리 #재추 #보제사 #신효사 #기우제 #양루 #격구 #나얀대왕 #반란 #유비 #원나라 #유초 #금교 #채모 #유백정 #정가신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김주정 #청주목사 #최유엄 #전법총랑 #우부승지 #판삼사사 #나유 #호두패 #좌익만호 #박구 #중익부만호 #대정 #이보 #이성 #한희유 #부만호 #감악산 #도만호 #김인 #나얀 #대위 #시위군 #전군 #인후 #중군만호 #개성 #난산 #동경총관 #강수형 #요동선위사 #중랑장 #오인영 #존호 #휘호 #연경 #대장군 #입조 #구천수 #쌍성 #쿠두다이 #덕산 #조변 #권단 #좌부승지 #낭장 #정지연 #골외국 #만호 #티무르 #만군 #일식 #차신 #타자르 #탐라 #다루가치 #서경 #함평부 #개경 #기관 #지도첨의부사 #주열 #태백성 #첨의평리 #김흔 #허공 #홍자번 #한강 #첨의찬성사 #판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김지숙 #밀직학사 #감찰대부 #이혼
-
충렬왕충렬왕 15년(1289) 기축년충렬왕 15년(1289) 기축년봄 정월 무자일. 왕과 공주가 묘련사(妙蓮寺)에 행차했다. 경자일. 찬성사(贊成事) 강수형(康守衡) 강수형(?~1289) 진주(晉州)(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 출신으로 몽고에 포로가 되었다가 역관(譯官)이 된 강화상(姜和尙)을 말한다. 원나라…#묘련사 #찬성사 #강수형 #중찬 #송송례 #관례 #서원후 #감찰 #아루운 #원나라 #호광등로행상서성 참지정사 #장수지 #한림직학사 #이천영 #조서 #상서성 #요동 #강남 #효신사 #일식 #장군 #오인영 #아쿠다이 #장순룡 #수녕궁 #감찰사승 #여문취 #직사관 #진과 #개주 #충청도 지휘사 #임비 #전라도 지휘사 #좌사의대부 #최양 #지밀직사사 #나유 #충청도 도순문사 #판삼사사 #박지량 #전라도 도순문사 #홍문계 #내고 #서리 #목촌 #가뭄 #금주령 #우박 #싸락눈 #단오 #양루 #격구 #무당 #원구 #대장군 #유비 #남정 #태백성 #아루곤 #이성 #은 #옥대 #금포 #서해도 #카이두 #아단부카 #홍자번 #조인규 #봉은사 #박구 #인후 #김흔 #동지밀직사사 #채인규 #외원 #소재도량 #탐라안무사 #쿠두타르 #중서성 #청사 #분 #병 #만호 #조정군 #요양행성 #환관 #권귀 #사전 #양민 #부역 #안렴사 #권농사 #시리기 #인물도 #예리부 #고란도 #사리지 #여음도 #유배 #수강궁 #양공적 #합포 #신사전 #고려국유학제거사 #마제산 #현성사 #원경 #입조 #금자원 #추밀원 #일본 정벌 #백정인 #첨의중찬 #유경 #염승익 #안향 #사관 #사신 #궁전배 #중원후 #박의 #고니 고기 #동계 #방수군 #왜적 #연화도 #저전도
-
충렬왕충렬왕 17년(1291) 신묘년충렬왕 17년(1291) 신묘년봄 정월 기미일. 카다안[哈丹]의 군사가 철령(鐵嶺)을 넘어 교주도(交州道)에 난입해 양근성(楊根城)(지금의 경기도 양평군)을 공격 함락시켰다. 갑인일. 원주(原州)에 진을 친 카다안 군대를 별초(別抄)인 향공진사(鄕貢進士) 향공진사 고려시대…#카다안 #철령 #교주도 #양근성 #원주 #별초 #향공진사 #원충갑 #나이만다이 #장군 #오인영 #당나라 #태종 #대장군 #송화 #개경 #이천 #신비 #용강 #김철 #순마소 #홍문계 #첨의찬성사치사 #한희유 #판삼사사 #김흔 #판밀직사사 #최유엄 #부지밀직사사 #감찰대부 #백거 #우승지 #원주산성 방호별감 #복규 #곡주 #별장 #강평기 #충주산성별감 #남도 #하서국왕 #경중군왕 #세토겐 #토리티무르 #평장 #타추 #우승 #바이티무르 #강남 #찬성사 #홍자번 #상국 #내고 #선원사 #원수 #산예 #중익만호 #인후 #좌익만호 #우익만호 #금령역 #연기현 #정좌산 #교주산성별감 #교주 #장봉 #만호 #박지량 #정수기 #경기 #동계 #라오데이 #장전군 #강화 #고동주 #평양 #승천부 #강화도 #김련 #연기 #누리 #죽전 #충청 #나유 #낭장 #이무 #유홍신 #고세 #사신 #충청도 #서해도 #구급별감 #민훤 #입조 #환도 #정당문학 #정가신 #원나라 #절서영전사 #다이타 #사면령 #상서성 #중서성 #초법 #서원후 #안전 #서북면 도지휘사 #첨의중찬 #허공 #김위량 #동경 #심주 #이덕손 #근시 #김용검 #충청도 소복별감 #판전리사사 #세자사 #조인규 #판군부사사 #세자부 #염승익 #판판도사사 #세자보 #첨의찬성사 #세자이사 #지밀직사사 #유승 #강도 #홍중경 #정동행중서성 좌승상 #진변만호부 다루가치 #송분 #선무장군 #진변만호 #유석 #충현교위 #관군천호 #금패 #참형 #교수형 #사면 #청주부사 #김승우 #강수사 #흥의역 #강미 #특진 #상주국 #고려국왕세자 #금인 #수정배 #무소뿔 #연엽잔 #옥배 #도지휘사 #경상도 #동북면 #김지숙 #서북면 #안남 #상장군 #유비 #허평 #박의 #우부승지 #이혼 #좌부승지 #백은 #은병 #저포 #영송고 #대부 #백저포
-
충렬왕충렬왕 20년(1294) 갑오년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원나라 #쿠케진 #백마 #세조 #빈전 #찬성사 #정가신 #상례 #입조 #일본 정벌 #홍군상 #승상 #울제이 #일본정벌 #나윤재 #동지밀직사사 #안향 #동남도 병마사 #합포 #상도 #성종 #금잔 #은루규화잔 #금병 #금루은존 #호 #탕병 #주병 #반루은준 #호병 #은우 #은종 #자라 #모시 #표범가죽 #수달가죽 #제왕 #부마 #표문 #하 #우 #문왕 #태임 #진 #한 #서리 #우박 #은 #쿠투카이 #밍케 #사면령 #태백성 #탐라 #쿠케다이 #뭉쿠다이 #타쿠바투 #사신 #요양행성 #한림학사 #사라만 #태조성무황제 #대세국 #금나라 #금산왕자 #대요 #중도 #강동성 #카치운 #차라 #고왕 #조충 #김취려 #태조 #경도호사 #일식 #심주 #안평공주 #대장군 #오인영 #전라도 지휘사 #유석 #그제스파바가스 #숙릉사 #그제스파 #번승 #바가스 #번사 #진도군 #삼별초 #서림현 #교동현 #유승 #직사관 #권한공 #유종 #다루가치 #케시리 #육십 #조서 #장군 #민보 #윤안비 #급제 #의주 #호천궁 #도사 #현진대사 #이도실 #이도화 #윤도명 #개경 #원명통도동현진인 #정지현명강경대사 #수강궁 #왕자 #문창유 #성주 #고인단 #붉은 가죽띠 #상아로 만든 홀 #관모 #일산 #뇌방 #우승지 #유비 #직보문서 #유인명 #묘련사 #중서사인 #아야치 #일본 #강남 #강화도 #요양 #심양 #좌복야 #박의 #서북면 도지휘사 #낭장 #백견 #고니 고기 #하양 #영주 #연호 #원정 #쿠두카이 #홍자번 #첨의중찬 #인후 #첨의찬성사 #김지숙 #판밀직사사 #차신 #밀직사 #지밀직사사 #장순룡
-
충렬왕충렬왕 21년(1295) 을미년충렬왕 21년(1295) 을미년봄 정월 갑인일. 홍자번(洪子藩)을 첨의령(僉議令) 첨의령 고려후기 도첨의사사의 종1품직이다. 충렬왕 원년(1275) 관제 개편 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僉議府)를 만들면서 최고 관직으로 중찬(中贊)을 두었는데, 충렬왕 19년(1293) …#홍자번 #첨의령 #조인규 #첨의중찬 #중찬 #김방경 #묘련사 #신효사 #세조 #판감찰사사 #염승익 #정가신 #첨의시랑찬성사 #인후 #세자이사 #김흔 #지도첨의사사 #김지숙 #판삼사사 #안향 #밀직사사 #차신 #세자원빈 #유승 #지밀직사사 #최유엄 #이지저 #좌상시 #우상시 #이혼 #동지밀직사사 #유비 #민지 #좌승지 #우승지 #원경 #좌부승지 #원나라 #몽고자교수 #이망쿠다이 #환관 #장군 #도성기 #내부 #붉은 가죽띠 #연등회 #강안전 #중랑장 #송영 #대장군 #오인영 #수강궁 #최숙천 #초제 #지윤보 #소재도량 #동수국사 #임익 #사관수찬관 #김변 #지단 #요양 #바이티무르 #탐라 #대장경 #요양행성 #강남 #쌍성 #김영손 #서리 #향각 #장전 #문만수 #백금 #유복화 #합문지후 #김지겸 #은폐 #유온 #왕경 #타시부카 #향폐 #최서 #제주목사 #소운실불화 #우구데이[ #천부사 #조침 #제주 #저포 #목의 #포 #오소리 가죽 #들고양이 가죽 #누런고양이 가죽 #고라니 가죽 #말안장 #서광순 #승려 #경의 #국존 #찬성사 #태사 #중서령 #인장 #홍군상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 #익성후 #장위 #경상도 #전라도 #정동행성 #원외랑 #우정신 #밀직학사 #판도첨의 #밀직 #감찰사사 #도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 #세자사 #임안공 #만호 #한희유 #조월도 #녹삼사사 #상락군개국공 #첨의중찬치사 #케식테이 #티르 #미시라오르 #조서 #현성사 #전법사 #도첨의사 #판중군사 #김훤 #홍문계 #강훤 #급제 #사대부 #서인 #호세가 #전민 #팔관회 #법왕사 #김광취 #통례문지후 #조후 #상락공 #식읍 #식실봉 #태백성 #감찰시사 #허유전 #순마소 #외원
-
충렬왕충렬왕 23년(1297) 정유년충렬왕 23년(1297) 정유년봄 정월 초하루 갑자일. 왕이 원나라에 그대로 체류하면서 신년을 하례했는데 행사가 끝나자 전각에 올라 황제가 베푼 연회에 참석했다. 을축일. 왕이 공주․세자와 함께 만세산(萬歲山) 광한전(廣寒殿) 광한전 원종 14년(1273) 서장관으로 북경…#원나라 #만세산 #광한전 #융복궁 #낭장 #황서 #금화옹기 #꿩 #탐라 #진왕 #왕직 #몽케황제 #세조황제 #남송 #변량 #요심 #혜성 #연호 #대덕 #사면령 #제왕 #공경 #금단의 #금단 #능소 #포도주 #연경 #일식 #요양로 #유민 #서리 #신효사 #법회 #현성사 #중랑장 #진양필 #첨의부 #부지밀직사사 #원경 #김방경 #우박 #신료 #얼음 #태의 #왕득중 #곽경 #카루쿠순 #저폐 #불경 #태백성 #박의 #행성 #정동행성 좌우사도사 #장유 #무비 #환관 #도성기 #최세연 #전숙 #방종저 #김근 #유배 #동지밀직사사 #최유엄 #사신 #사경승 #인후 #도첨의시랑찬성사 #판군부감찰사사 #김혼 #시랑찬성사 #판도사사 #차신 #찬성사 #세자이사 #김변 #설경성 #삼사우사 #장석 #군부판서 #유욱 #전법판서 #진사 #최문 #안평공주 #고릉 #장순룡 #정가신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 #홍규 #판삼사사 #이지저 #삼사좌사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유비 #감찰대부 #최충소 #허평 #최참 #우상시 #민종유 #지신사 #조인규 #파사부 #임연 #입조 #나얀 #카다안 #나이만다이 #세토겐 #왕원 #상장군 #김연수 #인삼 #수유 #교수형 #참형 #내수 #김원여 #궁녀 #시거 #임진강 #코케데이 #대청도 #김지숙 #첨의참리 #안향 #세자이보 #판밀직사사 #이혼 #윤선 #밀직학사 #전승 #우부승지 #오인영 #좌승지 #김순 #좌부승지 #조서 #우승지 #오한경 #이진 #좌우사의대부 #대장군 #송진 #정동행성 #조진 #원후 #수창궁 #궁려
-
충렬왕충렬왕 24년(1298) 무술년충렬왕 24년(1298) 무술년24년 봄 정월 병신일. 세자가 원나라로부터 귀국했다. 경자일. 세자비(世子妃) 부다시린공주[寶塔實憐公主] 부다시린 공주 충선왕비인 계국대장공주를 가리킨다.가 도착했다. 왕이 금교(金郊)에 행차하고 백관들이 교외에서 맞이했는데, 의장(儀仗)과 …#원나라 #부다시린공주 #금교 #아무간 #승상 #옹기라다이 #수녕궁 #순마소 #사신 #교지 #종묘 #사직 #함녕후 #왕거 #왕원 #개부의동삼사 #정동행중서성좌승상 #부마 #상주국 #고려국왕 #추충선력정원보절공신 #대위 #일수왕 #조서 #왕유 #총관 #강안전 #장순룡 #덕자궁 #충선왕 #광문선덕태상왕 #보로우 #입조 #좌부승지 #권영 #우사의 #조간 #총랑 #김태현 #사간 #김호 #대장군 #강순 #명순궁 #평장사 #코코추 #좌승 #카산 #포도주 #중원후 #김천석 #정해 #우상시 #오인영 #군부판서 #유욱 #부지밀직사사 #홍선 #삼사좌․우사 #홍자한 #밀직사지신사 #이영주 #응양군 #김순 #좌․우승지 #우부승지 #윤선 #서북면 도지휘사 #심주 #다루가치 #토리다이 #백정궁 #장군 #이백초 #탐라 #선의문 #외원 #소재도량 #재추 #김혼 #첨의중찬 #송분 #첨의시랑찬성사 #판감찰사사 #한희유 #찬성사 #판판도사사 #원관 #지밀직사사 #판도판서 #김변 #동지밀직사사 #설경성 #김부윤 #밀직부사 #장석 #좌승지 #교수형 #참형 #사면 #정동행성 #송방영 #김심 #좌사간 #추적 #혜성 #관제
-
충렬왕 2년(1276) 병자년2년 봄 정월 초하루 정묘일. 신하들이 왕에게 신년을 하례했다. 이 행사에 드는 경비는 내탕(內帑)의 은(銀)과 모시를 하사하여 충당했으며, 이것이 매년 상례로 되었다. 원수(元帥) 힌두[忻都]와 다루가치 석말천구(石抹天衢)도 각자 말을 바쳤다. …
-
충렬왕 4년(1278) 무인년봄 정월 기해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으나 가무잡희는 중지시켰다. 임인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행차하여 힌두[忻都] 및 홍다구(洪茶丘)와 함께 김방경과 그 아들 김흔(金忻)을 국문했다. 국문했다 『원사』에는 김방…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
충렬왕 13년(1287) 정해년봄 정월 갑자일.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염승익(廉承益)이 왕을 위해 잔치를 열었다. 무진일. 동판밀직사사(同判密直司事) 이존비(李尊庇)가 죽었다. 신미일. 박지량(朴之亮)을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로, 김혼(金琿)을 삼사사(三司使…
-
충렬왕 15년(1289) 기축년봄 정월 무자일. 왕과 공주가 묘련사(妙蓮寺)에 행차했다. 경자일. 찬성사(贊成事) 강수형(康守衡) 강수형(?~1289) 진주(晉州)(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 출신으로 몽고에 포로가 되었다가 역관(譯官)이 된 강화상(姜和尙)을 말한다. 원나라…
-
충렬왕 17년(1291) 신묘년봄 정월 기미일. 카다안[哈丹]의 군사가 철령(鐵嶺)을 넘어 교주도(交州道)에 난입해 양근성(楊根城)(지금의 경기도 양평군)을 공격 함락시켰다. 갑인일. 원주(原州)에 진을 친 카다안 군대를 별초(別抄)인 향공진사(鄕貢進士) 향공진사 고려시대…
-
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
-
충렬왕 21년(1295) 을미년봄 정월 갑인일. 홍자번(洪子藩)을 첨의령(僉議令) 첨의령 고려후기 도첨의사사의 종1품직이다. 충렬왕 원년(1275) 관제 개편 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僉議府)를 만들면서 최고 관직으로 중찬(中贊)을 두었는데, 충렬왕 19년(1293) …
-
충렬왕 23년(1297) 정유년봄 정월 초하루 갑자일. 왕이 원나라에 그대로 체류하면서 신년을 하례했는데 행사가 끝나자 전각에 올라 황제가 베푼 연회에 참석했다. 을축일. 왕이 공주․세자와 함께 만세산(萬歲山) 광한전(廣寒殿) 광한전 원종 14년(1273) 서장관으로 북경…
-
충렬왕 24년(1298) 무술년24년 봄 정월 병신일. 세자가 원나라로부터 귀국했다. 경자일. 세자비(世子妃) 부다시린공주[寶塔實憐公主] 부다시린 공주 충선왕비인 계국대장공주를 가리킨다.가 도착했다. 왕이 금교(金郊)에 행차하고 백관들이 교외에서 맞이했는데, 의장(儀仗)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