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六年 春正月 甲辰 罷朱悅․郭汝弼. 己酉 以星文屢變, 宥二罪以下. 癸丑 移御本闕. 庚申 遣大將軍印侯, 將軍高天伯與塔納, 如元. 壬戌 王與公主賞東池, 遂幸觀音寺. 乙丑 以德泉寺住持益藏擊殺永春縣吏, 又與妓玉眞通, 流于海島, 益藏元宗寵姬子也. 丙寅 忽赤享王于新殿. 己…#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제신(諸臣)조인규(趙仁規)조인규趙仁規조인규(趙仁規) 조인규(1237∼1308) 본관은 평양(平壤)이다. 이 가문은 상원[祥原․土山 ; 평양특별시 상원군]의 내성으로 배천 조씨(白川趙氏)에서 입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인규의 출신성분을 유이민의 후예인 양인농민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상원의 토성이…#조인규 #거진 #평양부 #상원군 #제교 #남경 #달호 #경성궁 #남경사록 #이익방 #부사 #최자수 #임비 #응방 #우승지 #원나라 #중서성 #톡토하순 #추고관두목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중서 좌승상 #도원수 #만호 #천호 #중찬 #김방경 #순마소 #지밀직사사 #첨의찬성사 #도평의녹사 #김온 #홍자번 #총재 #좌중찬 #재추 #이우 #고종수 #이혼 #사도 #시중 #참지광정원사 #최충소 #박선 #안서 #공창 #판도첨의사사 #충선왕 #자의도첨의사사 #평양군 #승선 #김지겸 #찬배 #첨의밀직 #최유엄 #충렬왕 #정숙 #대녕총관 #강수형 #고치려고 #장상 #조연 #조서 #조후 #조위
-
제신(諸臣)조인규(趙仁規)조인규趙仁規趙仁規, 字去塵, 平壤府祥原郡人, 母夢日入懷, 因有身. 生而穎悟, 稍長就學, 略通文義. 國家選子弟通敏者, 習蒙古語, 仁規與是選. 以未能出儕輩, 閉戶三年, 晝夜不懈, 遂知名, 得補諸校, 累遷將軍. 忠烈時, 仁規使麾下卒介三, 誘南京民八人爲獺戶, 民之逃賦者, 多附之…#조인규 #거진 #평양부 #상원군 #제교 #남경 #달호 #경성궁 #남경사록 #이익방 #부사 #최자수 #임비 #응방 #우승지 #원나라 #중서성 #톡토하순 #추고관두목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중서 좌승상 #도원수 #만호 #천호 #중찬 #김방경 #순마소 #지밀직사사 #첨의찬성사 #도평의녹사 #김온 #홍자번 #총재 #좌중찬 #재추 #이우 #고종수 #이혼 #사도 #시중 #참지광정원사 #최충소 #박선 #안서 #공창 #판도첨의사사 #충선왕 #자의도첨의사사 #평양군 #승선 #김지겸 #찬배 #첨의밀직 #최유엄 #충렬왕 #정숙 #대녕총관 #강수형 #고치려고 #장상 #조연 #조서 #조후 #조위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六年 春正月 甲辰 罷朱悅․郭汝弼. 己酉 以星文屢變, 宥二罪以下. 癸丑 移御本闕. 庚申 遣大將軍印侯, 將軍高天伯與塔納, 如元. 壬戌 王與公主賞東池, 遂幸觀音寺. 乙丑 以德泉寺住持益藏擊殺永春縣吏, 又與妓玉眞通, 流于海島, 益藏元宗寵姬子也. 丙寅 忽赤享王于新殿. 己…
-
조인규趙仁規조인규(趙仁規) 조인규(1237∼1308) 본관은 평양(平壤)이다. 이 가문은 상원[祥原․土山 ; 평양특별시 상원군]의 내성으로 배천 조씨(白川趙氏)에서 입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인규의 출신성분을 유이민의 후예인 양인농민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상원의 토성이…
-
조인규趙仁規趙仁規, 字去塵, 平壤府祥原郡人, 母夢日入懷, 因有身. 生而穎悟, 稍長就學, 略通文義. 國家選子弟通敏者, 習蒙古語, 仁規與是選. 以未能出儕輩, 閉戶三年, 晝夜不懈, 遂知名, 得補諸校, 累遷將軍. 忠烈時, 仁規使麾下卒介三, 誘南京民八人爲獺戶, 民之逃賦者, 多附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