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민왕공민왕 19년(1370) 경술년공민왕 19년(1370) 경술년봄 정월 갑오일. 혜성이 동북쪽 하늘에 나타났다. ○ 우리 태조가 기병 5천 명과 보병 1만 명을 거느리고 동북면으로부터 황초령(黃草嶺) 황초령 함흥에서 장진으로 가는 교통로이며, 신라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가 있다.을 넘어 6백여 리를…#태조 #동북면 #황초령 #설한령 #압록강 #서운관 #이성계 #동녕부 #동지 #이오로테무르 #우라산성 #야둔촌 #이원경 #고안위 #편전 #황성 #만호 #궁대 #정릉 #능호 #왕륜사 #호승 #지공 #원구 #밀직부사 #내포 #병선 #선주 #양백연 #원나라 #추밀부사 #바이주 #오로테무르 #이백연 #이장수 #이천우 #현다사 #김아로정 #나하추 #삼중대광 #사도 #모시베 #카라바투 #에센부카 #회왕 #의릉 #지신사 #염흥방 #판사천감사 #진영서 #운암사 #영전 #관음전 #연복사 #도사 #서사호 #조천궁 #발해 #풍천 #회빈문 #양릉정 #봉천전 #예부상서 #최량 #대화악 #대남해 #신사 #기청제 #신돈 #위왕 #상보사승 #설사 #왕전 #대통력 #금단 #색단 #선라 #사 #상국 #시중 #이춘부 #이인임 #성준득 #명나라 #삼황오제 #양나라 #무제 #유강 #요동 #심양 #조하의주 #금룡저사 #홍숙이견 #향 #축판 #번 #폐백 #순 #탕 #마암 #예부주사 #백례 #시의사인 #복겸 #주나라 #한 #당 #송나라 #책시 #향시 #회시 #오경 #전시 #하남성 #산동성 #산서성 #섬서성 #북평성 #복건성 #강서성 #절강성 #호광성 #광동성 #광서성 #고려 #안남 #점성 #행성 #중서성 #예부 #등문고 #고시관주문 #동고시 #유관 #유사 #제조관 #감시관 #감찰어사 #감찰사 #공급관 #응천부 #수장시권관 #미봉관 #등록관 #대독관 #수권관 #순작관 #도독부 #수어관 #백호 #정지 #손창보 #난수산 #진군상 #명주 #포진보 #최용소 #개경 #비서감직장 #하상봉 #사전 #요 #공자 #강사찬 #금인 #탐라 #갈 #도산 #상보시승 #고려국왕 #금수융단 #비단필 #사라 #반서 #달달목자 #쿠쿠다스 #신문관 #재상 #윤시우 #윤환 #김장로 #태복시 #선휘원 #중정원 #자정원 #제주 #선사 #맹원철 #경신군 #장강 #좌부장군 #이문충 #부장군 #조용 #응창부 #매적리팔라 #총병관 #북평 #숭례후 #아유르시리다라 #교지 #애마 #두목인 #몽고 #지용수 #부원수 #추밀원부사 #판사농시사 #한복 #수창궁 #윤공 #남경 #적전 #약왕원 #윤택 #광명사 #혜근 #공부상서 #권균 #박실 #김도 #유백유 #제과 #승상 #코케테무르 #추정도감 #판사 #대간 #6부 #의주 #대성 #달마대 #대장군 #진변도호부사 #예의판서 #한수 #보평청 #장자온 #진변도호부 #안무사 #기샤인테무르 #요심 #한인 #강계만호부 #사관 #사헌부 #이부 #간의대부 #오중륙 #태백성 #일관 #지문하성사 #이금강 #원수부 #원수 #은인
-
공민왕공민왕 19년(1370) 경술년공민왕 19년(1370) 경술년十九年 春正月 甲午 彗見東北方. 我太祖以騎兵五千, 步兵一萬, 自東北面, 踰黃草嶺, 行六百餘里, 至雪寒嶺, 又行七百餘里, 甲辰, 渡鴨綠江. 是夕西北方, 紫氣漫空, 影皆南. 書雲觀言, 猛將之氣, 王喜曰, “予遣李太祖舊諱必其應也.” 時東寧府同知李吾魯帖木兒, 聞太祖來…#태조 #동북면 #황초령 #설한령 #압록강 #서운관 #이성계 #동녕부 #동지 #이오로테무르 #우라산성 #야둔촌 #이원경 #고안위 #편전 #황성 #만호 #궁대 #정릉 #능호 #왕륜사 #호승 #지공 #원구 #밀직부사 #내포 #병선 #선주 #양백연 #원나라 #추밀부사 #바이주 #오로테무르 #이백연 #이장수 #이천우 #현다사 #김아로정 #나하추 #삼중대광 #사도 #모시베 #카라바투 #에센부카 #회왕 #의릉 #지신사 #염흥방 #판사천감사 #진영서 #운암사 #영전 #관음전 #연복사 #도사 #서사호 #조천궁 #발해 #풍천 #회빈문 #양릉정 #봉천전 #예부상서 #최량 #대화악 #대남해 #신사 #기청제 #신돈 #위왕 #상보사승 #설사 #왕전 #대통력 #금단 #색단 #선라 #사 #상국 #시중 #이춘부 #이인임 #성준득 #명나라 #삼황오제 #양나라 #무제 #유강 #요동 #심양 #조하의주 #금룡저사 #홍숙이견 #향 #축판 #번 #폐백 #순 #탕 #마암 #예부주사 #백례 #시의사인 #복겸 #주나라 #한 #당 #송나라 #책시 #향시 #회시 #오경 #전시 #하남성 #산동성 #산서성 #섬서성 #북평성 #복건성 #강서성 #절강성 #호광성 #광동성 #광서성 #고려 #안남 #점성 #행성 #중서성 #예부 #등문고 #고시관주문 #동고시 #유관 #유사 #제조관 #감시관 #감찰어사 #감찰사 #공급관 #응천부 #수장시권관 #미봉관 #등록관 #대독관 #수권관 #순작관 #도독부 #수어관 #백호 #정지 #손창보 #난수산 #진군상 #명주 #포진보 #최용소 #개경 #비서감직장 #하상봉 #사전 #요 #공자 #강사찬 #금인 #탐라 #갈 #도산 #상보시승 #고려국왕 #금수융단 #비단필 #사라 #반서 #달달목자 #쿠쿠다스 #신문관 #재상 #윤시우 #윤환 #김장로 #태복시 #선휘원 #중정원 #자정원 #제주 #선사 #맹원철 #경신군 #장강 #좌부장군 #이문충 #부장군 #조용 #응창부 #매적리팔라 #총병관 #북평 #숭례후 #아유르시리다라 #교지 #애마 #두목인 #몽고 #지용수 #부원수 #추밀원부사 #판사농시사 #한복 #수창궁 #윤공 #남경 #적전 #약왕원 #윤택 #광명사 #혜근 #공부상서 #권균 #박실 #김도 #유백유 #제과 #승상 #코케테무르 #추정도감 #판사 #대간 #6부 #의주 #대성 #달마대 #대장군 #진변도호부사 #예의판서 #한수 #보평청 #장자온 #진변도호부 #안무사 #기샤인테무르 #요심 #한인 #강계만호부 #사관 #사헌부 #이부 #간의대부 #오중륙 #태백성 #일관 #지문하성사 #이금강 #원수부 #원수 #은인
-
간신(姦臣)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전숙몽은 일찍이 충목왕의 시학(侍學)으로 있으면서 사부로 불렸으며 여러 차례 승진하여 좨주(祭酒)가 되었다. 어느 날 왕이 축판(祝板)(제문을 쓴 목판)에 압날(押捺)하면서 전숙몽에게 종이를 쓰지 않는 이유를 묻자, 판자를 쓰는 것은 검소한 미덕을 숭상하려는 …
-
간신(姦臣)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淑蒙嘗侍學忠穆, 稱師傅, 累遷祭酒. 王嘗押祝板, 問淑蒙曰, “何不用紙?” 淑蒙曰 “用板, 崇儉德也.” 王然之. 押數板, 裔止之曰 “恐勞聖體.” 王從之, 自是, 除太祖眞殿外, 餘皆代押. 時王習千字文, 安震曰, “要詳音義.” 淑蒙曰, “殿下但習音, 不尋其義, 殿下…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太廟태묘의 사맹월(四孟月) 및 납향(臘享)의 친향 의례 ○ 재계(齋戒). 향사 이레 전에 행하는 집사관(執事官)의 서계(誓戒) 서계 고려시대 국가의 큰 제사를 3~7일 앞두고 제관으로 선발된 관료들이 삼사(三司) 등에 모여 가무(歌舞)․조상(弔喪)․문병(問…#집사관 #서계 #산재 #치재 #체향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행사관 #막차 #묘문 #찬만 #향사 #궁위령 #장생령 #향소 #태악령 #등가 #묘당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찬자 #향관 #칠사 #헌관 #집사자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태축 #축사 #태상경 #성생위 #어사 #태묘령 #변 #두 #보 #궤 #조 #등 #형 #옥작 #준 #이 #계이 #조이 #사준 #상준 #산뢰 #납향 #가이 #황이 #착준 #호준 #찬 #작 #찬반 #준소 #화로 #복주 #사명 #호 #중류 #문 #여 #행 #목작 #축판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수건 #부비 #섭사자 #묘소 #신악 #집례관 #알자 #찬인 #방위 #대축 #태관 #광록경 #명수 #명화 #찬구 #사공 #진찬자 #찬소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예제 #앙제 #현주 #청주 #법주 #태위 #재랑 #영사 #태조실 #감실 #혜종 #태조 #후비 #어가 #통사사인 #악공 #시중 #판주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시위 #축책 #서압 #태상박사 #상의봉어 #규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판위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황문시랑 #뇌수 #태계 #중서령 #준이소 #협종궁 #순안지곡 #창주 #사도 #풍안지곡 #태관승 #작비 #신관 #대정지곡 #부작 #친체 #희안지곡 #좨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배향공신 #주준소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섭사 #잔 #울창 #친향 #사제 #풍안지곡」 #숭안지곡」 #행사집사관 #정침 #청재 #본사 #삭제 #소뢰 #기도 #보사 #망제 #천신 #중기 #신좌 #향주
-
別廟【의종 때 태묘는 태조․혜종․현종․문종․순종․선종․숙종․예종․인종으로 하고, 별묘(別廟) 별묘 태묘에 봉안될 수 없는 신주(神主)를 모시기 위해 별도로 지은 사당을 말한다.는 정종(定宗)․광종․경종․성종․목종․덕종․정종(靖宗)으로 하였다.】 별묘의 체협…#의종 #태묘 #태조 #혜종 #현종 #문종 #순종 #선종 #숙종 #예종 #인종 #별묘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덕종 #향관 #헌관 #서계 #수궁서 #집사관 #재방 #찬만 #묘당 #궁위령 #장생령 #향소 #봉례 #묘정 #음복위 #전영 #찬자 #태관령 #변 #두 #보 #궤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찬 #작 #시향 #계이 #조이 #가이 #황이 #호준 #납향 #향사 #찬반 #준이소 #화로 #복주 #진찬자 #배향공신 #위판 #목작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신악 #집사자 #알자 #찬인 #재인 #축사 #울창주 #율료 #찬소 #종향관 #양온령 #명수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체향 #문외위 #재랑 #감실 #후비 #향주 #판위 #준소 #신좌 #범재 #사시 #부작 #축판 #좨주 #정사 #부사 #공신 #세위 #주준소 #조전자 #교서 #배향 #예기 #기명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별전 #집사관 #거가 #본사 #청재 #공소 #태묘 #상사국 #행궁 #왕좌 #능실 #소차 #봉례 #배위 #행사관 #양부 #산 #선 #화개 #도종 #난가 #태상박사 #태상경 #찬자 #승전 #재신 #추밀 #시신 #재숙 #능령 #축판 #서압 #시중 #화포 #의장 #시위 #재랑 #태축 #신좌 #준소 #작 #재방 #통사사인 #침궁 #선사 #5묘 #유신 #소목 #체협 #협례 #은 #당 #진서 #신주 #혜종 #정종 #광종 #경종 #부묘 #친체 #대종 #시제 #덕종 #태조 #성종 #목종 #현종 #창릉 #세조 #건릉 #안종 #원릉 #보신 #서눌 #황주량 #소 #목 #목묘 #유징필 #진 #종아 #경황제 #공양전 #희공 #민공 #노 #문세실 #무세실 #상서예부 #책봉례 #섭사 #내사문하 #예관 #곡례 #제복 #변 #비 #현의 #적석 #어사대 #삼사 #서자 #솔경령 #주부 #종묘 #악현 #시향 #동향 #순릉 #안릉 #헌릉 #당서 #선종 #목종실 #민경지 #문종 #예종 #순종 #숙종 #인종 #사시 #납향 #삭망 #한식 #신종 #묘제 #조천 #최충헌 #재추 #금관 #국학 #문유 #봉사 #한서 #주 #문왕 #무왕 #태종 #세종 #홍녹주 #경령전 #제향 #두 #내전 #정사색 #유사 #하향 #경사 #입조 #협실 #명종 #침원 #춘향 #서계 #태위 #향관 #규정 #첨의찬성사 #김사원 #사선 #전의 #내수 #박인평 #충선왕 #인왕 #강종 #묘정 #법사 #전리좌랑 #조렴 #고종 #원종 #충렬왕 #혜왕 #명왕 #현왕 #강왕 #참리 #안자유 #원찰 #백원석 #공민왕 #연 #문관 #무관 #월대 #종헌관 #우정승 #이제현 #성균 #12도 #교방 #원 #낙안군 #이천선 #사도 #전의령 #김의열 #김해부원군 #춘추좌씨전 #태왕 #왕계 #춘추공양전 #대송 #협향위차도 #철종 #휘종 #흠종 #위판 #강도 #향사 #동한 #헌종 #의종 #희종 #중서성 #예관박사 #봉향 #재사 #능직 #태상시 #축사 #도제고 #전구서 #안렴사 #복주 #향교 #제릉서 #숭인문 #미타방 #충숙왕 #충목왕 #예복 #상로 #평로 #공복 #관대 #환안제 #내시 #태조실 #헌관 #집사 #집례 #관례 #전영 #칠사 #공신 #도감관 #응고 #악공 #악장 #등가 #현릉 #선릉 #별제 #정릉 #인희전 #삭망제 #내행 #국행 #도평의사행 #중방 #태조진전 #예조 #사관 #한 #왕망 #광무제 #효원황제 #낙양 #남돈군 #용릉절후 #송 #영종 #복왕 #사마광 #정자 #삼한 #우왕 #서원군 #습작 #삼한국대공 #마한국공 #마한국비 #진한국공 #진한국비 #변한국공 #변한국비 #적경원 #적경서 #성균관 #영빈관 #장전 #정양부원군 #왕우 #제품 #도평의사사 #안신제 #사시제 #진영 #양릉사 #효신전 #태향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봄 정월 갑오일. 혜성이 동북쪽 하늘에 나타났다. ○ 우리 태조가 기병 5천 명과 보병 1만 명을 거느리고 동북면으로부터 황초령(黃草嶺) 황초령 함흥에서 장진으로 가는 교통로이며, 신라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가 있다.을 넘어 6백여 리를…
-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十九年 春正月 甲午 彗見東北方. 我太祖以騎兵五千, 步兵一萬, 自東北面, 踰黃草嶺, 行六百餘里, 至雪寒嶺, 又行七百餘里, 甲辰, 渡鴨綠江. 是夕西北方, 紫氣漫空, 影皆南. 書雲觀言, 猛將之氣, 王喜曰, “予遣李太祖舊諱必其應也.” 時東寧府同知李吾魯帖木兒, 聞太祖來…
-
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전숙몽은 일찍이 충목왕의 시학(侍學)으로 있으면서 사부로 불렸으며 여러 차례 승진하여 좨주(祭酒)가 되었다. 어느 날 왕이 축판(祝板)(제문을 쓴 목판)에 압날(押捺)하면서 전숙몽에게 종이를 쓰지 않는 이유를 묻자, 판자를 쓰는 것은 검소한 미덕을 숭상하려는 …
-
신예辛裔 부 전숙몽田淑蒙淑蒙嘗侍學忠穆, 稱師傅, 累遷祭酒. 王嘗押祝板, 問淑蒙曰, “何不用紙?” 淑蒙曰 “用板, 崇儉德也.” 王然之. 押數板, 裔止之曰 “恐勞聖體.” 王從之, 自是, 除太祖眞殿外, 餘皆代押. 時王習千字文, 安震曰, “要詳音義.” 淑蒙曰, “殿下但習音, 不尋其義, 殿下…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
-
太廟태묘의 사맹월(四孟月) 및 납향(臘享)의 친향 의례 ○ 재계(齋戒). 향사 이레 전에 행하는 집사관(執事官)의 서계(誓戒) 서계 고려시대 국가의 큰 제사를 3~7일 앞두고 제관으로 선발된 관료들이 삼사(三司) 등에 모여 가무(歌舞)․조상(弔喪)․문병(問…
-
別廟【의종 때 태묘는 태조․혜종․현종․문종․순종․선종․숙종․예종․인종으로 하고, 별묘(別廟) 별묘 태묘에 봉안될 수 없는 신주(神主)를 모시기 위해 별도로 지은 사당을 말한다.는 정종(定宗)․광종․경종․성종․목종․덕종․정종(靖宗)으로 하였다.】 별묘의 체협…
-
諸陵능을 참배하는 의례[拜陵儀] 국왕이 능을 참배하려 할 때는 해당 관청에서 지시를 받들어 내외에 임시로 알려서 직분에 따라 준비한다. 국왕은 별전(別殿)에 거둥하여 이틀 동안 마음을 맑힌다[齋心]. 무릇 행사 집…
-
籍田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