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종원종 15년(1274) 갑술년원종 15년(1274) 갑술년15년 봄 정월 ○ 원나라에서 총관(摠管) 차쿠[察忽] 차쿠 원나라의 장군으로 원종 15년(1274) 정월에 일본정벌을 위한 전함의 건조를 고려에 요구하기 위해 왔다. 그 후 지원(至元) 22년(충렬왕 11, 1285) 11월에는 요동행성(遼東行省)의 …#원나라 #총관 #차쿠 #문하시중 #김방경 #동남도 도독사 #소용대장군 #홍다구 #감독조선관 군민총관 #추밀원부사 #허공 #도지휘사 #우복야 #홍녹주 #전라도 지휘사 #대장군 #나유 #전라도 #김백균 #경상도 #박보 #동계 #국자사업 #반부 #서해도 #장군 #임개 #교주도 #부부사 #조선소 #별장 #이인 #중서성 #전라 #탐라 #힌두 #금주 #조선감독 #제주 #나주 #월로활단적 #전주 #봉주 #둔전군 #종전군 #경략사 #왕총관 #전․라주도 #감조군 #동경 #진주도 #녹전 #상장군 #이분희 #쌍정 #만자 #매빙사 #초욱 #남송 #양양부 #선사 #견직 #결혼도감 #왕륜사 #보제사 #완안아해 #현성사 #여룡우사 #관견도감 #개경 #충청도 #간의대부 #곽여필 #표문 #탐라정벌 #일본원정 #초공 #선원 #동녕부 #북계 #홍총관 #주정 #급제 #왕심 #쿠두루칼리미쉬 #십일요 #초제 #지추밀원사 #송송례 #기온 #응양군 #김광원 #일본정벌 #사신 #대사면령 #전주도 #변산 #좌복야 #나주도 #천관산 #시중 #도독 #원장 #제상궁 #백관 #순효 #묘호 #원종 #소릉 #충선왕 #충경
-
충선왕충선왕 2년(1310) 경술년충선왕 2년(1310) 경술년봄 정월 초하루 기묘일.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무자일. 언부전서(讞部典書)로 은퇴한 이행검(李行儉)이 죽었다. 기축일. 능침(陵寢)에 제사를 지내면서 해당 관청에서 희생물을 죽이지 않고 그대로 올리려하자 사헌규정(司憲糾正) 복기(…#원나라 #이행검 #사헌규정 #복기 #양학사 #이공보 #승상 #톡토 #환관 #심양로 #심양 #왕감 #김중의 #바차 #방신우 #장경 #금박 #문천좌 #평리 #조원서 #부다시린공주 #한국장공주 #명인전 #태조 #삼한 #개부의동삼사 #태자태사 #상주국 #부마도위 #심양왕 #정동행상서성우승상 #고려국왕 #왕장 #왕철 #요나라 #돈신명의보절정량제미익순공신 #태사 #상서우승상 #충헌 #왕직 #환숙 #사천 #세조 #압록강 #단성봉화보경량절강제좌리공신 #충경 #강후 #당나라 #왕규 #남평공주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공신 #태위 #정동행중서성우승상 #부마 #왕거 #나얀대왕 #요수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인량흥화봉경공신 #충렬 #동해 #안평공주 #순 #등비 #소명 #주나라 #고공단보 #태강 #안평 #탕목읍 #황고제국대장공주 #송 #요 #금나라 #고종 #원종 #민훤 #유청신 #첨의정승 #영왕 #제안부원대군 #왕용 #강양부원대군 #왕후 #단양부원대군 #왕유 #함녕부원대군 #삼중대광 #왕훈 #연덕군 #왕간 #화의군 #왕림 #익양군 #왕회 #통의군 #왕숙 #순정군 #왕정 #회인군 #보녕군 #중대광 #왕우 #왕관 #왕순 #왕이 #왕구 #원윤 #왕기 #왕희 #왕수 #올제이 #정윤 #최유엄 #수첨의정승 #대령군 #김혼 #판삼사사 #계림군 #첨의찬성사 #고흥군 #배정 #찬성사 #완산군 #김심 #밀직사 #북평군 #박의 #권보 #이호 #홍선 #김태현 #삼사우․좌사 #박경량 #김문연 #첨의평리 #조서 #조연 #지밀직사사 #채우 #권한공 #동지밀직사사 #박려 #권준 #밀직부사 #한악 #우대언 #곽원진 #좌대언 #홍수 #우부대언 #조위 #좌부대언 #홍규 #익성군 #허숭 #양천군 #이대순 #태안부원군 #전투멘테구스 #영인군 #김이랄타 #낙안군 #전테리 #함창군 #이숙 #평창군 #중모군 #박아부카 #계양군 #이바이티므르 #성산군 #유창록 #효녕군 #최흔장 #금성군 #정매살 #하동군 #이신 #영월군 #권고리 #봉화군 #임바얀투구스 #비인군 #이삼진 #회음군 #최단 #경원군 #행계림윤 #김윤 #검교평리 #충주목사 #송영 #제주목사 #장선 #광주목사 #재상 #목사 #김이 #유돈 #계림윤 #내고 #은 #민보 #평양부윤 #존무사 #자섬사 #연경궁 #김지숙 #경령전 #명종 #영통사 #해채 #건어 #건포 #불화 #인주 #판관 #설영임
-
원종원종 15년(1274) 갑술년원종 15년(1274) 갑술년十五年 春正月 元遣總管察忽, 監造戰艦三百艘, 其工匠․役徒, 一切物件, 全委本國應副. 於是, 以門下侍中金方慶爲東南道都督使. 元又以昭勇大將軍洪茶丘爲監督造船官軍民總管, 茶丘約以正月十五日興役, 催督甚嚴, 王以樞密院副使許珙爲全州道都指揮使, 右僕射洪祿遒爲羅州道指揮使, 又…#원나라 #총관 #차쿠 #문하시중 #김방경 #동남도 도독사 #소용대장군 #홍다구 #감독조선관 군민총관 #추밀원부사 #허공 #도지휘사 #우복야 #홍녹주 #전라도 지휘사 #대장군 #나유 #전라도 #김백균 #경상도 #박보 #동계 #국자사업 #반부 #서해도 #장군 #임개 #교주도 #부부사 #조선소 #별장 #이인 #중서성 #전라 #탐라 #힌두 #금주 #조선감독 #제주 #나주 #월로활단적 #전주 #봉주 #둔전군 #종전군 #경략사 #왕총관 #전․라주도 #감조군 #동경 #진주도 #녹전 #상장군 #이분희 #쌍정 #만자 #매빙사 #초욱 #남송 #양양부 #선사 #견직 #결혼도감 #왕륜사 #보제사 #완안아해 #현성사 #여룡우사 #관견도감 #개경 #충청도 #간의대부 #곽여필 #표문 #탐라정벌 #일본원정 #초공 #선원 #동녕부 #북계 #홍총관 #주정 #급제 #왕심 #쿠두루칼리미쉬 #십일요 #초제 #지추밀원사 #송송례 #기온 #응양군 #김광원 #일본정벌 #사신 #대사면령 #전주도 #변산 #좌복야 #나주도 #천관산 #시중 #도독 #원장 #제상궁 #백관 #순효 #묘호 #원종 #소릉 #충선왕 #충경
-
충선왕충선왕 2년(1310) 경술년충선왕 2년(1310) 경술년二年 春正月 己卯朔 王在元. 戊子 讞部典書致仕李行儉卒. 己丑 有事于寢園, 有司欲不刑牲, 司憲糾正卜祺不可曰, “夫祭尙氣, 先迎牲, 殺於庭, 所以降神也. 若以生牲爲牢, 豈合於禮乎?” 於是, 宰而薦之. 是月, 王欲傳位世子, 密令人撰表於楊學士, 尋爲從臣所沮, 乃止. …#원나라 #이행검 #사헌규정 #복기 #양학사 #이공보 #승상 #톡토 #환관 #심양로 #심양 #왕감 #김중의 #바차 #방신우 #장경 #금박 #문천좌 #평리 #조원서 #부다시린공주 #한국장공주 #명인전 #태조 #삼한 #개부의동삼사 #태자태사 #상주국 #부마도위 #심양왕 #정동행상서성우승상 #고려국왕 #왕장 #왕철 #요나라 #돈신명의보절정량제미익순공신 #태사 #상서우승상 #충헌 #왕직 #환숙 #사천 #세조 #압록강 #단성봉화보경량절강제좌리공신 #충경 #강후 #당나라 #왕규 #남평공주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공신 #태위 #정동행중서성우승상 #부마 #왕거 #나얀대왕 #요수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인량흥화봉경공신 #충렬 #동해 #안평공주 #순 #등비 #소명 #주나라 #고공단보 #태강 #안평 #탕목읍 #황고제국대장공주 #송 #요 #금나라 #고종 #원종 #민훤 #유청신 #첨의정승 #영왕 #제안부원대군 #왕용 #강양부원대군 #왕후 #단양부원대군 #왕유 #함녕부원대군 #삼중대광 #왕훈 #연덕군 #왕간 #화의군 #왕림 #익양군 #왕회 #통의군 #왕숙 #순정군 #왕정 #회인군 #보녕군 #중대광 #왕우 #왕관 #왕순 #왕이 #왕구 #원윤 #왕기 #왕희 #왕수 #올제이 #정윤 #최유엄 #수첨의정승 #대령군 #김혼 #판삼사사 #계림군 #첨의찬성사 #고흥군 #배정 #찬성사 #완산군 #김심 #밀직사 #북평군 #박의 #권보 #이호 #홍선 #김태현 #삼사우․좌사 #박경량 #김문연 #첨의평리 #조서 #조연 #지밀직사사 #채우 #권한공 #동지밀직사사 #박려 #권준 #밀직부사 #한악 #우대언 #곽원진 #좌대언 #홍수 #우부대언 #조위 #좌부대언 #홍규 #익성군 #허숭 #양천군 #이대순 #태안부원군 #전투멘테구스 #영인군 #김이랄타 #낙안군 #전테리 #함창군 #이숙 #평창군 #중모군 #박아부카 #계양군 #이바이티므르 #성산군 #유창록 #효녕군 #최흔장 #금성군 #정매살 #하동군 #이신 #영월군 #권고리 #봉화군 #임바얀투구스 #비인군 #이삼진 #회음군 #최단 #경원군 #행계림윤 #김윤 #검교평리 #충주목사 #송영 #제주목사 #장선 #광주목사 #재상 #목사 #김이 #유돈 #계림윤 #내고 #은 #민보 #평양부윤 #존무사 #자섬사 #연경궁 #김지숙 #경령전 #명종 #영통사 #해채 #건어 #건포 #불화 #인주 #판관 #설영임
-
제신(諸臣)최사추(崔思諏)최사추崔思諏최사추(崔思諏)는 자가 가언(嘉言)이며, 처음 이름이 최사순(崔思順)인데 뒤에 지금 이름을 하사받았다. 문헌공(文憲公) 최충(崔冲)의 손자로 어릴 때부터 공부에 힘쓰고 글을 잘 지었다. 문종 때에 과거에 급제 급제 문종 17년(1063) 5월 김행경(金行瓊)이…#최사추 #가언 #최사순 #문헌공 #최충 #내시성 #전중소감 #지상서호부사 #서경부유수 #서경 #왕정 #관반 #요나라 #송나라 #어사대부 #동지중추원사 #좌산기상시 #이부상서 #지추밀원사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수태위 #판이부사 #대장군 #고문개 #장홍점 #이궁제 #장군 #김자진 #문하시중 #보정 공신 #수태보 #위계정 #수춘궁 #수태사 #중서령 #조서 #제첩 #다약 #의백 #안장 #용봉다 #이자겸 #추성봉국공신 #대녕개국후 #화주 #연등회 #중광전 #충경 #숙종의 묘정 #최원 #최진 #상서우복야 #문하시랑평장사 #문공미 #유인저
-
제신(諸臣)염제신(廉悌臣)염제신廉悌臣염제신(廉悌臣) 염제신(1304~1382) 본관은 파주(坡州)(지금의 경기도 파주시)이며 증조는 염순언(廉純彦)이고 조부는 염승익(廉承益)이다. 아버지는 용호군(龍虎軍) 대장군(大將軍) 염세충(廉世忠)이고 어머니는 조인규(趙仁規)의 4녀이다.김용선 편, 「조인…#염제신 #개숙 #불노 #중찬 #염승익 #원나라 #평장 #말길 #태정제 #진왕 #화림 #어사대부 #테쿠시 #금강산 #상의사 #정동행성 #낭중 #충숙왕 #좌사 #우사 #익정사승 #강절행성 #중정원 #승상 #베르케부카 #순제 #충목왕 #삼사우사 #수성익대공신 #도첨의평리 #찬성사 #대관 #이공수 #대부 #공민왕 #좌정승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 #채하중 #태사 #톡토 #정승 #유탁 #행성 #나영걸 #손불영 #압록강 #강윤충 #경성 #휘정원 #서북면도원수 #담비갖옷 #금띠 #절월 #수문하시중 #안주 #우정승 #홍건적의 난 #대간 #김용 #영도첨의사사 #신돈 #우라[ #서북면도통사 #곡성백 #문하시중 #김흥경 #시중 #우왕 #영삼사사 #영문하부사 #정전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 #북원 #장작원사 #총재 #중관 #충경 #염국보 #염흥방 #염정수 #서성군 #대사헌
-
제신(諸臣)최사추(崔思諏)최사추崔思諏崔思諏, 字嘉言, 初名思順, 後賜今名. 文憲公冲之孫, 自少力學工文. 文宗朝登第, 王以思諏名家子, 博學多聞, 召入內侍省, 與語對稱旨, 王悅. 宣宗朝, 拜殿中少監知尙書戶部事, 出爲西京副留守. 駕幸西京, 時遼使王鼎來, 思諏爲館伴, 聞鼎每夜獨坐爲文, 以計取其書奏之. …#최사추 #가언 #최사순 #문헌공 #최충 #내시성 #전중소감 #지상서호부사 #서경부유수 #서경 #왕정 #관반 #요나라 #송나라 #어사대부 #동지중추원사 #좌산기상시 #이부상서 #지추밀원사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수태위 #판이부사 #대장군 #고문개 #장홍점 #이궁제 #장군 #김자진 #문하시중 #보정 공신 #수태보 #위계정 #수춘궁 #수태사 #중서령 #조서 #제첩 #다약 #의백 #안장 #용봉다 #이자겸 #추성봉국공신 #대녕개국후 #화주 #연등회 #중광전 #충경 #숙종의 묘정 #최원 #최진 #상서우복야 #문하시랑평장사 #문공미 #유인저
-
제신(諸臣)염제신(廉悌臣)염제신廉悌臣廉悌臣, 字愷叔, 小字佛奴, 中贊承益之孫. 少孤, 長于姑夫元平章末吉家. 泰定帝, 自晋邸入繼統, 末吉率悌臣, 迓駕于和林, 帝一見奇之, 命宿衛禁中. 賊臣御史大夫帖失誅, 以女弟賜之, 悌臣曰, “臣雖無知, 不願近逆黨.” 帝益重之. 居數歲, 以久不省母乞告, 帝命降香金剛…#염제신 #개숙 #불노 #중찬 #염승익 #원나라 #평장 #말길 #태정제 #진왕 #화림 #어사대부 #테쿠시 #금강산 #상의사 #정동행성 #낭중 #충숙왕 #좌사 #우사 #익정사승 #강절행성 #중정원 #승상 #베르케부카 #순제 #충목왕 #삼사우사 #수성익대공신 #도첨의평리 #찬성사 #대관 #이공수 #대부 #공민왕 #좌정승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 #채하중 #태사 #톡토 #정승 #유탁 #행성 #나영걸 #손불영 #압록강 #강윤충 #경성 #휘정원 #서북면도원수 #담비갖옷 #금띠 #절월 #수문하시중 #안주 #우정승 #홍건적의 난 #대간 #김용 #영도첨의사사 #신돈 #우라[ #서북면도통사 #곡성백 #문하시중 #김흥경 #시중 #우왕 #영삼사사 #영문하부사 #정전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 #북원 #장작원사 #총재 #중관 #충경 #염국보 #염흥방 #염정수 #서성군 #대사헌
-
諸臣喪고려에서는 대신이 죽으면 상가의 부의를 보내면서 극히 두터운 은전을 베풀었다. 그러나 그 의례에 관한 규정에 대해서는 역사서에 기록이 빠져 있어 자세히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역사에 나타난 사실을 대략 열거해 그 개요만을 기록한다. ○ 태조 …#대신 #부의 #대광 #배현경 #내사령 #최지몽 #베 #쌀 #보리 #차 #향 #태자태부 #민휴 #수시중 #최승로 #태사 #밀가루 #갱미 #유항 #뇌원차 #대차 #평장사 #최량 #태자태사 #각 #광빈 #서희 #대맥 #단향 #장위 #시중 #한언공 #평포 #중포 #정신 #호부상서 #김은부 #최항 #비단 #절의 #강감찬 #인헌 #서눌 #중광전 #황보영 #참지정사 #박인량 #교서 #뇌서 #문렬 #이오 #문량 #중서령 #최사추 #충경 #추밀원지주사 #정항 #문안 #고조기 #정당문학 #최여해 #문정 #문극겸 #충숙 #추밀원부사 #채정 #최충헌 #영안공 #왕희 #장길 #밀직부사 #이강 #추밀 #문경
-
諸臣喪高麗, 大臣之卒, 賻贈恩恤, 極爲優厚. 然, 其儀制史闕, 未詳. 略擧其見於史者, 以著其凡. 太祖十九年十二月 大匡裴玄慶疾篤, 王親幸其第, 問疾, 王出門而玄慶卒. 王駐駕, 命官庀葬事, 而後還. …#대신 #부의 #대광 #배현경 #내사령 #최지몽 #베 #쌀 #보리 #차 #향 #태자태부 #민휴 #수시중 #최승로 #태사 #밀가루 #갱미 #유항 #뇌원차 #대차 #평장사 #최량 #태자태사 #각 #광빈 #서희 #대맥 #단향 #장위 #시중 #한언공 #평포 #중포 #정신 #호부상서 #김은부 #최항 #비단 #절의 #강감찬 #인헌 #서눌 #중광전 #황보영 #참지정사 #박인량 #교서 #뇌서 #문렬 #이오 #문량 #중서령 #최사추 #충경 #추밀원지주사 #정항 #문안 #고조기 #정당문학 #최여해 #문정 #문극겸 #충숙 #추밀원부사 #채정 #최충헌 #영안공 #왕희 #장길 #밀직부사 #이강 #추밀 #문경
-
원종 15년(1274) 갑술년15년 봄 정월 ○ 원나라에서 총관(摠管) 차쿠[察忽] 차쿠 원나라의 장군으로 원종 15년(1274) 정월에 일본정벌을 위한 전함의 건조를 고려에 요구하기 위해 왔다. 그 후 지원(至元) 22년(충렬왕 11, 1285) 11월에는 요동행성(遼東行省)의 …
-
충선왕 2년(1310) 경술년봄 정월 초하루 기묘일.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무자일. 언부전서(讞部典書)로 은퇴한 이행검(李行儉)이 죽었다. 기축일. 능침(陵寢)에 제사를 지내면서 해당 관청에서 희생물을 죽이지 않고 그대로 올리려하자 사헌규정(司憲糾正) 복기(…
-
원종 15년(1274) 갑술년十五年 春正月 元遣總管察忽, 監造戰艦三百艘, 其工匠․役徒, 一切物件, 全委本國應副. 於是, 以門下侍中金方慶爲東南道都督使. 元又以昭勇大將軍洪茶丘爲監督造船官軍民總管, 茶丘約以正月十五日興役, 催督甚嚴, 王以樞密院副使許珙爲全州道都指揮使, 右僕射洪祿遒爲羅州道指揮使, 又…
-
충선왕 2년(1310) 경술년二年 春正月 己卯朔 王在元. 戊子 讞部典書致仕李行儉卒. 己丑 有事于寢園, 有司欲不刑牲, 司憲糾正卜祺不可曰, “夫祭尙氣, 先迎牲, 殺於庭, 所以降神也. 若以生牲爲牢, 豈合於禮乎?” 於是, 宰而薦之. 是月, 王欲傳位世子, 密令人撰表於楊學士, 尋爲從臣所沮, 乃止. …
-
최사추崔思諏최사추(崔思諏)는 자가 가언(嘉言)이며, 처음 이름이 최사순(崔思順)인데 뒤에 지금 이름을 하사받았다. 문헌공(文憲公) 최충(崔冲)의 손자로 어릴 때부터 공부에 힘쓰고 글을 잘 지었다. 문종 때에 과거에 급제 급제 문종 17년(1063) 5월 김행경(金行瓊)이…
-
염제신廉悌臣염제신(廉悌臣) 염제신(1304~1382) 본관은 파주(坡州)(지금의 경기도 파주시)이며 증조는 염순언(廉純彦)이고 조부는 염승익(廉承益)이다. 아버지는 용호군(龍虎軍) 대장군(大將軍) 염세충(廉世忠)이고 어머니는 조인규(趙仁規)의 4녀이다.김용선 편, 「조인…
-
최사추崔思諏崔思諏, 字嘉言, 初名思順, 後賜今名. 文憲公冲之孫, 自少力學工文. 文宗朝登第, 王以思諏名家子, 博學多聞, 召入內侍省, 與語對稱旨, 王悅. 宣宗朝, 拜殿中少監知尙書戶部事, 出爲西京副留守. 駕幸西京, 時遼使王鼎來, 思諏爲館伴, 聞鼎每夜獨坐爲文, 以計取其書奏之. …
-
염제신廉悌臣廉悌臣, 字愷叔, 小字佛奴, 中贊承益之孫. 少孤, 長于姑夫元平章末吉家. 泰定帝, 自晋邸入繼統, 末吉率悌臣, 迓駕于和林, 帝一見奇之, 命宿衛禁中. 賊臣御史大夫帖失誅, 以女弟賜之, 悌臣曰, “臣雖無知, 不願近逆黨.” 帝益重之. 居數歲, 以久不省母乞告, 帝命降香金剛…
-
諸臣喪고려에서는 대신이 죽으면 상가의 부의를 보내면서 극히 두터운 은전을 베풀었다. 그러나 그 의례에 관한 규정에 대해서는 역사서에 기록이 빠져 있어 자세히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역사에 나타난 사실을 대략 열거해 그 개요만을 기록한다. ○ 태조 …
-
諸臣喪高麗, 大臣之卒, 賻贈恩恤, 極爲優厚. 然, 其儀制史闕, 未詳. 略擧其見於史者, 以著其凡. 太祖十九年十二月 大匡裴玄慶疾篤, 王親幸其第, 問疾, 王出門而玄慶卒. 王駐駕, 命官庀葬事, 而後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