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성종
    성종 12년(993) 계묘년
    성종 12년(993) 계묘년
    12년 봄 3월 을미일.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임금은 하늘과 땅을 부모로 삼고 해와 달을 형과 누이로 삼아 시기에 따라 의례를 제정하여 경건히 제사를 지냄으로써 효도를 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천자(天子)는 칠묘(七廟), 제후…
    #은나라 #당나라 #진서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여진 #거란 #이유현 #병마제정사 #시중 #박양유 #상군사 #내사시랑 #서희 #중군사 #문하시랑 #최량 #하군사 #침략 #서경 #안북부 #소손녕 #봉산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9년(1018) 무오년
    현종 9년(1018) 무오년
    9년 봄 정월 초하루 을미일. 태조의 새 영정이 완성되자 사자를 서경(西京)으로 보내 성용전(聖容殿) 성용전 고려시대 서경(西京)에 있었던 전각이다. 현종 9년(1018)에 왕이 태조의 초상(肖像)을 새로 만들었기에 사신을 보내어 태조를 제사하였다는 …
    #태조 #서경 #성용전 #미알달 #정안국 #골수 #서율불 #아주 #해군 #노군 #교위 #선두 #능거 #거이 #예기 #노전 #중추원부사 #상호군 #노어 #문하성 #용천교위 #박명금 #마문 #마알달 #장정 #송광습 #이개 #정충절 #김승위 #병부상서 #아리고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원정왕후 #현덕궁 #개경 #구타라 #거일 #목사 #목개 #아려대 #강남 #왕숙자 #개국사 #사리 #사부 #우나 #특오 #이불 #강감찬 #서경유수 #내사시랑평장사 #양진 #예부상서 #중추원사 #이공 #한림학사승지 #서눌 #좌간의대부 #좌윤 #강윤봉 #서북계 #명충 #황정 #타억 #실불 #채충순 #이부상서 #참지정사 #가을불 #좌․우상시 #대자은현화사 #혜성 #이골이 #제모 #병부 #장군 #양악 #중랑장 #함진 #구정 #초제 #연경원 #왕형 #제위원 #오두주 #진함조 #호부상서 #주덕명 #공부상서 #김심언 #이우불 #윤징고 #상서우복야 #김노현 #귀주 #서북면행영도통사 #수창궁 #염지거 #이나 #서을나 #예빈소경 #원영 #거란 #천희 #정전 #전인보 #상서좌복야 #한빈경 #시강학사 #우산국 #이원구 #아차 #오을불 #왕수 #소손녕 #침략 #평장사 #상원수 #대장군 #강민첨 #부원수 #흥화진 #자주 #부아산 #향림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2년(993) 계묘년
    성종 12년(993) 계묘년
    十二年 春三月 乙未 敎曰, “朕聞, 王者父天母地, 兄日姊月, 因時制禮, 追孝敬親. 天子七廟, 諸侯五廟, 祖功宗德, 左昭右穆. 大孝感于神明, 至德動乎天地. 我國以大聖生聖, 重明繼明, 保大定功, 超今越古. 朕謬叨顧命, 纘守洪基, 遵奉祖先, 聿懷襟臆. 爰從去歲, 新…
    #은나라 #당나라 #진서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여진 #거란 #이유현 #병마제정사 #시중 #박양유 #상군사 #내사시랑 #서희 #중군사 #문하시랑 #최량 #하군사 #침략 #서경 #안북부 #소손녕 #봉산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9년(1018) 무오년
    현종 9년(1018) 무오년
    九年 春正月 乙未朔 遣使西京, 祭太祖于聖容殿, 以重新肖像也. 丙申 西女眞未閼達等七人來, 獻甲鍪及馬. 定安國人骨須來犇. 庚子 宰臣率百官上表, “請還御正殿, 復常膳.” 不允. 壬子 東女眞鋤栗弗, 西女眞阿主等四十餘人來, 獻馬及甲鍪․旗幟․貂鼠․靑鼠皮. 戊牛 群臣累請復…
    #태조 #서경 #성용전 #미알달 #정안국 #골수 #서율불 #아주 #해군 #노군 #교위 #선두 #능거 #거이 #예기 #노전 #중추원부사 #상호군 #노어 #문하성 #용천교위 #박명금 #마문 #마알달 #장정 #송광습 #이개 #정충절 #김승위 #병부상서 #아리고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원정왕후 #현덕궁 #개경 #구타라 #거일 #목사 #목개 #아려대 #강남 #왕숙자 #개국사 #사리 #사부 #우나 #특오 #이불 #강감찬 #서경유수 #내사시랑평장사 #양진 #예부상서 #중추원사 #이공 #한림학사승지 #서눌 #좌간의대부 #좌윤 #강윤봉 #서북계 #명충 #황정 #타억 #실불 #채충순 #이부상서 #참지정사 #가을불 #좌․우상시 #대자은현화사 #혜성 #이골이 #제모 #병부 #장군 #양악 #중랑장 #함진 #구정 #초제 #연경원 #왕형 #제위원 #오두주 #진함조 #호부상서 #주덕명 #공부상서 #김심언 #이우불 #윤징고 #상서우복야 #김노현 #귀주 #서북면행영도통사 #수창궁 #염지거 #이나 #서을나 #예빈소경 #원영 #거란 #천희 #정전 #전인보 #상서좌복야 #한빈경 #시강학사 #우산국 #이원구 #아차 #오을불 #왕수 #소손녕 #침략 #평장사 #상원수 #대장군 #강민첨 #부원수 #흥화진 #자주 #부아산 #향림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자(崔滋)
    최자崔滋
    최자(崔滋) 최자(1188~1260) 복야(僕射)를 지낸 해주 최씨(海州崔氏) 최민(崔敏)의 아들로, 강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상주사록(尙州司錄)을 거쳐 고종 때까지 평장사(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정안 …
    #최자 #수덕 #최종유 #최안 #문헌공 #최충 #급제 #상주사록 #국학학유 #최이 #이규보 #문한 #김구 #이수 #이백순 #하천단 #이함 #임경숙 #정언 #상주목사 #안찰사 #전중소감 #보문각대제 #충청도 #전라도 #국자대사성 #지어사대사 #상서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추밀원부사 #중서평장사 #수태사 #문하시랑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몽고 #침략 #추밀원사 #김보정 #강도 #김준 #동산수 #문청 #가집 #속파한집 #최유후 #밀직부사 #문한학사 #최유부 #동경유수판관 #최유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한희유(韓希愈)
    한희유韓希愈
    한희유(韓希愈) 한희유(?∼1306) 본관은 평주(平州)이다. 김방경(金方慶)을 따라서 진도(珍島)ㆍ탐라(耽羅)ㆍ일본(日本)을 토벌하였고, 원나라 장수 세도칸[薛闍干]과 함께 연기(燕岐)(지금의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카다안[哈丹]을 물리치자 원나라 황제가 포상…
    #한희유 #가주 #대정 #대장군 #김방경 #진도 #탐라 #부지밀직사사 #나얀대왕 #반란 #호두패 #우익만호 #쌍주금패 #장전만호 #원나라 #장수지 #첨의부 #추밀원 #판밀직 #삼사사 #카다안 #침략 #세도칸 #나이만다이대왕 #설도간 #연기현 #석파역 #나이만다이 #강도 #동북면도지휘사 #회원 #삼주호부 #활 #화살 #옥대 #은 1정 #안장 1벌 #지첨의부사 #진변만호 #충선왕 #연경 #교위 #김신보 #홍수 #조인규 #순마 #위사 #호부 #조월도 #수사공 #중경유수 #개성부사 #상의도첨의회의도감사 #찬성사 #판판도사 #만호 #인후 #무고 #첨의시랑찬성사 #판군부사 #중대광 #첨의중찬 #자의도첨의중찬 #우중찬 #환관 #이숙 #재추 #중찬 #홍자번 #소경 #화엄경 #숙창원비 #승지 #최숭 #비기 #좌중찬 #배정지 #유보 #왕유소 #송린 #한검 #한적 #한우 #호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유경(柳璥)
    유경柳璥
    유경(柳璥) 유경(1211~1289)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선조인 유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대 공신이었다. 부친은 상서우복야․한림학사 유택(柳澤)이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찬성사․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를 거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
    #유경 #천년 #장지 #정당문학 #유공권 #국자대사성 #정방 #유천우 #최항 #침략 #삼척 #은병 #최의 #김준 #추밀원우부승선 #지주사 #좌우위 #상장군 #우부승선 #유주 #감무 #문화현령 #편전 #김승준 #대정 #중랑장 #낭장 #임연 #승선 #파직 #첨서추밀원사 #우득규 #양화 #지유 #김득룡 #경원록 #수태부 #참지정사 #태자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대사성 #김구 #예부시랑 #주열 #장군 #김정 #환관 #김경 #흑산도 #행수 #유승 #금강원 #삼별초 #강화경 #평장사 #판병부사 #다루가치 #재추 #애도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원부 #판군부사 #수국사 #이재 #삼재 #허공 #석말천구 #정화궁주 #제안공 #왕숙 #중찬 #김방경 #이창경 #이분희 #박항 #이분성 #강화도 #영춘시 #내인 #위득유 #노진의 #힌두 #판전리사사 #원나라 #오윤부 #조성도감 #광정대부 #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세자사 #홍탄 #한희유 #양공적 #임비 #순마소 #국자감시 #예위 #이존비 #안향 #안전 #이혼 #정문 #좌주 #임경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자(崔滋)
    최자崔滋
    崔滋, 字樹德, 初名宗裕, 又名安, 文憲公冲之後. 天資淳訥, 不以表表爲能, 少力學, 能屬文. 康宗朝登第, 補尙州司錄, 以政最聞, 入補國學學諭. 崔怡品題朝士, 以文吏俱優者爲第一, 文而不能吏次之, 吏而不能文又次之, 文吏俱不能爲下, 皆手䟽屛風. 每當銓注, 輒考閱之,…
    #최자 #수덕 #최종유 #최안 #문헌공 #최충 #급제 #상주사록 #국학학유 #최이 #이규보 #문한 #김구 #이수 #이백순 #하천단 #이함 #임경숙 #정언 #상주목사 #안찰사 #전중소감 #보문각대제 #충청도 #전라도 #국자대사성 #지어사대사 #상서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추밀원부사 #중서평장사 #수태사 #문하시랑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몽고 #침략 #추밀원사 #김보정 #강도 #김준 #동산수 #문청 #가집 #속파한집 #최유후 #밀직부사 #문한학사 #최유부 #동경유수판관 #최유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한희유(韓希愈)
    한희유韓希愈
    韓希愈, 嘉州吏, 善騎射, 有膽略. 嘗與鄕人火獵, 希愈策馬, 出入火中如飛. 人相顧驚愕, 希愈笑曰, “大丈夫陷陣突敵, 死且不懼, 况此乎?” 初補隊正, 累遷大將軍, 從金方慶討珍島․耽羅, 皆有功. 日本之役, 方慶以希愈爲先鋒, 短兵相接, 希愈赤手奪敵刃, 手傷血流, 遂…
    #한희유 #가주 #대정 #대장군 #김방경 #진도 #탐라 #부지밀직사사 #나얀대왕 #반란 #호두패 #우익만호 #쌍주금패 #장전만호 #원나라 #장수지 #첨의부 #추밀원 #판밀직 #삼사사 #카다안 #침략 #세도칸 #나이만다이대왕 #설도간 #연기현 #석파역 #나이만다이 #강도 #동북면도지휘사 #회원 #삼주호부 #활 #화살 #옥대 #은 1정 #안장 1벌 #지첨의부사 #진변만호 #충선왕 #연경 #교위 #김신보 #홍수 #조인규 #순마 #위사 #호부 #조월도 #수사공 #중경유수 #개성부사 #상의도첨의회의도감사 #찬성사 #판판도사 #만호 #인후 #무고 #첨의시랑찬성사 #판군부사 #중대광 #첨의중찬 #자의도첨의중찬 #우중찬 #환관 #이숙 #재추 #중찬 #홍자번 #소경 #화엄경 #숙창원비 #승지 #최숭 #비기 #좌중찬 #배정지 #유보 #왕유소 #송린 #한검 #한적 #한우 #호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유경(柳璥)
    유경柳璥
    柳璥, 字天年, 一字藏之, 政堂文學公權之孫. 高宗朝登第, 累遷至國子大司成. 璥久在政房, 與兪千遇, 俱爲崔沆所厚. 蒙兵之侵, 沆欲徙三陟山城, 郡人不欲, 遺璥銀甁三十, 請勿徙. 璥却不受, 乃遺千遇, 千遇受之, 言於沆, 得不徙. 璥謂沆曰, “三陟之徙, 實關利害, 郡…
    #유경 #천년 #장지 #정당문학 #유공권 #국자대사성 #정방 #유천우 #최항 #침략 #삼척 #은병 #최의 #김준 #추밀원우부승선 #지주사 #좌우위 #상장군 #우부승선 #유주 #감무 #문화현령 #편전 #김승준 #대정 #중랑장 #낭장 #임연 #승선 #파직 #첨서추밀원사 #우득규 #양화 #지유 #김득룡 #경원록 #수태부 #참지정사 #태자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대사성 #김구 #예부시랑 #주열 #장군 #김정 #환관 #김경 #흑산도 #행수 #유승 #금강원 #삼별초 #강화경 #평장사 #판병부사 #다루가치 #재추 #애도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원부 #판군부사 #수국사 #이재 #삼재 #허공 #석말천구 #정화궁주 #제안공 #왕숙 #중찬 #김방경 #이창경 #이분희 #박항 #이분성 #강화도 #영춘시 #내인 #위득유 #노진의 #힌두 #판전리사사 #원나라 #오윤부 #조성도감 #광정대부 #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세자사 #홍탄 #한희유 #양공적 #임비 #순마소 #국자감시 #예위 #이존비 #안향 #안전 #이혼 #정문 #좌주 #임경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1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