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문종
    문종 8년(1054) 갑오년
    문종 8년(1054) 갑오년
    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중윤(中尹)인 영손(英孫) 등 18명이 와서 명마를 바쳤다. 2월 계묘일. 왕훈(王勳)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했다. 그 책문은 다음…
    #중윤 #영손 #왕훈 #정사 #태위 #수문하시랑 #왕총지 #부사 #사도 #상서우복야 #박성걸 #무제 #문왕 #신봉루 #건덕전 #아골 #이자연 #태부 #원리 #영새장군 #고차 #유선여 #급사중 #김양지 #탐라국 #초공 #겸종 #회경전 #내전 #보살계 #조수 #서각 #상아 #왕옹 #거란 #포주성 #중추원사 #김원정 #서북면병마사 #동로병마사 #장주 #치담역 #황조 #유원장군 #이다불 #신금 #위봉 #섬례 #실빈 #염한 #비단 #마리불 #익주자사 #야율방 #횡선사 #야율간 #선유사 #복주자사 #야율신 #대광 #천명 #시위공자 #시위급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1년(1116) 병신년
    예종 11년(1116) 병신년
    11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진일. 요나라에서 대리경(大理卿) 장언중(張言中)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임오일. 왕이 편전 편전 천자(天子)가 휴식하는 어전(御殿)이다. 『한서(漢書)』 무제기(武…
    #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대리경 #장언중 #천수사 #상서호부시랑 #이소영 #서북면병마부사 #차호부시랑 #이유인 #동북면병마부사 #송수 #공부상서 #보제사 #국사 #담진 #비서교서랑 #정양직 #안북도호부 #아전 #동경 #절일사 #윤언순 #진봉사 #서방 #하정사 #이덕윤 #내전 #초제 #일본국 #감자 #고서 #연등회 #봉은사 #재추 #시신 #참지정사 #고영신 #내원성 #파주성 #도병마녹사 #소억 #통군 #숙종 #명의태후 #초상 #발해 #유수 #소보선 #공봉관 #고영창 #대원 #융기 #동경유수 #낙성을 기념하는 재 #사면령 #김경용 #오연총 #수태위 #서경 #이위 #김연 #판행종사 #이자겸 #조중장 #판유수사 #대동강 #어가 #서경유수 #분사 #태조 #진전 #처사 #곽여 #상안전 #체제 #김상기 #선종 #최사추 #장경사 #구월산 #금강사 #흥복사 #영명사 #금나라 #아구타 #아지 #중서문하성 #여진 #천경 #장락전 #관풍전 #행재소 #구제궁 #동각 #포주 #용덕궁 #건원전 #원구 #태묘 #사직 #적전 #원릉 #국선 #예의상정소 #홍복사 #다경루 #지서경유수사 #호부상서 #김약온 #조영구 #섭분사호부상서 #지유수사 #절령역 #송나라 #도강 #양명 #개경 #공도 #사장 #복전 #도감 #내시 #급사 #환관 #궁부 #잡류 #유수관 #안찰사 #신궐창성도감 #장인 #장원정 #마천정 #반룡산 #문하시랑평장사 #건덕전 #복시 #배우 #급제 #왕자지 #문공미 #사신 #어의 #대상국사 #양주 #천녕만수관 #항주 #천축사 #윤주 #금산사 #사주 #보소왕사 #재 #별사 #밀사 #특사 #김단 #국자감 #수태사 #낙랑군개국후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판상서병부사 #수사도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상서호부사 #강증 #수사공 #판상서형부사 #태자소부 #김준 #병부상서 #추밀원사 #태자빈객 #박경인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한교여 #추밀원지주사 #직학사 #박승중 #국자좨주 #한림학사 #좌간의대부 #회경전 #상춘정 #이영 #우산기상시 #최홍재 #서북면병마사 #대복경 #지숙연 #동북면병마사 #선정전 #급사중승 #대성 #병마판관 #동번 #사자 #아이 #경령전 #묘통사 #장군 #살갈 #포주성 #야율영 #추밀원 #홍관 #청연각학사 #정극공 #윤해 #직각 #관제 #서옥 #청연각 #상서 #국자사업 #기거주 #지제고 #김부일 #보문각대제 #보문각직학사 #우부승선 #직보문각 #예부낭중 #곽준목 #전중내급사 #김원여 #보문각교감 #고선유 #양온령 #지창흡 #예기 #투호 #정관정요 #당 태종 #요임금 #순임금 #나례 #거란 #한 #해 #숙여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2년(1117) 정유년
    예종 12년(1117) 정유년
    12년 봄 정월 경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임진일. 발해인 52명, 해(奚)인 89명, 한(漢)인 6명, 거란인 18명, 숙여진인 8명이 요나라로부터 귀부해 왔다. 임자일. 법왕사(法王寺)와 신중원(神衆院)에 행차했다가 돌아…
    #신년 하례행사 #발해 #해 #한 #거란 #숙여진 #법왕사 #신중원 #명경전 #승려 #덕연 #왕사 #급사중 #척준경 #서북면병마부사 #차상서병부시랑 #허재 #동북면병마부사 #청연각 #한교여 #주역 #박승중 #김부일 #양부 #재추 #중서성 #건덕전 #소재도량 #요나라 #중서시랑평장사 #김연 #연등회 #봉은사 #북번 #명해 #동․서교 #압병제 #보제사 #김준 #검교사공 #참지정사 #김지화 #수사공 #이궤 #추밀원사 #좌산기상시 #동지추밀원사 #전중감 #추밀원부사 #안자공 #병부상서 #장원정 #강증 #내원성 #생여진 #대성 #시신 #지제고 #도병마판관 #판병마사 #통군 #금나라 #개주 #대부 #걸타 #유백 #상서좌복야 #개국백 #야율영 #내원성자사 #검교상서우복야 #상효손 #영덕성 #여진 #동경 #포주성 #포주 #의주방어사 #압록강 #관방 #계림 #말갈 #선비 #아구타 #아지 #대여진 #대간 #안화사 #우박 #문하시랑평장사 #임의 #이자량 #송나라 #진사 #권적 #조석 #김단 #집영전 #상사 #강취정 #견유저 #천장각 #상주 #서대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형부사 #판공부사 #판삼사사 #임유문 #상서우복야 #판비서성사 #박경인 #이부상서 #김약온 #호부상서 #최지 #형부상서 #최덕개 #공부상서 #최홍재 #어사대부 #이수 #우산기상시 #김고 #대사성 #보문각학사 #한림학사 #지예부사 #허지기 #이영 #좌․우간의대부 #지어사대사 #형부시랑 #지주사 #태자우유덕 #김인규 #추밀원좌승선 #태자좌찬성 #중서사인 #문공미 #전중소감 #우승선 #태자우찬선 #예빈경 #지숙연 #서북면병마사 #군기감 #이유인 #남경 #이자겸 #조중장 #개경 #첨서추밀원사 #김황원 #연흥전 #승가굴 #장의사 #중양절 #숙종 #기신도량 #경천사 #영창각 #회경전 #백좌도량 #소연 #시경 #예기 #기거랑 #호종단 #서경 #급제 #오수증 #강순 #병마판관 #동계 #문정 #구산사 #회안백 #왕기 #천안부 #지진 #이위 #태부 #계양군개국백 #태자소부 #정당문학 #판한림원사 #지추밀원사 #태자빈객 #왕자지 #한안인 #한림학사승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8년(1054) 갑오년
    문종 8년(1054) 갑오년
    八年 春正月 丙寅朔 放朝賀. 壬申 東女眞中尹英孫等十八人來, 獻名馬. 二月 癸卯 冊勳爲王太子. 其冊曰, “粤自生民置君, 覽萬機而允理, 立嗣必子, 歷百世以弗磨, 是爲通規, 匪由私愛. 朕謬據元元之首, 思弘永永之休. 國本貞于植寧, 孫謀光于錫羨. 但綴旒…
    #중윤 #영손 #왕훈 #정사 #태위 #수문하시랑 #왕총지 #부사 #사도 #상서우복야 #박성걸 #무제 #문왕 #신봉루 #건덕전 #아골 #이자연 #태부 #원리 #영새장군 #고차 #유선여 #급사중 #김양지 #탐라국 #초공 #겸종 #회경전 #내전 #보살계 #조수 #서각 #상아 #왕옹 #거란 #포주성 #중추원사 #김원정 #서북면병마사 #동로병마사 #장주 #치담역 #황조 #유원장군 #이다불 #신금 #위봉 #섬례 #실빈 #염한 #비단 #마리불 #익주자사 #야율방 #횡선사 #야율간 #선유사 #복주자사 #야율신 #대광 #천명 #시위공자 #시위급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1년(1116) 병신년
    예종 11년(1116) 병신년
    十一年 春正月 丙寅朔 放朝賀. 戊辰 遼遣大理卿張言中, 來賀生辰. 壬午 御便殿, 宴諸王, 夜分乃罷. 庚寅 幸天壽寺, 巡視新創堂殿, 賞賜工匠有差. 壬辰 以尙書戶部侍郞李韶永爲西北面兵馬副使, 借戶部侍郞李惟寅爲東北面兵馬副使. 閏月 庚子 以宋秀爲工部尙書.…
    #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대리경 #장언중 #천수사 #상서호부시랑 #이소영 #서북면병마부사 #차호부시랑 #이유인 #동북면병마부사 #송수 #공부상서 #보제사 #국사 #담진 #비서교서랑 #정양직 #안북도호부 #아전 #동경 #절일사 #윤언순 #진봉사 #서방 #하정사 #이덕윤 #내전 #초제 #일본국 #감자 #고서 #연등회 #봉은사 #재추 #시신 #참지정사 #고영신 #내원성 #파주성 #도병마녹사 #소억 #통군 #숙종 #명의태후 #초상 #발해 #유수 #소보선 #공봉관 #고영창 #대원 #융기 #동경유수 #낙성을 기념하는 재 #사면령 #김경용 #오연총 #수태위 #서경 #이위 #김연 #판행종사 #이자겸 #조중장 #판유수사 #대동강 #어가 #서경유수 #분사 #태조 #진전 #처사 #곽여 #상안전 #체제 #김상기 #선종 #최사추 #장경사 #구월산 #금강사 #흥복사 #영명사 #금나라 #아구타 #아지 #중서문하성 #여진 #천경 #장락전 #관풍전 #행재소 #구제궁 #동각 #포주 #용덕궁 #건원전 #원구 #태묘 #사직 #적전 #원릉 #국선 #예의상정소 #홍복사 #다경루 #지서경유수사 #호부상서 #김약온 #조영구 #섭분사호부상서 #지유수사 #절령역 #송나라 #도강 #양명 #개경 #공도 #사장 #복전 #도감 #내시 #급사 #환관 #궁부 #잡류 #유수관 #안찰사 #신궐창성도감 #장인 #장원정 #마천정 #반룡산 #문하시랑평장사 #건덕전 #복시 #배우 #급제 #왕자지 #문공미 #사신 #어의 #대상국사 #양주 #천녕만수관 #항주 #천축사 #윤주 #금산사 #사주 #보소왕사 #재 #별사 #밀사 #특사 #김단 #국자감 #수태사 #낙랑군개국후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판상서병부사 #수사도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상서호부사 #강증 #수사공 #판상서형부사 #태자소부 #김준 #병부상서 #추밀원사 #태자빈객 #박경인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한교여 #추밀원지주사 #직학사 #박승중 #국자좨주 #한림학사 #좌간의대부 #회경전 #상춘정 #이영 #우산기상시 #최홍재 #서북면병마사 #대복경 #지숙연 #동북면병마사 #선정전 #급사중승 #대성 #병마판관 #동번 #사자 #아이 #경령전 #묘통사 #장군 #살갈 #포주성 #야율영 #추밀원 #홍관 #청연각학사 #정극공 #윤해 #직각 #관제 #서옥 #청연각 #상서 #국자사업 #기거주 #지제고 #김부일 #보문각대제 #보문각직학사 #우부승선 #직보문각 #예부낭중 #곽준목 #전중내급사 #김원여 #보문각교감 #고선유 #양온령 #지창흡 #예기 #투호 #정관정요 #당 태종 #요임금 #순임금 #나례 #거란 #한 #해 #숙여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2년(1117) 정유년
    예종 12년(1117) 정유년
    春正月 庚寅 放朝賀. 壬辰 渤海五十二人, 奚八十九人, 漢六人, 漢六人 『고려사절요』에는 ‘漢兒六人’으로 되어 있다. 契丹十八人, 熟女眞八人, 自遼來投. 壬子 幸法王寺及神衆院, 還御明慶殿, 以僧德緣爲王師. 癸丑 以給事中拓俊京爲西北面兵馬副使, 借尙書兵部侍郞許載爲…
    #신년 하례행사 #발해 #해 #한 #거란 #숙여진 #법왕사 #신중원 #명경전 #승려 #덕연 #왕사 #급사중 #척준경 #서북면병마부사 #차상서병부시랑 #허재 #동북면병마부사 #청연각 #한교여 #주역 #박승중 #김부일 #양부 #재추 #중서성 #건덕전 #소재도량 #요나라 #중서시랑평장사 #김연 #연등회 #봉은사 #북번 #명해 #동․서교 #압병제 #보제사 #김준 #검교사공 #참지정사 #김지화 #수사공 #이궤 #추밀원사 #좌산기상시 #동지추밀원사 #전중감 #추밀원부사 #안자공 #병부상서 #장원정 #강증 #내원성 #생여진 #대성 #시신 #지제고 #도병마판관 #판병마사 #통군 #금나라 #개주 #대부 #걸타 #유백 #상서좌복야 #개국백 #야율영 #내원성자사 #검교상서우복야 #상효손 #영덕성 #여진 #동경 #포주성 #포주 #의주방어사 #압록강 #관방 #계림 #말갈 #선비 #아구타 #아지 #대여진 #대간 #안화사 #우박 #문하시랑평장사 #임의 #이자량 #송나라 #진사 #권적 #조석 #김단 #집영전 #상사 #강취정 #견유저 #천장각 #상주 #서대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형부사 #판공부사 #판삼사사 #임유문 #상서우복야 #판비서성사 #박경인 #이부상서 #김약온 #호부상서 #최지 #형부상서 #최덕개 #공부상서 #최홍재 #어사대부 #이수 #우산기상시 #김고 #대사성 #보문각학사 #한림학사 #지예부사 #허지기 #이영 #좌․우간의대부 #지어사대사 #형부시랑 #지주사 #태자우유덕 #김인규 #추밀원좌승선 #태자좌찬성 #중서사인 #문공미 #전중소감 #우승선 #태자우찬선 #예빈경 #지숙연 #서북면병마사 #군기감 #이유인 #남경 #이자겸 #조중장 #개경 #첨서추밀원사 #김황원 #연흥전 #승가굴 #장의사 #중양절 #숙종 #기신도량 #경천사 #영창각 #회경전 #백좌도량 #소연 #시경 #예기 #기거랑 #호종단 #서경 #급제 #오수증 #강순 #병마판관 #동계 #문정 #구산사 #회안백 #왕기 #천안부 #지진 #이위 #태부 #계양군개국백 #태자소부 #정당문학 #판한림원사 #지추밀원사 #태자빈객 #왕자지 #한안인 #한림학사승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김인존(金仁存)
    김인존金仁存
    김인존(金仁存) 김인존(?~1127) 신라 왕손 김주원(金周元)을 시조로 하는 강릉 김씨(江陵金氏) 집안출신의 문신관료로, 김상기(金上琦)의 아들이다. 이 집안은 김주원의 막내 아들인 김신(金身)의 가계로서 고려 태조 때부터 상경 종사하여 고려 전기에 문벌로 …
    #김인존 #처후 #김연 #각간 #김주원 #김상기 #과거에 급제 #시랑평장사 #문정 #선종의 묘정 #직한림원 #선종 #헌종 #숙종 #내시 #상서예부원외랑 #개성부사 #기거사인 #지제고 #기거랑 #병부원외랑 #학사 #맹초 #접반사 #금띠 #이부낭중 #동궁시강학사 #예종 #논어 #논어신의 #중서사인 #요나라 #동경 #예부시랑 #간의대부 #담진 #왕사 #봉숭사 #간원 #유태수 #동여진 #윤관 #거란 #여진의 궁한리 #비서감 #송나라 #휘종 #백옥 #경원군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병부예부호부상서 #정당문학 #참지정사 #수사도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금나라 #판서북면병마사 #내원성자사 #상효손 #내원성 #포주성 #압록강 #청연각 #연영서전 #자화전 #보문각 #주공 #공자 #맹가 #양웅 #태부 #상서령 #대방공 #왕보 #수태부 #대원공 #왕효 #제안후 #왕서 #통의후 #낙랑후 #김경용 #문하시랑 #이위 #이자겸 #중서시랑 #조중장 #김준 #수사공 #김지화 #추밀원사 #이궤 #지추밀원사 #왕자지 #동지추밀원사 #한안인 #숭녕 #대관 #선화 #진공사 #계향 #어주 #용봉명단 #육상 #파려 #마노 #비취 #서시 #훈지 #강게 #금슬 #종경 #동정 #오회 #노공 #반궁 #노침 #보문각학사 #홍관 #개부의동삼사 #판동북면병마사 #행영병마사 #서경 #인종 #판비서성사 #감수국사 #김안 #이수 #산호정 #익성동덕공신 #삼중대광 #검교태사 #문하시중 #변경 #정지상 #김부식 #판이부사 #문성 #예종의 묘정 #정시 #최선 #이재 #이덕우 #박승중 #해동비록 #시정책요 #정관정요 #김영석 #김영윤 #김영관 #평장사 #김변 #김기 #정언 #어사 #충청도 안찰사 #판소부감사 #김고 #중서시랑평장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김황원(金黃元)
    김황원金黃元
    김황원(金黃元)은 자가 천민(天民)이며 광양현(光陽縣)(지금의 전라남도 광양시) 사람이다. 젊어서 과거에 급제 급제 김황원(金黃元)이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사실을 말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40, 전라도, 광양현(光陽縣), 인물조에도 그가 어려서 과거에 …
    #김황원 #천민 #광양현 #이궤 #한림 #김이 #요나라 #재상 #이자위 #한림원 #상서 #김상우 #선종 #우습유 #지제고 #경산부 #판관 #이사강 #숙종 #연영전 #중서사인 #예부시랑 #국자좨주 #한림학사 #첨서추밀원사 #여진 #내원성 #포주성 #예부낭중 #김부식 #김통리 #김존도 #김통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김인존(金仁存)
    김인존金仁存
    金仁存, 字處厚, 初名緣, 新羅宗室角干周元之後. 父上琦, 登第, 官至侍郞平章事, 諡文貞, 配享宣宗廟庭. 仁存, 性明敏, 少登科, 直翰林院, 歷事宣․獻․肅三朝, 以內侍, 掌奏事. 不欲久在近密, 懇求外補, 由尙書禮部員外, 出爲開城府使, 秩滿, 授起居舍人知制誥. 遷…
    #김인존 #처후 #김연 #각간 #김주원 #김상기 #과거에 급제 #시랑평장사 #문정 #선종의 묘정 #직한림원 #선종 #헌종 #숙종 #내시 #상서예부원외랑 #개성부사 #기거사인 #지제고 #기거랑 #병부원외랑 #학사 #맹초 #접반사 #금띠 #이부낭중 #동궁시강학사 #예종 #논어 #논어신의 #중서사인 #요나라 #동경 #예부시랑 #간의대부 #담진 #왕사 #봉숭사 #간원 #유태수 #동여진 #윤관 #거란 #여진의 궁한리 #비서감 #송나라 #휘종 #백옥 #경원군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 #병부예부호부상서 #정당문학 #참지정사 #수사도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금나라 #판서북면병마사 #내원성자사 #상효손 #내원성 #포주성 #압록강 #청연각 #연영서전 #자화전 #보문각 #주공 #공자 #맹가 #양웅 #태부 #상서령 #대방공 #왕보 #수태부 #대원공 #왕효 #제안후 #왕서 #통의후 #낙랑후 #김경용 #문하시랑 #이위 #이자겸 #중서시랑 #조중장 #김준 #수사공 #김지화 #추밀원사 #이궤 #지추밀원사 #왕자지 #동지추밀원사 #한안인 #숭녕 #대관 #선화 #진공사 #계향 #어주 #용봉명단 #육상 #파려 #마노 #비취 #서시 #훈지 #강게 #금슬 #종경 #동정 #오회 #노공 #반궁 #노침 #보문각학사 #홍관 #개부의동삼사 #판동북면병마사 #행영병마사 #서경 #인종 #판비서성사 #감수국사 #김안 #이수 #산호정 #익성동덕공신 #삼중대광 #검교태사 #문하시중 #변경 #정지상 #김부식 #판이부사 #문성 #예종의 묘정 #정시 #최선 #이재 #이덕우 #박승중 #해동비록 #시정책요 #정관정요 #김영석 #김영윤 #김영관 #평장사 #김변 #김기 #정언 #어사 #충청도 안찰사 #판소부감사 #김고 #중서시랑평장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김황원(金黃元)
    김황원金黃元
    金黃元, 字天民, 光陽縣人. 少登第, 力學爲古文, 號海東第一. 淸直不附勢. 與李軌善, 同在翰林, 以文章著名, 時稱金․李. 遼使至, 黃元作內宴口號, ‘有鳳銜綸綍從天降, 鼇駕蓬萊渡海來.’之句, 使驚嘆, 求寫全篇而去. 宰相李子威, 惡其文不隨時所尙曰, “若此輩久在翰院…
    #김황원 #천민 #광양현 #이궤 #한림 #김이 #요나라 #재상 #이자위 #한림원 #상서 #김상우 #선종 #우습유 #지제고 #경산부 #판관 #이사강 #숙종 #연영전 #중서사인 #예부시랑 #국자좨주 #한림학사 #첨서추밀원사 #여진 #내원성 #포주성 #예부낭중 #김부식 #김통리 #김존도 #김통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1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