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종정종 5년(1039) 기묘년정종 5년(1039) 기묘년5월 봄 정월 신축일. 우신(雨神)을 제사지냈다. 병오일. 공부상서(工部尙書) 원영(元穎) 원영(?~?) 상서좌복야를 지낸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징연[元徵衍․元徵演]의 아들로, 현종 ~정종 때 시병부원외랑(試兵部員外郞)․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
-
문종문종 35년(1081) 신유년문종 35년(1081) 신유년35년 봄 정월 을미일. 염한(廉漢)을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임명했다. 정유일. 문정(文正)을 장연현개국백(長淵縣開國伯)으로, 최석(崔奭)을 이부상서(吏部尙書)․참지정사(叅知政事)로, 김양감(金良鑑)을 참지정사(叅知政事)․판상서병부사(判尙書兵部…#염한 #병부상서 #문정 #장연현개국백 #최석 #이부상서 #참지정사 #김양감 #판상서병부사 #왕석 #호부상서 #지이부사 #지서북면병마사 #왕저 #아부환 #유원장군 #산두 #회화장군 #차단 #김제 #태자태보 #유홍 #이의 #태자빈객 #이일정 #예부낭중 #어사잡단 #임경 #장원정 #권판중추원사 #마세안 #기우제 #예부상서 #최사제 #이부시랑 #이자위 #송나라 #예빈성 #양진 #진순 #박인량 #오영숙 #좌․우승선 #최사현 #우부승선 #합문인진사 #고몽신 #요나라 #우보궐 #위강 #호부낭중 #하충제 #합문지후 #최주지 #이징망 #광정 #만두 #노단 #이원적 #귀덕장군 #호간 #아해 #서해 #평주 #이정공 #수국사 #이주관내관찰사 #야율덕양 #횡선사 #숭록경 #지태사국사 #양관공 #영주 #영화사 #천왕소상 #공부상서 #홍덕성 #중추원사 #좌산기상시 #지중추원사 #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우산기상시 #최사훈 #중추원지주사 #임개 #위위경 #지어사대사 #이부낭중 #이자인 #시어사
-
예종예종 4년(1109) 기축년예종 4년(1109) 기축년4년 봄 정월 초하루 병오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신일. 요나라에서 대영신(大永信)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기유일. 동계행영 병마녹사(東界行營兵馬錄事) 왕사근(王思謹)과 하경택(河景澤) 등이 함주(咸州)(지금의 함경남…#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대영신 #동계행영 병마녹사 #왕사근 #하경택 #함주 #여진 #건덕전 #신중원 #장령전 #평로관 #번장 #대방후 #왕보 #어사대부 #최계방 #장군 #김현 #임좌 #은병 #대원후 #왕효 #종친 #재추 #시종 #연등회 #봉은사 #중광전 #평장사 #김경용 #승선 #임언 #문덕전 #불정도량 #동계진발장군 #왕유충 #박회절 #능라 #우간의대부 #이재 #동번 #사현 #사신 #선정전 #연주 #수불수 #귀부 #요불 #신봉문 #신기군 #최공후 #우복야 #김연 #추장 #과하 #이여림 #동계 #반서대 #양규 #신기직장 #제보 #은합 #회경전 #백좌회 #승려 #상춘정 #초제 #행영병마녹사 #장문위 #숭녕진 #정노반 #동계행영병마별감 #시랑 #왕자지 #원외랑 #척준경 #행영병마판관 #허재 #김의원 #길주 #왕륜사 #동계녹사 #하준 #오서대 #묘통사 #동계병마부원수 #오연총 #경령전 #부월 #상서 #재 #동지추밀원사 #허경 #평양 #목멱산 #동명왕 #흥복사 #영명사 #장경사 #금강사 #문두루도량 #문하시중 #윤관 #추밀원부사 #유인저 #창릉 #미륵사 #참지정사 #손관 #동여진 #박연 #반야도량 #행영병마 #선덕진 #법왕사 #사면령 #최홍사 #장채 #참형 #교수형 #약사도량 #동계병마원수 #서북로 #무 상참관 #양선 #좌승선 #심후 #김상우 #한교여 #신안지 #송나라 #정주 #사천대 #태사국 #보살계 #진봉산 #구룡산 #재상 #대간 #6부 #9성 #예부낭중 #박승중 #호부낭중 #한상 #사자 #태사 #영가 #오아속 #궁한촌 #대성 #제사 #지제고 #시신 #도병마판관 #내시 #김향 #중서시랑평장사 #임의 #권판동북면병마사 #행영병마사 #부사 #우란분도량 #행영병마별감 #최홍정 #병마사 #이부상서 #문관 #거위이 #안장을 갖춘 말 #의복 #채색 비단 #통태진 #소재도량 #영주 #복주 #진양진 #호부상서 #한림학사 #유재 #좌산기상시 #웅주 #선화진 #연화궁주 #신기군사 #서루 #형부 #중추절 #편전 #유자유 #서북면병마사 #백좌도량 #왕구 #개국사 #외제석원 #이위 #전중감 #지추밀원사 #이자겸 #예빈경 #김고 #지이부사 #간의대부 #팔관회 #오로 #평로진 #청새진 #다로거부 #이오 #교련사 #명주도지병마사 #임곽 #김준 #상서우승 #추밀원우승선 #이수 #어사중승 #송악산 #왕기 #검교사도 #수사공 #회안백 #도관낭중 #이국경
-
예종예종 9년(1114) 갑오년예종 9년(1114) 갑오년9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서여진(西女眞)의 장군(將軍) 오무환(烏無奐) 등 61명이 입조해 왔다. 경진일. 요나라에서 위위경(衛尉卿) 장여회(張如晦)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무술일.…#신년 하례행사 #서여진 #장군 #오무환 #요나라 #위위경 #장여회 #문덕전 #신중원 #고의화 #우복야 #응양군 #윤유지 #병부상서 #삼사사 #안자공 #서북면병마사 #삼사부사 #이소영 #동북면병마부사 #건덕전 #본명성 #초제 #연등회 #봉은사 #연등대회 #고로 #묘통사 #보제사 #유재 #상서좌복야 #문덕전학사 #우궁 #오연총 #판이부사 #김연 #검교사공 #호부상서 #참지정사 #판예부사 #서경유수사 #조중장 #병부 상서 #판형부사 #강증 #추밀원사 #판삼사사 #김준 #예부상서 #지추밀원사 #김지화 #이부상서 #이재 #형부상서 #연영전학사 #사영 #공부상서 #최지 #박경작 #좌․우산기상시 #임유문 #어사대부 #왕자지 #전중감 #김고 #지어사대사 #승려 #담진 #국사 #낙진 #왕사 #복시 #백유 #급제 #서경 #진사 #정지원 #성시 #왕경 #동여진 #고라골 #사현 #우박 #정당문학 #판한림원사 #외제석원 #불정도량 #소재도량 #안직숭 #송나라 #악기 #추밀원지주사 #호부낭중 #문공언 #사직 #유록숭 #차호부시랑 #지록연 #이자겸 #수사공 #권추밀원사 #판비서성사 #좌산기상시 #어서검토관 #국학 #공자 #안자 #재신 #요 #순 #은나라 #주나라 #동지 #구령각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혜종 #신주 #성종 #강릉 #명의태후 #영릉 #숭릉 #이란 #천흥절 #협제 #사면령 #양영 #생여진 #완안부 #아쿠타 #동경병마도부서사 #함원전 #횡선사 #야율자 #부사 #이석 #왕구 #연덕궁주 #이수 #통사사인 #황군상 #선정전 #북계 #동번 #사자 #아지 #왕보 #수태보 #왕효 #대원공 #왕서 #검교태보 #수태위 #왕교 #수사도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상서형부사 #한림학사승지 #최선 #판국자감사 #지상서이부사 #박승중 #우간의대부 #홍관
-
인종인종 13년(1135) 을묘년인종 13년(1135) 을묘년13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일식이 있었으나 먹구름에 가려 관측할 수가 없었다. 무신일. 묘청(妙淸)과 유참(柳旵) 유참(?~?) 묘청과 함께 반란을 주도한 인물로 난이 진압되자 그의 처자(妻子)를 모두 적몰(籍沒)하여 동북 제성(諸城)의…#먹구름 #묘청 #유참 #조광 #서경 #김부식 #원수 #서경의 반군 #금교역 #금나라 #계주관내관찰사 #고춘 #김안 #정지상 #백수한 #장군 #일맹 #서경의 반란 #대성 #분사대부경 #윤첨 #흰 무지개 #중서시랑평장사 #김향 #문하시랑평장사 #최홍재 #보애사 #검교우산기상시 #왕정 #대행황제 #소경 #김단 #시어사 #이시민 #노나라 #사관 #우왕 #상서 #숭덕부 #이자겸 #병오년의 난리 #대화궁 #천개 #충의군 #여후 #보제사 #호부상서 #김인규 #예부낭중 #왕창윤 #현성사 #수창궁 #정정숙 #상서좌복야 #응양군 #상장군 #안화사 #태묘 #체제 #봉은사 #송나라 #적공랑 #오돈례 #인덕궁 #천성전 #양부 #한림학사 #정항 #당감 #사신 #서경의 반란군 #문승미 #노현용 #호부낭중 #강복여 #법왕사 #백고좌도량 #승려 #외제석원 #한유충 #예부상서 #동수국사 #이중 #공부상서 #지제고 #임경청 #수사공 #추밀원사 #판삼사사 #임원준 #이부상서 #김부의 #형부상서 #보문각대학사 #원외랑 #곽동순 #낭중 #문공원 #만수절 #태백성 #최유 #임원애 #판형부사 #김극검 #지추밀원사 #동지추밀원사
-
의종의종 9년(1155) 을해년의종 9년(1155) 을해년9년 봄 정월 신해일. 대부경(大府卿) 최유칭(崔褎偁)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시형부시랑(試刑部侍郞) 허순(許純)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임명했다. 기미일. 봉원전(奉元殿)에서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임술일. 연…#최자영 #지문하성사 #양원준 #기거사인 #최루백 #좌사간 #박득령 #좌정언 #허홍재 #우정언 #최우보 #팔관회 #법왕사 #금나라 #우사원외랑 #김순 #용흥절 #형부원외랑 #김온중 #호부낭중 #최자파 #사공 #왕장 #대관전 #송나라 #문하시랑평장사 #유필 #대부경 #최유칭 #서북면병마사 #시형부시랑 #허순 #동북면병마사 #봉원전 #승려 #연등회 #봉은사 #장원정 #급사중 #민각 #경천사 #권판상서이부사 #최윤의 #권판상서병부사 #국청사 #일식 #단오 #경령전 #판이부사 #서경유수사 #임극충 #추밀원사 #한림학사승지 #태자빈객 #수문전 #보살계 #서북면병마판사 #판중군병마사 #동북면병마판사 #문공유 #병마부사 #명주 #지리선 #평장사
-
명종명종 7년(1177) 정유년명종 7년(1177) 정유년7년 봄 정월 기유일.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가 투항해 오자 나라의 곡식을 내려주고, 감찰어사(監察御史) 김덕강(金德剛)을 시켜 그들의 고향으로 압송하게 했다. 경술일. 장군(將軍) 정수필(丁守弼)을 금나라에 보내 특산물을 바치게 했다.…#망이 #망소이 #감찰어사 #김덕강 #장군 #정수필 #금나라 #경희궁 #연등회 #봉은사 #야율자원 #병부시랑 #최광정 #만춘절 #수창궁 #전․나주도안찰사 #미륵산 #반적 #가야사 #신중원 #재 #내전 #제석도량 #남적 #황려현 #진주 #불정도량 #우도병마 #가야산 #손청 #영통사 #서해도 #호부원외랑 #박소 #오광척 #옥대 #종유석 #낭중 #박효진 #홍경원 #승려 #주지 #개경 #좌도병마사 #이광 #묘통사 #마리지천도량 #의주 #정주 #직문하 #사정유 #예부낭중 #임정식 #아주 #청주목 #청주 #중방 #동․북 양계 #주 #진 #판관 #무관 #홍중방 #김돈의 #묵형 #유배 #안평공 #왕경 #최기정 #급제 #선지사용별감 #남적제치좌우도병마사 #충순현 #우박 #조위총 #유수판관 #부유수 #박정의 #사록 #김득려 #서기 #이순정 #대장군 #이경백 #횡선사 #대부감 #도단양신 #서경 #전염병 #호부낭중 #중랑장 #아응시 #신기군 #통덕역 #보살계 #태묘 #벼락 #남적의 괴수 #서도의 반군 #경령전 #태조 #서경 반군 #낭장 #김단 #사자 #남적처치병마사 #정세유 #청주옥 #전령 #초맹반 #행수 #이돈작 #김입성 #오군별호 #사형수 #태사 #태백성 #남로착적좌도병마사 #양익경 #서경의 반군 #임진강 #춘주 #춘주부사 #최충필 #반군 괴수 #중서시랑평장사 #한취 #외제석원 #나한재 #상장군 #이의민 #서북지역의 반군 #안화사 #담화사 #향산 #왕륜사 #강축 #교위 #명인전 #최미 #내시원외랑 #최정 #예부원외랑 #손응시 #팔관회 #법왕사 #서경의 반적 #조충 #남적제치우도병마사 #이부
-
원종원종 12년(1271) 신미년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공유 #안세정 #아카이 #장군 #인공수 #몽고 #문하시중 #이장용 #참지정사 #최영 #임연 #모의 #박천주 #진도 #벽파정 #홍다구 #복야 #홍백수 #추밀원부사 #부카 #맹기 #추밀원사 #김련 #표문 #남송 #송나라 #일본 #시중 #중서성 #둔전경략사 #둔전 #강화도 #권농사 #낭장 #이영 #사천감 #오윤부 #김희목 #사신 #일본국신사 #비서감 #조양필 #쿠룸치 #왕국창 #조서 #국신사 #금주 #홍복원 #강윤소 #반행객사 #두원외 #밀성군 #방보 #계년 #박평 #박공 #박경순 #경기 #부사 #이이 #공국병마사 #청도감무 #임종 #최양재 #청도군 #밀성 #조천 #일선현령 #청도 #손일 #안찰사 #이오 #이숙진 #금주방어사 #김훤 #경주판관 #엄수안 #평장사 #유경 #애도 #유배 #관노 #숭겸 #공덕 #다루가치 #대정 #송사균 #최문본 #조자일 #합문지후 #신좌선 #재추 #승선 #중방 #내시 #다방 #지추밀원사 #이현원 #상장군 #정자여 #톡토르 #섭별장 #은병 #나견 #착량 #대부도 #반란 #수주부사 #안열 #도병마사 #녹과전 #이분희 #김자정 #이분성 #전원 #영송고 #당리 #최승적 #삼별초 #장흥부 #방어도령 #진정 #유학 #충청도 안찰사 #홍자번 #교주도 안찰사 #노문좌 #연등회 #봉은사 #저시교 #연등 #태조 #장일 #경상도 #주열 #전라도 #곽여필 #충청도 #소재도량 #보성 #천호 #충청 #전라 #우부승선 #홍문계 #은 #박지량 #수로방호사 #힌두 #사추 #둔전군 #행경략사 #봉주 #동경 #경략사 #동계안집사 #양주 #장세 #김세 #수령 #향리 #천서 #화주 #조휘 #지양주사 #합포 #감무 #봉주경략사 #남산궁 #동래군 #단사관 #심혼 #유천우 #전중감 #쟁기 #경상도 금주 #남해 #창선 #거제 #공부 #농무별감 #황주 #관등 #방호 장군 #박보 #별초 #영광부사 #김수 #추토사 #김방경 #배중손 #영녕공 #왕희 #왕옹 #당성 #홍택 #참수 #홍균비 #장형 #역리 #방수군 #주부개 #바얀 #관민 #도령 #지유 #경군 #초제 #변량 #이수심 #토벌 #문하시랑평장사 #김전 #몽고 사신 #승화후 #김통정 #탐라 #국자감시 #초천익 #지비케 #취납관 #개경 #서경 #대경 #민방 #상서좌승 #왕심 #질자 #상서우승 #송분 #군기감 #설공검 #호부낭중 #김서 #이창경 #보살계 #이황수 #임유무 #송송례 #나주 #전민 #승상 #대장군 #국자박사 #위문개 #비칙치 #카라쿠룩 #이추 #금칠 #청등 #팔랑충 #비목 #노태목 #오매 #화리 #등석 #승천부 #금요도 #비자 열매 #동백 열매 #교동군 #해죽 #동백 #죽점 #서해도 #은파장 #삼진강 #두련가국왕 #호적 #백호 #복대 #일식 #채정 #토번 #선의문 #원수 #과시적 #관인 #찰살적 #수령관 #영사 #오산 #왕륜사 #사면령 #참형 #교수형 #제주 #고여림 #경별초 #외별초 #직전 #전정 #잡류인 #현문혁 #직학 #정문감 #금강법석 #부다루가치 #염주 #문선열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백주 #대원 #원나라 #제수대보
-
충혜왕충혜왕 즉위년(1330) 경오년충혜왕 즉위년(1330) 경오년2월 계사일. 왕이 평칙문(平則門) 밖에서 엿새 동안 매를 놓아 사냥판을 벌였다. ○ 서하군(西河君) 임자송(任子松) 임자송(?~?) 본관은 풍천(豐川)이며, 충숙왕 때 동지밀직사사․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한 관료이다. 충숙왕 11년(13…#평칙문 #서하군 #임자송 #만호 #권겸 #국인 #칠십견 #규장각 #정승치사 #김태현 #정동행성 #지인방 #삼사우윤 #윤지현 #기거주 #이담 #도관정랑 #이군해 #전첨 #김한룡 #우승상 #엘테무르 #유림 #배전 #주주 #최성 #흰 모시베 #범가죽 #표범가죽 #원나라 #관서왕 #초스발 #덕녕공주 #선휘원 #조득규 #상왕 #권정동행성사 #윤석 #원충 #정방길 #도첨의중찬 #전언 #찬성사 #이능간 #이규 #첨의참리 #이제현 #정당문학 #전영보 #한악 #삼사사 #윤혁 #밀직사 #김문귀 #김지경 #밀직부사 #전신 #감찰대부 #한종유 #지신사 #윤안비 #우․좌대언 #우부대언 #백마 #흥성전 #장항 #태의 #장령 #안목 #성균승 #정오 #도관좌랑 #정세충 #대명전 #한림학사 #코케다이 #옥대 #용호대 #양광도 #마계량 #경상도 #조방인 #충정공 #홍자번 #문정공 #정가신 #인종 #강종 #명종 #토곤테무르 #대청도 #최성지 #김천우 #정동행성좌우사낭중 #장백상 #행성 #태사 #행성좌우사낭중 #도당 #태조성무황제 #요나라 #금산왕자 #중원 #카치운 #차라 #충헌왕 #조충 #김취려 #세조황제 #강남 #충경왕 #양초 #안남국 #일본국 #충렬왕 #태위왕 #인종황제 #앙골 #무종황제 #요양 #홍중희 #일본 #안남 #대승상 #황주 #연경궁 #아다타 #호부낭중 #토린 #선사 #맹사태 #강안전 #왕륜사 #건성사 #견주 #덕비 #지공거 #안문개 #동지공거 #홍정 #홍언박 #말 #이달존 #정대 #영안궁 #해안 #밀직제학 #이조년 #남경 #개경
-
정종정종 5년(1039) 기묘년정종 5년(1039) 기묘년五年 春正月 辛丑 祭雨師. 丙午 以工部尙書元穎爲春夏番西北路兵馬使, 大府少卿楊帶春副之, 右散騎常侍秦玄錫爲東路兵馬使, 殿中侍御史林宗翰․王夷甫副之. 二月 壬戌朔 遣殿中監李成功如契丹, 獻方物. 丁卯 遣戶部郞中庾先, 謝安撫, 仍請罷鴨江東加築城堡. 乙亥 …
-
정종 5년(1039) 기묘년5월 봄 정월 신축일. 우신(雨神)을 제사지냈다. 병오일. 공부상서(工部尙書) 원영(元穎) 원영(?~?) 상서좌복야를 지낸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징연[元徵衍․元徵演]의 아들로, 현종 ~정종 때 시병부원외랑(試兵部員外郞)․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
-
문종 35년(1081) 신유년35년 봄 정월 을미일. 염한(廉漢)을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임명했다. 정유일. 문정(文正)을 장연현개국백(長淵縣開國伯)으로, 최석(崔奭)을 이부상서(吏部尙書)․참지정사(叅知政事)로, 김양감(金良鑑)을 참지정사(叅知政事)․판상서병부사(判尙書兵部…
-
예종 4년(1109) 기축년4년 봄 정월 초하루 병오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신일. 요나라에서 대영신(大永信)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기유일. 동계행영 병마녹사(東界行營兵馬錄事) 왕사근(王思謹)과 하경택(河景澤) 등이 함주(咸州)(지금의 함경남…
-
예종 9년(1114) 갑오년9년 봄 정월 초하루 무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서여진(西女眞)의 장군(將軍) 오무환(烏無奐) 등 61명이 입조해 왔다. 경진일. 요나라에서 위위경(衛尉卿) 장여회(張如晦)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무술일.…
-
인종 13년(1135) 을묘년13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일식이 있었으나 먹구름에 가려 관측할 수가 없었다. 무신일. 묘청(妙淸)과 유참(柳旵) 유참(?~?) 묘청과 함께 반란을 주도한 인물로 난이 진압되자 그의 처자(妻子)를 모두 적몰(籍沒)하여 동북 제성(諸城)의…
-
의종 9년(1155) 을해년9년 봄 정월 신해일. 대부경(大府卿) 최유칭(崔褎偁)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시형부시랑(試刑部侍郞) 허순(許純)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임명했다. 기미일. 봉원전(奉元殿)에서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임술일. 연…
-
명종 7년(1177) 정유년7년 봄 정월 기유일.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가 투항해 오자 나라의 곡식을 내려주고, 감찰어사(監察御史) 김덕강(金德剛)을 시켜 그들의 고향으로 압송하게 했다. 경술일. 장군(將軍) 정수필(丁守弼)을 금나라에 보내 특산물을 바치게 했다.…
-
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
-
충혜왕 즉위년(1330) 경오년2월 계사일. 왕이 평칙문(平則門) 밖에서 엿새 동안 매를 놓아 사냥판을 벌였다. ○ 서하군(西河君) 임자송(任子松) 임자송(?~?) 본관은 풍천(豐川)이며, 충숙왕 때 동지밀직사사․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한 관료이다. 충숙왕 11년(13…
-
정종 5년(1039) 기묘년五年 春正月 辛丑 祭雨師. 丙午 以工部尙書元穎爲春夏番西北路兵馬使, 大府少卿楊帶春副之, 右散騎常侍秦玄錫爲東路兵馬使, 殿中侍御史林宗翰․王夷甫副之. 二月 壬戌朔 遣殿中監李成功如契丹, 獻方物. 丁卯 遣戶部郞中庾先, 謝安撫, 仍請罷鴨江東加築城堡. 乙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