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성종
    성종 2년(983) 계미년
    성종 2년(983) 계미년
    2년 봄 정월 신미일. 왕이 원구(圓丘) 원구 원구[圜丘․園丘]․원구단(圜丘壇)․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작을 비는 기곡제(祈穀祭)와 4월 중의 기우제(祈雨祭) 형…
    #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2년(983) 계미년
    성종 2년(983) 계미년
    二年 春正月 辛未 王祈穀于圓丘, 配以太祖. 乙亥 躬耕籍田, 祀神農, 配以后稷. 祈穀籍田之禮, 始此. 丁丑 宴群臣於天德殿, 賜物有差. 甲申 以崔承老爲門下侍郞平章事. 二月 戊子 始置十二牧, 詔曰 “天高爲大, 分象緯以著明, 地厚無彊, 列山川而播氣.…
    #원구 #적전 #신농씨 #후직 #천덕전 #최승로 #문하시랑평장사 #12목 #주나라 #송나라 #대중대부 #광록소경 #이거원 #조의대부 #장작소감 #공유 #권지고려국사 #왕치 #반도산 #제후 #제보 #광록대부 #검교태보 #사지절현도주제군사 #현도주도독 #충대순군사 #상주국 #식읍 2천호 #고려국왕 #삼사 #태평흥국 #상정전 #원윤 #좌승 #서희 #병관어사 #대상 #정겸유 #공관어사 #박사 #임노성 #태묘당도 #태묘당기 #사직당도 #사직당기 #문선왕묘도 #제기도 #칠십이현찬기 #최행언 #삼성 #육조 #칠시 #광록경 #설신우 #형관어사 #명복궁대부인 #황보씨 #빈당 #이지백 #간의대부 #성례점 #낙빈점 #연령점 #영액점 #옥장점 #희빈점 #원화전 #사현전 #평대 #복시 #강은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태조(太祖) 후비
    태조太祖 후비
    1. 신혜왕후(神惠王后) 유씨(柳氏) 신혜왕후 유씨는 정주(貞州)(지금의 개성 직할시 개풍군) 사람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삼중대광 관료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인 관계(官階)의 한 종류로서, 중국식 문산계(文散階)가 들어오기 …
    #신혜왕후 유씨 #정주 #삼중대광 #유천궁 #태조 #궁예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후당 #명종 #태복경 #왕경 #관고 #대의군사 #특진 #검교태보 #사지절 #현도주도독 #상주국 #고려국왕 #하동군부인 #신혜왕후 #현릉 #장화왕후 #나주 #오부돈 #목포 #사간 #연위 #덕교 #혜종 #자황포 #대광 #박술희 #신명순성왕태후 #충주 #태사 #내사령 #유긍달 #왕태 #정종 #광종 #문원대왕 #왕정 #증통국사 #낙랑공주 #흥방공주 #신정왕태후 #황주 #태위 #충의공 #황보제공 #대종 #대목왕후 #선의태후 #빈전 #부보 #후직 #강원 #태교 #번희 #초왕 #위녀 #환공 #반첩여 #경종 #예관 #휘호 #신정대왕태후 #수릉 #정헌 #의경 #선덕 #자경 #유명 #정평 #신성왕태후 #신라 #잡간 #김억렴 #김부 #안종 #현종 #정릉 #정덕왕후 #시중 #유덕영 #왕위군 #인애군 #원장태자 #조이군 #문혜왕후 #선의왕후 #헌목대부인 #경주 #좌윤 #평준 #수명태자 #정목부인 #명주 #삼한공신 #순안왕대비 #동양원부인 #평주 #유금필 #효은태자 #숙목부인 #진주 #명필 #원녕태자 #천안부원부인 #태수 #임언 #효지태자 #흥복원부인 #홍주 #홍규 #왕직 #후대량원부인 #합주 #이원 #대명주원부인 #왕예 #광주원부인 #광주 #왕규 #소광주원부인 #광주원군 #동산원부인 #승주 #박영규 #예화원부인 #춘주 #왕유 #대서원부인 #동주 #김행파 #소서원부인 #서경 #대서원 #소서원 #전민 #서전원부인 #신주원부인 #신주 #아찬 #강기주 #월화원부인 #영장 #소황주원부인 #원보 #순행 #성무부인 #박지윤 #효제태자 #효명태자 #법등군 #자리군 #의성부원부인 #의성부 #의성부원대군 #월경원부인 #박수문 #몽양원부인 #박수경 #해량원부인 #해평 #선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태조(太祖) 후비
    태조太祖 후비
    太祖神惠王后柳氏, 貞州人, 三重大匡天弓之女. 天弓家大富, 邑人稱爲長者. 太祖事弓裔爲將軍, 引兵過貞州, 息馬古柳下. 后立路傍川上, 見其有德容, “問汝誰氏女?” 對曰, “此邑長者家女也.” 太祖因至宿焉, 其家饗一軍甚豊, 以后侍寢. 厥後, 絶不相聞, 后守志貞潔, 剃髮…
    #신혜왕후 유씨 #정주 #삼중대광 #유천궁 #태조 #궁예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후당 #명종 #태복경 #왕경 #관고 #대의군사 #특진 #검교태보 #사지절 #현도주도독 #상주국 #고려국왕 #하동군부인 #신혜왕후 #현릉 #장화왕후 #나주 #오부돈 #목포 #사간 #연위 #덕교 #혜종 #자황포 #대광 #박술희 #신명순성왕태후 #충주 #태사 #내사령 #유긍달 #왕태 #정종 #광종 #문원대왕 #왕정 #증통국사 #낙랑공주 #흥방공주 #신정왕태후 #황주 #태위 #충의공 #황보제공 #대종 #대목왕후 #선의태후 #빈전 #부보 #후직 #강원 #태교 #번희 #초왕 #위녀 #환공 #반첩여 #경종 #예관 #휘호 #신정대왕태후 #수릉 #정헌 #의경 #선덕 #자경 #유명 #정평 #신성왕태후 #신라 #잡간 #김억렴 #김부 #안종 #현종 #정릉 #정덕왕후 #시중 #유덕영 #왕위군 #인애군 #원장태자 #조이군 #문혜왕후 #선의왕후 #헌목대부인 #경주 #좌윤 #평준 #수명태자 #정목부인 #명주 #삼한공신 #순안왕대비 #동양원부인 #평주 #유금필 #효은태자 #숙목부인 #진주 #명필 #원녕태자 #천안부원부인 #태수 #임언 #효지태자 #흥복원부인 #홍주 #홍규 #왕직 #후대량원부인 #합주 #이원 #대명주원부인 #왕예 #광주원부인 #광주 #왕규 #소광주원부인 #광주원군 #동산원부인 #승주 #박영규 #예화원부인 #춘주 #왕유 #대서원부인 #동주 #김행파 #소서원부인 #서경 #대서원 #소서원 #전민 #서전원부인 #신주원부인 #신주 #아찬 #강기주 #월화원부인 #영장 #소황주원부인 #원보 #순행 #성무부인 #박지윤 #효제태자 #효명태자 #법등군 #자리군 #의성부원부인 #의성부 #의성부원대군 #월경원부인 #박수문 #몽양원부인 #박수경 #해량원부인 #해평 #선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대사(吉禮大祀)
    3. 사직(社稷)
    社稷
    ○ 사직단(社稷壇) 사직단 국토지주(國土之主)(토지신)인 사(社)와 오곡지장(五穀之長)(곡식의 신)인 직(稷)에 대해 제사하는 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사직의 주인인 국왕이 국가와 백성들의 안녕을 위해 제사를 지냈다. 특히 고려 성종은 10년(99…
    #사 #직 #예감 #중춘 #중추 #상무일 #납일 #대사 #후토씨 #대직 #후직씨 #후토 #후직 #옥 #양규유저 #태위 #태상경 #광록경 #팔좌 #상서성 #제관 #공경 #제위 #사단 #태악서 #수궁서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헌가 #등가 #봉례 #어사 #대사단 #대직단 #영사 #봉례랑 #협률랑 #생방 #축사 #성생위 #태준 #착준 #뇌 #작 #세 #뇌수 #비 #사비 #준 #태사 #신좌 #재랑 #집례관 #생방위 #찬인 #알자 #태관령 #명수 #명화 #찬구 #재인 #준뢰소 #변 #두 #양온령 #예제 #앙제 #청주 #제 #현주 #상준 #보 #궤 #형 #조 #포작 #사공 #휘 #악공 #축 #임종궁 #영안지곡 #응종궁 #가안지곡 #후토단 #사도 #풍안지곡 #뇌세 #음복위 #복주 #태주궁 #숭안지곡 #무안지곡 #향악 #망예위 #집사위 #재방 #직신 #예기 #왕사 #국사 #후사 #대부 #치사 #사직 #하 #송사 #주 #율사 #자목부소 #중추사 #강감찬 #사직단 #의주 #황성 #후토구룡씨 #일관 #악 #진 #해 #독 #종묘 #기우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중사(吉禮中祀)
    1. 적전(籍田)
    籍田
    선농적전단(先農籍田壇) 선농적전단 중국 고대 전설상의 농사신인 선농(先農)․神農씨와 후직(后稷)씨에게 제사를 지내던 선농제의 제단을 말한다. 선농제는 국왕의 친경권농(親耕勸農) 의례 가운데 하나이다.은 너비가 3척이며 높이는 5척이다. 계단이 네 개이며 담이 …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대사(吉禮大祀)
    3. 사직(社稷)
    社稷
    社稷壇. 社在東, 稷在西, 各廣五丈, 高三尺六寸, 四出陛, 五色土爲之. 瘞坎二, 各在兩壇子陛之北,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 仲春仲秋上戊, 及臘. 神位. 祭大社, 以后土氏配, 祭大稷, 以后稷氏配.…
    #사 #직 #예감 #중춘 #중추 #상무일 #납일 #대사 #후토씨 #대직 #후직씨 #후토 #후직 #옥 #양규유저 #태위 #태상경 #광록경 #팔좌 #상서성 #제관 #공경 #제위 #사단 #태악서 #수궁서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헌가 #등가 #봉례 #어사 #대사단 #대직단 #영사 #봉례랑 #협률랑 #생방 #축사 #성생위 #태준 #착준 #뇌 #작 #세 #뇌수 #비 #사비 #준 #태사 #신좌 #재랑 #집례관 #생방위 #찬인 #알자 #태관령 #명수 #명화 #찬구 #재인 #준뢰소 #변 #두 #양온령 #예제 #앙제 #청주 #제 #현주 #상준 #보 #궤 #형 #조 #포작 #사공 #휘 #악공 #축 #임종궁 #영안지곡 #응종궁 #가안지곡 #후토단 #사도 #풍안지곡 #뇌세 #음복위 #복주 #태주궁 #숭안지곡 #무안지곡 #향악 #망예위 #집사위 #재방 #직신 #예기 #왕사 #국사 #후사 #대부 #치사 #사직 #하 #송사 #주 #율사 #자목부소 #중추사 #강감찬 #사직단 #의주 #황성 #후토구룡씨 #일관 #악 #진 #해 #독 #종묘 #기우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중사(吉禮中祀)
    1. 적전(籍田)
    籍田
    先農籍田壇. 方三丈高五尺. 四出陛兩壝, 每壝二十五步. 瘞埳 埳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감(塪)’자이나 ‘감(埳)’자로 하였다. 이하동일.在內壝之外壬地, 南出陛, 方深取足容物. 祭日孟春吉亥. 神位設神農氏位于壇上, 北方南向. 配以后稷氏位于壇上, 東方西向,…
    #선농적전단 #폐백 #신농 #배향 #후직 #축판 #주신 #배신 #헌관 #원구 #제향 #산재 #별전 #치재 #정전 #행궁 #기곡 #상사국 #재궁 #대차 #적전단 #소차 #수궁서 #향관 #장막 #교사령 #장생령 #태악령 #등가 #헌가 #봉례 #아헌관 #종헌관 #두되 #관등 #어사 #악현 #찬자 #협률랑 #악거 #문관 #무관 #음복 #태사령 #위판 #신농씨 #보 #궤 #벼 #조 #메기장 #찰기장 #등 #변 #두 #대갱 #형 #채소 #기름 #갱 #마른대추 #소금 #말린생선 #흰떡 #사슴육포 #개암 #마름씨 #가시연씨 #미나리절임 #죽순절임 #횟간 #무우절임 #부추절임 #토끼육장 #생선젓 #사슴고기육장 #담해 #소 #양 #돼지 #잔대 #단술 #흰술 #청주 #후직씨 #신위 #주기 #준 #작 #친경 #삼공 #상서 #경 #사농경 #공경 #쟁기 #개책 #삼태기 #삽 #집례 #광록경 #알자 #찬인 #가마솥 #명수 #명화 #태관령 #재인 #축사 #찬소 #난가 #문무관 #승황령 #거우 #양온령 #감찰어사 #태축 #영사 #항아리 #광주리 #보자기 #악공 #사공 #통사사인 #시중 #제례 #곤룡포 #면류관 #산 #선 #화개 #호위병 #태상박사 #태상경 #축문 #수레 #쟁기날 #호위 #의장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근시 #재계 #축 #태주궁 #정안지곡 #판위 #어 #고선궁 #응안지곡 #대광주리 #중서령 #양인 #명안지곡 #신좌 #사도 #풍안지곡 #규 #내시관 #소반 #황문시랑 #수건 #단 #준소 #성안지곡 #독축 #희안지곡 #상준 #복주 #대 #제육 #메기장밥 #내시 #문무 #숭안지곡 #무무 #태위 #무안지곡 #향악 #잔 #종헌 #아헌 #숙안지곡 #송신 #망예위 #고기 #기장밥 #잔술 #재방 #시위 #홀 #쟁기갑 #사농소경 #재전 #초엄 #호위대 #의장대 #추밀 #시신 #문무백관 #악부 #금위 #상기거 #각문 #천우 #사인 #고취악부 #승평문 #덕음 #의봉문 #평련 #흥례문 #재신 #대관전 #전각 #찬 #지후 #정침 #제향소 #상서성 #태악 #제위 #선농단 #집사 #신위판 #신위석 #제기 #물항아리 #집례관 #재소 #재랑 #소제 #배좌 #진설 #사준 #예제 #무대 #앙제 #문무대 #무무대 #적전 #향사 #유죄 #제왕 #어사대 #상주 #승려 #증산사 #태상시 #도평의사 #의주 #수시중 #이인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