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종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10월 을해일. 해당 관청에서, 왕의 이름과 같은 운(韻)자인 우(噳)․우(麌)․우(㒁)․우⿰魚吳․우⿰口吳․우(喁)를 쓰지 못하게 하고 딴 글자로 고치게 하라고 건의하자 이를 허락하였다. 갑신일. 숙종을 영릉(英陵)에 장사지냈다. 무자…#숙종 #영릉 #중서사인 #김연 #형부시랑 #최위 #요나라 #천흥절 #수녕궁 #대령궁 #장경궁 #숭덕궁 #연평궁 #안수궁 #왕영 #수태위 #왕원 #검교태위 #수사도 #위계정 #문하시중 #상주국 #최홍사 #이오 #문하시랑 동 평장사 #윤관 #중서시랑 동 평장사 #임의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정문 #검교사공 #예부상서 #김경용 #태자태사 #수사공 #왕하 #이부상서 #추밀원사 #오연총 #지추밀원사 #어사대부 #이위 #형부 상서 #지제고 #고영신 #비서감 #직문하성 #강증 #지어사대사 #최정 #상서우복야 #응양군 #최유정 #병부상서 #고의화 #용호군 #형부상서 #황유현 #흥위위 #호부상서 #필광찬 #검교태자태사 #상호군 #혁련정 #장락전학사 #판제학원사 #장교 #원리 #승도 #신봉문 #어사대 #팔관회 #구정 #서북면병마사 #지중군병마사 #동북면병마사 #지행영병마사 #내시지후 #지녹연 #주부동정 #은원충 #사천소감 #허신경 #최자호 #동계 #회상대왕 #공상 #헌종 #정당문학 #태백성 #제왕 #재추 #우산기상시 #유자유 #동계가발병마사 #최홍정 #판관 #건명전 #동계행영병마사 #김기감 #지병마사 #임신행 #병마부사 #임언 #별감 #김준 #지록연 #김인석 #장주분도 #곽경심 #선덕분도 #유익 #척준경 #유영약 #병마녹사 #박성정 #군후 #목민관 #추밀대신 #현화사 #승려 #덕창 #왕사
-
의종의종 19년(1165) 을유년의종 19년(1165) 을유년19년 봄 정월 초하루 신해일. 왕이 궁궐로 돌아왔다. 경신일. 왕이 현화사(玄化寺)에 나가 머물렀다. 신유일. 왕이 궁궐로 돌아와 무차대회(無遮大會) 무차대회 현성(賢聖)․승속(僧俗)․남여(男女)․귀천(貴賤)을 차별하지 않고 모두 …#현화사 #무차대회 #연등회 #봉은사 #증산사 #우정언 #조문귀 #보현원 #자효사 #경천사 #흥천사 #홍원사 #천화사 #채인 #응양군 #섭병부상서 #동시위 #강문준 #전중감 #흥위위 #태자우청도솔․부솔 #정원영 #용호군 #태자우감문솔․부솔 #양숙 #대부경 #신호위 #태자우위솔․부솔 #경복사 #금나라 #대부영 #영주 #인주 #정주 #정주별장 #원상 #인제원 #관란사 #좌번 #우번 #서화 #채붕 #해가리개 #준마 #백은 #단사 #봉령사 #정함 #급제 #이홍승 #판적요 #환관 #백선연 #왕광취 #내시 #박회준 #유장 #최유칭 #서공 #예성강 #관북궁 #우박 #이지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김영윤 #상서좌복야 #지추밀원사 #김양 #추밀원부사 #지후 #임효성 #사공 #임극충 #보제사 #흥국사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완안장 #수태보 #판상서이부사 #지문하성사 #판상서병부사 #태자소부 #태자소사 #판삼사사 #예부상서 #이공승 #태자빈객 #허홍재 #국자좨주 #좌간의대부
-
예종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十月 乙亥 有司奏, “御諱同韻噳․麌․㒁․⿰魚吳․⿰口吳․喁字, 請改避諱.” 從之. 甲申 葬肅宗于英陵. 戊子 遣中書舍人金緣如遼, 告哀. 庚寅 禁士庶與內官, 交通干謁. 癸巳 遣刑部侍郞崔緯如遼, 賀天興節. 尊母柳氏爲王太后, 改壽寧宮曰大寧, 長慶宮曰崇德, 延平宮曰安壽.…#숙종 #영릉 #중서사인 #김연 #형부시랑 #최위 #요나라 #천흥절 #수녕궁 #대령궁 #장경궁 #숭덕궁 #연평궁 #안수궁 #왕영 #수태위 #왕원 #검교태위 #수사도 #위계정 #문하시중 #상주국 #최홍사 #이오 #문하시랑 동 평장사 #윤관 #중서시랑 동 평장사 #임의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정문 #검교사공 #예부상서 #김경용 #태자태사 #수사공 #왕하 #이부상서 #추밀원사 #오연총 #지추밀원사 #어사대부 #이위 #형부 상서 #지제고 #고영신 #비서감 #직문하성 #강증 #지어사대사 #최정 #상서우복야 #응양군 #최유정 #병부상서 #고의화 #용호군 #형부상서 #황유현 #흥위위 #호부상서 #필광찬 #검교태자태사 #상호군 #혁련정 #장락전학사 #판제학원사 #장교 #원리 #승도 #신봉문 #어사대 #팔관회 #구정 #서북면병마사 #지중군병마사 #동북면병마사 #지행영병마사 #내시지후 #지녹연 #주부동정 #은원충 #사천소감 #허신경 #최자호 #동계 #회상대왕 #공상 #헌종 #정당문학 #태백성 #제왕 #재추 #우산기상시 #유자유 #동계가발병마사 #최홍정 #판관 #건명전 #동계행영병마사 #김기감 #지병마사 #임신행 #병마부사 #임언 #별감 #김준 #지록연 #김인석 #장주분도 #곽경심 #선덕분도 #유익 #척준경 #유영약 #병마녹사 #박성정 #군후 #목민관 #추밀대신 #현화사 #승려 #덕창 #왕사
-
의종의종 19년(1165) 을유년의종 19년(1165) 을유년十九年 春正月 辛亥朔 王還宮. 庚申 出御玄化寺. 辛酉 還宮, 設無遮大會. 乙丑 燃燈, 王如奉恩寺. 庚午 出御玄化寺. 癸酉 還宮. 丙子 出御甑山寺, 右正言趙文貴諫, 不聽. 丁丑 移御普賢院. 戊寅 幸慈孝寺 二月 辛巳 還宮. 乙酉 出御敬天寺. 丙戌 …#현화사 #무차대회 #연등회 #봉은사 #증산사 #우정언 #조문귀 #보현원 #자효사 #경천사 #흥천사 #홍원사 #천화사 #채인 #응양군 #섭병부상서 #동시위 #강문준 #전중감 #흥위위 #태자우청도솔․부솔 #정원영 #용호군 #태자우감문솔․부솔 #양숙 #대부경 #신호위 #태자우위솔․부솔 #경복사 #금나라 #대부영 #영주 #인주 #정주 #정주별장 #원상 #인제원 #관란사 #좌번 #우번 #서화 #채붕 #해가리개 #준마 #백은 #단사 #봉령사 #정함 #급제 #이홍승 #판적요 #환관 #백선연 #왕광취 #내시 #박회준 #유장 #최유칭 #서공 #예성강 #관북궁 #우박 #이지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김영윤 #상서좌복야 #지추밀원사 #김양 #추밀원부사 #지후 #임효성 #사공 #임극충 #보제사 #흥국사 #팔관회 #법왕사 #소부감 #완안장 #수태보 #판상서이부사 #지문하성사 #판상서병부사 #태자소부 #태자소사 #판삼사사 #예부상서 #이공승 #태자빈객 #허홍재 #국자좨주 #좌간의대부
-
반역(叛逆)강조(康兆)강조康兆강조(康兆) 강조(?~1010) 강조의 본관과 세계는 자세하게 할 수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강씨가 토성으로 나와 있는 곳이 주로 황해도 서해안 일대의 군현들이다. 따라서 강조의 본관은 신천(信川)․영강(永康)일 가능성이 높다. 이수건, 『한국중세사…#강조 #목종 #중추사 #우상시 #도순검사 #황보유의 #현종 #전중감 #이주정 #서북면 #도순검부사 #동주 #용천역 #내사주서 #위종정 #안북도호 #장서기 #최창 #김치양 #내신 #개경 #부사 #이부시랑 #이현운 #분사감찰 #김응인 #유행간 #대량원군 #용흥사 #귀법사 #신혈사 #급사중 #탁사정 #낭중 #하공진 #최항 #내수 #채충순 #유충정 #법왕사 #건덕전 #연총전 #합문통사사인 #부암 #충주 #적성현 #상약직장 #김광보 #중금 #안패 #중대사 #이부상서 #참지정사 #거란 #행영도통사 #병부시랑 #장연우 #기거사인 #곽원 #시어사 #윤징고 #도관 원외랑 #노전 #판관 #우습유 #승이인 #서경장서기 #최충 #수제관 #검교상서우복야 #상장군 #안소광 #행영도병마사 #어사중승 #노정 #병부낭중 #김작현 #소부감 #최현민 #좌군병마사 #소부소감 #최보성 #흥위위 #녹사 #고간 #대악승 #김재용 #형부시랑 #이방 #우군병마사 #형부낭중 #김정몽 #내알자 #예빈경 #박충숙 #중군병마사 #예빈소경 #이양필 #상서도사 #고연경 #사재주부 #유백부 #형부상서 #최사위 #통군사 #호부시랑 #송린 #좌사원외랑 #황보신 #시병부원외랑 #원영 #통주 #압록강 #흥화진 #통주성 #야율분노 #상온 #야율적로 #진주
-
반역(叛逆)이의방(李義方)이의방李義方이의방 이의방(?~1174) 전주사람이다. 그이 동생 이린(李隣)은 후일 조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신난 당시 그의 직위는 산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는 매우 다양하였다. 친형 이준의(李俊儀)를 비롯하여 명종 3년(1173)에 남로선…#이의방 #전주 #의종 #산원 #견룡행수 #정중부 #이고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이준의 #승선 #명종 #대장군 #전중감 #집주 #벽상공신 #한순 #장군 #한공 #신대예 #사직재 #차중규 #법운사 #수혜 #개국사 #현소 #여정궁 #선화사 #교위 #김대용 #내시 장군 #채원 #순검군 #중방 #위위경 #흥위위 #섭대 장군 #지병부사 #귀법사 #선유 승록 #언선 #중광사 #홍호사 #홍화사 #부병 #용흥사 #묘지사 #복흥사 #문극겸 #이린 #좌승선 #서경유수 #조위총 #원수 #윤인첨 #개경 #서경 #상서 #윤인미 #김덕신 #김석재 #최숙 #대동강 #정균 #종참 #고득원 #유윤원 #이영령 #별장 #고득시 #대정 #돈장
-
반역(叛逆)강조(康兆)강조康兆康兆, 穆宗時, 累官中樞使右常侍, 出爲西北面都巡檢使. 穆宗寢疾, 知金致陽謀變, 遣皇甫兪義, 往迎顯宗. 又知殿中監李周楨附致陽, 權授西北面都巡檢副使, 卽日發遣, 仍徵兆入衛. 兆聞命, 行至洞州龍川驛. 內史主書魏從正․安北都護掌書記崔昌, 曾坐事被黜, 深怨朝廷, 常欲構亂…#강조 #목종 #중추사 #우상시 #도순검사 #황보유의 #현종 #전중감 #이주정 #서북면 #도순검부사 #동주 #용천역 #내사주서 #위종정 #안북도호 #장서기 #최창 #김치양 #내신 #개경 #부사 #이부시랑 #이현운 #분사감찰 #김응인 #유행간 #대량원군 #용흥사 #귀법사 #신혈사 #급사중 #탁사정 #낭중 #하공진 #최항 #내수 #채충순 #유충정 #법왕사 #건덕전 #연총전 #합문통사사인 #부암 #충주 #적성현 #상약직장 #김광보 #중금 #안패 #중대사 #이부상서 #참지정사 #거란 #행영도통사 #병부시랑 #장연우 #기거사인 #곽원 #시어사 #윤징고 #도관 원외랑 #노전 #판관 #우습유 #승이인 #서경장서기 #최충 #수제관 #검교상서우복야 #상장군 #안소광 #행영도병마사 #어사중승 #노정 #병부낭중 #김작현 #소부감 #최현민 #좌군병마사 #소부소감 #최보성 #흥위위 #녹사 #고간 #대악승 #김재용 #형부시랑 #이방 #우군병마사 #형부낭중 #김정몽 #내알자 #예빈경 #박충숙 #중군병마사 #예빈소경 #이양필 #상서도사 #고연경 #사재주부 #유백부 #형부상서 #최사위 #통군사 #호부시랑 #송린 #좌사원외랑 #황보신 #시병부원외랑 #원영 #통주 #압록강 #흥화진 #통주성 #야율분노 #상온 #야율적로 #진주
-
반역(叛逆)이의방(李義方)이의방李義方李義方, 全州人. 毅宗末, 以散員爲牽龍行首, 與鄭仲夫․李高等作亂, 王懼, 卽拜義方鷹揚龍虎軍中郞將, 兄俊儀爲承宣. 明宗立, 授大將軍殿中監兼執奏, 冊爲壁上功臣, 圖形閣上. 元年, 大將軍韓順, 將軍韓恭․申大譽․史直哉․車仲規等, 相與言, “李義方․李高等, 擅殺朝臣, …#이의방 #전주 #의종 #산원 #견룡행수 #정중부 #이고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이준의 #승선 #명종 #대장군 #전중감 #집주 #벽상공신 #한순 #장군 #한공 #신대예 #사직재 #차중규 #법운사 #수혜 #개국사 #현소 #여정궁 #선화사 #교위 #김대용 #내시 장군 #채원 #순검군 #중방 #위위경 #흥위위 #섭대 장군 #지병부사 #귀법사 #선유 승록 #언선 #중광사 #홍호사 #홍화사 #부병 #용흥사 #묘지사 #복흥사 #문극겸 #이린 #좌승선 #서경유수 #조위총 #원수 #윤인첨 #개경 #서경 #상서 #윤인미 #김덕신 #김석재 #최숙 #대동강 #정균 #종참 #고득원 #유윤원 #이영령 #별장 #고득시 #대정 #돈장
-
興威衛보승 7영과 정용 5영이 있다. 위(衛)에는 정3품 상장군 1명, 종3품 대장군 1명을 두었다. 각 영에는 정4품 장군 각 1명, 정5품 중랑장 각 2명, 정6품 낭장 각 5명, 정7품 별장 각 5명, 정8품 산원 각 5명, 정9품 위(尉) 각 20명, 대정 …
-
병지(兵志)병제(兵制)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2군 #응양군 #용호군 #6위 #좌우위 #보승 #정용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역령 #천우위 #상령 #해령 #감문위 #도부외 #의장부 #견예부 #노부 #별호제반 #신기 #신보 #경궁 #정노 #석투 #대각 #철수 #강노 #도탕 #사궁 #발화 #오군 #중군 #병진도지유 #도장교 #오병도지유 #장교도업사 #신기도령 #지유 #좌우경궁도령 #좌우정노도령 #도령 #전군 #후군 #좌군 #우군 #신보도령 #정노도령 #병금관 #낭중 #사 #거란 #광군 #광군사 #좌우군영 #군영 #직원 #장수 #잡역 #방수 #역 #선정전 #열병 #선화문 #해군 #노군 #교위 #선두 #차 #생강 #삼위 #도병마사 #함화문 #채충순 #시정 #성윤 #이향 #중외군사 #정역 #장교 #상사봉어 #박원작 #혁차 #수질노 #뇌등석포 #팔우노 #9도 #위 #명전 #호부 #공전 #주례 #양경 #양로 #서북로병마사 #김해병서 #주진 #서면병마도감사 #수질구궁노 #국자감 #근장 #영 #호군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오위 #대정 #정군방정인 #망군정인 #역역 #정인 #천역 #녹관 #추역군 #품종 #5부방리 #영사 #주사 #기관 #유음품관 #천구 #양반 #백정인 #선군별감 #전정연립 #십장 #육십 #중금 #도지 #백갑 #정인호 #진첩 #도감 #동 #궁원 #구사 #시중 #최제안 #병서 #6위군 #장군 #경군 #외군 #2․3품군 #위위시 #노수전 #차노전 #서북로병마소 #서경 #감군 #분사어사 #맹군 #상경 #좌부 #왕총지 #중추 #동반 #남반 #금고 #정기 #좌작 #마군 #선봉마병 #어사대 #병부 #영부 #유음기광군 #경직대상 #동북로 #병마감창사 #수령관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병부 #군민 #봉책사 #흥왕사 #봉책군 #사면기광군 #금위군사 #제위 #동교 #동․서계 #방수군 #참외 #전마 #보반 #군반씨족 #성적 #장적 #솜도포 #솜바지 #털모자 #서북면 #정포고 #솜옷 #가죽신 #1품군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식록정 #공수정 #부병정 #부창정 #부호정 #단정 #병역 #궁사 #군장 #양호 #관곽 #대전 #내외군정 #장상 #혜각미 #섭랑장 #차대정 #건명고 #평포 #정포도감 #무관 #문관 #서북면병마사 #유홍 #귀주 #은완접 #소감 #천균노 #봉의 #대영고 #동․북양계 #귀령각 #무반장군 #좌복야 #황중보 #상장군 #대장군 #시신 #어사중승 #김경용 #은쟁반 #동지 #재추 #기병 #회복루 #동반신료 #장경사 #정주 #장사 #마대 #명주 #윤관 #별무반 #문무산관 #이서 #상고 #노비 #진부 #승려 #항마군 #사원 #수원승도 #보승군 #동계병마사 #오연총 #신기군 #재신 #추밀 #점군사 #신보반 #백정 #전지 #악공 #남명문 #도탕반 #타구 #열무 #단봉문 #기군 #보군 #색전 #병마원리 #위신종졸 #한인 #공사노 #원수 #부원수 #도지병마 #군사 #지병마사 #부사 #판관 #군후사 #용약원 #제색원 #병마인리 #제색인리 #중군병마사 #5군 #3군 #조진약 #봉획 #방정 #평전 #남적집착병마사 #정숙첨 #행영원수 #군마 #거란군 #개경 #중방 #태조 #임보 #동남도가발병마사 #공사천예 #생도 #충실도감 #갑곶강 #수전 #삼별초 #최우 #야별초 #별초 #몽골 #신의군 #김준 #최의 #임연 #송송례 #임유무 #사공 #전분 #윤군정 #부위병 #문무산직 #잡색 #변량 #이수심 #수수 #전함병량도감 #동반산직인 #경상 #전라 #충청도 #동계 #군기별감 #경산부 #석주 #밀직부사 #경병 #충청 #교주도 #서반 #시관 #산관 #3관 #사졸 #종군 #산직 #학생 #동정군 #전정 #백금 #윤수 #일본원정군 #도평의사 #판밀직 #김주정 #연등도감 #나유 #나얀대왕 #반란 #공유 #시위군사 #금학양관 #유생 #과거 #조선열 #최백윤 #순마 #상부 #진사 #쿠치 #응방 #내시 #다방 #첨의찬성사 #송분 #숭문관 #선군 #순포 #내승 #조라치 #팔가치 #순군4번 #송악산 #봉획소 #관사 #활 #화살 #창 #행성3소 #제군만호부 #정구 #쌍정 #군호 #토전 #추쇄 #수졸 #정 #다루가치 #순천사 #서북면도원수 #염제신 #충용사위 #위장 #대장 #왜적 #교동 #쿠치4번 #충용위 #충용위3번 #역어 #조강 #적구 #후석 #성중애마 #정군 #서강 #적강 #성문수리오도감 #왜적방어병마판관 #방리병 #전함 #사면도감 #용성 #유탁 #경기도통사 #방리인 #대호 #소호 #동강 #행수유사 #성문도감 #사인 #향리 #궁사노예 #감찰사 #정장 #8위 #경상도 #양광도 #전라도 #강릉도 #삭방도 #서해도 #주현 #존무 #안렴 #체찰 #한산관 #서경만호부 #좌익 #우익 #정예 #정의 #충의 #충성 #신첨 #신성 #십군 #안주만호부 #좌용 #우용 #좌맹 #우맹 #전용 #후용 #전맹 #후맹 #팔군 #의주만호부 #좌정 #우정 #충신 #의용 #사군 #니성만호부 #진평 #진강 #진정 #진원 #강계만호부 #진변 #진성 #진안 #진령 #상만호 #부만호 #애마 #5부 #한량품관 #나주목사 #이진수 #4케식 #군수부 #시직 #문무품관 #도통사 #케식관 #동면 #남면 #서해 #북계 #토지제도 #부병 #양천포 #간관 #우현보 #손무 #오기 #공자 #의용좌우군 #판사 #지사 #5부도총도감 #흥국사 #방리 #방어도감 #도성 #호수 #군정 #체복사 #곽선 #연호군 #별군 #왜구 #우왕 #도순문사 #군목도 #병마사 #대소품관 #한산양반 #재인 #화척 #보병 #평양도 #안주 #익군 #신용군 #신맹군 #8익 #10익 #서경군 #경산 #교주 #5부방리군 #판삼사사 #최영 #행성 #종사관 #창고 #강화 #조민수 #한산군 #초군사 #개성부 #마병 #칼 #백봉 #5부원수 #정요위 #봉수 #백성 #화통도감 #강릉 #삭방 #도당 #군익 #계점원수 #봉익 #천호 #백호 #통주 #인리 #역자 #노 #사노 #두목 #검 #노구 #도끼 #낫 #원수부 #주역』 #헌사 #5도 #수령 #군역 #익 #공부 #전조 #6도도순찰사 #화약 #통헌 #동북계 #잡류 #응양군상호군 #이무 #한량 #보충군 #마암 #제색장인 #궁수 #연호 #품질 #역리 #만호 #군부사 #도목 #대호군 #상호군 #제색공장 #군부 #42도부 #대 #오 #금위 #원나라 #문신 #무신 #근시 #충용 #우달치 #쉬구치 #별보 #오원 #천예 #사문 #사순 #비순위 #대간 #절제사 #동북면 #한 #남북군 #당 #요 #금 #양계 #요나라 #진제 #송나라 #군사제도 #부위 #첨설직 #관찰사 #경기 #3군도총제부 #방사량 #양부 #대성 #6조 #수군 #육군 #호패 #병조 #3위
-
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10월 을해일. 해당 관청에서, 왕의 이름과 같은 운(韻)자인 우(噳)․우(麌)․우(㒁)․우⿰魚吳․우⿰口吳․우(喁)를 쓰지 못하게 하고 딴 글자로 고치게 하라고 건의하자 이를 허락하였다. 갑신일. 숙종을 영릉(英陵)에 장사지냈다. 무자…
-
의종 19년(1165) 을유년19년 봄 정월 초하루 신해일. 왕이 궁궐로 돌아왔다. 경신일. 왕이 현화사(玄化寺)에 나가 머물렀다. 신유일. 왕이 궁궐로 돌아와 무차대회(無遮大會) 무차대회 현성(賢聖)․승속(僧俗)․남여(男女)․귀천(貴賤)을 차별하지 않고 모두 …
-
예종 즉위년(1105) 을유년十月 乙亥 有司奏, “御諱同韻噳․麌․㒁․⿰魚吳․⿰口吳․喁字, 請改避諱.” 從之. 甲申 葬肅宗于英陵. 戊子 遣中書舍人金緣如遼, 告哀. 庚寅 禁士庶與內官, 交通干謁. 癸巳 遣刑部侍郞崔緯如遼, 賀天興節. 尊母柳氏爲王太后, 改壽寧宮曰大寧, 長慶宮曰崇德, 延平宮曰安壽.…
-
의종 19년(1165) 을유년十九年 春正月 辛亥朔 王還宮. 庚申 出御玄化寺. 辛酉 還宮, 設無遮大會. 乙丑 燃燈, 王如奉恩寺. 庚午 出御玄化寺. 癸酉 還宮. 丙子 出御甑山寺, 右正言趙文貴諫, 不聽. 丁丑 移御普賢院. 戊寅 幸慈孝寺 二月 辛巳 還宮. 乙酉 出御敬天寺. 丙戌 …
-
강조康兆강조(康兆) 강조(?~1010) 강조의 본관과 세계는 자세하게 할 수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강씨가 토성으로 나와 있는 곳이 주로 황해도 서해안 일대의 군현들이다. 따라서 강조의 본관은 신천(信川)․영강(永康)일 가능성이 높다. 이수건, 『한국중세사…
-
이의방李義方이의방 이의방(?~1174) 전주사람이다. 그이 동생 이린(李隣)은 후일 조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신난 당시 그의 직위는 산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는 매우 다양하였다. 친형 이준의(李俊儀)를 비롯하여 명종 3년(1173)에 남로선…
-
강조康兆康兆, 穆宗時, 累官中樞使右常侍, 出爲西北面都巡檢使. 穆宗寢疾, 知金致陽謀變, 遣皇甫兪義, 往迎顯宗. 又知殿中監李周楨附致陽, 權授西北面都巡檢副使, 卽日發遣, 仍徵兆入衛. 兆聞命, 行至洞州龍川驛. 內史主書魏從正․安北都護掌書記崔昌, 曾坐事被黜, 深怨朝廷, 常欲構亂…
-
이의방李義方李義方, 全州人. 毅宗末, 以散員爲牽龍行首, 與鄭仲夫․李高等作亂, 王懼, 卽拜義方鷹揚龍虎軍中郞將, 兄俊儀爲承宣. 明宗立, 授大將軍殿中監兼執奏, 冊爲壁上功臣, 圖形閣上. 元年, 大將軍韓順, 將軍韓恭․申大譽․史直哉․車仲規等, 相與言, “李義方․李高等, 擅殺朝臣, …
-
興威衛보승 7영과 정용 5영이 있다. 위(衛)에는 정3품 상장군 1명, 종3품 대장군 1명을 두었다. 각 영에는 정4품 장군 각 1명, 정5품 중랑장 각 2명, 정6품 낭장 각 5명, 정7품 별장 각 5명, 정8품 산원 각 5명, 정9품 위(尉) 각 20명, 대정 …
-
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