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 2년(983) 계미년
2년 봄 정월
신미일. 왕이 원구(圓丘) 원구 원구[圜丘․園丘]․원구단(圜丘壇)․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작을 비는 기곡제(祈穀祭)와 4월 중의 기우제(祈雨祭) 형…
-
성종 6년(987) 정해년
봄 3월
갑자일. 대광(大匡) 대광 고려 초기 관료들의 공적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던 관계(官階)의 한 종류로,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 가운데 2품의 3등위에 해당되며, 성종 14년(995) 향직으로 개편되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서…
-
성종 7년(988) 무자년
봄 2월
임자일. 좌보궐(左補闕) 겸 지기거주(知起居注) 이양(李陽)이 다음과 같은 봉사(封事)를 올렸다.
“첫째, 옛날의 현명한 선왕들은 하늘의 이치를 존중해 역법(曆法)상의 월령(月令)을 정했기 때문에 임금은 농사일의 고됨을 알고 …
-
성종 2년(983) 계미년
二年 春正月 辛未 王祈穀于圓丘, 配以太祖. 乙亥 躬耕籍田, 祀神農, 配以后稷. 祈穀籍田之禮, 始此. 丁丑 宴群臣於天德殿, 賜物有差. 甲申 以崔承老爲門下侍郞平章事.
二月 戊子 始置十二牧, 詔曰 “天高爲大, 分象緯以著明, 地厚無彊, 列山川而播氣.…
-
성종 6년(987) 정해년
六年 春三月 甲子 大匡崔知夢卒.
秋八月 乙卯 命李夢遊, 詳定中外秦狀, 及行移公文式. 是月, 賜鄭又玄等及第, 敎曰 “自昔結繩旣往, 畫卦以來, 北辰御極之君, 南面經邦之主, 莫不習五常而設敎, 資六籍以取規. 故乃有虞開上下之庠, 夏后置東西之序, 殷修兩學…
-
성종 7년(988) 무자년
七年 春二月 壬子 左補闕兼知起居注李陽上封事, “其一曰, 古先哲王, 奉崇天道, 敬授人時, 故君知稼穡之艱難, 民識農桑之早晩, 以致家給人足, 年豊歲稔. 按月令, ‘立春前, 出土牛, 以示農事之早晩’ 請擧故事, 以時行之. 其二曰, 躬耕帝籍, 寔明王重農之意, 虔行女功, …
-
廣州牧
처음에 백제의 시조(始祖) 온조왕(溫祖王)이 한(漢)나라 성제(成帝) 홍가(鴻嘉) 홍가 한(漢) 성제(成帝)의 연호(기원전 20-17)이다. 3년 기원전 18에 나라를 세우고 위례성(慰禮城)에 도읍하였다. 13년 12년 온조의 즉위 13년을 말한다.에 이르러 …
-
忠州牧
본래 고구려의 국원성(國原城)【말을성(末乙省), 완장성(薍長城)이라고도 한다】으로, 신라가 차지한 후 진흥왕 때 소경(小京) 소경 신라 지방행정 단위의 하나이다. 지증왕 15년(514)에 아시소경(阿尸小京)(안강)을 둔 것이 그 효시이며, 진흥왕 18년(557…
-
淸州牧
본래 백제의 상당현(上黨縣)으로,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685)에 처음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 경덕왕 때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켰다. 태조 23년(940)에 청주(淸州)로 고쳤다. 성종 2년(983)에 처음 12목을 설치했는데 청주도 그 중 하…
-
公州
본래 백제의 웅천(熊川)으로 문주왕이 한성(漢城)에서 옮겨와 도읍하였다가 성왕(聖王)때 와서 다시 도읍을 남부여(南扶餘)로 옮겼다. 신라와 당나라가 협공해 멸망시키면서 당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 도독부 중국에서 변경에 설치한 지방통치기구로 장관은 도독(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