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은경2018이화어문논집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 역사인물인 신사임당(申師任堂)을 소재로 하여, 여성 작가가 여성 시청자를 위해서 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율곡 이이가 자신의 어머니 사임당에 대해 쓴 <선비행장(先妣行狀)>과 비교해보면, 드라마 작가는 사임당을 대상으로 하여 자유롭게 상상력을 발휘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속에는 남성과는 다른 여성적 상상력과 가치관이 구현되었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은밀한 소원이 투영된 것이다. 이로 인해서 지금까지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대표자로 알려졌던 사임당이 여성미를 갖춘 아름다운 여성으로 표현되고, 그 누군가의 첫사랑이자, 영원히 잊지 못할 연인으로 설정되었다. 이는 여성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여성은 훌륭한 어머니이면서 동시에 매력적인 연인의 모습을 갖출 수 있으며, 여성들은 이 둘을 별개가 아닌 하나로 통합되길 바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과거 일반 남성들이 여성을 이분적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나눈 것에 배척되는 것이다. 또한 사임당은 『내훈(內訓)』이나 『여사서(女四書)』 등과 같은 각종 여성규범서에서 여성을 향해 거듭 강조하고 있는 ‘효심(孝心)’으로 눈물짓기보다는, 연인에 대한 그리움으로 눈물짓는 모습을 보인다. 이 또한 21세기의 가치관의 변화라고도 할 수 있다.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속의 주인공 사임당은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윤리에 구애되어 집안에서만 머물고 있지 않고, 끊임없이 바깥세상을 향해 나가는 여성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중년에 이르기까지 집 바깥의 세계에 관심을 보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 있는 것을 찾아내고 ...사임당,>
-
신미덕2017순천향 인문과학논총栗谷 李珥(1536~1584)는 선조 8년(1575) 40세 되던 해에 당시 25세의 선조에게 聖學輯要에 관한 進箚를 올렸다. 이 글은 선조가 聖君이 되기를 바라는 충서의 글이었다. 주요 내용은 당시의 기본 유교 텍스트인 四書六經과 선현들의 논설과 역대의 ...
-
곽신환2017儒學硏究간재 전우는 선현에 대한 평가에서 퇴계 이황은 학문, 율곡 이이는 리기, 우암 송시열은 사업에 특장이 있다고 했다. 그는 20세에 퇴계문집을 읽고 깊은 감동을 받았으며, 74세에 퇴계의 완결된 전집을 얻어 읽은 다음 퇴계가 고봉에게 답한 편지에 대한 소감,...
-
차영익2017泰東古典硏究이 글은 허백당 성현의 사문(斯文) 의식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도학파 사림의 경학인식을 거쳐 이황과 이이로 이어지는 성리학적 발전에 있어 성현 등 사장파로 분류되는 문인관료의 경학은 깊이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사상...
-
윤진영2016산림문화전집
-
김세정2016儒學硏究한국양명학자들은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을 매우 중시한다. ‘실심’과 ‘감통’의 뿌리는 16세기 기호(畿湖) 계열의 유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에서 찾을 수 있으며, 17세기 계곡(谿谷) 장유(張維)와 지천(遲川) 최...
-
이민희2016강원문화연구
-
이상균2015문화재보물 제165호인 오죽헌은 강원도 내에 남아있는 조선전기 가장 이른 시기 사대부 주택의 별당이다. 집의 형태적 측면은 건축사 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신사임당이 율곡 이이를 낳은 집으로 유명하다. 강릉최씨 가문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나 자녀균분상...
-
송수진2015인격교육이 글의 목적은 율곡 이이의 성장 과정을 검토한 뒤 그 인격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율곡은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자면 가정, 학교, 사교육 이들 중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받지 못했다. 그러나 순전히 진공상태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실천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
임상석2011코기토『산수격몽요결』은 최남선이 신문관에서 십전총서의 첫 번째로 발행한 책이다.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을 발췌하고 서구의 격언을 병기하여 대응시킨 본문과 후쿠자와 유키치의 「수신요령」을 부록으로 첨부해 간행한 책으로 고전과 성리학적 이념의 근대적 전환을 보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