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훈2022동화와 번역Fac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 a number of concerned translation scholars have put forward the concept of “transcreat...
-
김미지2022구보학보It is clear that Korean translations gradually increa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readers of colonized Korea were relying heavil...
-
최세용2022문학교육학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how classical works are transformed for children and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transform...
-
김상현2022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Objectives : Translations of Korean Medical Classical tex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o verify their trend. Based on findings, accumulated ...
-
노혜경2022東洋學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
-
손성준2021코기토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세계문학 수용에 가장 앞장섰던 문인들이 1920년대 중반부터 ‘순조선 것’의 문학적 형상화에 매진하게 된 현상을 홍명희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당시 세계문학 번역의 최종 목표는 조선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 신문학계의 발전에 있었다. 이는 번역 주체들이 조선문학을 위한 실천을 어떠한 방향으로 심화해 가느냐에 따라 언제든 번역을 멈출 수도 있다는 ...
-
권오헌2021문화와 사회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 번역 사업을 남북한 체제경쟁과 정당화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고전번역을 둘러싼 분단국가의 상징정치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하여 근대국가의 문화유산 재현과 그 기념의 문화정치를 해명하고자 한다. 1970년대를 통해 첨예해진 남북한의 민족사적 역사정통성 경쟁은 전근대 기록물 같은 문화유산을 부각시켰고, 그 중심에서 『실록』과 같은 민족고전에 대한 재현의...
-
이승은2020東方漢文學Translation fills the gaps in different languages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From this point of vi...
-
권경순2020장서각북한의 한문고전 번역은 1950년대에 시작되었다. 최초의 번역서는 『동국병감』으로 1950~1960년대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의 국가고전은 물론이고 다수의 문집도 선역하였다. 1970년대에는 『리조실록』을 번역하였고 1990년대에는 민족고전학회를 창설하여 번역 대상을 선별하고 번역사업을 진행해나갔다. 이후 잠시 소강상태였던 한문고전 번역은 2010년대에 다시 활발히 진행되어...
-
장문석2020상허학보This article aimed to restore the text of Kim Chi-ha and the movements and the voices of the subjects who read, translated and published his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