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소윤2022韓國文學論叢It is necessary to hold two perspectives on New dance. New dance triggered changes in the status of dance art such as liberation and expression...
-
성해준2020退溪學論叢지리적인 위치가 일본 본토보다 부산과 가까운 대마도는 오랫동안 한일 양국문화가 중첩된 무대로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지 간에 한일 양국문화를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대마도는 원래 산악지대로 토지가 협소하고 척박하여 식량을 밖에서 구해야 생활을 유지하므로 고려 시대 말기부터 한반도로부터 쌀을 지원받았지만, 그 땅에 기근이 들 때는 해적이 한반도 도서 연안을 침범하여 약탈하므로 한반도...
-
김지완2019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크게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대구‧경북 사...
-
박한민2019한일관계사연구이 글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측 자료로 『丙子擾錄』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 자료는 1875년 9월 운요호(雲揚號) 사건 발생 이후 1876년 2월 조일수호조규 체결에 이르는 시기의 조일 간 교섭과 관련된 문서를 수록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존에 알려진 조선 측 자료로 신헌이 쓴 『沁行日記』와 작자 미상의 『乙丙日記』와 겹치는 문서가 다수 수록되어 있기는 하다. 내용을 정밀하게 ...
-
김태은2019한국문화연구부산 녹산동에서 고려시대에 대단위 요업을 했던 가마터가 발굴조사되었다. 최초에 도기를 생산하다가 전환하여 청자를 제작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마를 이동하면서 상당기간 요업을 지속하였다. 총 5기의 가마와 그에 속한 폐기장이 조사되었다. 5만 점이 넘는 출토품을 통해 대량생산을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지리적으로 낙동강과 남해안 수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 경남지역 일대에 청자를 공급했을...
-
윤영삼2019인문사회과학연구This paper suggests the age-friendly improvement scheme of urban bu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reali...
-
윤상길2015한국민족문화본 연구는 전화가 근대 한국 식민지 도시공간의 분화과정에서 분산과 집중의 이중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연구가설, 혹은 전화가 기존의 정주패턴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1920년대와 1940년대의 두 식민도시인 부산과 군산의 전화가입자 분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일본인전관거류지가 식민도시로 확대 발달하는 과정에서 전화가 담당한 역할이 ...
-
김영분2015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조선이 통치되었던 35년간 한반도에는 새로운 사회적 제도에 의한 변화가 시작되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 입장에서는 한일병합(韓日倂合), 즉 일본과 조선을 같은 제도로 통치하며 선진적 제도를 이식하는 것이었지만, 조선의 입장에서는 일본의 권익을 위한 차별적 정책에 의한 일제강점(日帝强占)적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건축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기능...
-
정성일2015民族文化硏究왜관(倭館)의 매일기(每日記) 등을 통해서 19세기 초반 대일무역에 참가한 정자범(鄭子範)의 무역 활동이 밝혀졌다. 그의 아버지 정윤중(鄭允中) 역시 왜관을 드나들면서 무역에 참가하였던 동래상고(東萊商賈) 출신이었다. 정자범은 전주와 서울, 부산을 오가면서 우피(牛皮) 등 무역품을 조달하여 왜관에 판매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임 왜학역관(倭學譯官)이 풀지 못했던 공무역(公貿易) 미지급(미수) 문제의...
-
이규화2013오늘날은 도시화나 산업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지역 공동체의 고유성과 전통성은 점점 잃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접어들어 현재까지 우리의 전통문화를 되찾자는 움직임과 문화유산의 복원문제 그리고 우리 고유의 전통축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축제인 동래읍성역사축제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민속춤이 어떠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이루어져 있으며 그러한 ...